KR101987297B1 -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297B1
KR101987297B1 KR1020180011414A KR20180011414A KR101987297B1 KR 101987297 B1 KR101987297 B1 KR 101987297B1 KR 1020180011414 A KR1020180011414 A KR 1020180011414A KR 20180011414 A KR20180011414 A KR 20180011414A KR 101987297 B1 KR101987297 B1 KR 10198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ming
lamp unit
unit
lamp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완
오승협
이수정
장민규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램프 유닛에 대한 에이밍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에이밍부,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2 에이밍부,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이 상기 제1 에이밍부 및 상기 제2 에이밍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Aiming apparatus of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램프 유닛에 대한 에이밍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하여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대향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이나 로우 빔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며,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헤드 램프의 광 조사 방향이 원래 설정과 다르게 변경되는 경우, 충분한 시야가 확보되지 않거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원래 설정한 광 조사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Aiming)의 수행이 요구된다.
에이밍은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헤드 램프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 등과 같이 복수의 램프 유닛으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복수의 램프 유닛 각각의 에이밍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램프 유닛 별로 각각 에이밍 구조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고 구성이나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에이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용이한 에이밍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공보 US4318162 (1982.03.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램프 유닛의 에이밍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공간이 감소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에이밍부,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2 에이밍부,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이 상기 제1 에이밍부 및 상기 제2 에이밍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 각각의 에이밍을 위한 에이밍부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하여 에이밍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램프 유닛 각각의 에이밍을 위한 에이밍 스크류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짝수 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램프 유닛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시 에이밍 브라켓의 이동 방향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이밍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1)는 제1 에이밍부(100), 제2 에이밍부(200) 및 기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는 차량이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대향 차량이나 선행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의 컷 오프 라인을 가지는 로우 빔 패턴이나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는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는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각 램프 유닛은 광이 발생되는 광원을 비롯하여 리플렉터, 쉴드, 렌즈 등과 같은 각종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형성되는 빔 패턴에 따라 각 램프 유닛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나 광학계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에이밍부(100)는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 지점(AP1)에 구비되어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 지점(AP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램프 유닛(10)이 기준 지점(RP1)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은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1 램프 유닛(10)은 기준 지점(RP1)이 에이밍 지점(AP1)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제1 에이밍부(1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제1 램프 유닛(10)의 기준 지점(RP1)은 제1 에이밍부(100)에 의해 제1 램프 유닛(10)이 회전되는 경우 회전 중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위치가 고정되는 지점으로서, 제1 램프 유닛(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피봇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에이밍부(100)는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 지점(AP1)에 결합되는 제1 에이밍 브라켓(110) 및 제1 에이밍 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제1 에이밍 스크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은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 지점(AP1)에 피봇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의 직선 운동이 제1 램프 유닛(1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은 일측에 형성된 피봇 헤드(111)가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 지점(AP1)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11)의 수용 홈(11a)에 삽입되어 피봇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은 제1 램프 유닛(10)에 직접 피봇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에이밍 스크류(120)는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의 스크류 홈(112)에 삽입되어 제1 에이밍 브라켓(1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은 제1 에이밍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해 제1 에이밍 스크류(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에이밍 스크류(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1 에이밍 스크류(12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에이밍 스크류(120)는 일단이 램프 하우징(미도시)을 관통하여 램프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에이밍 스크류(12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1 에이밍 스크류(120)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이 제1 에이밍 스크류(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제1 에이밍부(100)는 제2 램프 유닛(20)을 마주보는 제1 램프 유닛(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동시에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해 필요한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에이밍부(200)는 제1 램프 유닛(10)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 지점(AP2)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어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따라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 지점(AP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2 램프 유닛(20)이 기준 지점(RP2)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램프 유닛(10)은 제1 램프 유닛(10)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어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2 램프 유닛(20)은 기준 지점(RP2)이 에이밍 지점(AP2)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제2 에이밍부(2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램프 유닛(10)의 하측 방향에 제2 램프 유닛(20)이 배치되며, 제1 에이밍부(100)가 제1 램프 유닛(1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2 에이밍부(200)가 제2 램프 유닛(2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어 차량용 램프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에이밍부(100)가 제2 램프 유닛(20)과 마주보는 제1 램프 유닛(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에이밍부(200)가 제1 램프 유닛(10)과 마주보는 제2 램프 유닛(2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가 상대적으로 서로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가 서로 멀리 떨어지게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를 위해 필요로 하는 공간이 감소하게 되어 차량용 램프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의 하측 방향에 제2 램프 유닛(20)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며,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배치에 따라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제2 에이밍부(200)는 제1 에이밍부(100)와 유사하게 제2 에이밍 브라켓(210) 및 제2 에이밍 브라켓(210)과 결합되는 제2 에이밍 스크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은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 지점(AP2)에 피봇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의 직선 운동이 제2 램프 유닛(2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은 제1 에이밍 브라켓(110)과 유사하게 일측에 형성된 피봇 헤드(211)가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 지점(AP2)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21)의 수용 홈(21a)에 삽입되어 피봇 결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은 제2 램프 유닛(20)에 직접 피봇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에이밍 스크류(220)는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의 스크류 홈(212)에 삽입되어 제2 에이밍 브라켓(210)과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은 제2 에이밍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제2 에이밍 스크류(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제2 에이밍 브라켓(210)기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에이밍 스크류(220)는 일단이 램프 하우징을 관통하여 램프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어부(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2 에이밍 스크류(220)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이 제2 에이밍 스크류(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기어부(300)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을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력은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구동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된다는 것은 구동력이 발생되는 수동 조절부 또는 액추에이터 등으로부터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가 직접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구동력이 간접적으로 전달된다는 것은 수동 조절부 또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이 별도의 기어나 링크 부재 등을 통해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를 각각 제1 기어(310), 제2 기어(320) 및 전달 기어(330, 340)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는 짝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1 에이밍 스크류(120) 및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기어(310)는 제1 에이밍 스크류(1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1 에이밍 스크류(120)가 제1 기어(31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제2 기어(320)는 제2 에이밍 스크류(22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제2 기어(320)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므로, 제1 에이밍 스크류(120) 및 제2 에이밍 스크류(220)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에이밍 스크류(120) 및 제2 에이밍 스크류(220)와 연결되는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동시에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동시에 회전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 사이에 전달 기어(330, 340)가 위치하여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게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달 기어(330, 340)는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짝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은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 중 적어도 하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되는 구동력에 따라 복수의 기어(310, 320, 330, 340)가 회전할 때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해서는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 사이에 위치하는 전달 기어(330, 340)가 짝수 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이 제1 기어(310)로 제공되어 제1 기어(3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기어(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기어(310)의 회전력이 짝수 개의 전달 기어(330, 340)를 통해 제2 기어(320)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이전에 비하여 상측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10)은 기준 지점(RP1)에 비하여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에이밍 지점(AP1)이 전방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고, 제1 램프 유닛(10)의 하측 방향에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20)은 기준 지점(RP2)에 비하여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에이밍 지점(AP2)이 후방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때,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 지점(AP1)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에이밍 스크류(12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에이밍 브라켓(11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 지점(AP2)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에이밍 브라켓(210)이 후방을 이동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에이밍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에이밍 스크류(120) 및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 사이에 짝수 개의 전달 기어(330, 340)가 위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달 기어(330, 340)가 서로 맞물리는 2개의 기어로 이루어지며, 2개의 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어느 하나는 제1 기어(310)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제2 기어(320)와 맞물리도록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달 기어(330, 340)의 개수나 배치 방향 등은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의 간격이나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 사이에 짝수 개의 전달 기어(330, 340)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배치 간격으로 인하여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직접 맞물리도록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달 기어(330, 3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기어부(300)가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와 같이 짝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기 때문에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기어부(300)는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를 포함하여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 사이에 위치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총 기어의 개수가 짝수 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기어(310) 및 제2 기어(3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1)는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한 제1 에이밍부(100) 및 제2 에이밍부(200)가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감소하게 되어 차량용 램프의 전체적인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10)의 에이밍을 위한 제1 에이밍부(100)의 제1 에이밍 스크류(120) 및 제2 램프 유닛(20)의 에이밍을 위한 제2 에이밍부(200)의 제2 에이밍 스크류(220)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300)가 짝수 개의 기어(310, 320, 330, 340)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 에이밍 스크류(120) 및 제2 에이밍 스크류(2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램프 유닛(10) 및 제2 램프 유닛(20) 각각의 에이밍을 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제1 램프 유닛
20: 제2 램프 유닛
100: 제1 에이밍부
110: 제1 에이밍 브라켓
120: 제1 에이밍 스크류
200: 제2 에이밍부
210: 제2 에이밍 브라켓
220: 제2 에이밍 스크류
300: 기어부
310: 제1 기어
320: 제2 기어
330, 340: 전달 기어

Claims (10)

  1.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에이밍부;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2 에이밍부;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이 상기 제1 에이밍부 및 상기 제2 에이밍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상측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하측에 형성되는 에이밍 지점의 상측 방향에 형성되는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측에 형성되는 에이밍 지점의 하측 방향에 형성되는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은,
    상기 제2 램프 유닛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은,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마주보는 일측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어는,
    짝수 개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5.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에이밍부;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2 에이밍부;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이 상기 제1 에이밍부 및 상기 제2 에이밍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이밍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결합되는 제1 에이밍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에이밍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에이밍부는,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결합되는 제2 에이밍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에이밍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에이밍 스크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에이밍 스크류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에이밍 브라켓 및 상기 제2 에이밍 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동일한 방향으로 에이밍이 수행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6.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1 에이밍부;
    상기 제1 램프 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구비되는 제2 에이밍부;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램프 유닛 및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을 위한 구동력이 상기 제1 에이밍부 및 상기 제2 에이밍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이밍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결합되는 제1 에이밍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에이밍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에이밍부는,
    상기 제2 램프 유닛의 에이밍 지점에 결합되는 제2 에이밍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에이밍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에이밍 스크류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에이밍 스크류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제1 에이밍 스크류에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2 에이밍 스크류에 연결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기어는,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사이에 서로 맞물리도록 위치하는 짝수 개의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짝수 개의 전달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기어와 맞물리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10. 삭제
KR1020180011414A 2018-01-30 2018-01-30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198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14A KR101987297B1 (ko) 2018-01-30 2018-01-30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14A KR101987297B1 (ko) 2018-01-30 2018-01-30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297B1 true KR101987297B1 (ko) 2019-06-11

Family

ID=6684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414A KR101987297B1 (ko) 2018-01-30 2018-01-30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2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2254A (zh) * 2021-12-17 2022-03-04 重庆宇正汽车运输有限公司 可变速调节的汽车大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162A (en) 1979-10-16 1982-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Snap in coupling assembly for a vehicle headlamp
JP2012201186A (ja) * 2011-03-24 2012-10-22 Stanley Electric Co Ltd 4灯式ヘッドランプのエーミング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162A (en) 1979-10-16 1982-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Snap in coupling assembly for a vehicle headlamp
JP2012201186A (ja) * 2011-03-24 2012-10-22 Stanley Electric Co Ltd 4灯式ヘッドランプのエーミング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32254A (zh) * 2021-12-17 2022-03-04 重庆宇正汽车运输有限公司 可变速调节的汽车大灯
CN114132254B (zh) * 2021-12-17 2024-04-19 深圳市威德亮实业有限公司 可变速调节的汽车大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51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315659B1 (ko) 차량용 등기구
EP2154426B1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US20020012249A1 (en) Headlamp for motor vehicles
JP6545588B2 (ja) アダプティブフロント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のビームパターン調節装置
KR10198729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N107499225B (zh) 车灯照明装置、车灯总成及汽车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US10843620B2 (en) Automotive lighting with variable controlled actuators
KR20190018785A (ko) 차량용 램프
US20050122734A1 (en) Adverse weather headlamp system
KR101717692B1 (ko) 차량용 램프
KR101557112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KR10148580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60015904A (ko) 차량용 램프
US6547429B2 (en) Bi-functional tilted axis reflector headlamp
KR20140083281A (ko) 듀얼 쉴드를 이용한 헤드 램프
KR10192973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60011936A (ko) 차량용 램프
KR20170119920A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90005394A (ko) 범퍼커버와 헤드램프 갭 단차 조절구조
CN113531474B (zh) 防炫目远光灯和车辆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