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394B1 -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 Google Patents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394B1
KR101250394B1 KR1020110029131A KR20110029131A KR101250394B1 KR 101250394 B1 KR101250394 B1 KR 101250394B1 KR 1020110029131 A KR1020110029131 A KR 1020110029131A KR 20110029131 A KR20110029131 A KR 20110029131A KR 101250394 B1 KR101250394 B1 KR 10125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housing
irradiation angle
lamp
fo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939A (ko
Inventor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이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102011002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3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1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4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반사공간에 램프가 수용된 램프하우징이 볼 앤 소켓 조인트 방식으로 범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작업자가 시야로 조사각을 확인하면서 외부에서 간편한 조작으로 안개등의 조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차량의 범퍼에 형성된 안개등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조사각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안개등에 있어서,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 반사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수용되어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램프하우징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와; 중앙에 빛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캡과; 구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후방면 중앙에 구비되는 볼스터드와,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램프하우징의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범퍼에 고정되되 상기 램프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상기 볼스터드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볼스터드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AUTOMOBILE FOG LAMP EASY TO ADJUSTING IRRADIATION ANGLE}
본 발명은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반사공간에 램프가 수용된 램프하우징이 볼 앤 소켓 조인트 방식으로 범퍼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작업자가 시야로 조사각을 확인하면서 외부에서 간편한 조작으로 안개등의 조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범퍼에는 안개등이 설치되어, 안개가 낀 곳을 주행할 때 전방 시야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개등을 도시하였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개등(2)은 전방의 렌즈(4)와 후면의 반사경(6)이 조립된 상태로 마운팅 브라켓(10')에 의해 지지되어 범퍼(1)에 고정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반사경(6)의 외면 하측에 부착되어 하부로 연장된 절곡편(8)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공과 마운팅 브라켓의 체결편(12')의 나사공을 관통하여 조절용 나사(15')가 체결된다. 안개등의 조사 각도 즉, 상하방향 조절은 이 나사(15')에 의해 이루어지는 데, 나사(15')의 체결정도에 따라 절곡편(8)과 체결편(12')의 거리가 조절되면서 안개등의 조사각이 조절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조절용 나사(15')는 범퍼커버 내측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나사(15')를 조절하여 안개등의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휠 커버를 제거하고 뒤쪽에서 손이나 드라이버를 넣어 조절해야 하는바, 안개등의 상하방향 조절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개등의 조사방향으로 보면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후면에서 조절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개등의 조사각을 정확히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반사공간에 램프가 수용된 램프하우징이 볼 앤 소켓 조인트 방식으로 범퍼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상하좌우방향으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고, 전방캡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방향에 따라 진퇴되는 복수개의 조사각조절볼트를 통해 작업자가 시야로 조사각을 확인하면서 외부에서 간편한 조작으로 안개등의 조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차량의 범퍼에 형성된 안개등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조사각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안개등에 있어서,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 반사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수용되어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램프하우징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와; 중앙에 빛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캡과; 구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후방면 중앙에 구비되는 볼스터드와,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램프하우징의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범퍼에 고정되되 상기 램프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상기 볼스터드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볼스터드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상기 램프하우징은, 전단부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범퍼는,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램프하우징의 결합돌기의 위치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전방캡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의 볼트체결공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캡을 상기 램프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방향에 따라 진퇴되며 상기 볼트체결공을 관통한 후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맞닿아 상기 램프하우징을 상기 볼스터드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복수개의 조사각조절볼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내부 반사공간에 램프가 수용된 램프하우징이 볼 앤 소켓 조인트 방식으로 범퍼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상하좌우방향으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고, 전방캡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방향에 따라 진퇴되는 복수개의 조사각조절볼트를 통해 작업자가 시야로 조사각을 확인하면서 외부에서 간편한 조작으로 안개등의 조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안개등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램프하우징(10)과, 렌즈(20)와, 전방캡(30)과, 조사각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차량용 안개등이란 차량의 범퍼(B)에 형성된 안개등 수용 공간(B1)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조사각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범퍼(B)는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B1)에 삽입되는 상기 램프하우징(10)의 결합돌기(11)의 위치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램프하우징(1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걸림턱(B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걸림턱(B2)은 상기 범퍼(B)의 일부분으로서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상기 조사각조절수단(40)으로서 후술할 조사각조절볼트(43)의 후단부가 상기 걸림턱(B2)에 맞닿는 경우 상기 조사각조절볼트(43)의 이동방향과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램프하우징(10)가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램프하우징(10)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 반사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L)가 수용되어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B1)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단부 외주면에는 상호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4개의 결합돌기(11)가 구비된다. 3지점의 조절의 통해서도 4방향으로의 회동조절이 가능하지만, 4방향으로의 회동조절을 위해서는 상하좌우 4지점을 조절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직관적이면서도 원하는 조사각으로의 조절이 쉽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11)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결공(1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상기 조사각조절수단(40)으로서의 조사각조절볼트(43)과 관통되면서 체결되게 된다.
상기 렌즈(20)는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하우징(10)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상기 전방캡(3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램프하우징(10)에 수용된 렌즈(L)를 보호함과 동시에 표면이 소정의 패턴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굴곡진 패턴에 따라 투과되는 빛을 확산 또는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방캡(30)은 중앙에 빛투과공(31)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램프하우징(10)의 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고정되는 경우 상기 렌즈(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탈거되는 경우 상기 램프하우징(10)에 수용된 램프(L) 또는 상기 렌즈(20)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전방캡(30)은 상기 조사각조절수단(40)으로서의 조사각조절볼트(43)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조사각조절볼트(43)가 상기 전방캡(3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11)의 볼트체결공(111)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캡(30) 상기 램프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조사각조절수단(40)은 상기 램프하우징(10)을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볼스터드(41)와, 소켓조인트(42)와, 조사각조절볼트(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스터드(41)는 구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하우징(10)의 후방면 중앙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볼스터드(41)는 상기 램프하우징(10)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소켓조인트(42)는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B1)에 삽입된 상기 램프하우징(10)의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범퍼(B)에 고정되되 상기 램프하우징(10)이 외력에 의해 상기 볼스터드(41)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볼스터드(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볼스터드(41)와 상기 소켓조인트(42)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상기 램프하우징(10)이 상기 볼스터드(41)를 중심(C)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사각조절볼트(43)는 작업자가 안개등의 전방에서 시야로 조사각을 확인하면서 드라이버와 같은 회전공구에 의한 회전조작만으로 안개등의 조사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결합돌기(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인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캡(3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11)의 볼트체결공(111)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캡(30)을 상기 램프하우징(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방향에 따라 진퇴되며 상기 볼트체결공(111)을 관통한 후단부가 상기 걸림턱(B2)에 맞닿아 상기 램프하우징(10)을 상기 볼스터드(41)를 중심(C)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상기 조사각조절볼트(43)의 머리부와 상기 전방캡(30) 사이에는 상기 전방캡(30)이 상기 램프하우징(1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캡(30)을 상기 램프하우징(10)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S)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의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조사각조절볼트(43)의 회전조절에 따른 진퇴에 따라 상기 램프하우징(10)이 상기 볼스터드(41)를 중심(C)으로 회동됨으로써 도 3은 지면과 평행한 수평선(H)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개등의 조사각이 소정의 각도(α1)만큼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였고, 도 4는 지면과 평행한 수평선(H)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개등의 조사각이 소정의 각도(α2)만큼 하방으로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상기와 같이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상기 램프하우징(10)의 상하좌우방향으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사각조절볼트(43)의 조절을 통해 작업자가 시야로 조사각을 확인하면서 외부에서 간편한 조작으로 안개등의 조사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B 범퍼
B1 안개등 수용 공간
B2 걸림턱
10 램프하우징
L 램프
11 결합돌기
20 렌즈
30 전방캡
31 빛투과공
40 조사각조절수단
41 볼스터드
42 소켓조인트
43 조사각조절볼트

Claims (2)

  1. 차량의 범퍼에 형성된 안개등 수용 공간에 장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조사각으로 빛을 조사하는 차량용 안개등에 있어서,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 반사공간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가 수용되어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램프하우징과;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램프하우징의 개구된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와; 중앙에 빛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를 사이에 두고 상기 램프하우징의 전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캡과; 구형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램프하우징의 후방면 중앙에 구비되는 볼스터드와,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램프하우징의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범퍼에 고정되되 상기 램프하우징이 외력에 의해 상기 볼스터드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볼스터드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램프하우징은, 전단부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범퍼는, 상기 안개등 수용 공간에 삽입된 상기 램프하우징의 결합돌기의 위치보다 후방의 위치에서 상기 램프하우징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전방캡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의 볼트체결공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방캡을 상기 램프하우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회전방향에 따라 진퇴되며 상기 볼트체결공을 관통한 후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맞닿아 상기 램프하우징을 상기 볼스터드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복수개의 조사각조절볼트와, 상기 전방캡이 상기 램프하우징에 밀착되도록 상기 조사각조절볼트의 머리부와 상기 전방캡 사이에 상기 전방캡을 상기 램프하우징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2. 삭제
KR1020110029131A 2011-03-30 2011-03-30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KR10125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131A KR101250394B1 (ko) 2011-03-30 2011-03-30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131A KR101250394B1 (ko) 2011-03-30 2011-03-30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39A KR20120110939A (ko) 2012-10-10
KR101250394B1 true KR101250394B1 (ko) 2013-04-05

Family

ID=4728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131A KR101250394B1 (ko) 2011-03-30 2011-03-30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1824A (zh) * 2021-12-31 2022-04-12 常州鸿海电子有限公司 一种聚光角度自调的扁平化led透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310A (ja) * 2001-01-19 2002-07-31 Altia Co Ltd 車両のランプ取付け部
JP2004303523A (ja) * 2003-03-31 2004-10-28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用ラン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310A (ja) * 2001-01-19 2002-07-31 Altia Co Ltd 車両のランプ取付け部
JP2004303523A (ja) * 2003-03-31 2004-10-28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用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939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4293A1 (en) Motion sensing lighting device
JP2015525952A (ja) 自動車用照明装置
KR101250394B1 (ko)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안개등
JP2002133913A (ja) 車輌用前照灯
WO2005108165A1 (ja) アウターミラー
JP5566799B2 (ja) 車両用灯具
JP5394669B2 (ja) 車両用内部照明補正器、及び照明装置
CN105674219A (zh) 一种可任意调整的照明灯具
JP6969498B2 (ja) 車両のランプユニット
US20160312971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JP2013175378A (ja) 光軸調整装置を具備した車両用灯具
KR102418631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JP6079598B2 (ja) 車両用前照灯
CN110945281B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led光模块
JP2010257620A (ja) 車両用灯具のエーミング機構
JP5953982B2 (ja) 車両用灯具
KR102317238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2551500B1 (ko) 헤드라이트의 공용 브라켓
CN209130765U (zh) 一种车用前照灯
CN212456570U (zh) 一种灯具
KR20140020654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607316B1 (ko) 차량용 램프
JPH07134901A (ja) 車両用灯具構造
CN216480488U (zh) 一种多角度调节的信号阅读灯
KR20180031430A (ko) 각도조절 가능한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