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83Y1 -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83Y1
KR200411883Y1 KR2020050033141U KR20050033141U KR200411883Y1 KR 200411883 Y1 KR200411883 Y1 KR 200411883Y1 KR 2020050033141 U KR2020050033141 U KR 2020050033141U KR 20050033141 U KR20050033141 U KR 20050033141U KR 200411883 Y1 KR200411883 Y1 KR 200411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closing
lid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주)옥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야 filed Critical (주)옥야
Priority to KR2020050033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separate interfitting hinge elements fixed to the container and the li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개시된 용기뚜껑은 전체면중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분할되어 용기목부에 결합 고정된 닫힘지지부와; 상기 닫힘지지부에 접힘부로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 경계에 오픈돌기를 돌출 형성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환형으로 용기목부 내면에 삽입되는 내측둘레부에서 이격되는 개폐부의 가장자리에 절개선으로 형성되는 개봉띠와; 상기 용기목부 외주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개봉띠의 반대측 내주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한 뚜껑결합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용기뚜껑은 개봉띠의 분리후 용기목부에 개폐부의 일부분이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개폐부를 열거나 닫도록 하며, 개봉띠 분리전에는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시키거나 열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의 보존이 기밀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용기, 뚜껑, 페트, 개봉띠

Description

용기뚜껑{A Cap for Vessel}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개봉띠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개봉유지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개봉유지부가 결합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개봉유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개봉유지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의 개봉유지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용기뚜껑이 사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접힘부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용기뚜껑이 삼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접힘부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용기뚜껑이 6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용기뚜껑이 8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의 용기뚜껑이 타원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용기뚜껑 10:닫힘지지부
11:용기목부 12:용기
13:걸림돌기 20:개폐부
21:접힘부 22:오픈돌기
23:내측둘레부 24:보강테돌기
30:개봉띠 31:절개선
32:손잡이 40:뚜껑결합테
41:결합돌기 50:개봉유지부
51:구형돌기 52:홀더돌기
53:각형돌기 54:쌍돌기
본 고안은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봉띠의 분리후 용기목부에 개폐부의 일부분이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개폐부를 열거나 닫도록 하며, 개봉띠 분리전에는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시키거나 열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의 보존이 기밀하게 유지되도록 한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마개는 여러 종류가 있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며, 그 형태에 따라 쓰임새 또한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개의 종류로는 병뚜껑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중에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뚜껑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 뚜껑 또는 용기의 뚜껑의 경우 캡 형태로 그 형상이 이루어지고, 상면은 판판한 형태를 취하며 외주면 테두리에는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어 뚜껑을 개구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이러한 용기 뚜껑은 직경이 작은 것일 경우에는 간편하게 개구시킬 수 있으나, 직경이 커 뚜껑의 테두리에 손가락에만 겨우 잡힐 경우에는 뚜껑의 테두리에 힘의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뚜껑을 오픈시키기 위하여 뚜껑의 둘레를 잡고 돌리다 보면 뚜껑에서 손이 미끄러져 뚜껑을 오픈시키기가 매우 힘이 들며, 뚜껑을 돌리는데 힘들뿐만 아니라 손에서 미끄러져 용기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용기 뚜껑을 열기 위하여 용기를 제대로 세운 상태가 아닌 옆으로 눕혀 놓은 상태에서 용기 뚜껑의 일측을 손바닥의 일부분과 밀착되도록 힘을 가하면서 여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용기 뚜껑이 용기 입구에서 이탈되고, 순간적인 이탈에 의해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지게 되므로 인하여 마시거나 먹지 못하게 되며,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사용자의 옷을 버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봉띠의 분리후 용기목부에 개폐부의 일부분이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부분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동작으로 쉽고 편리하게 개폐부를 열거나 닫도록 하며, 개봉띠 분리전에는 용기에서 뚜껑을 분리시키거나 열 수 없도록 하여 내용물의 보존이 기밀하게 유지되도록 한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체면중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분할되어 용기목부에 결합 고정된 닫힘지지부와,
상기 닫힘지지부에 접힘부로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 경계에 오픈돌기를 돌출 형성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환형으로 용기목부 내면에 삽입되는 내측둘레부에서 이격되는 개폐부의 가장자리에 절개선으로 형성되는 개봉띠와;
상기 용기목부 외주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개봉띠의 반대측 내주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한 뚜껑결합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개봉띠의 분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용기뚜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은 힌지타입으로 닫힘지지부(10), 개폐부(20), 개봉띠(30), 뚜껑결합테(40)로 구성된다.
닫힘지지부(10)는 전체면중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분할되어 용기목부(11)에 결합 고정된다. 닫힘지지부(10)는 개폐부(20)의 크기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용기(12)에 결합되어 개폐부(20)의 열고 닫음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개폐부(20)는 닫힘지지부(10)에 접힘부(21)로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 경계에 오픈돌기(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20)는 용기의 내용물을 꺼내기 위하여 전체가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분만 개구되거나 닫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 개봉띠(30)는 개폐부(20)의 저면에 환형으로 용기목부(11) 내면에 삽입되는 내측둘레부(23)에서 이격되는 개폐부(20)의 가장자리에 절개선(31)으로 형성된다. 개봉띠(30)는 일단에 손잡이(32)가 형성되고 있어 떼어내는 것이 편리하게 되며, 또, 용기뚜껑(2)이 용기(12)로부터 분리되거나 개폐부(20)의 개폐가 방지되어 내용물의 보관 안전성이 도모된다.
상기 뚜껑결합테(40)는 용기목부(11) 외주면의 걸림돌기(13)에 결합되도록 개봉띠(30)의 반대측 내주면에 결합돌기(41)가 형성된다. 뚜껑결합테(40)는 개봉띠(30)의 분리에 관계없이 용기목부(11)에 결합되는 상태가 좀더 견고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개봉유지부가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개폐 부의 개봉유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은 개폐부(20), 닫힘지지부(10) 표면에 개봉유지부(50)가 형성되어 개폐부(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개봉유지부(50)는 개폐부(20)에 구형돌기(51)와 닫힘지지부(10)에 홀더돌기(52)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뚜껑(2)은 용기(12)에 닫힘지지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의 내용물을 꺼내도록 하기 위하여 개폐부(20)가 접힘부(21)를 축으로 열린 후 닫힘지지부(10)의 홀더돌기(52)에 열린 개폐부(20)측의 구형돌기(51)가 억지끼움되어 상호 결합된다. 이에 개폐부(20)는 닫히지 않고 열린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12)내 내용물을 꺼내거나 담는 경우 개폐부(20)가 열린 상태로 고정되고 있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처리된다. 그리고 닫힘지지부(10)나 개폐부(20) 상부 표면에는 용기뚜껑(2)의 형태가 상부 표면에 형성된 보강테돌기(24)에 의하여 유지된다.
도 7은 도 5의 개봉유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은 개폐부(20), 닫힘지지부(10) 표면에 개봉유지부(50)가 형성되어 개폐부(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개봉유지부(50)는 닫힘지지부(10)의 쌍돌기(54)에 개폐부(20)의 각형돌기(53)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각형돌기(53)와 쌍돌기(54)는 기본적으로 접촉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있어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도 5의 개봉유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은 개폐부(20), 닫힘지지부(10) 표면에 개봉유지부(50)가 형성되어 개폐부(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개봉유지부(50)는 닫힘지지부(10)의 봉돌기(55)에 개폐부(20)에 삽입홈(56)이 형성되어 결합되게 된다. 상기한 봉돌기(55)와 삽입홈(56)은 기본적으로 접촉면이 암수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있어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닫힘지지부(10)나 개폐부(20) 중 어느 한곳에 봉돌기(55)를 형성하고, 개폐부(20)나 닫힘지지부(10) 중 어느 한곳에 삽입홈(56)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도 5의 개봉유지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은 개폐부(20), 닫힘지지부(10) 표면에 개봉유지부(50)가 형성되어 개폐부(2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개봉유지부(50)는 닫힘지지부(10)에 각형돌기(53-1)가 삽입되어 걸리게 개폐부(20)에 삼각쌍돌기(54-1)가 형성된다. 상기한 각형돌기(53-1)와 삼각쌍돌기(54-1)는 기본적으로 접촉면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있어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사용이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용기(12)의 내용물 인출이나 배출이 제한되도록 개봉띠(30)를 구비한 용기뚜껑(2)의 개구는 먼저 개봉띠(30)의 손잡이(32)를 잡고 용기와 용기뚜껑(2)으로부터 떼어내어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뚜껑(2)은 힌지타입으로 열리며, 개폐부(20)측에 형성된 오픈돌기(22)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개폐부(20)를 열게 된다. 이때 개폐부(20)의 반대측인 닫힘지지부(10)는 용기목부(1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20)의 오픈시나 용기를 닫고 있을때 보강테돌기(24)들에 의하여 비틀어지거나 변형됨 없이 형태가 유지되게 되어 기술의 신뢰성이 고양된다.
상기한 개폐부(20)를 열은 상태에서 용기의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인출하거나 배출시킬 경우 개폐부(20)가 접힘부(21)가 보유한 고유의 탄성력에 의해 닫힐려고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면, 개폐부(20)를 뒤로 젖혀 구형돌기(51)로 하여금 닫힘지지부(10)상의 홀더돌기(52)에 억지끼움 되게 누른다.
상기한 개폐부(20)와 닫힘지지부(10)가 개봉유지부(50)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오픈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용기의 내용물 처리가 한결 편리하게 이루어져 소비자나 사용자에게 제품의 상품성과 기술의 신뢰성을 주게 된다.
도 10은 도 1 용기뚜껑이 사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1)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부분에 닫힘지지부(10)가 형성되고, 접힘부(21)에 의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오픈돌기(22)가 형성된 개폐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표면에는 보강테돌기(24)들이 형성되어 형태가 견고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의 접힘부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2)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며, 접힘부(21)를 한변을 따라 형성되어 접힘부(21)의 내구성이 보강되게 된다.
도 12는 도 1의 용기뚜껑이 삼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3)은 삼각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부분에 닫힘지지부(10)가 형성되고, 접힘부(21)로 넓게 분할 형성된 부분이 개폐되도록 일측에 오픈돌기(22)가 형성된 개폐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표면에는 보강테돌기(24)들이 형성되어 견고한 형태가 된다.
도 13은 도 12의 접힘부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4)은 삼각형태로 형성되며, 닫힘지지부(10)가 한변에 걸쳐 형성되고, 여기에 일정 폭을 두고 접힘부(21)가 길게 형성되고 있음에 따라 잦은 접힘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접힘부(21)의 내구성을 유지하게 된다.
도 14는 도 1의 용기뚜껑이 6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5)은 6각형태로 형성되며, 닫힘지지부(10)가 한변에 걸쳐 형성되고, 접힘부(21)에 의하여 넓게 형성된 부분이 개폐되도록 오픈돌기(22)가 형성된 개폐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표면에는 보강테돌기(24)들이 형성되어 견고한 형태가 된다.
도 15는 도 1의 용기뚜껑이 8각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6)은 8각형태로 형성되며, 닫힘지지부(10)가 한변에 걸쳐 형성되고, 접힘부(21)에 의하여 넓게 형성된 부분이 개폐되도록 오픈돌기(22)가 형성된 개폐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표면에는 보강테돌기(24)들이 형성되어 견고한 형태가 된다.
도 16은 도 1의 용기뚜껑이 타원형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기뚜껑(2-7)은 타원형태로 형성되며, 닫힘지지부(10)가 한변에 걸쳐 형성되고, 접힘부(21)에 의하여 넓게 형성된 부분이 개폐되도록 오픈 돌기(22)가 형성된 개폐부(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표면에는 보강테돌기(24)들이 형성되어 견고한 형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다른 실시예들의 사용예와 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힌지타입의 용기뚜껑으로 손보다 크거나 작은 용기뚜껑을 오픈 할 시에 용기뚜껑의 개폐부에 형성된 오픈돌기를 밀어 올리면 닫힘지지부로 지지된 상태에서 개폐부가 편리하고 원활하게 열리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용기뚜껑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개봉띠의 형성으로 용기뚜껑의 오픈을 제한함에 따라 내용물의 밀봉이 용이하고 손실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용기뚜껑이 쉽게 오픈 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실수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용기뚜껑에 있어서,
    전체면중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분할되어 용기목부에 결합 고정된 닫힘지지부와,
    상기 닫힘지지부에 접힘부로 연결되고 타측 가장자리 경계에 오픈돌기를 돌출 형성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의 저면에 환형으로 용기목부 내면에 삽입되는 내측둘레부에서 이격되는 개폐부의 가장자리에 절개선으로 형성되는 개봉띠와;
    상기 용기목부 외주면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개봉띠의 반대측 내주면에 결합돌기를 형성한 뚜껑결합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접힘부로 닫힘지지부와 개폐부로 구분되며, 원형, 사각형, 삼각형, 6각형, 8각형, 타원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담힘지지부와 개폐부의 각 상면에 접힘부를 사이에 두고 홀더돌기와 구형돌기로 구성되는 개봉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닫힘지지부 상면에 쌍돌기와 개폐부 상면에 각형돌기를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한 개봉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은 닫힘지지부나 개폐부 중 어느 한곳에 봉돌기를 형성하고, 개폐부나 닫힘지지부 중 어느 한곳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한 개봉유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뚜껑.
KR2020050033141U 2005-11-23 2005-11-23 용기뚜껑 KR200411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41U KR200411883Y1 (ko) 2005-11-23 2005-11-23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41U KR200411883Y1 (ko) 2005-11-23 2005-11-23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83Y1 true KR200411883Y1 (ko) 2006-03-21

Family

ID=41762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141U KR200411883Y1 (ko) 2005-11-23 2005-11-23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41B1 (ko) 2007-07-31 2008-02-29 석종철 용기의 절첩뚜껑
KR101607577B1 (ko) * 2014-10-07 2016-03-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독면이 장착된 분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41B1 (ko) 2007-07-31 2008-02-29 석종철 용기의 절첩뚜껑
KR101607577B1 (ko) * 2014-10-07 2016-03-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방독면이 장착된 분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05339A1 (en)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with movable working member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EP2368810B1 (en) Container with bottle cap
US20220017269A1 (en) Closing cap for closing a container
KR200411883Y1 (ko) 용기뚜껑
JP7199372B2 (ja) カバーキャップ付きクロージャ
KR20080009250A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KR200435197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JP2021172356A (ja) キャップ
JP7190302B2 (ja) 容器用栓体
RU213578U1 (ru) 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ки с держателем
KR200286407Y1 (ko) 패트병 뚜껑
KR200435196Y1 (ko) 병뚜껑 분실방지구조가 구비된 용기
US20110042342A1 (en) Reusable container closure
RU213488U1 (ru) 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ки с держателем
JP2004291988A (ja) 容器の口栓
KR200420267Y1 (ko) 용기와 뚜껑의 결합구조.
EP1057747A2 (en) Straw holding tool and storage case for it
KR200461046Y1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CN207712522U (zh) 液体容器
JP2002302125A (ja) 容器保持具及び容器と容器保持具との組み合わせ並びに容器の開蓋方法
RU59538U1 (ru) Крышка для бутылки с жидкостью
KR20130011057A (ko) 스트로우가 내장된 음료수용기
KR200350442Y1 (ko) 페트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