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706Y1 -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706Y1
KR0112706Y1 KR2019940020956U KR19940020956U KR0112706Y1 KR 0112706 Y1 KR0112706 Y1 KR 0112706Y1 KR 2019940020956 U KR2019940020956 U KR 2019940020956U KR 19940020956 U KR19940020956 U KR 19940020956U KR 0112706 Y1 KR0112706 Y1 KR 0112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main body
protruding
positio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022U (ko
Inventor
이홍근
Original Assignee
이홍근
주식회사 연합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근, 주식회사 연합유리 filed Critical 이홍근
Priority to KR201994002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706Y1/ko
Publication of KR960007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목 적 : 본 고안은 용기의 외면에 손잡이가 최대한으로 밀착되는 상태에서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하게 하고 용기 내부에 충진된 물질을 따라내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의 돌출상태가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목적과 손잡이 부재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조립상태가 안정함에 있다.
(구성) 본 고안은 본체(100)에 삽입하는 용기(101)를 고정과 뚜껑의 결합분리를 위해 상하측에 설치하는 허브링부재와; 상기의 허브링부재에 힌지 결합을 이루어서 복귀위치와 돌출위치를 지점회전으로 형성하도록 설치하는 손잡이 부재(200)와; 손잡이부재가 삽입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진 가이드구(225)에서 슬라이딩을 하여 돌출위치에서 제2손잡이의 록킹 및 언록킹을 이루는 위치결정구(220)와;상기 위치결정구의 위치결정부재를 상기 허브링부재의 고정부(110)에 조립하는 구성에 의하여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보온용기의 일부 단면상태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대한 손잡이부재와 상측허브링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대한 위치결정구와 상측허브링에 대한 발췌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상측허브링과 위치결정구 및 제2손잡이를 조립한 상태의 평단면도
제5도(가)(나)는 본 고안의 제2손잡이를 위치결정구에 조립하는 순서를 보인 정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손잡이부재가 복귀위치에서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제7도(가)(나)(다)는 종래의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구성에 대한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본체 101 : 용기
102,103 : 상,하측허브링 110 : 고정부
116 : 이탈방지편 200 : 손잡이 부재
201 : 제1손잡이 202 : 제 2손잡이
207 : 멈춤편 208 : 절개홈
220 : 위치결정구 224 : 가이드홀
225 : 가이드구 226 : 고정홈
본 고안은 보온용기의 내용물을 안진하게 따라 내기 위하여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은 때에는 보온용기의 원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하여 용기에는 보온재를 적용하였고, 이 용기의 상부에는 용기의 내용적을 개패하는 뚜껑이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뚜껑이 열린 용기를 손으로 파지하여 소정의 상태로 운영하기 위하여는 용기의 주변에 손잡이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손잡이들은 용기의 취급을 편리하게 하는 특징이 있어, 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손쉽게 용기외부로 덜어 낼 수 있으나 휴대 및 운반시에는 손잡이의 돌출높이가 휴대자에게 불편을 주었다.
따라서 손잡이가 용기의 휴대시에는 돌출높이가 손잡이 또는 손잡이 기구물에서 최소의 높이로 낮아지게 하는 구성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용기의 손잡이 돌출높이가 최소로 낮아지는 구성에 대한 일예로는 제7도(가)에 도시한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소 61-56939의 '용기의 손잡이'를 지적할 수 있다. 이는 손잡이부(501)를 관절부(502)에 상호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시켜 손잡이(500)를 구성하며 해당 손잡이(500)의 일단을 용기본체(400)의 측면에 구동부착하는 것으로 하여 전기 손잡이(500)의 타단을 용기본체(400)의 측면의 전기 구동부착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시켜 손잡이(500)의 전기 타단을 용기본체(400)에서 제외시킨 상태에 놓고 손잡이(500)를 용기본체(400)의 측면 및 단면에 연하여 전기 관철부(502)로 회절하여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의 구성을 갖추었는데 이 구성에서는 손잡이(500)의 파수취부를 중심으로 손잡이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손잡이부(501)선단이 걸어지고, 하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용기의 수납홈(401)으로 삽입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 구성에서 손잡이는 용기에 단순한 구성으로 걸어지므로 불안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손잡이 미사용시 용기의 하측에서 돌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자에게 휴대 및 보관시에 불편함을 주었던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의 손잡이 돌출높이가 최소로 낮아지는 구성에 대한 다른 일예로는 제7도(나)에 도시한 실용신안공고 제91-176의 '휴대용 용기'를 지적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부측벽을 보유하는 본체(600)와 한쪽끝이 측벽에 회동자재하게 부착되는 안내부재(701)와; 한쪽 끝이 링크(705)의 다른쪽 끝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미끄럼 운동하기 위하여 안내부재(701)와 맞물림 하는 슬라이드 부재(710)로 이루어져서 측벽의 외면에 부착되는 절첩식 손잡이부(700)로 구성되어 전기한 손잡이부700)가 전기한 링크(705)와 전기한 슬라이드부재(710)의 경첩식으로 연결된 끝부분이 전기한본체(600)의 측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수축위치와 전기한 경첩식으로 연결된 끝부분이 전기한 본체의 측벽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떨어지는 전체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휴대형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부(7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600)의 외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로 수축위치에 있다가 손잡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잡아 당기면 안내부재(701)는 회전이동을 하고, 이에 연결된 슬라이드부재(710)가 본체(600)에 연결된 링크(705)에서 인출되며 슬라이드부재(710)가 링크(705)에서 슬라이드될 때 고정돌기가 받침돌기와 맞물림상태를 이루고 V형상 맞물림부는 제2지지홈에 맞물리는 상태를 이루어 전개상태를 지속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가 본체의 측벽면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본체에서 손잡이는 최소의 돌출높이를 갖게 되고, 본체의 내용에 따라 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최대한의 높이를 돌출되면서 그 최대한의 돌출상태가 록크되는 구성에 의하여 유지되나, 슬라이드 부재의 내부에 링크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홀을 구성함과 그 홀속에는 링크와 결합을 이루기 위한 록크구성을 형하여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이 제공되어 제작과 조립작업이 번거러운 구성인 것이다.
그 대표적인 구성으로는 제7도(다)에 도시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 60-109549의 '용액체용기'를 지적할 수 있다. 상기 공개 실용신안에 의하면 하나의 링(801,802)과 그 링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파지체(901)로 되는 손잡이(900)를, 전기 하나의 링을 용기본체(800)의 외주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용기본체(800)에 부착한 휴대용 액체용기에 있어서, 전기 파지체(901)가 용기본체(800)의 외주에 접근 분리전개가 가능토록 이동하도록 그 양단부를 전기 하나의 링에 가동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파지체(901)를 용기 본체(800)의 외주에 접근시켜 놓은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결정수단(91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파지체(901)의 양단에 활동편(920)의 일츳이 연결되고, 활동편(920)의 타측은 용기본체(800)에 연결된 구성을 이루어 손잡이(900)가 용기본체(800)에 근접한 상태에서는 활동편(920)과 손잡이(900)가 수평한 상태를 이루고, 용기본체(800)를 취부하기 위하여 손잡이(900)를 파지하면 손잡이(900)는 용기본체(800)에서 분리되면서 들려지고 수평한 상태의 활동편(920)이 경사지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손잡이(900)의 양단이 모두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손잡이(900)를 잡아 당긴상태에서 용기본체(800)를 수직하게 세워 손잡이(900)를 파지하여 들거나 바닥을 향하여 기울이면 용기본체의 하중이 용기본체(800)의 중심으로 몰리게 되므로 손잡이의 양단이 활동편(92O)에 연결된 상태에서 용기의 하중이 용기의 무게중심으로 몰리게 되어 용기본체가 손잡이(900)하측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용기본체(800)의 개구측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용물을 따라내는 동작을 사용자가 안정되게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용기의 외면에 손잡이가 최대한으로 밀착되는 상태에서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하게 하고, 용기 내부에 충진된 물질을 따라내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의 돌출상태가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유지되도륵 함을 목적으로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손잡이 부재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조립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휴대용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본체의 고정과 뚜껑의 결합분리를 위해 상하측에 설치하는 허브링부재와; 상기의 허브링부재에 끼워맞춤조립과 힌지결합을 이루어서 복귀위치와 돌출위치까지 관절운동으로 이동하도록 설치하는 손잡이 부재와; 손잡이부재의 관절운동시 돌출위치에서 꺽임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구의 소정의 높이에서 제2손잡이의 상단록킹을 이루고 복귀위치에서 하단록킹을 이루는 위치결정부재와;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상기 허브링부재의 고정부에 조립하는 구성에 의하여 가능하다.
이어서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체가 보유하고 있는 열에너지를 보온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부재 및 단열구성으로 이루어진 용기(101)와; 상기 용기가 삽입되는 공간과 상기 용기를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본체(100)의 상하위치에 결합되는 허브링(102)(103)으로 이루어진 허브링부재와; 상기 허브링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용기의 주입구를 나사산과 손잡이를 일체로 형성한 마개(104)의 나사식 조립과 분해에 의하여 개폐하는 마개부재와; 상기 마개부재를 포함하여 본체의 상부를 덮어 씌우거나, 개방하며 휴대용 컵역할을 하는 보호캡(105)과;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의 휴대시 또는 운반시에 본체의 측면에 밀착되어 운자반시에 최소한의 돌출높이를 이루고,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를 본체로부터 최대한의 돌출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손잡이부재(200)로 이루어진 휴대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100)에 결합되는 허브링 부재중 하측 허브링(103)일측면에 돌출시킨 힌지부(106)에는 손잡이부재(200)의 제1손잡이(201) 하단에 형성된 힌지부(20la)를 결합시켜 이들에서 일치하는 통공으로 통상의 힌지핀(107)을 삽입하여 이탈하지 않게 고정한다.
상기 제1손잡이(201)의 상단에는 또 하나의 힌지홀을 가진 힌지부(203)가 형성되어 있어 이에 제2손잡이(202)의 하측에 형성된 힌지부(204)를 결합시켜 이들에 일치하는 통공으로 통상의 힌지핀(206)을 삽입시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여 손잡이부재(200)를 형성한다.
상기의 힌지핀(206)에 의하여 조립되는 손잡이부재(200)의 제1, 제2손잡이(201)(202)는 힌지핀(206)을 중심으로 관절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손잡이부재(200)의 관절운동을 통하여 본체(100)의 외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1손잡이는 지점회전을 하는 상태이고, 제2손잡이(202)는 소정의 행정간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2손잡이(202)는 최대로 이동한 장소에서 손잡이부재(200)의 돌출상태를 지지하게 된다.
손잡이부재의 돌출상태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손잡이(202)의 바닥 테두리 면을 돌출시키고 돌출부위의 바닥테두리면에서 제2손잡이(202)의 선단에 이르도록 절개홈(208)을 형성하여 제2손잡이(202)의 선단을 지점으로하여 탄력을 보유하는 멈춤편(207)을 형성한다.
상기의 멈춤편(207)을 제2손잡이보다 큰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은 정지위치에서 최대이동 위치까지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재료자체에 보유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 탄성력은 손잡이부재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다.
그리고, 제2손잡이(202)선단의 양측면에는 손잡이부재(200)가 돌출위치와 복귀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상측허브링(102)과 손잡이부재(200)를 연결하는 돌기(205)를 형성한다.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어 본체 내부로 삽입된 용기(101)와의 결합을 이루는 상측 허브링(102)은 손잡이부재(200)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일측면에 고정부(110)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의 고정부(110)는 하측 허브링(103)의 힌지부(106)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형성하고, 하단에 위치결정구(220)가 삽입될 수 있는 입구(111)를 형성하는 구성에 의하여 하단은 제외한 둘레에 'ㄷ'형의 가이드벽(11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10)의 가이드벽(112)에는 위치결청구(220)의 삽입안내 및 결합후 위치결정구의 요동과 전방으로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편(116)을, 그리고 이탈방지편의 입구에는 위치결정구(220)의 이탈방지턱(222)에 덧씌워져 입구측으로 위치결정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홈(116a)을 형성한다.
허브링부재의 상측 허브링(102)에 형성된 고정부(110)에는 허브링부재와 손잡이부재를 연결하며 손잡이부재의 돌출위치와 복귀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구(220)는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입구(111)의 크기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고정부(110)의 가이드벽(112) 선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편(116)과 상호 끼움상태를 이루는 이탈방지턱(222)을 위치결정구(220)의 테두리에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턱(222)에는 고정부(110)의 결합홈(116a)에 끼워져 입구(11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돌기(222a)를 형성한다.
이러한 위치결정구(220)의 전면에는 본체(100)의 위치결정구 고정홈(100a)과 결합을 이루기 위한 결합돌부(226)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그 배면에는 제2손잡이(202)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 바닥에는 복귀위치와 돌출위치를 형성하며 돌출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홈(226)이 형성된 가이드구(225)를 형성하고 또 제2손잡이(202)가 복귀위치에서 탄력접촉을 이루도록 얇은 두께로 돌출시켜 리브(2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양측면에는 제2손잡이(202)를 복귀위치와 돌출위치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4)을 형성하고, 위치결정구(220)의 양측면과 이어지는 출입구에는 상기 가이드홈(244)으로 제2손잡이(202)의 돌기(205)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홈(223)을 가이드홈(224)과 이어지도록 형성하되, 가이드홈으로의 삽입은 용이하고, 가이드홈(224)에 삽입된 후에는 돌기(205)가 이탈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본 고안의 구성중에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 허브링(102)에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된 고정부(110)의 상부측에서는 보호캡(105)을 손쉽게 착탈하기 위한 보조 손잡이(105a)가 조립고정 되게 설치한 구성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본체(100)의 하측 허브링(103)에 손잡이부재(200)를 힌지핀(107)으로 연결하고, 상측허브링(102)의 고정부(110)에는 위치결정구(220)를 제3도와 같이 삽입하면 본체의 위치결청구결합홈(100a)으로 위치결정구(220)의 결합돌부(226)이 제4도와 같이 조립되는 상태를 이루고, 고정구(110)의 이탈 방지편 (116)과 결합홈(116a)에 위치결정구(220)의 테두리 상단에 형성한 이탈방지턱(222)과 이탈방지돌부(222a)가 결합되어 위치 결정구(220)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재(200)의 선단에 연결된 제2손잡이(202)를 상기의 위치결정구(220)에 조립한다.
즉, 제2손잡이(202)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205)를 상측 허브링(102)에 결합된 위치결정구(220)의 삽입홀(223)에 일치시켜 밀어 넣으면 돌기(205)는 삽입홀(223)을 통하여 가이드홈(224)으로 삽입될때 돌기(205)가 돌출된 제2손잡이(202)의 측벽은 약간 수축되면서 이동하여 삽입홀(223)의 턱을 넘어서게 되어 가이드홀(224)에 돌기(205)가 걸리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멈춤편(207)은 제2손잡이(202)보다 큰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제2손잡이 삽입시 위치결정구 바닥에서 돌출된 가이드구(225)에 멈춤편(207)이 걸리는 현상이 있으나, 멈춤편(205)은 절개홈(208)에 의하여 휘어질수 있고 자체적으로 복귀하는 탄성을 보유하고 있어서 멈춤편(207)이 가이드구(225)에 접촉된 상태에서 삽입력에 의해 가이드구를 타고 넘어가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의 멈춤편(207)은 가이드구(225)를 타고 넘어간 이후에 자체에 보유한 탄력으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조립되면 본체(100)의 상하측 허브링(102)(103)사이에 손잡이부재(200)가 연결된다.
본체(100)에 연결된 손잡이부재(200)는 취급상태에 따라서 복귀위치와 돌출위치에 있게 되는데 제2손잡이(202)의 멈춤편(207)선단이 가이드구(225)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를 이루어 복귀위치에서나 돌출위치에서 손잡이부재(200)는 유동되지 않아 안정된 상태를 지속한다.
특히 손잡이부재(200)가 복귀위치에 있을 때 제2손잡이(202)는 위치결정구(220)의 리브(221)에 닿아 있는 상태이므로 그 탄력을 받는 손잡이 부재(200)는 하단 록킹상태를 이루어 용기본체에 수평하게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의 용기속에 충진된 내용물을 따라 내고자 할때 손잡이부재(200)를 파지하게 된다. 손잡이부재를 파지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2손잡이(202)에 형성된 파지홈(202)을 잡고서 당기면 손잡이 부재(200)는 힌지부(203,204)에서 관절운동을 함과 동시에 제2손잡이(202)가 위치결정구(220)에서 돌출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2손잡이(202)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205)는 위치결정구(220)내벽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홀(224)을 따라 이동을 하므로 제2손잡이(202)는 수평상태에서 점차적으로 경사지는 상태를 이루며, 이에 힌지 연결된 제1손잡이(201)는 하측 허브링(103)의 힌지부(106)에서 지점회전을 하면서 경사지는 상태를 이루게된다.
상기의 제2손잡이(202)가 돌출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제2손잡이 하단에 있는 멈춤편(207)은 가이드구(225)의 곡면에 제6도와 같이 탄력접촉하여 휘어진 상태로 이동하며 제2손잡이(202)가 돌출위치에 이르면 멈춤편(207)도 가이드구(225)의 최상단위치에 도달되는데 이곳은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멈춤편(207)의 탄력이 복귀되어 수직한 상태로 되고 동시에 가이드구(225)의 고정홈(226)으로 멈춤편(207)이 삽입되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멈춤편(207)이 가이드구(225)의 고정홈(226)으로 삽입되는 상태에서는 제2손잡이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205)도 가이드홀(224)끝에 닿아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2손잡이(202)는 제6도와 같이 경사지게 정지된 상태를 이루며 동시에 제2손잡이(202)에 연결된 제1손잡이(201)도 정지상태를이루게 된다. 이러한 정지상태는 본체(100)에서 손잡이부재가 들려진 상태를 이루어 손으로 파지 할 수 있는간격을 형성하게 되고, 이 간격은 사용자가 제1손잡이(201)를 파지하기에 매우 적당한 크기의 공간이다.
상기 제1손잡이(20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2손잡이(202)표면에 형성된 누름홈(202b)은 본체(100)를 기울일 때 본체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해 사용되는 엄지 또는 검지를 접촉시키기에 적당한 위치에 향상된 홈이다.
이처럼 손잡이부재가 돌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손잡이(201)를 파지하게 되면 본체(100)를 소정의 방향으로 기울이기에 매우 편리하여 용기(101)속에 충진된 내용물을 보호컵(105)등에 따라 내기가 용이하고 안정하게 용기를 취급할 수 있다.
이처럼 돌출위치에 있는 제2의 손잡이(202)는 가이드구(209)의 고정홈(226)에 멈춤편(207)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위치로 복귀하려는 탄력을 제2손잡이(202)에 가하고 있으므로 그 측면의 돌기(205)는 가이드홀(224)에 밑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용기의 취급도중 무의식상태로 제2손잡이에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 졌을 때 손잡이 부재가 복귀되는 실수가 방지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2손잡이(202)를 복귀시킬 목적으로 누르는 것은 제외한다.
돌출위치에 있는 손잡이부재를 복귀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손잡이(202)의 힌지부(204)측과 그 주변에 힘을 가해주면 돌기(205)에 탄력을 주면 절개홈(208)에 이어진 멈춤편(207)이 그 힘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가이드구(225)의 고정홈(226)을 타고 넘어가게 되며 양측면의 돌기(205)는 가이드홀(224)을 따라 이동하여 복귀위치로 이동한다.
복귀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202)의 멈춤편(207)은 가이드구(209)의 바닥에서 돌출된 리브(221)면과 접촉하는 상태가 되고 이때 발생하는 탄력은 제1도에 도시한 본체에서 수평하게 펼쳐진 손잡이부재에 수평한 방향으로 전달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에 결합하는 허브링부재에 손잡이부재의 복귀위치와 돌출위치를 선택할 수있는 위치결정구를 삽입하는 것게 의해 설치되므로, 조깁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복귀위치에서 수평한상태, 돌출위치에서 절곡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손잡이 부재의 제2손잡이에 멈춤편을 제어하는 가이드구를 위치결정구에 형성한 구서에 의하여 멈춤편의 탄력으로 제2손잡이를 지지하게 되어 보관 및 사용할 때에 손잡이부재가 돌출위치, 또는 복귀위치로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여 손잡이부재의 기능이 안정화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용물에 함유된 열에너지를 보유하는 재료로 이루어져 이를 보관하거나 휴대하는 용기(101)와; 상기의 용기를 삽입하여 보호하는 공간을 갖고 그 공간의 외면에는 휴대용 손잡이를 연결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연결되어 휴대를 위한 복귀위치와 사용을 위한 돌출높이를 힌지부에서의 관절운동으로 형성하는 손잡이부재로 이루어진 휴대용 보온용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용기(101)를 본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허브링부재의 상측허브링(102)일측을 돌출시켜 위치결정구가 삽입되는 입구(111)와 위치결정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116)과 결합홈(116a)을 입구(111)의 주변에 갖는 고정부(110)와; 상기 고정부(110)에 삽입되어본체(100)의 위치결정구조정홈(100a)에 결합되는 결합돌부(226)와 입구와 전방으로의 이탈은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22)과 이탈방지돌부(222a)를 구비하고, 제2손잡이(202)가 삽입되는 공간에 손잡이부재의 복귀위치와 돌출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 홀(224)과 돌출위치에 제2손잡이(202)가 정지하는 고정홈(226)이 형성된 가이드구(225)를 구비한 위치결정구(220)와; 상기 위치결정구(220)의 가이드 롤(224)에 결합되는 돌기(205)를 갖고 가이드구(225)에 미끄럼접촉과 탄성을 발휘하는 멈춤편(207)을 형성하여 복귀위치와 돌출위치로 이동을 하는 제2손잡이(202)와; 상기 제2손잡이(202)를 힌지핀(206)으로 상단에 연결하며, 하단을 본체(100)의 하측허브링(103)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위치결정구(220)의 가이드구(225)는 복귀위에서 돌출위치에 이르기까지 곡면으로 형성되고, 돌출위치는 수평으로 형성하여 제2손잡이(202)의 멈춤편(207)이 걸리는 고정홈(22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제2손잡이(202)선단에 형성하는 멈춤편(207)은 제2손잡이보다 큰 놈이를 형성하여 저면측으로 돌출시키면서 멈춤편(207)의 돌출부위를 절개하여 멈춤편(207)이 탄력적으로 유동하는 절개홈(208)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위치결정구(220)에는 제2손잡이(202)에서 돌출된 멈춤편(207)의 접촉이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는 리브(227)을 제2손잡이(202)의 복귀위치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KR2019940020956U 1994-08-19 1994-08-19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KR0112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956U KR0112706Y1 (ko) 1994-08-19 1994-08-19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0956U KR0112706Y1 (ko) 1994-08-19 1994-08-19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22U KR960007022U (ko) 1996-03-13
KR0112706Y1 true KR0112706Y1 (ko) 1998-04-09

Family

ID=19391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0956U KR0112706Y1 (ko) 1994-08-19 1994-08-19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22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7675C (en) Container with "stay open" lid
RU2096290C1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CA2793000C (en) Bottle closure with integrated flip top handle
KR0112706Y1 (ko) 휴대용 보온용기의 손잡이
US5141123A (en) Electric-power lid arrangement for an electric apparatus
JP3014125U (ja) 携帯用保温容器の取っ手
KR0132661Y1 (ko) 용기의 뚜껑 착탈구조
JP2002034804A (ja) 調理容器把持用ニッパー
KR200389430Y1 (ko) 보조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 뚜껑
JP2008543392A (ja) ヘアスタイリング装置
JP3554920B2 (ja) ヒンジ付きワンピースキャップ
JP4003121B2 (ja) ボトル用ホルダ
CN218921983U (zh) 清洁刷的收纳装置及清洁刷组件
KR102494481B1 (ko) 보조개방부가 구비된 냄비 뚜껑
KR960010049Y1 (ko) 디스크 수납 케이스
KR102335599B1 (ko) 고정쐐기를 갖는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JP3552662B2 (ja) 液体保温容器のハンドル構造
JPH0118116Y2 (ko)
JPH0616Y2 (ja) 化粧具付き容器
JP2560626Y2 (ja) 取り出し用キャップ
KR960002842Y1 (ko) 액체용기
JPH08243014A (ja) 断熱調理容器
JP3806822B2 (ja) 組合せ開口具
JPH068038Y2 (ja) 容器の蓋
KR940002629Y1 (ko) 오프너가 부설된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