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666B1 - 봉 형상 화장료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봉 형상 화장료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666B1
KR100235666B1 KR1019970709872A KR19970709872A KR100235666B1 KR 100235666 B1 KR100235666 B1 KR 100235666B1 KR 1019970709872 A KR1019970709872 A KR 1019970709872A KR 19970709872 A KR19970709872 A KR 19970709872A KR 100235666 B1 KR100235666 B1 KR 10023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rod
shaped cosmetic
main body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553A (ko
Inventor
토미오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노노가와 준이치
유갱가이샤 노노가와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노가와 준이치, 유갱가이샤 노노가와 쇼지 filed Critical 노노가와 준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2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45D2040/0043Replacement of the stick by inserting the new stick at the upper, applying end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45D2040/0031Replacement of the stick
    • A45D2040/005Replacement of the stick by removing the old stick from the cartridge by linear, sliding movement of stick relative to the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45D40/02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consisting of a movable stri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립스틱 등의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옴과 수납을 행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그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이용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알려진 원 터치로 화장료를 연속 나옴 가능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모든 용기가 대형화되어 있고, 화장료가 용기 내에서 손상을 받는 우려가 있다. 또,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화장료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고, 종래는 모든 용기가 일회용이었다.
본 발명은 화장료 용기를 본체부 내에서 승강하는 슬리브 내에 수납하는 것으로서,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올 때나 휴대시에 봉 형상 화장료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또, 봉 형상 화장료에 선행해서 승강하는 슬리브가 덮 개를 눌러 열고, 그 후 봉 형상 화장료가 연속 나오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용기를 대형화하는 것 없이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가 연속 나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슬리브 및 봉 형상 화장료의 승강기구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를 구성하는 각 부재 사이의 요철을 기초로 한 간단한 계합관계와 이들의 계합우의 움직임을 인도하는 홈 구조에 의해서 실현되고 있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를 용기 측에서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봉 형상 화장료(化粧料)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제1도는, 본 발명의 적합한 일실시예인 립스틱 용기(10)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2도는, 제1c도 2-2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의 상태에서 립스틱(K)을 연속 내보낸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립스틱 용기(10)의 일부 부분 사시도.
제5도는, 슬리브(40)의 외관 및 단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6도는, 슬리브(40)의 중앙부근 단면도.
제7도는, 슬리브(40)를 평면으로 전개함과 동시에 캠기구(70)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8도는, 제7도의 상태에서 립스틱(K)을 연속 내보낸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제8도의 상태에서 더욱 더 립스틱(K)을 연속 내보낸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10도는, 캠기구(70)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의 외관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12도는, 립스틱 용기(110)에 있어서. 립스틱(K)이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3도는. 립스틱 용기(110)를 구성하는 부재의 형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립스틱 용기(110)를 구성하는 프레임(121a)의 형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슬리브(140)의 외관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16도는,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의 외관을 표시하는 부분사시도.
제17도는, 립스틱(K)의 연속 나옴을 행할 때, 제1돌기(174) 및 제2돌기(179)의 계합의 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18도는, 립스틱(K)을 소비한 후의 립스틱 용기(110)의 외관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19도는, 카트리지(184)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20도는, 제3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A)의 구성을 표시하는 설명도.
제21도는, 립스틱 용기(110A)를 구성하는 부재의 형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2도는, 립스틱 용기(110A)를 구성하는 프레임(121a)의 형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23도는,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B)의 구성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봉 형상 화장료의 나옴과 수납을 행하기 위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그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이용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로서는, 예를 들면 실용신안 공개 소58-112214호, 실용신안 공개 평 1-82819호, 실용신안 공개 3-34415호 등에 제안되고 있다. 상기 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소정의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봉 형상 화장료가 출몰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소정의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봉 형상 화장료가 출몰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의 개구부가 개폐된다. 따라서 소정의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서, 원 터치(one touch)로 봉 형상 화장료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설명의 종래 알려진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서는, 용기내에 수납되어 있는 봉 형상 화장료는, 소정의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하단부 이외는 용기 내에 노출된 상태로 된다. 그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를 출몰시킬 때나 봉 형상 화장료 용기의 휴대시에, 봉 형상 화장료가 봉 형상 화장료 용기의 개구부나 내벽에 접촉되어 손상을 받을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한 공보에 개시된 구성은, 봉 형상 화장료가 나올 때는 용기의 덮개를 수납하는 구성이 되기 때문에 용기 전체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가 연속 나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한 종래의 알려진 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어떠한 형태든 일회용의 형태이고, 봉 형상 화장료를 소비한 후는 용기를 재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근, 자원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이 높아가고 동시에 일용잡화등에서 내용물을 교환해서 용기를 재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수요가 높아가고 있고, 사용자가 계속해서 소비하는 성질의 화장료용의 용기에 있어서도, 재이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도, 봉 형상 화장료를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서 용기를 재이용 가능하게 한 것이 판매되고 있지만(예를 들면 겔랑사의 메테오릿트 립스틱 등), 상기 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사용할 때에 미리 분리할 필요가 있는 별개의 캡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 구성은 일반적으로 구조의 복잡화를 수반하지만, 이러한 용기 구조의 복잡화는 봉 형상 화장료의 착탈 기구의 복잡화로 이어진다. 착탈기구가 분리에 복잡하게 되면, 화장료의 사용자가 스스로 착탈 조작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종래는, 봉 형상 화장료의 손상을 억제함과 동시에 용기의 대형화를 수반하는 것 없이 원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연속 나옴 가능한 구성을 구비하고, 봉 형상 화장료를 착탈 가능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봉 형상 화장료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하고, 더욱이 봉 형상 화장료를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본 발명의 제1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봉 형상 화장료를 출몰 가능하게 수납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공을 설치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수납공 내에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고, 동시에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슬리브 내에 내장됨과 동시에 봉 형상 화장료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동시에 타단이 상기 슬리브 및 지지부재에 연휴하는 벨트와, 상기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하여 벨트를 통해서 슬리브를 슬라이드시킴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부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슬리브가 봉 형상 화장료에 선행해서 연속 나오고, 최종적으로는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는 위치까지 연속해서 나오는 전달부를 갖는 승강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케이스 본체의 수납공에 슬리브가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슬리브 내에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내장되고 있다. 또, 승강수단의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벨트를 통해서 슬리브가 승강함과 동시에, 지지부재에 지적된 봉 형상 화장료도 승강된다. 이때, 승강수단을 구성하는 전달부는, 벨트를 통해서, 슬리브 및 봉 형상 화장료를 슬라이드시키지만, 슬리브가 상기 개구부에 도달하기까지는 봉 형상 화장료에 선행해서 슬리브가 연속 나오고, 최종적으로는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는 위치까지 연속 나온다. 이 때, 슬리브는 케이스 본체 내에 위치할 때에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고 있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를 슬라이드시킬 때에, 케이스 본체의 수납공의 벽면 등으로 손상을 받는 것이 없다.
본 발명의 제1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승강수단의 전달부의 적합한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하여 벨트를 통해서 슬리브를 슬라이드시킨 후에, 상기 슬리브를 소정 위치, 예를 들면, 슬리브의 선단부가 개구부보다 돌출된 위치에서 정지되고, 슬리브의 정지상태에서 지지부재와 함께 봉 형상 화장료를 상승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달부의 다른 형태로서, 봉 형상 화장료의 슬리이드량은 슬리브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봉 형상 화장료가 슬리브 내에 수납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에 상기 슬라이드를 1줄 나사를 통해서 슬리브에 전달함과 동시에, 2줄 나사를 통해서 봉 형상 화장료에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봉 형상 화장료의 슬라이드량을 슬리브보다 크게하고, 최종적으로 슬리브가 개구부에서 돌출된 후에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달부는, 조작부의 조작력을 슬리브 또한 지지부재에 전달 가능하는 구성이라면, 스프링력 등을 이용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슬리브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할 때에 봉 형상 화장료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해서, 스프링력으로 봉 형상 화장료를 슬리브에서 연속 나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승강수단의 전달부는, 제1 및 제2 안내수단을 구비한 캠기구로서, 이하와 같은 적합한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1안내 수단을 구성하는 케이스 본체에 형성한 케이스 측 계합부를, 슬리브에 형성한 캠홈등으로 형성한 슬리브 측 안내부에 따른다. 그리고 케이스 측 계합부가 슬리브 측 안내부의 일단에 형성한 캠부에 도달할 때에 슬리브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슬리브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제2안내수단을 구성하는 벨트의 타단과 지지부재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핀을 안내홈으로 안내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봉 형상 화장료를 슬리브에서 연속 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안내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에 케이스 측 계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슬리브에 슬리브 측 안내부를 형성하는 구성 외에, 이것에 상당하는 구성을 반대로 배치한 경우, 다시 말해서, 슬리브에 슬리브 측 계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케이스 본체에 케이스 측 안내부를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작부와 힌지부를 케이스 본체의 동일 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해서, 돌출된 형상을 동일 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의 다른 면 측에 돌출한 형상을 설치 않아서 좋고, 케이스 본체의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봉 형상 화장료 용기의 적합한 다른 형태로서, 벨트의 일단부가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성하도록 하면, 별개의 부재에서 형성된 덮개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점수를 절감시킨다.
또, 본 발명의 제2봉 형상 화장료 용기의 주요한 구성은, 승강수단을 조작부 및 전달부에 의하여 구성하고, 조작부의 조작에 의하여 전달부를 통해서, 봉 형상 화장료보다 우선해서 슬리브의 선단부로 덮개를 압압해서 덮개를 여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수단의 구성으로서, 각종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조작부는 케이스 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제한하지 않고, 슬리브에 외력을 가하는 수단이라면 회전이나 압압 등의 각종 조작으로 조작 가능한 구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조작력을 받아서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에 전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를 통해서 전해지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납공 내에 두고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연속 나옴 가능하게 하는 전달부를 갖는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형성하는 부재 내, 소정의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하는 부재 사이의 착탈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를 상기 본체부를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가동부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력을 가하면 가동부가 이동하고,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은 연동부에 의해서,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에 전달된다.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이 전달되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는, 본체부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 내에 있어서 슬라이드하고,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본체부가 구비한 개구부에서 연속 나오게 된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옴을 실현하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 소정의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하는 부재 사이의 착탈을 행하면,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된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연속 나오기 때문에,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사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옴을 실현하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소정의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하는 부재 사이의 착탈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저의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를 소비한 후에는, 봉 형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본체부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발명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서는, 본체부에 수납되고 있을 때는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는 상기 슬리브에 수납되고 있기 때문에 휴대시 등에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충격이 가해져도,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내에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손상을 받는 것이 없다.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가동부에 접속해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이동량을 직접 전하는 벨트이고, 상기 전달부는, 제1안내부와 제2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본체부에 두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형상에 따라서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하는 본체부 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본체 측 계합결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인도해서 상기 슬리브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부와, 상기 슬리브의 회전과 함께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된 후,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벨트에 대해서 상기 가동부의 이동량을 직접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가동부에 가해진 소정의 조작력은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지지부재에 전달된다. 상기 벨트를 통해서 상기 소정의 조작력이 가해지면,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슬리브 측 계합부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본체 측 계합결합부의 형상에 따라서 접동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길이 방향에 왕복 운동한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가 상기 본체부 측 계합 결합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캠부에 인도되면, 상기 슬리브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후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된 후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가 슬라이드된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의하면, 상기 벨트를 통해서 전달된 소정의 조작력은, 상기 제1안내부로 인해서 상기 지지부재를 슬라이드 시킨다. 따라서, 우선 슬리브를 슬라이드시키면, 그 후 지지부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슬리브 및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봉 형상 화장료를 연속 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벨트의 소정의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돌기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연결돌기를 계지 가능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돌기의 계지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형성된 계지부와,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을 때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슬리브에 대해서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연결돌기를 인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와 같은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서는 상기 제1안내부에 의해서 상기 슬리브가 슬라이드할 때는 상기 벨트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돌기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계지부에 계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리브와 일체로 되어서 슬라이드된다. 또,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될 때에는, 상기 연결돌기의 계지상태는 해제되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슬리브에 대해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공 내를 슬라이드할 때에도,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는, 상기 슬리브로부터 연속 나오기까지는 항상 슬리브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연결돌기를, 각각 상기 본체 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벨트의 소정의 위치에 착탈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본체부에서 착탈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해서 형성된 상기 연결돌기를, 각각 상기 본체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벨트의 소정의 위치에 착탈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본체부에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연결돌기의 적어도 어느 쪽 일측은, 대응하는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탄성구조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연결돌기의 적어도 어느 쪽 일측이 탄성을 갖는 것에 의하여, 끼어 넣음에 따른 착탈 동작을 절도감을 가지고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상기 연결돌기를,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상기 벨트 측 연결부의 근방까지 인도하는 제1도입홈과,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상기 수납공 내부에 인도하는 제2도입홈과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본체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상기 연결돌기 및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는, 상기 제1도입홈 및 상기 제2도입홈의 형상에 따라서 눌러 넣으면서 상기 제1도입홈 및 상기 제2도입홈에 의해서 상기 수납공 내부를 인도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돌기 및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각각 제1및 제2도입홈에 맞춰서 눌러 넣는 것에 의하여, 장착 동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도입홈에 있어서, 상기 벨트 측 연결부의 근방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구성도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연결돌기를 상기 제1도입홈에 따라서 눌러 넣는 경우에, 탄성을 갖는 상기 연결돌기는, 우선 상기 볼록부의 형상에 따라서 압압되고, 그 후에 상기 벨트 측 연결부의 근방에 도달할 때에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서 눌러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돌기를 절도감을 가지고 상기 벨트 측 연결부에 눌러 넣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제1도입홈과 상기 제2도입홈과는,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있어서 계지부에 계지하는 상기 연결돌기와의 거리에 대응해서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슬리브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서 장착하는 경우,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의 계지부에 계지된 상태로 장착 조작을 행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계지부에 계지된 상태로 하는 것으로 장착 조작의 경우에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실수로 슬리이드해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가동부에 접속해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벨트이고, 상기 전달부는, 제1안내부와 제2안내부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본체부 측 계합부와, 상기 슬리브에 두고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형상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 측 계합부를 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 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슬리브 측 계합결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측 계합부를 인도해서 상기 슬리브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그 후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슬리브의 회전과 함께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된 후,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슬라이드되도록 구성시켜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가동부에 가해진 소정의 조작력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벨트를 통해서 상기 슬리브 및 상기 지지부재에 전달된다. 상기 벨트를 통해서 상기 소정의 조작력이 전달되면,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본체부 측 계합부는, 상기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슬리브 측 계합결합부의 형상에 따라서 접동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길이 방향에 왕복 운동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 측 계합부가 상기 슬리브 측 계합결합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캠부에 인도되면, 상기 슬리브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그 후의 움직임을 규제시킨다. 슬리브의 움직임을 규제된 후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가 슬라이드한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의하면, 상기 벨트를 통해서 전달된 소정의 조작력은, 상기 제1안내부로 인하여 상기 슬리브를 움직이고,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된 후는, 상기 제2안내부로 인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슬리이드시킨다. 따라서, 우선 슬리브를 슬라이드시키면, 그 지지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슬리브 및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봉 형상 화장료가 연속 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적어도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부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 슬리브의 상기 봉 형상 화장료에 선행해서 연속 나오도록 구성시켜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적어도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부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 슬리브에 의해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보호되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이 본체부 및 그 개구부에 의해서 손상을 받는 것이 없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상기 승강기구의 전달부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부를 통해서 상기 슬리브에 전하고, 상기 슬리브를 소정의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정지시킨 후에, 상기 슬리브가 정지된 상태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연속 나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실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승강기구의 전달부를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슬라이드량을 상기 슬리브의 슬라이드량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있어서, 소정의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를 가지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연속 나오는 슬리브의 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덮개를 눌러 열리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봉 형상 화장료보다도 선행해서 그런데 본체부의 개구부에 도달하는 슬리브에 의해서 덮개가 눌려 열리기 때문에, 상기 가동부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만으로,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옴과 동시에 덮개를 여는 조작도 동시에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덮개에 의해서 손상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덮개의 닫히는 방향에 스프링력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 형상 화장료를 상기 본체부 내에 수납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가 스프링력에 의해서 닫히기 때문에 덮개를 닫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개구부 부근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납공 내에 수납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덮개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 및 상기 슬리브가 상기 수납공 내에 수납된 때 상기 가동부의 위치와 동일 측에 설치시킨 구성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봉 형상 화장료를 상기 본체부 내에 수납시킨 시점에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개구부 부근에 두고, 상기 덮개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한 상기 접속부는 이때 가동부의 위치와 동일 측에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가동부를 조작하는 손가락을 조금 움직여서 상기 접속부근에 이동하는 것만으로 상기 덮개를 닫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의 원 터치감을 손상받는 것 없고 덮개를 닫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제3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덮개를 가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가동부와 접속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가동부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력을 가할 때에, 그 가동부에 접속하는 덮개가 가동부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개폐되기 때문에, 덮개의 개폐 조작을 특별하게 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는, 적어도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제13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가 구비된 상기 승강기구에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재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착탈하는 것에 의해서, 제13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 본체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에 의하면, 제13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봉 형상 화장료를 소비한 때에, 그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를 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에 있어서, 제16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되는 상기 본체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가 제16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가 구비하는 상기 본체부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에 의하면, 제16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봉 형상 화장료를 수비한 때에, 상기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본체부를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수납한 때에,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전체를 피복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 구성도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전체가 슬리브에 의해서 덮여져 있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의 보호시 및 장착 조가시에 있어서, 봉 형상 화장료의 측면부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
또,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수납하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캡을 구비한 구성도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캡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의 보호시에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손상받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를 덮은 캡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배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상기 캡의 내측에 당접될 때에 받는 손상이 없다.
또한, 상기 캡을 투명의 부재에 의하여 형성하는 구성도 적합하다. 이 경우에는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의 장착을 행하는 경우에 새롭게 장착하는 봉 형상 화장료의 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캡은, 상기 슬리브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에 향해서 작용하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필요하는 힘보다도 작은 힘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배치시킨 구성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의 장착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슬리브를 본체부의 수납공 내에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캡을 상기 개구부 부근에 당접시키면, 상기 캡은 상기 슬리브의 슬리이드와 동시에 용이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는 외부에 접촉하는 것 없고, 위생적으로 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이 구비된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고 있는 상태로 지지 가능한 지지커버를 구비한 구성으로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의 보호시에는,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계지부에 계지된 상태로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돌기를 계합시키는 제1계합홈과,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계합시키는 제2계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계합홈과 상기 제2계합홈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에 계지하는 상기 연결돌기와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의 위치관계에 대응한 위치에 교대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으로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슬리브를 잡아 빼는 것에 의해서 상기 지지커버의 분리를 행하면,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계지부에 계지하는 상태를 유지해서 지지커버를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조작력을 받아서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에 전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를 통해서 전해지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납공 내에 있어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연속 나옴 가능하게 하는 전달부를 구비하는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소정의 착탈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 및 상기 승강기구를 형성하는 부재를, 상기 본체부마다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봉 형상 화장료 용기는, 가동부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력을 가하면 가동부가 이동하고,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은 연동부에 의해서,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에 전달된다.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이 전달되면,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는, 본체부 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슬리브를 수납하고 있는 수납공 내에 있어서 슬라이드하고,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는,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본체부가 구비되는 개구부에서 연속 나온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옴을 실현하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부재는, 상기 본체부마다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에 대해서 소정의 조작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상기 슬리브 및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연속 나오게 되기 때문에, 원 터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봉 형상 화장료의 연속 나옴을 실현하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부재는, 상기 본체부마다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봉 형상 화장료를 소비한 때에는, 상기 본체부마다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서는, 승강기구를 구성하는 부재는 착탈되는 본체부 내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착탈에 관계하는 기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봉 형상 화장료가 본체부에 수납하고 있을 때는,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는 상기 슬리브에 수납되고 있기 때문에, 휴대시 등에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충격이 가해져도,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내에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손상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하에 도시하는 다른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1다른 형태로서는, 슬리브는 봉 형상 화장료를 전체를 수납가능과 형태 외에, 봉 형상 화장료가 손상하기 쉬운 선단부를 적어도 수납 가능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리브는 봉 형상 화장료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 가능한 형태에 의하면 좋고, 통 형태 외, 단면 사각형의 세로가 긴 중공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제2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가동부에 대해서 가해지는 소정의 조작이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체부는 한손으로 쥐고, 본체부는 쥐는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가동부를 상하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봉 형상 화장료를 용이하게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제3의 다른 형태로서는, 제16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해서 소정의 탄성을 보이는 상기 연결돌기에 대신해서, 상기 벨트에 접속해서 소정의 탄성을 보이는 상기 연결돌기를 구비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상기 벨트의 소정의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와를 연결하는 연결돌기는 벨트 측에 접속하여 용이한 경우에도 지지부재 측에 접속해서 용의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4의 다른 형태로서는, 상기 가동부에 접속해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이동량을 직접 전하는 벨트에 있어서, 상기 벨트와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조절하는 소정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가동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의 크기를 사용 편리하게 맞춰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벨트가 접동하는 때의 저항을 소정량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봉 형상 화장료를 연결 나오는 경우에 임의의 위치로 봉 형상 화장료를 정지시키고, 정지된 형태로 봉 형상 화장료의 도포를 행하는(봉 형상 화장료를 눌러 되돌아오기에 적합한 압압력을 가한다)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로서, 봉 형상 화장료인 립스틱을 수납하는 립스틱 용기를 예를 든다.
제1도는 립스틱(K)을 출몰 가능하게 수납하는 립스틱 용기(10)의 외관을 도시하고, 제1a도,제1b도,제1c도는 정면, 측면 및 배면을 각각 도시하는 외관도이고, 제1(D)도는 립스틱(K)이 연속 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제2도는 제1c도의 2-2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태에서 립스틱(K)이 연속 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립스틱 용기(10)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립스틱 용기(10)는 수납공(20a)을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20)와, 덮개(30)와, 수납공(20a)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고 동시에 금속성의 슬리브(40)와, 슬리브(40)내에 내장되는 지지부(50)와 승강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30)는, 좌우 대칭의 프레임(21)(제4도에서는 일측을 도시)을 초음파 용접법에 의하여 접합해서 구성되고 있다. 또, 본체부(20)는, 초음파 용접법으로의 접합외, 다른 접합방법, 예를 들면, 접착제로 접착하여도 좋다. 상기 본체부(20)의 수납공(20a)은 밑이 막혀 있고, 그 상단부가 개구부(22)로 되고 있다. 개구부(22)의 주변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있다.
상기 덮개(30)는, 경질의 수지로 형성되고 더욱이 개구부(22)를 개폐하는 것으로 개구부(22)의 경사 하부측에 설치된 힌지(31)를 통해서 장착되고 있다. 힌지(31)는, 제1(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의 선단이 슬리브(40)의 측벽에 당접한 상태로,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제75도)의 상태로, 덮개(30)를 계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힌지(31)는 손가락으로 덮개(30)에 대해서 열림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덮개(30)는, 자유로운 각도로 크게 열려서 계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30)의 내측에는, 원형상 볼록부(32)의 선단부에는, 계합동기(32a)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계합돌기(32a)는, 본체부(20)의 개구부(22)의 내측에 형성된 계합요부(33a)에 계합하는 것이고, 덮개(30)를 개폐할 때에 절도감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40)는, 수납공(20a) 내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고 동시에 조금 회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립스틱(K)을 수납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고 있다. 또, 상기 지지부(50)는, 슬리브(40)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있고, 립스틱(K)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승강기구(60)는, 슬리브(40), 립스틱(K) 및 지지부(50)를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로, 조작부(62)와, 벨트(64)와 캠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62)는, 립스틱(K)을 출몰시키기 위하여 손가락 조작을 행한다. 조작부(62)는 본체부(20)의 측부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조작홈(20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본체부(20)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벨트(64)는, 가연성이 탄성재료로 형성되고 있고, 일단에 상술한 조작부(62)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벨트(64)의 양측변은, 본체부(20)에 형성된 벨트 접동홈(64a)에 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벨트 접동홈(64a)은 슬릿트 형상으로 깊고 동시에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있고, 그 하부는 매끄럽게 U자형 형상으로 굴곡해서, 수납공(20a)의 하단부를 통해 조작부(62)의 반대측에까지 연접되고 있다. 그리고 벨트(64)는, 벨트 접동홈(64a)에 가이드되도록 조작부(62)의 반대측에까지 연장되어서 슬라이드된다.
제5도는 슬리브(40)의 외관 및 단면을 도시한다. 제6도는 슬리브(40)의 중앙부근의 단면도이다. 상기 캠기구(70)는, 슬리브(40)의 측면에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캠홈(72)과, 수납공(20a)의 내벽부에서 돌설되고 상기 캠홈(72)에 도입하는 제1돌기(74)(제6도 참조)와 수납공(20a)과 벨트 접동홈(64a)을 연통시킴과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홈(76)(제2도)과, 슬리브(40)의 길이 방향이고 동시에 캠홈(72)과 반대측에 형성된 가이드홈(78)과, 벨트(64)의 타단부와 지지부(50)를 연결하는 연결핀(79)을 구비하고 있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통 형상의 슬리브(40)를 평면에 전개한 도면이다. 캠홈(72)은, 슬리브(40)가 수납공(20a)에 완전하게 수납되고 있는 상태 일때에, 상기 캠홈(72)의 상단부가 제1돌기(74)에 당접하고(제7도의 상태), 한편, 슬리브(40)의 상단이 본체부(20)보다 조금 나은 상태의 경우에, 상기 캠홈(72)의 하단부가 제1돌기(74)에 당접한다(제8도). 캠홈(72)의 하단부는, 일측방향으로 굴곡져서, 슬리브(40)가 상부점에 당접할 직후에, 슬리브(40)를 매우 조금 회전시키는 캠부(72a)로 되고 있다.
또, 제2도로 돌아가서, 지지홈(76)은, 그 길이 방향의 길이가 조작홈(20d)과 동일하고, 립스틱(K) 및 지지부(50)의 스트로크길이로 되고 있다. 더욱이, 제7도에 도시된 슬리브(40)의 가이드홈(78)은, 지지홈(76)에 대향해서 형성되고 있고, 그 하단이 슬리브(40)의 회전 방향과 역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부(78a)로 되어 있다(제5a도 참조). 이러한 지지홈(76) 및 가이드홈(78)은, 벨트(64)의 타단부(64b)와 지지부(50)를 연결하는 연결핀(79)을 관통시키고 있다.
다음에 립스틱 용기(10)에서 립스틱(K)을 출몰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제7도 내지 제9도의 캠 기구(70)의 일련의 슬라이드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지금, 덮개(30)가 닫혀 있어서, 립스틱(K)이 본체부(20) 내에 완전하게 수납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제2도). 이 상태에서는 조작부(62)가 조작홈(20d)의 상단에 위치하고, 또, 제1돌기(74)는 슬리브(40)의 캠홈(72)의 상단에 당접하고, 더욱이, 연결핀(79)은, 가이드홈(78)의 수평부(78a)에 계합하고 있다(제7도, 제10a도의 상태).
이 상태에서, 조작부(62)를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조작부(62)의 이동에 연동해서 밸트(64)가 슬라이드된다. 이 때, 벨트(64)는, 180°굽히고 있기 때문에 벨트(64)의 타단부(64b)가 상승하고, 이것과 연동해서 연결핀(79)이 상승한다. 연결핀(79)은, 가이드홈(78)의 수평부(78a)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50)와 시에 슬리브(40)가 상승한다. 그리고, 슬리브(40)의 상단이 덮개(30)의 반대면에 당접하고, 더욱이 슬리브(40)가 상승하면, 덮개(30)를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눌러 연다.
따라서, 조작부(62)를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1돌기(74)는, 캠홈(72)의 하단의 캠부(72a)에 따르게 되지만, 캠부(72a)가 하단에서 굴곡되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40)가 매우 조금 회전한다. 상기 슬리브(40)의 조금 회전에 의하여, 연결핀(79)이 가이드홈(78)의 수평부(78a)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가 해제된다(제8도, 제10b도의 상태).
이 상태로, 연결핀(79)이 가이드홈(78)내를 상승한다. 이 때, 조작부(62)의 슬라이드력은, 벨트(64)를 통해서 슬리브(4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슬리브(40)가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한편, 연결핀(79)를 통해서 지지부(50)에 전달되기 때문에, 지지부(50)가 상승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부(50)와 일체의 립스틱(K)이 상승해서, 슬리브(40)에 의하여 돌출하고 더욱이 개구부(22)로부터 연속해서 나온다(제3도 ,제9도, 제10c도). 이 상태에서 립스틱(K)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립스틱(K)이 완전히 나온 상태에서, 조작부(62)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반대의 공정을 거쳐서, 립스틱(K)및 지지부(50)가 가공해서 수납된 후에, 슬리브(40)도 본체부(20)에 완전하게 수납된다. 그리고 덮개(30)를 손가락으로 닫는 것에 의하여, 최초의 상태로 돌아간다.
즉, 상시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1) 조작부(62)의 원 터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하여, 덮개(30)가 열림과 동시에, 립스틱(K)이 연속 나와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덮개(30)를 열기 위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2) 조작부(62)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슬리브(40)가 상승하고, 슬리브(40)의 상단부에 의해서 덮개(30)를 눌러 연다. 그 후에, 지지부(50)에 지지된 립스틱(K)이 연속 나온다. 즉, 립스틱(K)에 의하여 우선 슬리브(40)의 상단부가 덮개(30)에 의하여 부딪혀서 덮개(30)를 열기 때문에, 립스틱(K)은, 덮개(30)에 부딪치지 않고 손상되지 않는다.
(3) 덮개(30)가 열린 상태에서는 덮개(30)는, 슬리브(40)의 측면에 닿고 있고, 립스틱(K)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4) 상기 슬리브(40)는, 립스틱(K) 전체를 수납 가능한 길이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립스틱(K)를 본체부(20)에 대해서 출몰시키는 경우에, 립스틱(K)을 보호한다.
(5) 덮개(30)는, 경질의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여름에 높은 온도에도 변형되지 않고, 확실하게 닫혀서 밀폐성이 좋다.
(6) 덮개(30)는, 본체부(20)의 개구부(22)에 힌지(31)를 통해서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본체부(20) 자체도 굵지 않고, 의장성도 높이는 것도 용이하다.
(7) 덮개(30)의 개폐시에, 계합돌기(32a)가 본체부(20)측의 계합요부(33a)에 계합하기 때문에, 절도감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8) 덮개(30)는, 힌지(31)에 스프링 등이 설치되지 않고, 덮개(3)를 열때의 힘이 작아서 좋고, 또 덮개(30)를 연 상태에서 스프링력이 슬리브(40)를 통해서 벨트(64)에 스트레스(stress)로서 증가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벨트(64)의 손상이 없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지 않는다.
(9) 본체부(20)와, 립스틱(K) 사이에, 슬리브(40)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하여, 립스틱(K), 슬리브(40), 본체부(20)가 서서히 굵게 되고, 단차가 적은 구성을 가능케 하기 때문에, 의장성에 우수하다.
(10) 조작부(62)와 힌지(31)를 본체부(20)의 동일 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다시 말하면, 돌출된 형상을 동일측에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20)의 다른 면측에 돌출된 형상을 설치 않아서 좋고, 본체부(20)의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1) 덮개(30)는, 제1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40)의 선단으로 눌러 열린 후는, 힌지(31)에 의하여 슬리브(40)의 측벽에 당접된 상태로 계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림 정도가 지나치는 것도 없고, 립스틱(K)을 바를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12) 립스틱(K)을 연속 꺼낼 때에, 조작부(62)를 슬라이드 조작하는 방향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자연스런 동작이고, 조작성도 우수하다.
(13) 본체부(20)의 개구부(22)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리브(40)의 선단이 덮개(30)에 부딪혀서 덮개(30)를 열 때에, 덮개(30)를 여는 각도가 작아서 좋고 동시에, 슬리브(40)가 덮개(30)를 눌러 여는 힘도 작아서 좋고, 더욱이, 슬리브(40)를 통해서 벨트(64)에 증가되는 스트레스도 작게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예에서, 덮개(30)를 슬리브(40)의 선단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여는 구성이지만, 덮개(30)를 폐지해서, 벨트의 선단부를 셧터로서 구성하고, 상기 셧터로 개구부를 개폐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다른 부재로 구성된 덮개가 불필요하게 되고 부품 점수를 절감시킨다.
(2) 또, 힌지(31)로서, 덮개(30)에 대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압하는 구성을 증가하는 것에 의하여, 덮개(30)를 닫는 조작도 불필요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일층,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벨트의 구성으로서, 스프링력에 대해서 스트레스를 받기 어렵고, 내구성에 우수한 탄성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슬리브(40)의 일단부에 계합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덮개측에 상기 계합부에 계합하는 계합부를 설치해서, 슬리브(40)의 상승, 하강에 따라서, 양 계합부를 통해서 덮개(30)를 개폐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62)의 위치는, 덮개(30)의 힌지(31)와 동일측에 설치하였지만, 이것에 제한하지 않고, 본체부(20)의 반대측의 위치나, 손가락에 의한 조작성에 우수한 위치, 예를 들면, 힌지(31)에 대해서 원주방향으로 약 45°의 위치에 설치하는 등, 어떠한 곳에 설치하여도 좋다.
(5) 슬리브(40)의 재료로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에 제한하지 않고 덮개(30)를 눌러 열리는 것으로 적합한 재료라면, 경질의 수질이라도 좋다.
(6)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캠기구(70)로서, 제1돌기(74)를 본체부(20)측에 형성함과 동시에, 캠홈(72)을 슬리브(40) 측에 형성하였지만, 이것에 상당하는 구성을 반대로 배치한 경우에 다시 말해서, 슬리브(40)측에 돌기를, 본체부(20)에 캠홈의 구성을 채용하여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돌기(74) 및 캠홈(72)의 다른 형태로서, 슬리브(40)의 이동을 안내 가능한 구성이라면 홈의 형태 외, 돌기 등의 계합부를 모방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좋고, 각종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립스틱 용기(110)는 상술한 립스틱 용기(10)가 구비된 승강기구(60)와 유사한 승강기구(160)를 구비하였지만 그 위에 착탈기구(180)를 구비하고 있고, 립스틱(K)을 포함한 소정의 부재를 본체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1도는,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1a도,제11b도, 제11c도는, 립스틱 용기(110)의 정면, 측면 및 배면의 외관을 각각 도시하고, 제11d도는 립스틱 용기(110)에 있어서 립스틱(K)을 연속 꺼낸 상태를 측면에서 본 외관도이다. 제12도는, 제11c도의 2-2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제13도는, 립스틱 용기(11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제14도는 립스틱 용기(110)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 제13도에 도시되었던 부재의 사시도이다. 우선 처음에 제11도 내지 제14도에 기초해서 립스틱 용기(110)의 구조의 개략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음으로 립스틱 용기(110)에 있어서 립스틱(K)의 연속 꺼냄을 실현하는 구조와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후 립스틱(K)을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의 착탈을 실현하는 구조와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립스틱 용기(110)는, 제11도 내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공(120a)을 갖는 통 형상의 본체부(120)와, 본체부(120)에 장착된 덮개(130)와, 수납공(120a)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된 슬리브(140)와, 슬리브(140) 내에 내장되고 립스틱(K)을 지지하는 지지부(150)와, 승강기구(1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120)는, 그 내부의 길이 방향에 수납공(120a)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수납공(120a)을 대략 대칭으로 형성하는 한쌍의 프레임(121a) 및 (121b)을 초음파 용착법에 의하여 접합해서 구성되고 있다. 제13도에는 프레임(121b)을 제14도에는 프레임(121a)을 도시하였다. 또, 본체부(120)는, 초음파 용착법으로 접합하는 외, 접착제로 접착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접합하여도 좋다. 수납공(120a)은, 그 일단은 닫힌 형상으로 되어서 본체부(120)의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수납공(120a)의 타단은 개구부(122)에 있어 개구되어 있다. 이후, 본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 있어서, 개구부(122) 측을 상방향, 반대측을 하방향으로 부르는 것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20)는, 개구부(122)의 주변부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있다. 개구부(122)의 근방에서 프레임(121a)과(121b)와의 이음매의 위치에 있어서, 경사면의 하부측에는 후술하는 덮개(130)의 개폐에 관계하는 축(131b)이 설치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경사면의 상단측에는, 개구부(122)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착탈홈(134)과, 착탈홈(134)의 하단부에 형성된 착탈돌부(135)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개구부(122)에 있어서, 상기 축(131b)과 착탈홈(134)이 설치된 중간부에는, 수납공(120a) 내부로 향해서 그 깊이가 얇게 된 도입홈(136)이 형성되고 있다. 착탈홈(134), 착탈돌부(135) 및 도입홈(136)은, 립스틱(K)을 포함한 소정의 부재의 장착에 관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본체부(120)를 구성하는 프레임(121a)에 있어서, 수납공(120a)의 내면에는 캠홈(172)이 형성되고 있지만 (제14도 참조), 상기 캠홈(172)은 승강기구(160)에 관계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덮개(130)는, 상기 개구부(122)를 개폐하는 부재이다. 덮개(130)는, 관통공을 구비한 돌기부(131a)를 주변부의 소정위치에 갖고, 그 돌기부(131a)의 관통공에 기술한 축(131b)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힌지(131)를 형성하고 있다. 덮개(130)는, 상기 힌지(131)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으로 개구부(122)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덮개(130)는, 후술됨과 같이 립스틱(K)의 연속 나오는 경우에는 슬리브(140)의 선단부에 의해서 눌러 열린다. 또, 힌지(131)는 덮개(130)의 개폐시에는 소정의 저항이 발생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덮개(130)에 대해서 열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덮개(130)를 자유 각도로 열려서 계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130)의 내측에는 원 형상 볼록부(132)가 형성되고 있고, 상기 원형상 볼록부(132)는, 덮개(130)가 닫힐 때에는 개구부(122)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또한, 원 형상 볼록부(132)의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계합돌기(132a)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계합돌기(132a)는, 덮개(130)가 닫힐 때에는, 본체부(120)의 개구부(122)의 내측의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계합 요부(133a)에 계합하는 것이고 덮개(130)의 개폐시에 절도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덮개(130)가 닫힐 때에는 덮개(130)가 원하지 않는 외력에 의해서 열리지 않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140)는, 수납공(120a)내에 있어서 그 상하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수납되고 있고, 그 내부에는, 립스틱(K)을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수납하고 있다. 상기 슬리브(140)는, 지지부(150)에 지지된 립스틱(K)의 전체를 수납 가능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슬리브(140) 및 립스틱(K)의 상단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경사면은 개구부(122)에 있어서 경사면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다. 슬리브(140), 지지부(150) 및 립스틱(K)의 횡단면은, 어느쪽도 대략 원형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부(150)는, 립스틱(K)을 하측으로 지지하고 있고 립스틱(K)의 하단부가 삽입되고 있다.
제15도는, 슬리브(140)를 상이한 3방향에서 본 외관을 도시하고 제16도는, 슬리브(140)에서 지지부(150)를 분리한 형태를 표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슬리브(140)에는, 제1돌기(174)와 가이드홈(178)이 형성되고 있고, 지지부(150)에는, 슬리브(140)내에 수납될 때에 상기 가이드홈(178)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하는 제2돌기(179)가 형성되고 있다. 이 제1돌기(174), 가이드홈(178), 제2돌기(179) 등의 구조는 립스틱(K)의 연속 나옴 동작에 관계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승강기구(160)는, 립스틱 용기(110)에 있어서, 립스틱(K)의 연속 나옴을 실현하는 기구이다. 상기 승강기구(160)는, 조작부(162)와, 벨트(164)와, 기술된 캠홈(172), 제1돌기(174), 가이드홈(178), 제2돌기(179)등으로 형성된다. 승강기구(160)는, 조작부(162)의 동작을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슬리브(140)와 립스틱(K)를 지지하는 지지부(150)를 수납공(120a)내에 두고 승강시킨다. 이하, 승강기구(160)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구조와, 립스틱(K)의 연속 꺼내는 조작시에 있어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조작부(162)는, 립스틱(K)을 출몰시키기 위하여 손가락에 의한 조작을 행하는 대상으로 되는 부재이다. 상기 조작부(162)는, 본체부(120)의 측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조작홈(120d)(제13도 및 제14도 참조)에 삽입되고 있고, 상기 조작홈(120d)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있다. 조작홈(120d)는, 프레임(121a) 및 (121b)의 이음매에 있어서, 힌지(131) 측의 측면에 설치되고 있다.
벨트(164)는, 탄성재료로 형성된 부재이고, 그 일단에는 상기 조작부(162)가 일체 형성되고 있다. 상기 벨트(164)는, 본체부(120)에 형성된 벨트 접동홈(164a)에 의해서 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벨트 접동홈(164a)은, 수납공(120a)의 외주부에 형성된 홈 구조이고, 본체부(120)의 하부에 있어서 매끄럽게 굴곡지고,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고 있다(제14도 참조). 여기서 벨트(164)의 양면에는 소정의 윤활제가 도포되고 있고, 벨트(164)와 벨트 접동홈(164a)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이 소망의 범위 내에 유지되도록 조절되고 있다.
립스틱(K)이 립스틱 용기(110)에 수납된 형태에서는, 조작부(162)는 벨트 접동홈(164a)의 상단부에 위치하고(제11b도 및 11c도에 도시된 위치), 상기 조작부(162)를 벨트 접동홈(164a)의 하단부(제11d도에 도시한 위치)으로 향해서 접동시키므로써 립스틱(K)이 연속 나온다. 이 때, 벨트(164)의 타단은, 벨트 접동홈(164a)에 따라서 본체부(120)의 저면부근(제12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개구부(122) 부근(제14도에 도시한 위치)에 향해서 상승한다. 상기 벨트(164)의 타단에는 연결공(175)이 형성되고 있고, 기술된 제2돌기(179)와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소정의 조작력을 가한 조작부(162)의 동작을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에 전달 가능하게 되고 있다. 조작부(162)의 동작이 전해져서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이 상승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이와 같은 조작부(162)를 슬라이드 조작할 때에는, 벨트(164)와 벨트 접동홈(164a)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있고, 특히 상술한 본체부(120) 하부의 굴곡부에 있어서 벨트(164)의 움직임에 대한 소정의 저항이 발생하기 때문에, 조작부(162)의 슬라이드 조작을 도중에서 정지해서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을 소망의 위치로 계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62)는 벨트(164)의 일단에 일체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조작부(162)와 벨트(164)를 별개로 형성한 후에, 접착제나 끼워 넣는 등에 의하여 접합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기술한 바와 같이, 슬리브(140)에서는 제1돌기(174)와 가이드홈(178)이 형성되고 있고, 지지부(150)에는 제2돌기(179)가 형성되고 있다. 제1돌기(174)는, 슬리브(140)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U자형의 절취홈(173a)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제1판스프링부(173)의 선단부에 설치된 구조이다(제16도 참조). 가이드홈(178)은, 슬리브(14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홈 구조이고, 그 하단부에 있어서 대략 직각으로 굽은 수평부(178a)를 형성하고 있다(제15도 참조). 슬리브(140)에 지지부(150)를 내장한 때에는, 지지부(150)가 구비된 제2돌기(179)는 상기 가이드홈(178)을 관통해서 슬리브(140)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2돌기(179)는, 지지부(150)의 하단부에 절취된 구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제2판스프링부(177)의 선단부에 설치된 구조이다(제16도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기(179)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50)와는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었지만 제2돌기(179)를 지지부(150)와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도 상관없다.
지지부(150)를 내장하는 슬리브(140)가 본체부(120)에 수납될 때는 상기한 제2돌기(179)는, 가이드홈(178)을 관통한 상태로 벨트(164)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공(175)에 삽입한다. 이와 같은 제2돌기(179)와 벨트(164)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부(164)의 동작을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에 전달 가능하게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62)가 최상부의 위치(제11b도의 상태)에서 눌러 내릴 때는 연결공(175)이 벨트 접동홈(164a)에 따라서 상승하고, 상기 연결공(175)와 함께 제2돌기(179)도 상승한다. 여기서, 가이드홈(18)을 관통하는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 계지하고 있을 때에는 슬리브(140)와 지지부(150)는 일체로 되어서 상승한다. 따라서 슬리브(140) 내의 립스틱(K)은 슬리브(140)와 함께 이동하고, 슬리브(1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없다.
또한 슬리브(140)가 소정의 위치에 계지된 상태로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서 개방되면, 지지부(150)는 계지된 슬리브(140) 내를 접동해서 상승하도록 된다. 따라서, 슬리브(140)내의 립스틱(K)은 슬리브(1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한다.
수납공(120a)의 내벽에는 기술된 바와 같이 캠홈(172)이 형성되고 있지만, 상기 캠홈(172)은 슬리브(140)의 수납시에는 슬리브(140)에 형성된 제1돌기(174)가 계합한다. 조작부(162)의 동작이 상기 제2돌기(179)를 통해서 슬리브(140)에 전달된 때에는, 슬리브(140)는, 제1돌기(174)를 캠홈(172)에 따라서 접동되면서 수납공(120a)내를 상승한다. 캠홈(172)은, 수납공(120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172b)와, 직선부(172b)의 상단부에 있어서 일방향(힌지 131 측)으로 굴곡하는 캠부(172a)로부터 된다(제14도 참조). 슬리브(140)가 상승하고, 제1돌기(174)의 계합위치가 직선부(172b)에서 캠부(172a)로 이행하면, 슬리브(140)는 캠부(172a)의 형상에 따라서 그 굴곡 방향으로 조금 회전한다. 제1돌기(174)가 캠부(172a)의 단부에 도달해서 그 단부에서 계지되면, 슬리브(140)의 상승도 역시 정지한다. 상기 캠부(172a)는, 슬리브(14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기술된 제2돌기(179)를 수평부(178a)에서 개방하고, 상기 제2돌기(179)를 가이드홈(178)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슬리브(140)를 소정의 위치까지 계지시키기 위한 구조이다.
이하에, 조작부(162)를 조작해서 립스틱(K)을 연속 나오는 경우의 승강기구(16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7도는 립스틱(K)의 연속 나오는 조작의 경우 승강기구(160)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17도는, 제1돌기(174)와 캠홈(172)과의 계합 및 제2돌기(179)와 가이드홈(178)과의 계합의 상태를 도시함과 동시에 각 상태에서 슬리브(140) 및 화장료(K)의 연속 나온 상태와 조작부(162)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 제17도에 있어서는, 슬리브(140)의 회전하는 형태를 평면적인 이동으로 치환해서 표시하였다.
이제, 덮개(130)가 닫혀서, 립스틱(K)이 본체부(120) 내에 완전하게 수납되고 있는 상태에 있다(제11b도의 상태). 상기 상태에서는 조작부(162)가 조작홈(120d)의 상단에 위치하고, 또한 제1돌기(174)는 본체부(120) 내벽에 형성된 캠홈(172)의 하단부에 계합하고, 따라서 벨트(164)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공(175)과 연결되는 제2돌기(179)는, 슬리브(140)에 형성된 가이드홈(178) 하단부에 설치된 수평부(178a)에 계합되고 있다(제17a도의 상태).
이 상태에서 조작부(162)를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조작부(162)의 이동에 연동해서 벨트(164)가 슬라이드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62)의 하측으로 슬라이드와 함께 연결공(175)을 구비한 측의 벨트(164)의 단부는 벨트 접동홈(164a)에 따라서 상측으로 슬라이드되고, 이것과 연동해서 지지부(150)와 함께 제2돌기(179)가 상승한다. 제2돌기(179)는 슬리브(140)에 형성된 가이드홈(178)의 수평부(178a)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150)와 슬리브(140)와는 일체로 되어서 상승한다. 조작부(162)를 소정량 슬라이드시키면 상승된 슬리브(140)의 선단부가 덮개(130)의 원 형상 요부(132)에 당접한다. 따라서 조작부(162)를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리브(140)의 선단부는, 덮개(130)를 눌러 열어서 원 형상 요부(132)를 초월해서 상승하고, 개구부(122)에서 본체부(120) 외부로 연속 나온다.
따라서 조작부(162)를 하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1돌기(174)는, 캠홈(172)의 직선부(172b)에 따라서 상방으로 인도되어, 캠홈(172)의 상단부에 형성된 캠홈(172a)에 도달한다. 상기 캠부(172a)는 기술된 소정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있기 때문에 제1돌기(174)가 캠부(172a) 내를 인도될 때 슬리브(140)는 조금 회전한다. 상기 슬리브(140)의 조금 회전에 의하여, 제2돌기(179)는 가이드홈(178)의 수평부(178a)에서 개방된다(제17b도의 상태).
이후 조작부(162)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제1돌기(174)는 캠홈(172)의 상단부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140)는 계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2돌기(179)는 수평부(178a)에서 개방되고 있기 때문에 벨트(164)의 움직임에 의해서 지지부(150)만큼이 상승을 계속한다. 이것에 의하여, 지지부(150)와 일체의 립스틱(K)이 상승하고(제17도에서 립스틱(K)과 지지부(150)를 같이 K로 표시하고 있다) 립스틱(K)의 상단부가 개구부(122) 및 슬리브(140)의 선단부에서 연속 나온다(제17c도의 상태, 제11d도를 참조). 이 상태에 있어서, 립스틱(K)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립스틱(K)이 개구부(122) 및 슬리브(140)의 선단부에서 연속 나온 상태로 두고 조작부(162)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의 설명과는 반대의 과정을 진행한다. 즉, 립스틱(K) 및 지지부(150)가 하강해서 슬리브(140) 내에 수납되고, 그 후 슬리브(140)도 본체부(120) 내부에 완전하게 수납된다. 여기서, 덮개(130)를 손가락으로 닫는 것에 의하여, 립스틱 용기(110)는 최초의 상태(제11a도 내지 제11c도의 상태)로 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승강기구(160)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110)는, 립스틱(K)을 소비한 때에 새로운 립스틱(K)을 장착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18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립스틱 용기(110)에 구비되는 착탈기구(180) 및 립스틱(K)의 착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립스틱(K)을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를 본체부(120)에서 분리할 때 이 기구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서는 립스틱(K)과 동시에,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부(150)와 슬리브(140)를 같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립스틱(K)을 지지하는 지지부(150)과 슬리브(140)로 되는 착탈 가능부재를 카트리지부(182)로 부르기로 한다. 카트리지부(182)를 본체부(120)에서 분리하는 것은 우선 조작부(162)를 최하단까지 슬라이드시켜서, 슬리브(140)의 연속 나옴을 행한다. 여기서, 립스틱(K)는 소비했기 때문에 슬리브(140)의 상단부에서 립스틱(K)는 출현하지 않는다(제18도 참조).
카트리지부(182)의 분리는, 슬리브(140)를 연직방향으로 향하여 당기는 것에 의해서 행한다(제18도 중의 화살표 참조). 슬리브(140)를 이와 같이 당기면, 우선 슬리브(140)가 구비된 제1돌기(174)가 캠홈(172)에서 벗어난다. 슬리브(140)를 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는, 캠홈(172)의 상단부에 의해서 제1돌기(174)를 압압하는 힘이 있지만 기술된 바와 같이 제1돌기(174)는 제1판스프링부(173)의 선단부에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제1판스프링부(173)가 슬리브(140)의 내부 방향으로 압압되어 제1돌기(174)는 캠홈(172)에서 벗어난다.
제1돌기(174)가 캠홈(172)에서 벗어나면, 제1돌기(174)를 갖는 제1판스프링부(173)가 압압된 상태로 슬리브(140)는 결국 끌어 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140)가 끌어 올려져도, 제2돌기(179)는 연결공(175)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150)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슬리브(140)의 상승과 동시에 가이드홈(178)에 있어서 제2돌기(179)의 상대적인 위치는, 가이드홈(178)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향해서 이동한다.
따라서 슬리브(140)가 끌어 올려지고, 제2돌기(179)가 가이드홈(178)의 하단부에 계합하도록 되면, 상기 제2돌기(179)에는 연결공(175)을 구비하는 벨트(164)에서 압압되는 힘이 동작되도록 된다. 기술된 바와 같이 제2돌기(179)는 제2판스프링부(177)상에 설치된 구조로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압압력이 움직임과 제2돌기(179)는 지지부(150)의 내부방향으로 압압되고, 연결공(175)에서 벗어난다. 제2돌기(179)가 연결공(175)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카트리지부(182)는 용이하게 분리되고, 카트리지(182)의 분리가 완료된다.
다음에, 상기의 형태로 립스틱(K)을 분리한 본체부(120)에 새로운 립스틱(K)을 장착할 때의 기구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9도는, 립스틱(K)를 지지하는 지지부(150)와 슬리브(140)로 되는 카트리지부(182)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부(184)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카트리지(184)는, 카트리지부(182)의 타측에, 슬리브(140)의 상단부를 보호하는 캡(185)과, 슬리브(140)의 하단부를 덮는 저부커버(186)를 구비한다.
캡(185)은 투명한 아크릴제이고, 캡(185)의 상단면은 립스틱(K)을 수납한 슬리브(140)의 상단면에 적합하는 경사면으로 되고 있다. 저부커버(186)는, 그 내측에 카트리지부(182)를 수납하는 카트리지 수납공(186c)을 형성하고 있고, 카트리지수납공(186c)은 그 길이 방향으로 제1계합홈(186a) 및 제2계합홈(186b)을 형성하고 있다. 제1계합홈(186a)과 제2계합홈(186b)과는 각각, 저부커버(186)에 카트리지부(182)를 수납한 때에, 제1돌기(174)와 제2돌기(179)가 계합하는 홈 구조이다. 여기서, 제1계합홈(186a)과 제2계합홈(186b)과의 위치는, 제1돌기(174)와 수평부(178a)에 계합하고 있는 제2돌기(179)와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저부커버(186)에 수납되고 있는 때에는 제2돌기(179)는 가이드홈(178)의 수평부(178a)에 계합된 상태로 보호된다.
카트리지부(182)를 본체부(120)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카트리지부(182)에 캡(185)을 장착한 상태로 저부커버(186)를 분리한다. 이 때, 본체부(120)는, 조작부(162)가 하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준비된다. 즉 본체부(120)는, 기술된 조작에 의해서 사용 완료의 카트리지부(182)를 잡아 당긴 그대로의 상태로 준비한다. 조작부(162)가 조작홈(120d)의 하단부에 지지되고,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 계합된 상태로, 제2돌기(179)를 기술된 착탈홈(134)에 맞추면서 슬리브(140)를 수납공(120a) 내부로 눌러 넣는다.
이와 같이 슬리브(140)를 눌러 넣으면, 제2돌기(179)는, 기술된 착탈돌부(135)에 당접하기까지의 사이에, 착탈홈(134)의 형상에 따라서 서서히 지지부(150) 내부의 방향으로 눌러 넣는다. 그 다음에 슬리브(140)를 눌러 넣으면, 제2돌기(179)는, 착탈돌부(135)를 넘어서 벨트(164) 단부의 연결공(175) 부근에 도달한다(제14도 참조). 여기서, 제2돌기(179)는 제2판스프링부(177)상부에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제2돌기(179)는 착탈돌부(135)를 넘을 때에 제2판스프링부(177)의 갖는 특성에 의해서 눌러 되돌아오고, 제2돌기(179)는 절도감을 갖고 연결공(175)에 들어간다.
이와 같이 제2돌기(179)를 연결공(175)에 넣을 때, 제1돌기(174)도 또한 개구부(122) 부근에 도달한다. 개구부(122)에는 기술된 도입홈(13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입홈(136)의 위치는,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의 경우 제1돌기(174)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제2돌기(179)를 연결공(175)에 넣을 때, 제1돌기(174)도 도입홈(136)에 의해서 수납공(120a) 내부로 인도된다. 여기서, 제1돌기(174)는 제1판스프룽부(173) 상부에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제1돌기(174)는 도입홈(136)의 형상에 따라서 슬리브(140)의 내부방향으로 서서히 눌러 들어가고, 슬리브(140)는 지장없이 본체부(120) 내부로 인도된다.
연결공(175)으로 제2돌기(179)의 넣음이 완료된 시점에서 조작부(162)의 움직임을 슬리브(140) 및 지지부(150)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거기서, 조작부(162)가 연결공(175)에 계합하고, 제1돌기(174)가 본체부(120)내부에 인도된 상태에서 조작부(162)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슬리브(140)는 지지부(150)를 하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결국 수납공(120a) 내부를 하강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140)가 하강을 계속하면 소정의 위치에서 캡(185)이 개구부(122)에 당접한다. 따라서 조작부(162)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캡(185)은 개구부(122)상에서 계지되어서 슬리브(140)의 상단부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립스틱(K)의 선단부는, 슬리브(140)내에 수납된 상태로 외부에 닿는 것 없이 수납공(120a)내에 수납된다. 처음으로 캡(185)은, 손으로 분리하는 것으로서 하여도 좋다.
이 때에, 제1돌기(174)는 캠홈(172)의 상단부에 도달한다. 여기서, 제2돌기(179)는 수평부(178a)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제1돌기(174)는 캠부(172a)의 상단부에는 들어가지 않고, 따라서 하강해서, 직선부(172b)에 있어서 캠홈(172)에 들어간다. 그 후는 제1돌기(174)는 캠홈(172)의 직선부(172b)에 계합하면서 하강하고 최종적으로 조작부(162)가 최상부에 도달한 단계로 캠홈(172)의 하단부에 도달한다. 여기서 덮개(130)를 닫으면, 립스틱 용기(110)는 통상의 사용 전의 상태(제11a도 내지 제11c도의 상태)로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 의하면, 한손으로 조작부(16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원 터치로 립스틱(K)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준비가능함과 동시에 립스틱(K)을 소비한 후에는 새로운 카트리지(184)로 바꾸는 것에 의해서 본체부(120)가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카트리지부(182)의 분리 동작은 슬리브(140)를 잡아 당김뿐이고, 카트리지부(182)의 장착 동작은, 위치 맞추면서 슬리브(140)를 수납공(120a) 내부에 눌러 넣고 그 후 조작부(162)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킴 뿐이다. 그리고 카트리지부(182)의 착탈조작은 사용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 의하면, 카트리지부(182)와 본체부(120)측과의 사이에서 계합하고 있는 부위는, 제1돌기(174)와 캠홈(172), 제2돌기(179)와 연결공(175)의 2개소 만이고, 그것에 의해서 기술된 승강기구(160)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부(182)의 본체부(120)와의 계합부위를 2개소로 한 것에 의하여 카트리지부(182)의 착탈 기구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돌기(174)와 제2돌기(179)와는 각각 제1판스프링부(173)와 제2판스프링부(177)와의 선단부에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카트리지부(182)의 장착의 경우에는, 이들의 돌기는 내측에 눌러 넣고, 카트리지부(182)를 용이하게 수납공(120a) 내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개구부(122)에는 착탈홈(134)과 도입홈(136)이 설치되어 있고, 제1돌기(174) 및 제2돌기(179)의 넣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 착탈홈(134)과 도입홈(136)과의 사이에 거리는, 슬리브(140)에 있어서 제1돌기(174)와, 수평부(178a)에 넣은 상태의 제2돌기(179)의 거리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 넣은 상태로 장착 동작이 행해지기 쉬운 구조로 되고 있다. 따라서 착탈홈(134)의 단부에는 착탈돌부(135)가 설치되고 있지만 이 착탈돌부(135)는 제1판스프링(173)과 동시에 제1돌기(174) 넣을 때에 절도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져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184)는, 립스틱(K)의 수납시에 립스틱(K)의 전체를 덮는 슬리브(14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184)로는 그 보존시 및 착탈시에 립스틱(K)의 측면이 손상을 얻는 것이 없고 위생적으로 립스틱(K)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184)는 그 상단부에 캡(185)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립스틱(K)의 상단부도 또한 동일하게 보호된다. 립스틱(K)이 슬리브 내에 수납되고 있을 때에는, 립스틱(K)의 상단면은 슬리브(140)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제12도 및 제19도 참조), 이와 같은 상태의 슬리브(140)를 캡(185)으로 덮는 것에 의해서, 립스틱(K)의 상단면은 외부에 접촉하는 것 없이 위생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184)에서는 캡(185)는 투명한 아크릴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140)내에 수납된 립스틱(K)을 확인 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있고, 카트리지부(182)의 교환시, 바꾸는 립스틱(K)의 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캡(185)의 내부에 있어서, 립스틱(K)의 상단면과 접촉부에 스폰지 등의 보호부재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은 스폰지 등의 보호부재를 설치하게 되면, 카트리지(184)의 장착 조작의 경우에 실수로 지지부(150)를 상승시키게 되는 경우에도, 립스틱(K)의 상단면이 직접 캡(185)의 내벽에 눌러 붙는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캡(185)는 슬리브(140)의 상단부를 삽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연직방향을 향해서 인발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부(182)의 장착 동작의 경우에, 캡(185)을 개구부(122)에 계합시키면서 슬리브(140)를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캡(185)의 분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카트리지부(182)의 장착의 경우에 립스틱(K)의 선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립스틱(K)의 선단부를 손상에서 지키고 위생적으로 카트리지부(182)의 교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캡 내에 보호부재를 구비한 경우에도, 상기 보호부재를 캡의 이측에 붙어 두고, 캡과 동시에 보호부재도 제거되는 구성으로서도 바람직하고, 보호부재는 립스틱(K)의 상단에서 벗기는 것으로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18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립스틱(K)의 상단부는 캡(185)에 의해서 보호하는 것으로서 하였지만 캡(185)의 대신으로 필름부재 등에 의해서 립스틱(K)의 상단부를 덮는 것으로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은, 슬리브(140)의 상단부를 덮는 형태의 필름부재를 준비하고, 슬리브(140)의 상단부에 있어서 소정의 접착제 등에 의해서 슬리브(140)에 붙이는 것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현 가능하다. 처음부터 상기 필름부재를 투명한 부재로 하면, 교환 카트리지부(182)가 구비되는 립스틱(K)의 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184)는, 저부커버(18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저부커버(186)에 의해서 슬리브(140)의 저부가 보호되고 제2돌기(179)는 외부와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저부 커버(186)를 장착하고 있는 사이에는, 제2돌기(179)가 실수로 눌러 상승해서 립스틱(K)를 지지하는 지지부(150)가 상승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저부커버(186)에는 기술된 제1계합홈(186a)과 제2계합홈(186b)이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저부커버(186)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제2돌기(179)는 수평부(178a)에 계합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1계합홈(186a)과 제2계합홈(186b)과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평행한 홈 구조이기 때문에, 저부커버(186)에서 카트리지부(182)를 연직방향으로 잡아 빼면,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 계합한 상태는 유지하여 저부 커버(186)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상태로 기술된 취부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서는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 계합하고 있는 상태로 카트리지부(182)의 장착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서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장착 조작을 행하면, 기술된 실시예 중의 장착 동작에 따라, 립스틱(K)이 외부에 접촉해서 손상하는 것도 없고, 립스틱(K)의 위생 상태를 유지하기에 용이하게 카트리지부(182)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서는, 실수로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서 개방된 상태로 카트리지부(182)의 장착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큰 지장없고 장착 조작을 완료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있다. 제2돌기(179)이 수평부(178a)에서 개방된 상태로 장착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처음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과 동일하게, 제2돌기(179)를 착탈홈(134)에 맞추면서 슬리브(140)를 수납공(120a) 내에 눌러 넣고, 절도감을 갖고 제2돌기(179)를 연결공(175)에 연결시킨다. 다만, 이 때, 제2돌기(179)는 수평부(178a)에 계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지부(150)는 상하 운동 가능하게 되고 있고, 제2돌기(179)를 연결공(175)에 연결시킬 때에 립스틱(K)이 상승해 버리는 것이다. 그러나 슬리브(140)의 상단부는 캡(185)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립스틱(K)의 상단부는 캡(185)의 내벽에 당접해도 위생 상태는 유지된다.
여기서, 일단 제2돌기(179)가 연결공(175)에 연결되어 버리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조작부(162)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조작부(162)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시키면 슬리브(140)가 수납공(120a) 내를 하강함과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캡(185)이 벗어난다. 또한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서 개방된 상태에서, 제1돌기(174)는 캠홈(172)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172b)의 대신으로 캡부(172a)의 상단부에 계합한다. 캡부(172a)의 선단부에 계합된 제1돌기(174)는, 슬리브(140)의 하강과 동시에 그 계합 위치를 캡부(172a)에서 직선부(172b)에 이행해서 하강을 연속하고, 조작부(162)가 최상단에 도달할 때에는 캡홈(172)의 최하단에 계합한다. 여기서 덮개(130)를 닫으면 립스틱 용기(110)는 통상의 사용전의 상태(제11a도 내지 제11c도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실수로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에서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있어도, 립스틱(K)의 선단이 캡(185)의 내벽에 접촉하는 우려가 있는 이외는 지장없고 카트리지부(182)의 장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에서는, 카트리지부(182)가 제1돌기(174) 및 제2돌기(179)를 구비하고, 이것을 본체부(120)의 캡홈(172) 및 연결공(175)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의 계합관계에 있어서 양자의 요철을 역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제3실시예로서, 상기 계합관계의 요철이 립스틱 용기(110)과는 반대인 승강기구(160A)를 구비하는 립스틱 용기(110A)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제3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A)는, 상술한 계합관계의 요철 이외는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과 공통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립스틱 용기(110)와 공통하는 부재 및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립스틱 용기(110)에 있어서 부재의 부호에 (A)를 부여해서 표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3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A)는, 제11도에 도시한 립스틱 용기(110)와 대략 동일의 외관을 갖는 것이다.
제20도는, 립스틱 용기(110A)에 있어서 본체부(120A) 및 슬리브(140A) 및 지지부(150A)의 외관을 표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슬리브(140A)는 제2실시예의 슬리브(140)와 동일의 가이드홈(178A)와 함께 제1돌기(174)의 대신으로 캠홈(172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178A)과 캠홈(172A)과는, 슬리브(140A)의 하단부에 있어서 각각 절취부(178cA)와 절취부(172cA)와를 갖고 있고(제20도 참조). 슬리브(140A)를 구비하는 카트리지부(182A)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지지부(150A)는, 제2돌기(179)의 대신으로 연결공(175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공(175A)도 또한 지지부(150A)의 하단부에 있어서 절취부(175cA)를 갖고 있다. 연결공(175A)에 있어서, 절취부(175cA)와 경계부에는, 후술하는 제2돌기(179A)를 계지시키기 위한 계지부(175dA)가 설치되고 있다. 더욱 더, 캠홈(172A)에 있어서, 캠부(172aA)과 상기 절취부(172cA)와의 경계부에는, 후술하는 제1돌기(174A)를 계지시키기 위한 잘록한 목형상의 구조인 계지부(172dA)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지지부(150A)에는,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외주에 따라서 형성된 코킹결합부(152)가 설치되고 있고, 슬리브(140A)에는, 상기 코킹 결합부(152)와 대응하는 위치에, 코킹부(154)가 설치되고 있다. 립스틱(K)의 선단부가 완전하게 슬리브(140A)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코킹부(154)와 코킹 결합부(152)를 결합시키면, 지지부(150A)는 슬리브(140) 내에서 슬라이드 블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본체부(120A)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부(182A)는, 상기 코킹부(154)와 코킹수납부(152
)가 계합된 상태로 되고 있다.
제21도 및 제22도는, 립스틱 용기(110A)를 분해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고, 각각 제13도 및 제14도에 대응하고 있다. 립스틱 용기(110A)에서는 벨트(164A)의 단부에, 연결공(175)의 대신으로 제2돌기(179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돌기(179A)는, 상기 가이드홈(178A)를 관통해서 지지부(150A)가 구비된 연결공(175A)에 연결하고, 조작부(162A)의 움직임을 지지부(150A) 및 슬리브(140A)에 전달 가능하게 되고 있다. 여기서 가이드홈(178A)은, 가이드홈(178)과 동일하게 그 하부에 있어서 수평부(178aA)를 형성하고 있고, 제2돌기(179A)가 그 수평부(178aA)에 계합하고 있는 사이는 슬리브(140A)와 지지부(150A)로 되어서 승강한다. 또한 슬리브(140A)가 계지된 상태에서 제2돌기(179A)가 수평부(178aA)에서 개방되면, 조작부(162A)가 하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지지부(150A)만이 승강하도록 된다.
본체부(120A)를 구성하는 프레임(121aA)의 내벽에는, 캠홈(172)의 대신으로 제1돌기(174A)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제1돌기(174A)는, 기술된 슬리브(140A)의 캠홈(172A)에 계합한다. 조작부(162A)가 하측으로 슬라이드 조작시켜서 슬리브(140A)가 상승할 때, 제1돌기(174A)의 계합 위치는, 캠홈(172A)의 상단부에서 직선부(172bA)에 따라서 하강한다. 따라서 슬리브((140A)가 상승하면, 제1돌기(174A)의 계합위치는 캠부(172aA)로 이동해서 그 하단부에 있어서 기술된 계지부(172dA)에 도달되는 것으로 슬리브(140A)가 계지된다. 이때 슬리브(140A)가 소정량 회전해서, 기술된 제2돌기(179)가 수평부(178aA)에서 개방된다. 따라서 그 후는 조작부(162A)의 하측으로 슬라이드조작과 동시에 지지부(150A)만이 결국 상승하도록 되고, 립스틱(K)이 연속 나와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립스틱 용기(110A)에서는, 제2실시예의 승강기구(160)과 유사한 승강기구(160A)에 의해서 립스틱의 연속 나옴의 동작이 행해진다. 처음으로 립스틱(K)을 수납할 때에는, 조작부(162A)를 상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행해지고, 립스틱(K)이 본체부(120A) 내에 수납된다.
다음에 이와 같은 립스틱 용기(110A)에 있어서 카트리지(182A)의 착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부(182A)를 본체부(120A)에서 분리할 때에는 우선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부(162A)를 최하단까지 슬라이드시켜서 슬리브(140A)의 연속 나옴을 행한다(제18도와 동일한 형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슬리브(140A)를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제1돌기(174A)는 가이드홈(172A) 하단의 절취부(172cA)에서 벗어나고, 제2돌기(179A)는 가이드홈(178A) 하단부의 절취부(178cA) 및 연결공(175A) 하단부의 절취부(175cA)에서 벗어나고, 지지부(150A)를 내장하는 슬리브(140A)는, 본체부(120A)에서 용이하게 빠진다.
카트리지부(182A)를 장착할 때에는 우선 본체부(120A)에 있어서 조작부(162A)를 눌러 내리는 상태로, 카트리지부(182A)를 개구부(122A)에서 눌러 넣는 조작을 행한다. 여기서, 슬리브(140A)에는 회전정지돌기(142)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회전정지돌기(142)로 지지부(150A)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서, 지지부(150)의 연결공(175A)과 슬리브(140A)의 수평부(178aA)가 무거운 상태로 지지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부(182A)는, 가이드홈(178A)이 구비되는 수평부(178aA)의 위치를 개구부(122A)에 있어서 상단측에 이음매에 맞춰서 눌러 넣는 것으로 된다. 조작부(162A)가 눌러 놓은 상태에서는, 벨트(164A)의 단부에 설치된 제2돌기(179A)는 개구부(122A)의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기(179A)는, 상기 눌러 넣는 조작에 의해서 절취부(178cA,175cA)로 인도되고, 수평부(178aA)를 관통한 상태로 연결공(175A)에 삽입한다. 이 때, 지지부(150A)가 슬리브 내를 슬라이드 해버리는 것 없고 제2돌기(179A)를 연결공(175A)에 삽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2돌기(179A)가 수평부(178aA)에서 개방되도록 소정의 회전력을 가하면서, 더욱더 슬리브(140A)을 수납공(120aA)내에 눌러 넣는 조작을 행하면, 지지부(150A)의 코킹결합부(152)가 슬리브(140A)의 코킹부(154)에서 벗어나면, 슬리브(140A)의 코킹결합부(152)가 슬리브(140A)의 코킹부(154)에서 벗어나고 슬리브(140A)는 지지부(150A)와 분리해서 단독으로 수납공(120aA)내를 눌러 넣도록 된다. 이때, 지지부(150A)의 연결공(175A)에 연결하는 제2돌기(179A)와 가이드홈(178A)과의 계합위치는, 가이드홈(178A)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향해서 이동하고, 지지부(150A)는 개구부(122A) 부근에 머문다.
이와 같이, 제2돌기(179A)의 계합위치를, 가이드홈(178A)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향해서 이동되어서 슬리브(140A)의 눌러 넣음을 계속하면 슬리브(140A)의 하단은 제1돌기(174A)가 설치된 위치로 도달한다. 제2돌기(179A)가 가이드홈(178A)에 따라서 접동하는 상태는, 제1돌기(174A)는, 캠홈(172A)의 하단부에 설치된 절취부(
172cA)에 꼭 맞게 계합하다. 따라서 슬리브(140A)를 눌러 넣으면, 제1돌기(174A)는 기술된 계지부(172dA)를 넘어서, 절도감을 갖고 캠부(172Aa)의 하단부로 들어간다.
제1돌기(174A)가 캠부(172aA)에 들어가면, 제1돌기(174a)가 캠부(172aA)에 계지되기 때문에, 이미 슬리브(140A)를 눌러 넣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부(162A)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지지부(150A)가 슬리브(140A)내를 하강한다. 이 때, 슬리브(140A)는 이동하는 것 없이, 제2돌기(179A)와 가이드홈(178A)과의 계합 위치는, 가이드홈(178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립스틱(K)를 지지하는 지지부(150A)가 슬리브(140A) 내에 완전하게 수납되고, 제2돌기(179A)가 수평부(178aA)에 도달하면, 수평부(178aA)와 캠부(172aA)와의 형태에 따라서 슬리브(140A)는 소정량 회전한다. 이 후는, 조작부(162A)를 상측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지지부(150A)와 슬리브(140A)와는 일체로 되어서 하강한다. 이 때, 제1돌기(174A)의 계합위치는, 캠홈(172A)에 있어서, 직선부(172bA)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이동한다. 조작부(162A)를 최상부에 슬라이드시키면, 지지부(150A)와 슬리브(140A)는 완전하게 본체부(120A)내에 수납되고, 여기서 덮개(130A)를 닫으면, 립스틱 용기(110A)는 사용 전의 상태(제11a도 내지 11c도와 동일한 형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제3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A)에서는 슬리브(140A)와 본체부(120A)와의 계합관계, 및 지지부(150A)와 벨트(164A)와의 계합관계에 있어서,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의 경우와 요철을 반대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계합부의 요철을 반대로 형성하여도, 원 터치로 립스틱(K)을 연속 꺼내는 승강기구(160A)나, 간단한 잡아 뺌이나 눌러 넣기의 조작에 의해서 카트리지부(182A)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및 제3실시예에서는, 본체부(120,120A)에 대해서 카트리지부(182, 182A)를 착탈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체부(120)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190)를 그 위에 설치하고, 본체부(120)와 함께 착탈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이와 같은 구성을 제4실시예로서 도시한다.
제23도는,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B)의 외관을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립스틱 용기(110B)는,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와 동일한 승강기구(160)를 갖는 본체부(120B)와, 상기 본체부(120B)를 수납하는 수납케이스(190)를 구비하고 있다. 제23도는, 립스틱 용기(110B)에 있어서, 수납 케이스(190)에 대해서 본체부(120B)를 넣고 있는 도중의 형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B)에서는 제2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와 다르고, 조작부(162B)는 본체부(120B)에 조립된 벨트(164B)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되고 있다. 본체부(120B)를 수납 케이스(190)에 넣어서, 본체부(120B)를 수납한 후에 수납 케이스의 외부에서 조작부(162B)를 장착한다. 여기서, 본체부(120B)는 그 외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계합 볼록부(192)를 구비하고, 수납 케이스(190)는 그 내벽면에 있어서 계합 볼록부(192)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합 요부(19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20B)는, 계합요부(194)에 계합하는 계합 볼록부(192)에 의해서 수납 케이스(190) 내에 안정하게 지지된다.
립스틱 용기(110B)에 있어서, 립스틱(K)을 소비한 후는, 조작부(162B)를 수납 케이스(190)에서 분리하고, 본체부(120B)를 수납 케이스(190)내에서 잡아 빼어서, 새로운 본체부(120B)를 수납하면 좋다. 수납 케이스(190)의 상단에 설치된 개구부(196)에는, 본체부의 착탈시에 계합 볼록부(192)를 인도하는 인도홈(198)이 설치되어 있고, 용이하게 본체부(120B)에 잡아 뺌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20B)의 교환을 행할 때에는, 본체부(120B)(정확하게는 본체부(120B) 내의 벨트(164B)와 접속하고, 수납 케이스(190)에서 돌출된 구조인 조작부(162B)만은, 본체부(120B)의 수납케이스(190)에 대하는 착탈과는 별개로 착탈을 행하는 것으로서 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부(120B)의 착탈하는 경우에는 상기 계합 볼록부(192) 이외의 블록 구조를 넣을 필요가 없고, 용이하게 착탈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B)에 의하면, 립스틱(K)을 소비한 후에는, 수납케이스(190)에 대해서 본체부(120B)와 함께 착탈을 행하기 때문에 착탈기구(180)를 구성하는 부재의 접속부위에 있어서 착탈조작을 행하는 필요가 없다. 따라서 착탈에 관한 기구를 간소화하고, 착탈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한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110B)에서는 본체부(120B)는 제2실시예의 본체부(120)와 동일한 승강기구(16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제1실시예의 본체부(20)와 동일한 승강기구(6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2내지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에서는, 승강기구(160,160A)를 구비하는 것으로,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만으로 립스틱(K)을 원 터치로 출몰 가능하게 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구(160,160A)에서는 립스틱(K)이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조작부를 하측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우선 슬리브가 상승해서 그 상단부에서 덮개를 눌러 열고, 슬리브의 상단부가 덮개에 설치된 원 형상의 돌기를 넘어서 상승된 후에 립스틱(K)이 상승을 개시한다. 따라서, 립스틱(K)의 연속 나옴 동작에 있어서는, 덮개를 여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덮개가 립스틱(K)에 접촉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립스틱(K)은 도포 가능하게 연속 나온 상단부 이외는 항상 슬리브에 의해서 보호된다. 또한, 슬리브는, 연속 나올 때의 립스틱(K)을 보호하는 것만이 아니고, 본체부에 수납된 립스틱(K)의 측면을 보호하는 효과도 있다. 립스틱 용기의 휴대시에 있어서, 립스틱 용기가 소정의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립스틱(K)의 전체는 슬리브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중에서 립스틱(K)이 움직여서 손상을 받게 되는 것이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를 개구부 부근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립스틱(K)을 수납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덮개와 본체부를 접속하는 힌지는 립스틱(K)을 수납할 때의 조작부의 위치와 동일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립스틱(K)을 수납하는 동작을 행할 때, 조작부를 조작하고 있는 손가락을 그대로 조금 이동하는 것 만으로 덮개를 닫는 것이 가능하고, 립스틱(K)의 연속 나옴 조작의 원 터치감을 손상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덮개에는 계합 돌기가 설치되고 있고, 덮개를 닫을 때에는 본체부의 계합 요부와 계합하는 구성으로 되고 있기 때문에, 덮개를 닫을 때에 절도감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확실하게 덮개가 닫아진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단 덮개가 닫히면, 그 계합돌기에 의해서 덮개가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벨트를 접동 가능하게 지시하는 벨트 접동홈은,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굴곡해서 전체로서는 U자형을 형성하고 있고, 벨트는 그 양면에 소정의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서 벨트 접동홈과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소망의 범위 내에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조작부를 상하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사용에 편리함의 좋은 것으로 되고 있고, 저항이 작은 수준을 넘어서 원하지 않을 때에 실수로 립스틱이 연속 나오는 것이 없고 또한 저항이 큰 수준을 넘어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것도 없다. 따라서, 조작부를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의 저항이 소정의 범위로 되고 있는 것 때문에, 연속 나오는 가운데의 립스틱을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남은 립스틱의 양에 관계없이 소정량의 립스틱을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벨트와 본체부와의 사이의 저항에 의해서, 립스틱에 대하여 소정의 압압력을 작용시켜도 립스틱이 눌러 돌아가는 것이 없기 때문에, 계속 내보낸 립스틱을 직접 도포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에서, 조작부에 가해지는 힘을 슬리브 및 지지부에 전달하는 연동부로서 벨트를 이용하였지만, 조작부에 가해진 소정의 힘을, 조작부의 이동량에 대응해서 슬리브 및 지지부에 전달 가능하도록 하면, 다른 어떤 부재를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에서는, 지지부는 접시 형상을 가지고 있고, 립스틱(K)을 그 하단부에서 지지하고, 그 지지부에 립스틱(K)의 하단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립스틱(K)을 지지부에 대해서 고정하고 있지만, 지지부는 다른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원형의 프레임쌍으로서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서, 립스틱(L)의 하부에 두고 그 측면을 끼워 넣어서 지지하는 것으로도 좋고, 립스틱(K)을 고정 가능하게 하고, 조작부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벨트 등 소정의 연동부와 접속 가능하여도 좋다.
기술된 실시예의 도중에, 제2 내지 제4 실시예의 립스틱 용기에서는 승강기구(16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제3실시예의 립스틱 용기에서는 승강기구(160A)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승강기구에 있어서 슬리브와 본체부와의 계합부, 및 지지부와 벨트와의 계합부에 있어서 요철 관계는 다른 조합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돌기(174)를 슬리브측에 설치해서 캠홈(172)을 본체측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고, 제3실시예와 동일하게, 제2돌기(179A
) 를 벨트 측에 설치해서 연결공(175A)을 지지부 측으로 설치하는 것으로도 좋다.
따라서,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승강기구에서는, 상하로 슬라이드하는 조작부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것에 의해서 슬리브 및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되고 있지만, 소정의 조작력을 가할 때의 조작부의 움직임을 전달해서 슬리브 및 지지부가 승강 가능하게 되도록 한다면, 조작부는 소정의 조작력을 받아서 상하의 슬라이드 이외의 움직임을 하는 구성으로서도 좋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서, 우선 슬리브와 립스틱과를 일체로 상승시키고 그 후 슬리브를 소정의 위치로 정지시켜서, 슬리브가 정지된 상태로 그 위로 립스틱을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립스틱을 슬리브의 상단부에서 연속 나옴 가능한 구성으로서 하였지만 립스틱의 슬라이드량을 슬리브의 슬라이드량보다도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도 그러한 립스틱의 연속 나옴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립스틱이 슬리브 내에 수납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에, 상기 슬리이드힘을 1줄 나사를 통해서 슬리브에 전달함과 동시에, 2줄나사를 통해서 립스틱에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립스틱의 슬라이드 량을 슬리브 보다도 크게 되고, 최종적으로 슬리브가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돌출된 후에 립스틱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립스틱 용기의 개구부에 있어서 별개의 덮개를 장착하고, 상승하는 슬리브에 의해서 상기 덮개를 눌러 여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덮개를 폐지해서, 벨트의 상단부를 셧터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따라서 셔터가 개구부를 개폐하기 때문에, 별개 부재로 되는 덮개가 불필요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덮개와 본체부와의 접속부위에 설치된 힌지에 있어서, 덮개에 대해서 닫히는 방향에 스프링력을 가압하는 구성을 가하는 것으로서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립스틱(K)의 수납시에 덮개를 닫는 조작도 불필요하게 되고, 립스틱(K)의 연속 나옴에서 수납까지를 원 터치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에는, 벨트의 구성으로서, 상기한 스프링력의 스트레스에 대향하는 강도를 구비하고, 내구성에 우수한 탄성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는 립스틱(K)을 수납하는 립스틱 용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한 구성의 용기에는 립스틱 이외의 봉 형상 화장료를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이셔도우나 립크림, 파운데이션(컨실러등 얼굴색의 보정용의 것이나 화장 기초를 포함한다) 등의 봉 형상으로 형성 가능한 화장료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이들의 봉 형상 화장료를 수납한 경우에도 원 터치로 화장료를 출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내지 제4실시예에서는, 화장료를 소비한 후에는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정의 카트리지를 교환해서 용기를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는 립스틱(K), 슬리브(140), 본체부(120)의 상단부는 경사된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봉 형상 화장료나 화장 용기의 상단부를 수평면으로 하는 등 그 외의 형태로서도 상관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종류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는, 화장품의 제조, 판매의 분야에 있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6)

  1. 봉 형상 화장료를 출몰 가능하게 수납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수납공을 설치한 케이스본체와, 상기 수납공 내에 출몰 가능하게 수납되고, 동시에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슬리브 내에 내장됨과 동시에 봉 형상화장료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본체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동시에 타단이 상기 슬리브 및 지지부재에 연휴하는 벨트와, 상기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하여 벨트를 통해서 슬리브를 슬리이드시킴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부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슬리브를 봉 형상 화장료에 선행해서 연속 나오고, 최종적으로는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돌출시키는 위치까지 연속해서 나오는 전달부를 갖는 승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전달부는,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하여 벨트를 통해서 슬리브를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에, 상기 슬리브를 소정 위치에 정지시킴과 동시에, 슬리브의 정지 상태로 지지부재와 함께 봉 형상 화장료가 상승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전달부는, 봉 형상 화장료의 슬라이드량을 슬리브보다도 크게 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전달부는, 제1안내수단과 제2안내수단을 구비한 캠기구이고, 상기 제1안내수단은, 케이스본체에 형성된 케이스 측 계합부와,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측 계합부에 계합된 상태에 따라서 슬리브가 접동되도록 형성된 슬리브 측 안내부와, 슬리브 측 안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케이스 측 계합부에 따라서 슬리브를 소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고, 그 후, 슬리브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제2안내수단은, 슬리브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지지부재 및 봉 형상 화장료를 슬라이드하도록 안내하는 화장료 안내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전달부는, 제1안내수단과 제2안내수단을 구비한 캠기구이고, 상기 제1안내수단은, 슬리브에 형성된 슬리브 측 계합부와, 케이스본체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계합시킨 상태에 따라서, 상기 슬리브를 수납공 내에서 접동되도록 형성된 케이스 측 안내부와, 케이스 측 안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슬리브 측 계합부를 따라서 슬리브가 소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안내하고, 그 후, 슬리브의 이동을 규제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제2안내수단은, 슬리브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벨트의 이동에 따라서 지지부재 및 봉 형상 화장료를 슬라이드하도록 안내하는 화장료 안내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수단은, 벨트의 타단과 지지부재와를 연결하는 연결핀과,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서 연결핀을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은, 슬리브가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연결핀과 계합하는 계합부와, 슬리브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을 때에 지지부재를 슬리브에 대해서 이동되도록 연결핀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그 위에, 상기 케이스본체의 개구부의 주변부에 힌지를 통해서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수단의 전달부는, 조작부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하여, 봉 형상 화장료보다 먼저 슬리브의 선단부로 덮개를 압압해서 덮개를 열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덮개의 닫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가압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벨트의 일단부가, 케이스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구성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와 힌지와는, 케이스본체의 동일측에 설치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1.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로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조작력을 받아서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에 전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를 통해서 전해지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납공 내에 두고 슬라이드시켜서, 상기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연속 나옴 가능하게 하는 전달부를 갖는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기구를 형성하는 부재 내, 소정의 부재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연결하는 부재 사이의 착탈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를 상기 본체부를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가동부에 접속해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이동량을 직접 전하는 벨트이고, 상기 전달부는, 제1안내부와 제2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슬리브에 형성된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본체부에 두고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형상에 따라서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하는 본체부 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본체 측 계합결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인도해서 상기 슬리브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슬리브의 회전과 함께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된 후,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벨트의 소정의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와를 연결하는 연결돌기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연결돌기를 계지 가능하여, 상기 슬리브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연결돌기의 계지상태를 해제 가능하게 형성시킨 계지부와,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있을 때에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슬리브에 대해서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연결돌기를 인도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착탈기구는,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연결돌기를, 각각 상기 본체 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벨트의 소정의 위치와에 착탈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본체부에서 착탈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연결돌기의 적어도 어느 쪽 일측은, 대응하는 상기 슬리브 또는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탄성구조의 상부에 설치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상기 연결돌기를,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상기 벨트 측 연결부의 근방까지 인도하는 제1도입홈과,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서, 상기 수납공 내부에 인도하는 제2인도홈을 구비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입홈에 있어서, 상기 벨트 측 연결부의 근방에 볼록부를 형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입홈과 상기 제2도입홈은,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 상기 가이드홈에 있어서 계지부에 계지하는 상기 연결돌기와의 거리에 대응해서 형성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가동부에 접속해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접동 가능하게 설치된 벨트이고, 상기 전달부는, 제1안내부와 제2안내부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안내부는,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본체부 측 계합부와, 상기 슬리브에 두고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형상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 측 계합부를 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하는 슬리브 측 계합결합부와, 상기 슬리브 측계합결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 측 계합부를 인도해서 상기 슬리브를 소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그 후의 슬리브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안내부는, 상기 슬리브의 회전과 함께 상기 슬리브의 움직임이 규제된 후,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적어도 상기 슬리브가 상기 개구부에 도달하기까지는 상기 슬리브를 상기 봉 형상 화장료에 선행해서 연속 나오도록 구성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의 전달부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연동부를 통해서 상기 슬리브에 전하고, 상기 슬리브를 소정의 위치까지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정지시킨 후에, 상기 슬리브가 정지된 상태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가 이동되고, 상기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연속 나오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의 전달부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슬라이드량을 상기 슬리브의 슬라이드량보다 크게 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있어서, 소정의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를 가지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연속 나오는 슬리브의 선단부에 의해서 상기 덮개를 눌러 열리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덮개의 닫히는 방향에 스프링력을 가압하도록 구성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가동부를 상기 개구부 부근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납공 내에 수납하도록 구성시키고, 상기 덮개를 상기 개구부에 장착하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 및 상기 슬리브가 상기 수납공 내에 수납된 때 상기 가동부의 위치와 동일 측에 설치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개구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덮개를 가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가동부와 접속해서 설치되고,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봉 형상 화장료 용기.
  27. 적어도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제11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가 구비된 상기 승강기구에 포함하는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를 착탈하는 것에 의해서, 제11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를 구성하는 부재의 내, 본체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4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가 구비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되는 상기 본체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재가 제14항 기재의 봉 형상 화장료 용기가 구비되는 상기 본체부인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수납한 때에,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전체를 피복 가능한 형상을 구비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가 수납하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캡을 구비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를 덮은 캡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배치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투명한 부재에 의하여 형성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슬리브의 외주부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슬리브의 선단부에 향해서 작용하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필요하는 힘보다도 작은 힘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저부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접속된 상기 연결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이 구비된 상기 계지부에 계지되고 있는 상태로 지지 가능하게 지지커버를 구비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는 상기 연결돌기를 계합시키는 제1계합홈과,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를 계합시키는 제2계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계합홈과 상기 제2계합홈은, 상기 슬리브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계지부에 계지하는 상기 연결돌기와 상기 슬리브 측 계합부와의 위치관계에 대응한 위치에 교대로 평행하게 형성된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36.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적어도 선단부를 수납하는 슬리브와, 일단에 개구부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수납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봉 형상 화장료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수납하는 수납공을 형성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소정의 조작력을 받아서 이동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에 전하는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를 통해서 전해지는 상기 가동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슬리브를 상기 수납공 내에 있어서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슬리브 및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의 선단부가 연속 나옴 가능하게 하는 전달부와를 구비하는 승강기구를 형성하고, 소정의 착탈부에 있어서, 상기 봉 형상 화장료 및 상기 승강기구를 형상하는 부재를, 상기 본체부마다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기구를 구비하는 봉 형상 화장료 용기.
KR1019970709872A 1995-09-14 1996-06-27 봉 형상 화장료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KR10023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220595 1995-09-14
JP262205 1995-09-14
JP8126358A JP2905144B2 (ja) 1995-09-14 1996-04-22 棒状化粧料容器
JP126358 1996-04-22
JP150321 1996-05-21
JP8150321A JP2880951B2 (ja) 1995-09-14 1996-05-21 棒状化粧料容器および棒状化粧料カートリッ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027A Division KR100235667B1 (ko) 1995-09-14 1996-06-27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553A KR19990028553A (ko) 1999-04-15
KR100235666B1 true KR100235666B1 (ko) 1999-12-15

Family

ID=273153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872A KR100235666B1 (ko) 1995-09-14 1996-06-27 봉 형상 화장료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KR1019970703027A KR100235667B1 (ko) 1995-09-14 1996-06-27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027A KR100235667B1 (ko) 1995-09-14 1996-06-27 봉 형상 화장료 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6012863A (ko)
EP (3) EP1084646A3 (ko)
JP (2) JP2905144B2 (ko)
KR (2) KR100235666B1 (ko)
CN (2) CN1199602C (ko)
AU (1) AU693379B2 (ko)
BR (1) BR9606633A (ko)
DE (1) DE69612079T2 (ko)
ES (1) ES2154827T3 (ko)
HK (1) HK1002447A1 (ko)
MY (1) MY119137A (ko)
NZ (1) NZ311173A (ko)
WO (1) WO19970099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59B1 (ko) 2012-05-04 2013-12-27 (주)톨리코리아 화장기구의 손잡이 출몰장치
KR20150138729A (ko) * 2014-06-02 2015-12-10 신종수 다목적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9001050A1 (en) 1987-07-31 1989-02-0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elective amplification of target polynucleotide sequences
JPH119574A (ja) * 1997-06-24 1999-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運動機能検査装置
DE10011244C2 (de) * 2000-03-08 2002-09-12 Gerhard Moeck Auftragsgerät mit einer Auftragsmine
DE60112417T2 (de) * 2000-04-04 2006-06-01 Takeda, Shiro Schminkset und aufbewahrungsetui für kosmetika
US6409403B1 (en) * 2000-11-13 2002-06-25 Manco, Inc. Glue stick
GB0028362D0 (en) * 2000-11-21 2001-01-03 Optoplast Plc Improvements in cases for personal accessories
DE10214173C1 (de) * 2002-03-27 2003-12-18 Coty Bv Kosmetikapplikator
WO2006061720A2 (en) * 2004-12-08 2006-06-15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ridge dispensing system
KR200408898Y1 (ko) * 2005-12-05 2006-02-14 강성일 립스틱 용기
FR2907321B1 (fr) * 2006-10-18 2008-12-12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EP2125385A4 (en) * 2006-12-21 2014-12-10 Avon Prod Inc COSMETIC APPLICATOR WITHOUT CAP
FR2923687B1 (fr) * 2007-11-20 2010-10-08 Bourjois Conteneur a element d'application escamotable pour produit cosmetique solide ou pateux.
JP4770852B2 (ja) * 2008-03-18 2011-09-14 有限会社瑞穂 分解可能なブラシ
US20100054842A1 (en) * 2008-09-02 2010-03-04 Devito Ralph Slide Up Lipstick Dispenser
WO2010111236A1 (en) * 2009-03-23 2010-09-30 Craig Carroll Improved cosmetic substance dispenser
US8690465B2 (en) * 2009-05-12 2014-04-08 Avon Products, Inc Capless cosmetic applicator
KR200457812Y1 (ko) * 2009-05-21 2012-01-05 김경숙 립스틱 용기
FR2950230B1 (fr) * 2009-09-18 2011-12-09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stick de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cosmetique.
JP5570825B2 (ja) * 2010-01-13 2014-08-13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油性棒状化粧料
TWM427048U (en) * 2011-09-06 2012-04-21 Shya Hsin Plastic Works Co Ltd Automatic cover-lifting turning lipstick case structure
WO2014207869A1 (ja) * 2013-06-27 2014-12-31 ジャプロ株式会社 スライド式メークアップ用具
WO2015062019A1 (zh) * 2013-10-31 2015-05-07 浙江阿克希龙舜华铝塑业有限公司 口红管
EP3062658A1 (en) * 2013-11-20 2016-09-0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FR3018434B1 (fr) * 2014-03-11 2016-05-06 Axilone Plastique Etui specialement destine a contenir un baton tel qu'un raisin de rouge a levres et produit comprenant un baton emballe dans un tel etui.
KR200478730Y1 (ko) * 2014-05-09 2015-11-11 (주)아모레퍼시픽 슬라이드 타입의 립스틱 용기
EP3148367B1 (en) * 2014-05-30 2019-06-19 Alviar, Zoilo-Luis Refillable lipstick with retractable sleeve
US9867448B2 (en) 2014-09-15 2018-01-16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ntainer with collapsible applicator
EP3194285A4 (en) 2014-09-18 2018-04-18 HCT Group Holding Limited Quick release base and lid assembly container
WO2017011350A1 (en) 2015-07-10 2017-01-19 HCT Group Holdings Limited Revolving compact
USD818641S1 (en) * 2016-03-16 2018-05-22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s applicator with cap
USD821034S1 (en) 2016-03-16 2018-06-19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compact
US10244847B2 (en) 2016-03-16 2019-04-02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applicator with aligning cap
USD866080S1 (en) 2017-03-14 2019-11-05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stick
USD842548S1 (en) 2017-03-14 2019-03-05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applicator
JP6271792B1 (ja) * 2017-04-14 2018-01-31 株式会社伊勢半 棒状化粧料容器
USD846197S1 (en) 2017-07-07 2019-04-16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mbined cosmetic stick and compact
USD850007S1 (en) 2017-07-07 2019-05-28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stick
US10874193B2 (en) 2018-03-14 2020-12-29 HCT Group Holdings Limited Wheel actuated cosmetic stick
JP7085936B2 (ja) * 2018-07-31 2022-06-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操出容器
KR102074272B1 (ko) * 2018-08-02 2020-02-06 (주)아모레퍼시픽 듀얼 출몰체를 갖는 화장케이스
CN109247694A (zh) * 2018-11-15 2019-01-22 宁波杰立化妆品包装用品有限公司 手推式眉笔
US10835016B1 (en) 2019-07-17 2020-11-17 Jane Galitello Cosmetic case
FR3100435B1 (fr) * 2019-09-06 2023-07-14 Albea Services Réceptacle d’un produit cosmétique et recharge pour un tel réceptacle
USD984053S1 (en) 2020-05-06 2023-04-18 Frederick Bethel Lipstick extracting device
CN111568127B (zh) * 2020-05-20 2021-04-16 苏州煊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展示柜
CN114098263A (zh) * 2020-08-26 2022-03-01 辽宁泓新科技成果转化服务有限公司 一种碱蓬草口红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44419C (de) * 1930-10-17 1932-02-18 Jean Patou Halter fuer Schminkstifte
US2033333A (en) * 1931-11-09 1936-03-10 Briggs & Stratton Corp Lip stick holder
US2107444A (en) * 1932-02-13 1938-02-08 Majestic Metal Specialties Inc Lipstick holder
US1919133A (en) * 1932-07-21 1933-07-18 Rolot Georges Automatically opening paint tube
US1955295A (en) * 1932-09-02 1934-04-17 Scovill Manufacturing Co Lip stick holder
US2118399A (en) * 1934-10-31 1938-05-24 Bridgeport Metal Goods Mfg Co Cosmetic holder
FR940313A (fr) * 1947-02-04 1948-12-09 G Rolot & H Lemasson Ets Perfectionnements aux étuis à fard avec couvercle à ouverture et fermeture automatiques
FR970889A (fr) * 1948-08-27 1951-01-10 Ile Mellor Soc Civ étui à fard à ouverture et fermeture automatiques
FR995246A (fr) * 1949-09-13 1951-11-29 étui automatique pour bâton de rouge à lèvres ou article similaire
US3082869A (en) * 1958-06-12 1963-03-26 Bau Robert Gordon Cosmetic stick
US3036702A (en) * 1960-09-16 1962-05-29 Hazel E Davis Lipstick holder
FR1344498A (fr) * 1962-10-19 1963-11-29 Extracteur de reste de rouge à lèvres et produits similaires, et ensemble extracteur recharge combiné
US3348670A (en) * 1966-10-21 1967-10-24 Bau Robert Gordon Cosmetic stick container
JPS49145882U (ko) * 1973-04-20 1974-12-17
US3954114A (en) * 1974-02-04 1976-05-04 Vca Corporation Lipstick case
JPS599095B2 (ja) * 1977-08-23 1984-02-29 富士通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記録装置におけるサ−ボヘッド位置決め制御装置
JPS5945214B2 (ja) * 1978-10-09 1984-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状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S5660507A (en) * 1979-10-18 1981-05-25 Haruyo Uno Holding case for carrying out pushing out of contained article in case and withdrawing operation of case lid plate by one touch
YU322380A (en) * 1979-12-27 1983-02-28 Teleplastics Ind Holder container for solid rod-shaped insertions, e.g. refills for ball-point pens or the like
JPS5745812A (en) * 1980-08-30 1982-03-16 Elkem Spigerverket As Apparatus for adjusting length of leg of table , bench , chair , rack and support
JPS5812217U (ja) * 1981-07-15 1983-01-26 小堀 しづ 電気保温洋服
JPS5812214U (ja) * 1981-07-17 1983-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人工整姿用パツド
JPS58112217A (ja) * 1981-10-05 1983-07-04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機器のスイツチ装置
JPS5877612A (ja) * 1981-11-02 1983-05-11 Mitsutoyo Mfg Co Ltd 座標測定方法
MX159074A (es) * 1981-11-03 1989-04-14 Colgate Palmolive Co Mejoras a procedimientos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oral anti calculo
JPS5880920A (ja) * 1981-11-07 1983-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機
JPS5886018A (ja) * 1981-11-13 1983-05-23 辻製油株式会社 きのこ栽培用の培養基
JPS5888913A (ja) * 1981-11-20 1983-05-27 Hiroshi Miyagawa 自動等化器
JPS5888914A (ja) * 1981-11-20 1983-05-27 Hiroshi Miyagawa 自動等化器
JPS58106015A (ja) * 1981-12-17 1983-06-24 Takenaka Komuten Co Ltd 場所打ちコンクリ−ト杭の施工法
JPS58112214A (ja) * 1981-12-26 1983-07-04 株式会社富士電機総合研究所 電気接点材料の製造方法
JPS58163113A (ja) * 1982-03-19 1983-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開閉器の操作機構
JPS58163113U (ja) * 1982-04-23 1983-10-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繰出し容器
FR2534827A1 (fr) * 1982-10-22 1984-04-27 Air Liquide Procede de traitement de gaz par adsorption comportant plusieurs adsorbeurs en phase de production simultanee
JPS5975206A (ja) * 1982-10-25 1984-04-27 Seiko Epson Corp カラ−・フイルタ−
JPS5975206U (ja) * 1982-11-15 1984-05-22 株式会社資生堂 繰出し容器
JPS6040209A (ja) * 1983-08-13 1985-03-02 松下電工株式会社 石綿セメント系建築用板の製造法
JPS6080720A (ja) * 1983-10-07 1985-05-08 Sumitomo Metal Ind Ltd 溶融金属量測定方法
JPS6086213A (ja) * 1983-10-18 1985-05-15 Isuzu Motors Ltd 内燃機関のクランク軸の製造方法
JPS60113716A (ja) * 1983-11-26 1985-06-20 Nippon Denso Co Ltd 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吹出モ−ド切換操作装置
JPS60126112A (ja) * 1983-12-13 1985-07-05 株式会社エル・アイ・シ− スチ−ム送出ドライヤ
JPS61134716A (ja) * 1984-12-05 1986-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合焦点検出装置
JPS61134717A (ja) * 1984-12-06 1986-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合焦式イメ−ジスキヤナの合焦状態調節方法
JPS61151607A (ja) * 1984-12-26 1986-07-10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ビ−ム切換装置
JPS6269935A (ja) * 1985-09-19 1987-03-3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ロ−ルベ−ラのベ−ル結束方法
JPS62178918A (ja) * 1986-02-01 1987-08-06 Canon Inc ガリレオ型実体顕微鏡の対物レンズ
JPH0753127B2 (ja) * 1986-07-25 1995-06-07 株式会社飛弾製作所 棒状化粧品容器
JPH0525535Y2 (ko) * 1987-05-22 1993-06-28
US4973178A (en) * 1987-07-31 1990-11-27 Yoshino Kogyosyo Co., Ltd. Cosmetic casing capable of protruding cosmetic material
JPH01101420A (ja) * 1987-10-14 1989-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センサ回路
JPH01101421A (ja) * 1987-10-15 1989-04-19 Sharp Corp 可変干渉装置
JPH0182819U (ko) * 1987-11-24 1989-06-02
JPH02102112A (ja) * 1988-10-12 1990-04-13 Koroido Res:Kk シリカアルミナ前駆体ゾルの製造方法
JPH02134919U (ko) * 1989-04-10 1990-11-08
JPH0334415U (ko) * 1989-08-07 1991-04-04
JPH0477813A (ja) * 1990-07-13 1992-03-11 Nec Off Syst Ltd キーボード
FR2676340B1 (fr) * 1991-05-17 1993-08-06 Lucas Marthe Distributeur a curseur coulissant verticalement pour baton cosmetique ou autres.
US5171096A (en) * 1992-05-27 1992-12-15 Dominic Perrotti Holder for lipstick with movable covers
JP2904711B2 (ja) * 1994-10-21 1999-06-14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用カートリッ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59B1 (ko) 2012-05-04 2013-12-27 (주)톨리코리아 화장기구의 손잡이 출몰장치
KR20150138729A (ko) * 2014-06-02 2015-12-10 신종수 다목적 개폐장치
WO2015186933A1 (ko) * 2014-06-02 2015-12-10 신종수 다목적 개폐장치
KR101631291B1 (ko) * 2014-06-02 2016-06-24 신종수 다목적 개폐장치
US10094455B2 (en) 2014-06-02 2018-10-09 Jong-Soo Shin Multipurpos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84646A3 (en) 2003-08-27
KR100235667B1 (ko) 1999-12-15
AU6243196A (en) 1997-04-01
AU693379B2 (en) 1998-06-25
CN1201694C (zh) 2005-05-18
HK1002447A1 (en) 1998-08-28
KR19990028553A (ko) 1999-04-15
EP1084647A2 (en) 2001-03-21
EP0791308A1 (en) 1997-08-27
NZ311173A (en) 1999-01-28
EP0791308B1 (en) 2001-03-14
WO1997009902A1 (fr) 1997-03-20
EP1084646A2 (en) 2001-03-21
EP0791308A4 (en) 1999-01-20
US6315479B1 (en) 2001-11-13
JP2905144B2 (ja) 1999-06-14
CN1199602C (zh) 2005-05-04
DE69612079T2 (de) 2001-09-20
US6022160A (en) 2000-02-08
JPH09308526A (ja) 1997-12-02
JPH09135726A (ja) 1997-05-27
CN1166775A (zh) 1997-12-03
JP2880951B2 (ja) 1999-04-12
CN1515204A (zh) 2004-07-28
US6012863A (en) 2000-01-11
ES2154827T3 (es) 2001-04-16
BR9606633A (pt) 1997-11-11
MY119137A (en) 2005-04-30
EP1084647A3 (en) 2003-08-27
DE69612079D1 (de) 2001-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666B1 (ko) 봉 형상 화장료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EP2407049A2 (en) Cosmetics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before use
SE446416B (sv) Bildbetraktningsapparat
CA2571613C (en) Cover structure for enclosing a removable fluid-dispensing reservoir between the cover and an exterior surface of a toothbrush
WO2019142847A1 (ja) 棒状化粧料収納容器
EP2168535B1 (en) Intraocular lens injection instrument
EP3791762B1 (en) Beverage brewing structure and beverage machine
EP1272241B1 (en)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vial
JP3974267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CN117042653A (zh) 用于棒状产品的可再填充分配器
JP6124689B2 (ja) 化粧用コンパクトケース
JPH10304930A (ja) 棒状化粧品容器
EP0894453B1 (en) Improvements to cosmetic pencils
JP2013192802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料収容容器
KR200316075Y1 (ko) 화장품 용기
KR200197519Y1 (ko) 화장용품 케이스
KR20230125408A (ko) 립밤의 승강이 용이한 립밤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262410Y1 (ko) 화장품 용기의 개폐장치
CN117803270A (zh) 门体铰链组件和门中门箱体
KR200350799Y1 (ko) 붓통
CN115005651A (zh) 一种掀盖式杯盖及应用该杯盖的容器
JPS6239821Y2 (ko)
JP4394896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3126322U (ja) 眼鏡ケース
KR0112706Y1 (ko)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