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053B1 - 자동차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053B1
KR102326053B1 KR1020140180383A KR20140180383A KR102326053B1 KR 102326053 B1 KR102326053 B1 KR 102326053B1 KR 1020140180383 A KR1020140180383 A KR 1020140180383A KR 20140180383 A KR20140180383 A KR 20140180383A KR 102326053 B1 KR102326053 B1 KR 10232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link member
lens holder
light source
modu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577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0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6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maintenance, e.g. changing the light bul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립이 용이하고, 광원 교환이 용이한 자동차의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반사부를 통해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가 전방에 결합되는 렌즈홀더와, 상기 리플렉터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렌즈홀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명장치{LAMP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전조등(Head lamp)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조등은 빛을 생성하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플렉터의 내측면에는 상기 광원이 생성하는 빛을 상기 렌즈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플렉터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렌즈는 렌즈홀더를 통해 상기 리플렉터의 전방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소켓에 장착되어 상기 리플렉터의 후방에서 상기 리플렉터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소켓은 상기 리플렉터의 후방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 렌즈홀더, 리플렉터, 광원 및 소켓은 하나로 모듈화된다.
상기 렌즈, 렌즈홀더, 리플렉터, 광원 및 소켓은 하나로 모듈화된 후, 조명모듈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광원을 교환하기 위해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 내로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는 조그만 광원교환홀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광원교환홀로 손가락을 집어 넣은 후, 상기 소켓을 잡고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런데, 렌즈홀더 및 리플렉터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교환홀이 너무 작아 상기 소켓을 상기 리플렉터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워서, 상기 광원을 교환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고, 광원 교환이 용이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반사부를 통해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가 전방에 결합되는 렌즈홀더와, 상기 리플렉터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와, 상기 렌즈홀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리플렉터 및 렌즈홀더가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상기 리플렉터 및 렌즈홀더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명모듈 하우징의 외부에서 광원교환홀로 손가락을 넣고 소켓을 잡아 당기면,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렌즈홀더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소켓이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소켓에 장착된 광원의 교환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플렉터, 렌즈, 렌즈홀더 및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리플렉터가 렌즈홀더로부터 최대로 분리되었을 때의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리플렉터 및 렌즈홀더가 결합되었을 때의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리플렉터가 렌즈홀더로부터 최대로 분리되었을 때의 조명모듈 하우징의 후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조명모듈(10)과, 조명모듈(10)을 전방에 수용하는 조명모듈 하우징(20)과, 조명모듈 하우징(20)의 개구된 전방을 차폐하며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전방에 결합되는 아우터 렌즈(30)를 포함한다.
조명모듈 하우징(20)은 자동차의 전방으로 삽입되어 차체에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전조등(Head lamp)으로 사용된다.
조명모듈(10)은 빛을 생성하는 광원(11)과, 광원(11)을 수용하는 리플렉터(13)와, 리플렉터(13)로부터 전방에 배치되는 렌즈(15)와, 리플렉터(13) 및 렌즈(15)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15)를 리플렉터(13)에 결합하는 렌즈홀더(16)를 포함한다.
광원(11)은 벌브(bulb)로 형성된다. 광원(11)은 후단부가 소켓(19)으로 삽입되어 소켓(19)에 장착된 후, 리플렉터(13)의 후방에서 리플렉터(13) 내로 삽입된다. 리플렉터(13)의 내에서 가운데에 배치된다. 소켓(19)은 리플렉터(13)의 후방에 결합되어 광원(11)을 지지해준다.
조명모듈 하우징(20)의 후방에는 광원(11)을 교환하기 위한 광원교환홀(25)이 형성된다. 광원교환홀(25)은 소켓(19)과 전후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소켓(19)이 드나들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조명모듈 하우징(20)의 후방에는 광원교환홀(25)을 차폐하는 더스트 커버(40)가 결합된다. 더스트 커버(40)는 광원교환홀(25)을 차폐하여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외부에서 광원교환홀(25)을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의 내부로 수분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플렉터(13)는 전방이 원형으로 개구되며, 내부는 빈 구조로 형성되어 그 빈 내부공간에 광원(11)이 수용된다. 리플렉터(13)의 내측면은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오목하게 형성된 리플렉터(13)의 내측면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반사물질이 증착된다. 따라서, 리플렉터(13)의 내측면에는 광원(11)이 생성하는 빛을 전방에 배치된 렌즈(15)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형성된다.
렌즈(15)는 후방이 원형으로 개구되고, 내부는 빈 구조로 형성된다. 렌즈(15)는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렌즈(15)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한다. 렌즈(15)가 외부로 배광하는 빛은 아우터 렌즈(30)를 통해 자동차의 외부로 배광된다. 렌즈(15)는 개구된 후방의 테두리가 렌즈홀더(16)의 전방에 결합된다.
렌즈홀더(16)는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된다. 렌즈홀더(16)의 전방에는 렌즈(15)가 결합된다. 렌즈홀더(16)는 리플렉터(13)로부터 전방에 배치된다. 렌즈홀더(16)의 내부공간은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이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즉,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은 렌즈홀더(16)의 내부공간을 지나면서 둘레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렌즈(15)로 반사된다.
또한, 조명모듈(10)은 리플렉터(13)의 개구된 전방에 결합되는 셰이드(17)를 더 포함한다. 셰이드(17)는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 사이에 결합된다.
셰이드(17)에는 리플렉터(13)가 반사하는 빛이 통과하는 광통과홀(17a)이 형성된다. 리플렉터(13)로부터 반사되는 빛은 셰이드(17)에 의해 일부가 차단되며, 나머지의 빛은 광통과홀(17a)을 통과한다.
셰이드(17)에 형성된 광통과홀(17a)은 광원(11)의 광축을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11)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리플렉터(13)를 통해 반사되는 빛은, 광통과홀(17a)을 통과하여 렌즈(15)로 반사될 수 있으며, 광원(11)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리플렉터(13)를 통해 반사되는 빛은, 셰이드(17)에 의해 차단되어 렌즈(15)로 반사될 수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광원(11)의 빛이 광축보다 아래로 배광되는 로우빔을 형성시킬 수 있다. 다만, 셰이드(17)의 전방에는 광통과홀(17a) 아래에 렌즈(15)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보조반사체(18)를 설치하여, 광통과홀(17a)을 통과하는 일부의 빛을 렌즈(15)의 상측으로 비추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플렉터, 렌즈, 렌즈홀더 및 소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리플렉터가 렌즈홀더로부터 최대로 분리되었을 때의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리플렉터 및 렌즈홀더가 결합되었을 때의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리플렉터가 렌즈홀더로부터 최대로 분리되었을 때의 조명모듈 하우징의 후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렌즈홀더(16)는 조명모듈 하우징(20) 내에 고정 배치되고, 렌즈홀더(16)는 조명모듈 하우징(20)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는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를 통해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조명모듈 하우징(20) 내에는 렌즈홀더(16)를 조명모듈 하우징(20)에 고정하는 브래킷이 배치된다.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50)는 리플렉터(13)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2 링크부재(60)는 렌즈홀더(16)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 링크부재(50)는 리플렉터(13)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링크부재(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링크부재(60)는 렌즈홀더(16)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링크부재(5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링크부재(50)는 길이방향 가운데에 결합돌기(55)가 형성된다. 결합돌기(55)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링크부재(60)는 길이방향 가운데에 결합돌기(55)가 삽입되는 결합홀(65)이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가 포개어지면, 제1 링크부재(50)는 제2 링크부재(60)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제2 링크부재(60)는 제1 링크부재(50)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결합돌기(55)는 제1 링크부재(5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가 포개어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55)는 결합홀(65)로 삽입된다.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가 포개지어지는 도중에, 제2 링크부재(60) 및 결합돌기(55)가 서로 만나게 되지만, 결합돌기(55)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링크부재(60)의 내측면은 결합돌기(55)를 타고 넘어갈 수 있어서, 결합돌기(55)가 결합홀(65)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50)에 결합되는 리벳의 머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55)가 결합홀(65)에 삽입되면,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는 회전되지 않게 되어,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를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55) 및 결합홀(65)이 하나씩만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의 회전을 제지하기 위한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링크부재(50)에 결합돌기(55)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링크부재(60)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55)에 대응되게 복수의 결합홀(6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55)가 제1 링크부재(50)에 형성되고, 결합홀(65)이 제2 링크부재(60)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결합돌기(55)가 제2 링크부재(60)에 형성되고, 결합홀(65)이 제1 링크부재(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제1 링크부재(50)에 결합돌기(55) 및 결합홀(65) 모두 형성되고, 제2 링크부재(60)에 결합돌기(55) 및 결합홀(65)이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리플렉터(13)의 전방에는 가이드홀(13a)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홀더(16)의 후방에는 가이드홀(13a)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6a)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리플렉터의 전방에는 가이드홀(13a)이 형성된 제1 플랜지(13b)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렌즈홀더(16)의 후방에는 가이드돌기(16a)가 형성된 제2 플랜지(16b)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50)에 형성된 결합돌기(55)가 제2 링크부재(60)에 형성된 결합홀(65)로 삽입되는 동시에, 가이드돌기(16a)도 가이드홀(13a)로 삽입된다. 즉,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가 포개어져서 결합돌기(55)가 결합홀(65)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플랜지(13b) 및 제2 플랜지(16b)가 서로 접촉된 상태이고, 가이드돌기(16a)가 가이드홀(13a)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가이드돌기(16a)는 가이드홀(13a)로 삽입되어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운행 중 진동에 의해 결합돌기(55)가 결합홀(65)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16a)가 렌즈홀더(16)에 형성되고, 가이드홀(13a)이 리플렉터(13)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가이드돌기(16a)가 리플렉터(13)에 형성되고, 가이드홀(13a)이 렌즈홀더(16)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렌즈홀더(16)에 가이드돌기 및 가이드홀(13a)이 모두 형성되고, 리플렉터(13)에 가이드홀(13a) 및 가이드돌기(16a)가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광원(11)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외부에서 광원교환홀(25)로 손가락을 넣고 소켓(19)을 잡아 당기면, 리플렉터(13)가 렌즈홀더(16)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리플렉터(13)가 렌즈홀더(16)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9)이 광원교환홀(25)을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소켓(19)을 리플렉터(13)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광원(11)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는, 리플렉터(13)가 렌즈홀더(16)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 소켓(19)의 적어도 일부가 광원교환홀(25)을 통해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명장치는,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가 제1 링크부재(50) 및 제2 링크부재(60)를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리플렉터(13) 및 렌즈홀더(16)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외부에서 광원교환홀(25)로 손가락을 넣고 소켓(19)을 잡아 당기면, 리플렉터(13)가 렌즈홀더(16)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소켓(19)이 조명모듈 하우징(20)의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소켓(19)을 리플렉터(13)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광원(11)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광원 13: 리플렉터
13a: 가이드홀 13b: 제1 플랜지
15: 렌즈 16: 렌즈홀더
16a: 가이드돌기 16b: 제2 플랜지
19: 소켓 20: 조명모듈 하우징
25: 광원교환홀 30: 아우터 렌즈
40: 더스트 커버 50: 제1 링크부재
55: 결합돌기 60: 제2 링크부재
65: 결합홀

Claims (10)

  1.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내부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형성된 반사부를 통해 상기 광원이 생성한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리플렉터;
    상기 리플렉터으로부터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플렉터가 반사하는 빛을 외부로 배광하는 렌즈가 전방에 결합되는 렌즈홀더;
    상기 리플렉터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
    상기 렌즈홀더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링크부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리플렉터 및 렌즈홀더를 수용하는 조명모듈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홀더는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 내에서 고정 배치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결합홀로 삽입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의 회전을 제지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자동차의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리벳의 머리인 자동차의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재는 상기 리플렉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 링크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및 렌즈홀더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홀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자동차의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의 전방에는 상기 가이드홀 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제1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렌즈홀더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돌기 또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장착되어 상기 리플렉터의 후방에 결합되는 소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후방에는 상기 광원을 교환하기 위한 광원교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제2 링크부재는,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렌즈홀더로부터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소켓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원교환홀을 통해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원교환홀을 차폐하며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후방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아우터 렌즈;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0140180383A 2014-12-15 2014-12-15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32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383A KR102326053B1 (ko) 2014-12-15 2014-12-15 자동차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383A KR102326053B1 (ko) 2014-12-15 2014-12-15 자동차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577A KR20160072577A (ko) 2016-06-23
KR102326053B1 true KR102326053B1 (ko) 2021-11-15

Family

ID=5635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383A KR102326053B1 (ko) 2014-12-15 2014-12-15 자동차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05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852Y2 (ja) 1992-04-17 1997-07-3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机における照明装置
KR200201683Y1 (ko) 1997-12-02 2000-12-01 정몽규 차량 안개등의 하우징과 랜즈 설치구조
JP2001219779A (ja) 2000-02-14 2001-08-14 Mazda Motor Corp 車両用前部構造
JP3227029B2 (ja) 1993-06-07 2001-11-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配光可変型車両用灯具のレンズ駆動機構
JP2010225357A (ja) 2009-03-23 2010-10-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KR101137455B1 (ko) 2011-08-17 2012-04-26 이덕현 자동차용 전조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7032B2 (ja) * 1993-06-17 2001-11-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配光可変型車両用灯具のレンズ駆動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852Y2 (ja) 1992-04-17 1997-07-30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机における照明装置
JP3227029B2 (ja) 1993-06-07 2001-11-1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配光可変型車両用灯具のレンズ駆動機構
KR200201683Y1 (ko) 1997-12-02 2000-12-01 정몽규 차량 안개등의 하우징과 랜즈 설치구조
JP2001219779A (ja) 2000-02-14 2001-08-14 Mazda Motor Corp 車両用前部構造
JP2010225357A (ja) 2009-03-23 2010-10-07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KR101137455B1 (ko) 2011-08-17 2012-04-26 이덕현 자동차용 전조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577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336B2 (en) Vehicle headlamp
JP2004273353A (ja) 車両用灯具
JP5890146B2 (ja) 車両用照明灯具
US20170241616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JP2008204903A (ja)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2008258037A (ja) 車両用前照灯
JP2002358806A (ja) ヘッドランプ
EP2570715A3 (en) Vehicle headlamp
JP2009158386A (ja) 車両用前照灯
KR102326053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JP2009152057A (ja) 車両用灯具
JP4898557B2 (ja) 車両用灯具
KR10155585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107304999B (zh) 车辆用照明装置
EP2360425B1 (en) Light guiding lens and vehicle light
KR102418631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2317238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KR101241675B1 (ko)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KR101871487B1 (ko) 자동차의 미등 장치
KR102078757B1 (ko) 차량용 전조등
JP5363179B2 (ja) 車両用灯具
JP4791391B2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5150028A (ja) 車輌用灯具
JP2015022961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