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799Y1 - 붓통 - Google Patents

붓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799Y1
KR200350799Y1 KR20-2003-0038612U KR20030038612U KR200350799Y1 KR 200350799 Y1 KR200350799 Y1 KR 200350799Y1 KR 20030038612 U KR20030038612 U KR 20030038612U KR 200350799 Y1 KR200350799 Y1 KR 200350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locking
guide groove
groov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억
Original Assignee
한종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억 filed Critical 한종억
Priority to KR20-2003-0038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8Rigid or semi-rigid luggage of round or oval shap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단에 개구부가 마련된 원통형 상, 하부케이스 내측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붓을 삽입하고, 상,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외삽되도록 하여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된 붓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상,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연부 외경의 소정위치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정폭과 깊이의 가이드홈과; 가이드홈이 형성된 개구연부의 외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일측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깊이와 길이로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등 간격으로 형성된 잠금홈과; 가이드홈으로 외삽되는 상, 하부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개구연부 내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경 줌심을 향하여 돌설되어 잠금홈에 삽결되는 잠금돌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붓의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붓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붓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중으로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붓통이 열려 붓이 붓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붓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붓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붓통{Brush stand}
본 고안은 일단에 개구부가 마련된 원통형 상, 하부케이스 내측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붓을 삽입하고, 상, 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외삽되도록 하여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된 붓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붓의 길이에 따라 자유롭게 붓통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붓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이중으로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붓통이 열려 붓이 붓통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붓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는 붓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붓통은 먹물을 머금을 수 있도록 짐승의 털 등의 재질로 된 붓촉을 보호하고, 붓촉에 머금어진 먹물이 흘러내려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붓통(1)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상, 하부케이스(2)(3)의 수용공간에 붓을 수용시키도록 된 것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붓통(1)은 상부케이스(도면상)를 하부케이스에 외삽시킨 상태에서 하향가압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2)의 외경면 하부의 소정위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으로 돌설됨에 따라 대응되는 내경면이 상대적으로 홈형상을 이루도록 된 제1고정요홈(4)이 하부케이스(3)의 외경면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케이스(3)의 상부 소정위치의 외경면에는 제1고정요홈(4)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외향 돌설된 고정돌부(5)가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의 외경면을 따라 하강하는 상부케이스(2)의 제1고정요홈(4)은 고정돌부(5)에 걸려 자연스러운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지만,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합성수지재로 된 상, 하부케이스(2)(3)의 재질적 특성에 따라 제1고정요홈(4)은 간단히 고정돌부(5)의 상사점을 타고 넘어 고정돌부(5)에 외감된다. 즉, 하부케이스(3)의 고정돌부(5)는 상부케이스(2)의 제1고정요홈(4)에 도 2와 같이 삽입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요홈(4)과 고정돌부(5)가 요철결합됨에 따라 상, 하부케이스(2)(3)는 붓(10)을 수용할 만큼의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붓(10)의 길이가 짧은 것일 경우에는 상부케이스(2)를 더욱 하향가압하면 고정돌부(5)에 외감된 제1고정요홈(4)이 고정돌부(5)로부터 탈리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케이스(2)의 상부 소정위치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 제1고정요홈(4)과 동일한 형태의 제2고정요홈(6)이 하강하게 되어 고정돌부(5)가 제2고정요홈(6)에 삽입되는 것으로 붓(10)의 길이에 따라 고정돌부(5)에 제1, 제2고정요홈(4)(6)을 선택적으로 외감시킬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붓통(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힘이 상, 하부케이스(2)(3) 중 어느 하나에 작용하게 되면 고정돌부(5)에 외감된 제1, 제2고정요홈 (4)(6)중 어느 하나가 고정돌부(5)의 상사점을 타고 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붓(10)을 수용하는 공간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붓촉을 찌그러뜨리거나 붓대가 손상될 수도 있게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붓통(1)은 일반적으로 붓통(1)만 휴대하는 것이 아니고 가방 등에 다른 물건들과 혼합수용되어 운반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수용된 물품들이 흔들리거나 외부충격에 의하여 붓통(1)을 가압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상부케이스(2)가 하부케이스(3)를 하향가압하게 되면, 결국, 상부케이스(2)가 붓(10)을 가압하게 되어 붓촉을 찌그러뜨리거나 심지어 붓대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는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붓통(1)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최초에 사용자가 확보한 수용공간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붓통이 외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확보한 수용공간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붓을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붓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종래 붓통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붓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붓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용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붓통 102 : 상부케이스
103 : 하부케이스 104 : 가이드홈
105 : 잠금홈 106 : 잠금돌기
107 : 보조잠금돌기 108 : 제1걸림돌기
109 : 제2걸림돌기 110 : 붓
상기한 목적은, 일단에 개구부가 마련된 원통형 상,하부케이스(102)(103) 내측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붓(110)을 삽입하고, 상,하부케이스(102)(103)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외삽되도록 하여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된 붓통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102)(103)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연부 외경의 소정위치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정폭과 깊이의 가이드홈(104)과; 상기 가이드홈(104)이 형성된 개구연부의 외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일측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깊이와 길이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0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형성된 잠금홈(105)과; 상기 가이드홈(104)으로 외삽되는 상,하부케이스(102)(103) 중 다른 하나의 개구연부 내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경 중심을 향하여 돌설되어 잠금홈(105)에 삽결되는 잠금돌기(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통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04)에 형성된 다수개의 잠금홈(105)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잠금홈(105)에 동시 삽결되도록 잠금돌기(106)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경 중심을 향하여 돌설되는 보조잠금돌기(10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04)으로 안내되는 잠금돌기(106)를 잠금홈(105)측으로 안내하도록 잠금홈(105)에 인접한 가이드홈(104) 소정위치에 돌설된 제1걸림돌기(108)와 상기 잠금홈(105)에 삽결된 잠금돌기(106)가 자유이탈되지 않도록 잠금홈(105)과 가이드홈(104)의 경계면에 돌설된 제2걸림돌기(10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03)(도면상) 개구연부의 외경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소정의 길이, 깊이, 폭으로 가이드홈(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03)의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가이드홈(104)에서는 일측 원주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 깊이, 폭으로 잠금홈(105)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잠금홈(105)은 가이드홈(104)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바, 어느 잠금홈(105)과 인접한 다른 잠금홈(105)과의 간격은 후술하게 될 상부케이스(102)의 잠금돌기(106)와 보조잠금돌기(107)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상부케이스(102)의 내경면 소정위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내경의 중심을 향하여 돌설된 잠금돌기(106)가 형성되며, 이 잠금돌기(106)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보조잠금돌기(107)가 돌설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잠금홈(105)에 잠금돌기(106)와 보조잠금돌기(107)가 동시에 삽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은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으며, 최대로 잠금홈(105)의 개수만큼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하나의 잠금돌기(106)만 확보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04)을 따라 하향안내되는 잠금돌기(106)가 잠금홈(105)의 인접한 위치에서 멈춰질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104)에는 제1걸림돌기(108)를 형성하고, 잠금홈(105)에 삽입된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가이드홈(104)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잠금홈(105)과 가이드홈(104)의 경계면(가상적인 경계면)에 제2걸림돌기(10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붓(110)을 하부케이스(103)에 수용시킨 후 상부케이스(102)가 하부케이스(103)에 외삽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케이스(102)의 잠금돌기(106)가 하부케이스(103)의 가이드홈(104)을 따라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붓(110)의 크기에 맞는 위치와 대응되는 최적의 위치까지 상부케이스(102)가 하강하게 되면, 이 위치에 돌설된 제1걸림돌기(108)에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간섭되어 멈춰지게 되는 바, 사용자는 상부케이스(102)를 잠금홈(105)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제2걸림돌기(109)를 넘어서 잠금홈(105)에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하강하는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걸림돌기(108)와 간섭이 발생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돌기(108)는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잠금홈(105)에 인접한 위치에 도달되었다는 감지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하강하는 데에는 크게 지장이 없으며, 사용자가 하향가압하는 힘으로도 충분히 제1걸림돌기(108)를 타고 넘을 수 있는 정도이다.
아울러, 상기 제2걸림돌기(109)는 사용자가 상부케이스(102)를 회전시키는 힘으로도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충분히 타고 넘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가 두개의 잠금홈(105)에 동시에 삽결되어 상, 하부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외부의 힘이 붓(110)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또한, 붓통(101)이 외력을 받는다 하여도 상, 하부케이스(102)(103)가 자체적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혹시라도 상, 하부케이스(102)(103)가 회전되려 할 경우라도 제2걸림돌기(109)가 잠금홈(105)에서 가이드홈(104)으로 이탈되려 하는 잠금돌기(106) 및 보조잠금돌기(107)를 막아주는 역할을 담당하므로 상, 하부케이스(102)(103)의 견고한 결합력을 보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붓통의 상, 하부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이중으로잠금하여 상, 하부로 작용되는 외력으로부터 상, 하부케이스로 확보한 붓의 수용공간의 길이가 축소되거나 조절되는 것을 방지하여 붓의 안전한 보관을 이루게 하여 붓을 더욱 오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파급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일단에 개구부가 마련된 원통형 상,하부케이스 내측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붓을 삽입하고, 상,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외삽되도록 하여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된 붓통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케이스 중 어느 하나의 개구연부 외경의 소정위치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소정폭과 깊이의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된 개구연부의 외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일측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깊이와 길이로 형성되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형성된 잠금홈과;
    상기 가이드홈으로 외삽되는 상,하부케이스 중 다른 하나의 개구연부 내경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경 중심을 향하여 돌설되어 잠금홈에 삽결되는 잠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형성된 다수개의 잠금홈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의 잠금홈에 동시 삽결되도록 잠금돌기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경 중심을 향하여 돌설되는 보조잠금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으로 안내되는 잠금돌기를 잠금홈측으로 안내하도록 잠금홈에 인접한 가이드홈 소정위치에 돌설된 제1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홈에 삽결된 잠금돌기가 자유이탈되지 않도록 잠금홈과 가이드홈의 경계면에 돌설된 제2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통.
KR20-2003-0038612U 2003-12-11 2003-12-11 붓통 KR200350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12U KR200350799Y1 (ko) 2003-12-11 2003-12-11 붓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12U KR200350799Y1 (ko) 2003-12-11 2003-12-11 붓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799Y1 true KR200350799Y1 (ko) 2004-05-17

Family

ID=49346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612U KR200350799Y1 (ko) 2003-12-11 2003-12-11 붓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79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70B2 (ja) 容器蓋及びその製造装置(vesselcapandsystemformanufacturingthesame)
KR100235666B1 (ko) 봉 형상 화장료용기 및 봉 형상 화장료 카트리지
US6612853B2 (en) Extensible/retractable and storable portable memory device
EP2407049A2 (en) Cosmetics container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before use
KR200350799Y1 (ko) 붓통
KR101960429B1 (ko) 리필 립스틱 용기
CN210593293U (zh) 一种防伪酒瓶盖
CN110897304A (zh) 一种替换式膏体筒
KR200466498Y1 (ko) 인서트형 위조 방지 캡
KR200412318Y1 (ko) 절삭공구 케이스
KR200483448Y1 (ko) 화장품 용기
CN105257116A (zh) 尤其皮革物品的打开和关闭装置以及包括这种装置的物品
KR200255135Y1 (ko) 립스틱 케이스의 뚜껑 자동 개폐구조
CN211431434U (zh) 一种替换式膏体筒
KR20070027889A (ko)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KR200166835Y1 (ko) 낚싯대케이스
CN220925104U (zh) 一种数据线包装盒
JP4392701B2 (ja) 繰り出し容器
CN216714092U (zh) 具有防误操作的门锁
JP4073067B2 (ja) ボックス錠止機構
KR200411424Y1 (ko) 회전우산의 록킹장치
KR100285556B1 (ko) 도어 록
KR100997894B1 (ko) 화장품이 구비된 휴대폰용 악세사리
KR200483227Y1 (ko) 화장용품 케이스
KR200405539Y1 (ko) 자립형 비닐봉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