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675B1 -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 Google Patents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675B1
KR101241675B1 KR1020110018659A KR20110018659A KR101241675B1 KR 101241675 B1 KR101241675 B1 KR 101241675B1 KR 1020110018659 A KR1020110018659 A KR 1020110018659A KR 20110018659 A KR20110018659 A KR 20110018659A KR 101241675 B1 KR101241675 B1 KR 101241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light source
light
source uni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041A (ko
Inventor
이순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6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베젤; 및 베젤에 구비되고, 빛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광원부 앞쪽의 베젤 내부에는 광원부의 빛 중 일부를 반사 또는 굴절시켜 베젤 내벽에 허상을 구현하는 제1 렌즈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Bezel structure of head lamp}
본 발명은 베젤의 구조만으로 실상 및 허상을 구현하여 하이테크 이미지를 표현하는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램프는 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젤(bezel), 힌지부를 통해 상기 베젤과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며 빛이 투과되게 하는 덮개, 상기 베젤에 장착되어서 빛을 생성하여 발광시키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고급차량에서는 상기와 같은 헤드램프의 구조에 추가하여 빛을 배광시키기 위해 베젤의 전방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배광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광부를 통해 하이테크 이미지를 표현하여 시각적인 고급스러움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베젤의 테두리부에 다수의 배광부를 설치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원가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급차량의 경우에는 다수의 배광부 설치하더라도 원가 증가에 대한 부담이 크지 않지만, 소형 및 준중형 차의 경우에는 원가 증가에 대한 부담이 크게 작용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베젤 구조만으로도 하이테크 이미지를 구현하여 고급 차량뿐만 아니라 소형 및 준중형 차량에도 원가 부담 없이 적용이 가능한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는 베젤; 및 베젤에 구비되고, 빛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광원부 앞쪽의 베젤 내부에는 광원부의 빛 중 일부를 반사 또는 굴절시켜 베젤 내벽에 허상을 구현하는 제1 렌즈부가 구비된다.
광원부의 빛 중 일부는 제1 렌즈부의 테두리면을 따라 반사 또는 굴절되면서 베젤 내벽에 제1 렌즈부의 테두리면 형상의 허상을 구현한다.
제1 렌즈부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은 광원부의 앞쪽에 위치하고, 다수의 단부는 베젤 내벽에 부착된다.
제1 렌즈부는 광원부와 대응하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제1 렌즈부는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활 형태로 형성된다.
광원부 앞쪽의 베젤 내벽에는 광원부의 빛 중 일부를 베젤 내벽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켜 광원부의 허상을 만드는 제2 렌즈부가 구비된다.
제2 렌즈부는 베젤 내벽을 따라 연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젤의 내부에 구비된 광원부 앞쪽에 제1 및 제2 렌즈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베젤 내벽에 다수의 광원부 허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다수의 LED 램프 없이도 하이테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고,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어 소형 및 준중형 차량에도 원가 부담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젤 구조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의 빛 발광 원리를 도시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는 베젤(100)의 내부 중앙 부분에 제1 렌즈부(400)를 형성하고, 베젤(100)의 내벽을 따라서는 제2 렌즈부(500)를 형성함으로써 베젤(100)에 구비된 광원부(200)의 빛 중 일부가 제1 및 제2 렌즈부(400)(500)를 통해 반사 또는 굴절되면서 베젤(100) 내벽에 다수의 허상을 구현하면서 하이테크 이미지를 표현하는 구성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젤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00), 베젤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시 빛을 생성하는 광원부(200), 광원부(200)의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300), 광원부(200) 앞쪽의 베젤(100) 내부에 구비되고 광원부(200)의 빛을 반사, 굴절 및 관통시켜 허상과 실상을 구현하는 제1 렌즈부(400), 및 광원부(200)의 앞쪽의 베젤(100) 내벽에 구비되고 광원부(200)의 빛을 반사 또는 굴절하여 베젤(100) 내벽에 허상을 구현하는 제2 렌즈부(500)를 포함한다.
베젤(100)은 헤드램프를 감싸고 있으며, 내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배광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증착이 이루어지며, 내부 오목홈 대략 중앙에 광원부(200)가 구비된다.
광원부(200)는 벌브(bulb)로 이루어지며, 전원 인가시 발광하면서 빛을 생성한다.
리플렉터(300)는 베젤(100)의 내부 오목홈에 구비되고, 내부에 광원부(200)가 장착되면서 뒤쪽 및 옆쪽으로 발산되는 광원부(200)의 빛을 앞쪽을 향하도록 반사한다.
제1 렌즈부(400)는 광원부(200) 앞쪽의 베젤(100) 내부에 구비된다.
즉, 제1 렌즈부(400)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은 광원부(200) 앞쪽의 베젤(100) 내부에 위치하고, 다수의 단부는 베젤(100) 내벽에 부착된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부(400)를 삼각형 형태로 제작하되, 중앙부(420)는 광원부(200) 앞쪽의 베젤(100) 내부에 위치하고, 3개의 단부(410)는 베젤(100) 내벽에 부착되도록 연장 형성된다.
즉, 제1 렌즈부(400)를 삼각형 형태로 제작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200)에서 발산하는 빛의 대부분은 제1 렌즈부(400)를 옆 공간 또는 그대로 통과하여 앞쪽으로 조사되면서 조명하게 되며, 빛의 일부분은 제1 렌즈부(400)의 테두리면에 조사되면서 반사 또는 굴절되어 베젤(100) 내벽에 제1 렌즈부(400)의 테두리면과 같은 형상의 허상을 구현한다.
여기서 제1 렌즈부(400)의 단부(410)는 광원부(200)에서 발산하는 빛의 대부분이 통과하도록 얇게 형성한다.
한편, 제1 렌즈부(400)의 전체가 광원부(200)로부터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즉, 제1 렌즈부(400)의 단부(410)에서 중앙부(420)로 갈수록 점차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활 형태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광원부(200)에서 발산하는 빛을 균일하게 반사 또는 굴절하여 시각적으로 고급스러운 하이테크 이미지를 구현한다.
한편, 제1 렌즈부(400)는 광원부(200)와 대응하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제1 렌즈부(400)의 측면이 경사면(430)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렌즈부(400) 전체가 피라미드와 같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광원부(200)의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 또는 굴절하여 허상의 선명도를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1 렌즈부(400)는 광원부(200)에서 발산하는 빛 중 일부를 반사 또는 굴절하면서 베젤(100)의 내벽에 조사하여 허상을 구현하고, 일부는 그대로 통과하면서 조명을 한다.
제2 렌즈부(500)는 광원부(200)와 제1 렌즈부(400) 사이의 베젤(100) 내벽에 베젤(100) 내벽을 따라 연결 형성되어 다각틀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태로 이루어진 베젤(100)의 내벽을 따라 삼각틀 형태로 제2 렌즈부(5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젤(100) 내벽에 제2 렌즈부(500)를 형성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200)에서 발산하는 빛이 제2 렌즈부(500)를 통해 반사 또는 굴절되면서 반대편 베젤(100) 내벽에 제2 렌즈부(500)의 형상과 같은 허상을 구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는 베젤(100) 내부에 제1 및 제2 렌즈부(400)(500)를 형성함으로써 광원부(20O)를 통해 발산되는 빛이 제1 및 제2 렌즈부(400)(500)를 통과하면서 베젤(100) 내벽에 다수의 허상을 구현하여 많은 광원부 없이도 하이테크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가를 절감하여 소형 및 준중형 차량에도 원가 상승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베젤 200: 광원부
300: 리플렉터 400: 제1 렌즈부
500: 제2 렌즈부

Claims (7)

  1. 베젤; 및
    베젤에 구비되고, 빛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광원부 앞쪽의 베젤 내부에는 광원부의 빛 중 일부를 반사 또는 굴절시켜 베젤 내벽에 허상을 구현하는 제1 렌즈부가 구비되고,
    광원부 앞쪽의 베젤 내벽에는 광원부의 빛 중 일부를 베젤 내벽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켜 광원부의 허상을 만드는 제2 렌즈부가 구비되며,
    제2 렌즈부는 베젤 내벽을 따라 연결 형성되는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광원부의 빛 중 일부는 제1 렌즈부의 테두리면을 따라 반사 또는 굴절되면서 베젤 내벽에 제1 렌즈부의 테두리면 형상의 허상을 구현하는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렌즈부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중앙은 광원부의 앞쪽에 위치하고, 다수의 단부는 베젤 내벽에 부착되는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렌즈부는 광원부와 대응하는 후면에서 전면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렌즈부는 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활 형태로 형성되는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6. 삭제
  7. 삭제
KR1020110018659A 2011-03-02 2011-03-02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KR10124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59A KR101241675B1 (ko) 2011-03-02 2011-03-02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59A KR101241675B1 (ko) 2011-03-02 2011-03-02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41A KR20120100041A (ko) 2012-09-12
KR101241675B1 true KR101241675B1 (ko) 2013-03-11

Family

ID=4710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59A KR101241675B1 (ko) 2011-03-02 2011-03-02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885A (ko)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811A (ja) * 1993-10-15 1995-05-0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信号灯具
KR20050116856A (ko) * 2004-06-08 2005-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베젤 컷을 이용한 리어 사이드 마커 램프
JP2010140763A (ja) * 2008-12-11 2010-06-24 Stanley Electric Co Ltd 灯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4811A (ja) * 1993-10-15 1995-05-02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信号灯具
KR20050116856A (ko) * 2004-06-08 2005-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베젤 컷을 이용한 리어 사이드 마커 램프
JP2010140763A (ja) * 2008-12-11 2010-06-24 Stanley Electric Co Ltd 灯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885A (ko) 2017-12-26 2019-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41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336B2 (en) Vehicle headlamp
US9039261B2 (en) Vehicular lamp
JP6029298B2 (ja) 車両用灯具
KR101371565B1 (ko) 차량용 조명 등기구
US10041644B2 (en) Vehicular lamp
US8939623B2 (en) Optical system unit and vehicular lamp
US20150103548A1 (en)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2008078086A (ja) 車両用灯具
KR20130040011A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101262546B1 (ko) 차량용 램프구조
JP2011034887A (ja) 車両用灯具
JPH11306810A (ja) 車輌用標識灯
EP2570715A3 (en) Vehicle headlamp
JP6556530B2 (ja) 車両用灯具
US20160281953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101461550B1 (ko) 차량용 램프
KR101241675B1 (ko) 헤드램프의 베젤 구조
KR20150107332A (ko) 차량용 램프
US10393336B2 (en) Lighting apparatus for automobile
JP2014099324A (ja) 車両用灯具
JP6244614B2 (ja) 車両用前照灯
JP6035901B2 (ja) 車両用灯具
KR101865943B1 (ko) 차량용 등화장치
KR20160088602A (ko) 차량용 램프
KR101871487B1 (ko) 자동차의 미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