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842Y1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842Y1
KR960002842Y1 KR2019930017383U KR930017383U KR960002842Y1 KR 960002842 Y1 KR960002842 Y1 KR 960002842Y1 KR 2019930017383 U KR2019930017383 U KR 2019930017383U KR 930017383 U KR930017383 U KR 930017383U KR 960002842 Y1 KR960002842 Y1 KR 960002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iner
container body
liquid contain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7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087U (ko
Inventor
이홍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합유리
이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합유리, 이홍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합유리
Priority to KR2019930017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842Y1/ko
Publication of KR950008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체용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액체용기에 적용되는 손잡이부의 발췌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용기 2 : 용기본체
21, 22 : 내, 외부 용기 3 : 뚜껑체
31, 32 : 내, 외부 뚜껑 4 : 손잡이
42, 43, 44 : 손잡이 부재 45, 46 : 관절
본 고안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용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관절운동에 의한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외관을 좋게 함과 동시에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내부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하측의 액체 수용부와 거의 동일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용기로서는 보온병을 예로들 수 있는데, 보온병은 내,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부를 진공화하여 보온 및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한것으로서, 일상생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의 보온병과 같은 액체용기에 있어서는 취급상에 용이함을 위하여 외측의 일부분에 손잡이가 형성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단순히 용기의 외측에 플라스틱 재질로 대략 "ㄷ" 자형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세로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손잡이는 이를 파지하여 내용물을 따르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손잡이로서의 기능은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나, 외측으로 크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외관을 좋지 않게 하고, 외부의 물체와 부딪치면서 액체용기를 쉽게 넘어지게 함은 물론 외부의 미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로서 띠상으로 형성하고 그의 상하단에 장공을 갖는 손잡이 밴드를 형성하여 액체용기의 외측에 배치되는 브라켓의 고정핀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도록 하는 구조로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 밴드가 용기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사용시에는 손잡이 밴드의 일부분을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장공의 길이 범위내에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손잡이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손잡이에 있어서는 미사용시 손잡이 밴드가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아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브라켓과 손잡이 밴드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쉽게 파손됨과 동시에 장기간 사용하면 손잡이 밴드가 경화되면서 변형되어 초기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미관을 해치게 한다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용기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관절운동에 의한 절첩식으로 형성하여 외관을 좋게 함과 동시에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내부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하측의 액체 수용부와 거의 동일직경을 갖도륵 형성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측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체와 ;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용기는 상측 개구부를 하측의 내용물 수용부와 거의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는 용기 본체의 상, 하측 고정부재의 일측에 일체로 돌설되는 브라켓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상호 관절 연결되는 띠상의 제1, 2, 3 손잡이 부재로 형성하되, 상기 제1손잡이 부재의 하단부는 하측 고정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에 핀으로 축 연결되고, 최상단으로 위치하는 제3 손잡이 부재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상측 고정부재의 브라켓에 핀으로 연결되어 장공의 길이 범위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1손잡이 부재는 직립의 상태에서 용기본체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그의 하단 내면과 고정부재의 외측면이 면접촉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2 손잡이 부재는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의 내면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두고 그의 내측에 요입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단면도로서, 부호 1은 액체용기를 지칭한다.
상기 액체용기(1)는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2)와, 상기 용기 본체(2)의 상측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체(3)와 ; 상기 용기 본체(2)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 본체(2)는 내, 외부 용기(21)(22)가 소정의 간격을 갖는 중공부(20)를 두고 형성되며, 이의 내, 외부 용기(21)(22)의 상, 하측에는 이를 지지하는 고정부재(23)(24)가 배치된다.
상기에서 내, 외부 용기(21)(22)는 모두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거나 내부용기(21)는 유리 그리고 외부용기(22)는 스테인레스 강 또는 내부용기(21)는 스테일레스 강 그리고 외부용기(22)는 합성수재 등 여러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내, 외부 용기(21)(22)의 사이로 형성된 중공부(20)는 진공화하여 내부용기(21)의 내부로 담겨지는 내용물의 보온 및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 외부 용기(21)(22)의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고정부재(23)(24)는 대개 합성수지로 형성되지만 내, 외부 용기(21)(22)와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측 고정부재(21)는 그의 내, 외경부에 암, 수 나사부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뚜껑체(3)가 결합되어지며, 하측 고정부재(24)는 단순히 외부용기(22)의 하부에 씌워져 이의 부분을 은폐 보호하게 된다.
상기 용기본체(2)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체(3)는 상측 고정부재(23)의 내경부에 나사결합되는 내부뚜껑(30)과, 상기 상측 고정부재(23)의 외경부에 나사결합되는 외부 뚜껑(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내부 뚜껑(30)은 내측용기(21)의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구의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뚜껑(31)은 상기 내부뚜껑(30)을 은폐 보호함과 동시에 컵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4)는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상, 하측 고정부재(23)(24)의 일측에 일체로 돌설되는 브라켓(40)(41)에 고정되는데, 이의 손잡이(4)는 띠상의 3개 손잡이 부재 즉, 제1, 2, 3 손잡이 부재(42)(43)(44)로 형성된다.
상기 제1, 2, 3 손잡이 부재(42)(43)(44)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상호 관절(45)(46) 연결된다.
즉, 제1, 2 손잡이 부재(42)(43), 제2, 3 손잡이 부재(43)(44)의 상하단이 서로 대응하는 요입홈(450)(460)과 돌출부(451)(461)을 갖는 요철부로 형성되어 서로 핀(452)(462)으로 힌지 연결되어 관절(45)(46)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 부재(42)의 하단부는 하측 고정부재(24)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41)에 핀(410)으로 축 연결되는데, 이의 고정위치는 제1 손잡이 부재(42)가 세워졌을 때 그의 하단 내면(420)과 고정부재(24)의 외측면(240)이 면접촉을 이루어 제1손잡이 부재(42)가 직립의 상태에서 용기 본체(2)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최상단으로 위치하는 제3 손잡이 부재(44)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440)이 형성되어 상측 고정부재(23)의 브라켓(40)에 핀(400)으로 연결되어 장공(440)의 길이 범위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4)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 2 손잡이 부재(42)(43)의 어느 부분이든지 내측으로 밀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제3 손잡이 부재(44)가 최상측으로 밀리면서 관절(45)(46) 부분이 직립의 상태로 펄쳐지게 되어 손잡이(4)가 용기 본체(2)에 가장 근접된 상태가 되어 손잡이(4)가 외측으로 크게 돌출되지 않아 외부의 물체에 걸리거나 부딪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따라서 외부 물체와의 부딪침으로 인하여 용기(1)가 넘어지거나 손잡이(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4)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제1, 2 손잡이 부재(42)(43)의 어느 부분인가를 외측으로 당기면 관절(45)(46)이 꺾이면서 제3도와 같이 제1, 2 손잡이 부재(42)(43)가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어 손잡이(4)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 손잡이 부재(44)는 장공(440)의 범위내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 2손잡이 부재(42)(43)가 외측으로 당겨지는 것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2 손잡이 부재(42)(43)의 내면은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두고 그의 내측이 요입되는 요입홈(421)(431)이 형성되어 손잡이의 사용시 손가락의 끝부분이 요입홈(421)(431)에 위치하면서 걸리도록 하여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또한, 내부 용기(21)의 상단부 즉 내부 뚜껑(30)이 결합되는 개구부의 내경을 내용물 수용부(21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하여 내용물을 따를 때 병목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액체용기의 일측으로 배치되는 손잡이를 다수의 손잡이 부재로서 관절운동에 의한 절첩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하여 외관을 좋게함과 동시에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며, 내부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하측의 액채 수용부와 거의 동일직경을 갖도록 형성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내용물이 담겨지는 용기 본체(2)와 상기 용기 본체(2)의 상측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뚜껑체(3)와; 상기 용기 본체 (2)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손잡이(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액체용기(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2)의 내부용기(21)는 상측 개구부를 하측의 내용물 수용부(210)와 거의 동일 직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4)는 용기 본체(2)의 상, 하측 고정부재(23)(24)의 일측에 일체로 돌설되는 브라켓(40)(41)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상호 관절(45)(46) 연결되는 띠상의 제1, 2, 3 손잡이 부재(42)(43)(44)로 형성하되, 상기 제1손잡이 부재(42)의 하단부는 하측 고정부재(24)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41)에 핀(410)으로 축 연결되고, 최상단으로 위치하는 제3손잡이 부재44)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440)이 형성되어 상측 고정부재(23)의 브라켓(40)에 핀(400)으로 연결되어 장공(440)의 길이 범위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손잡이 부재(42)는 직립의 상태에서 용기 본체(2)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그의 하단 내면(420)과 고정부재(24)의 외측면(240)이 면접촉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2 손잡이 부재(42)(43)는 사용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의 내면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두고 그의 내측에 요입홈(421)(4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2019930017383U 1993-09-02 1993-09-02 액체용기 KR960002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83U KR960002842Y1 (ko) 1993-09-02 1993-09-02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7383U KR960002842Y1 (ko) 1993-09-02 1993-09-02 액체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87U KR950008087U (ko) 1995-04-15
KR960002842Y1 true KR960002842Y1 (ko) 1996-04-09

Family

ID=1936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7383U KR960002842Y1 (ko) 1993-09-02 1993-09-02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8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087U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283A (en) Container having an interiorly telescoping dispensing member
KR910002434B1 (ko) 포장용기의 주출구
US4971220A (en) Container with "stay open" lid
US3474844A (en) Latching device for collapsible container
US4793501A (en) Water tight hinge closure
US4667359A (en) Universal grip device particularly for generic bottles and the like container
KR900007389A (ko) 아동보호 및 비아동보호 겸용 용기 및 뚜껑
KR830008899A (ko) 이종액체(二種液體)포장용기
KR950704163A (ko) 리세스 내에 위치된 래치를 갖는 아동 안전용 마개(Child Resistant Closure with Recessed Latch)
US5492253A (en) Cap attachment for small neck plastic bottle of liquid
KR920000582A (ko)
JPH0736577Y2 (ja) 棒状化粧料の収納容器
KR960002842Y1 (ko) 액체용기
JP2005022673A (ja) 目薬容器
WO2003013977A1 (en) Drink can lid with straw folded therein
KR960034024A (ko) 플라스틱 마개
KR940002629Y1 (ko) 오프너가 부설된 컵
KR200411883Y1 (ko) 용기뚜껑
ES2821126B2 (es) Dispositivo integral de apertura y cierre para botes y latas con indeformabilidad del óvalo
KR200226083Y1 (ko) 손잡이 이탈방지용 돌기를 가지는 용기
JPH042621Y2 (ko)
KR200194923Y1 (ko) 일회용 개량용기
JPS6013801Y2 (ja) 軟質合成樹脂製の瓶栓
KR200165795Y1 (ko) 식품저장용기
KR910004204Y1 (ko) 액체용기용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