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615B1 - 인쇄 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615B1
KR0167615B1 KR1019940033249A KR19940033249A KR0167615B1 KR 0167615 B1 KR0167615 B1 KR 0167615B1 KR 1019940033249 A KR1019940033249 A KR 1019940033249A KR 19940033249 A KR19940033249 A KR 19940033249A KR 0167615 B1 KR0167615 B1 KR 016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nting
printing apparatus
sta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304A (ko
Inventor
다까시 오까자와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9141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1817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62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016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7150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5964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95002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 장치는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트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콘트롤러부, 콘트롤러부로부터의 비트 영상에 기초하여 가시 영상을 기록 매체 상에 형성하기 위한 엔진부, 및 호스트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코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트롤러부와 엔진부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회로 배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인쇄 장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제1 절전 제어 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 챠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제2 절전 제어 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에서 인쇄 데이터 출력 처리 수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6도는 제3실시예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인쇄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제7도는 제3실시예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표시 스크린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8도는 제4실시예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인쇄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9도는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1, 114 : CPU 92 : 메모리
93 : 입력 유닛 94 : VRAM
95 : 표시 유닛 96 : I/F
100-1 : 인쇄 장치 본체 110 : 콘트롤러부
115 : ROM 116 : RAM
118 : 데이터 버스 119 : 로컬버스
120 : 엔진부 130-1 : 호스트 컴퓨터
140 : 전원 15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비-인쇄 상태(non-printing state)시에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한 절전 기능(슬립 모드;sleep mode)을 갖는 인쇄 장치,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러한 형태의 인쇄 장치, 예를 들면 레지어 비임 프린터로 대표되는 페이지 프린터가 신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장치는 인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동시에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콘트롤러 및 인쇄를 실제로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엔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엔진이 열정착 유닛(termal fixing unit)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불필요하게 증가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인쇄 대기 상태에서는 즉, 호스트 유닛(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으로부터 인쇄 데이터의 공급이 차단된 후 일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에는, 프린터 엔진, 특히 열정착 유닛으로의 전력은 차단되어, 전력 소비를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프린터는 슬립 모드(또는 절전 모드)를 갖는다.
슬립 모드의 설정 및 해제는 프린터 콘트롤러(프린터 콘트롤러 내의 CPU)에 의해 제어된다. 특히 파워-온시에, 또는 인쇄 처리의 완료후 일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그리고 인쇄 데이터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을 때, 프린터 엔진으로의 전력 공급은 중지된다. 인쇄 데이터가 슬립 모드시에 수신되면, 프린터 엔진으로의 전력 공급은 다시 시작된다.
전력 소비가 실제 인쇄 모드에 비해 슬립 모드에서 확실히 감소될 수 있어도, 프린터 콘트롤러의 전력 공급은 전혀 중지되지 않는다. 또한, 큰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하는 CPU 및 여러 회로들의 버스들을 통해 프린터 콘트롤러에 접속된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한다면, 아직까지는 충분한 절전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8 발명들은 그 목적으로서, 호스트 유닛과의 통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콘트롤러부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 인퍼테이스부는 둘 다 전력 손실이 큰 콘트롤러부와 프린터 엔진부의 전력 공급 상태들을 제어하도록 콘트롤러부와 프린터 엔진부의 전력 공급 상태들을 제어하기 때문에, 호스트 유닛과의 통신 상태를 보장하면서 장치 자체가 슬립 상태에서 전력을 더욱 절약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발명은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보내진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콘트롤러부, 이 콘트롤러부로부터의 인쇄 영상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엔진부, 및 전력 공급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항상 전력을 인터페이스부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포함하며, 인터페이스부는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와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은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될 때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고, 콘트롤러부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될 때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발명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의 본체 상태를 호스트 유닛에 알리기 위한 통보 수단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4발명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부는 네크워크를 통해 다수의 호스트 유닛들과 통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5발명에 있어서는,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 본체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 장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며, 이것은 인쇄 장치가 슬립 상태로 되기 전에, 통보 수단에 의해 알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6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쇄 장치들의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호스트 유닛이 인식하면,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들 중 하나를 슬립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인터페이스부에 보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제7발명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의 본체에/로부터 자유롭게 부착/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8발명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의 본체의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외부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발명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부의 제어수단은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인터페이스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외한, 슬립 상태로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한하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있어서는, 제어 수단은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될 때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고, 콘트롤러부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될 때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호스트 유닛으로부터의 코맨드에 따르면, 인쇄 장치의 상태를 슬립 상태에서 대기 상태로 또는 대기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환원적으로 스위칭 될 수 있다.
제3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의 통보 수단은 인쇄 장치의 본체 상태를 호스트 유닛에 통보하기 때문에,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의 현재 프린터 상태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유닛과 통신한다. 호스트 유닛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코맨드를 수신하면, 슬립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전력 공급을 제외하고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은 제한될수 있으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5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르면,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가 슬립 상태로 되기 전에 인쇄 장치 본체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 장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므로, 가능한 빠르게 인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결정한다.
제6 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인쇄 장치들의 본체들이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호스트 유닛이 인식하면,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들 중 하나를 슬립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인터페이스부에 보낸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 변화에 상관없이, 인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는 가능한 빠르게 결정될 수 있는 반면, 인쇄 상태에 있지 않는 인쇄 장치들은 슬립 상태로 설정된다.
제7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 본체에/로부터 자유롭게 부착/탈착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부의 확장 및 변형에 대처할 수 있다.
제8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 본체의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외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인쇄 장치에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외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 배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재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100-1) 및 (100-2)는 인쇄 장치의 본체를 나타낸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인쇄 장치는 다수의 인쇄 장치들이 다수의 호스트 컴퓨터(130-1 및 130-2)들에 접속되어 있는 환경에 놓이게 된다.
이 실시예의 인쇄 장치 본체는 주로 콘트롤러부(110)와 엔진부(120)으로 구성된다.
콘트롤러부(110)은 인쇄 데이터, 제어 코맨드 등을 외부 장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프린터 콘트롤러로서 동작하므로, 영상 메모리(도시안됨)내에 비트 맵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고, 데이터를 엔진부(120)에 비디오 신호로서 전송할 수 있다. 엔진부(120)은 비디오 신호를 콘트롤러부(110)로부터 수신하여 이 비디오 신호로부터 시트면(sheet surface)상에 가시 영상을 형성한다(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함).
콘트롤러부(110)은 엔진부(120)와 통신하여 엔진부(120)의 상태를 외부로 통보한다.
콘트롤러부(110)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콘트롤러부(110)은 호스트 인터페이스 프로세서(I/O 프로세서; 이후, IOP)(111),CPU(114), ROM(115), RAM(116), 데이터 버스(버스;118) 및 로컬 버스(119)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비트 맵 영상을 전개하기 위한 영상 메모리, 엔진부(120)으로의 인터페이스, 및 동작 패널(도시안됨)로의 인터페이스는 또한 버스(118)상에 제공된다.
IOP(111)은 데이터를 외부 장치(호스트 컴퓨터)로/로부터 전송/수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내용에 대한 인텔리전스(intelliigence)를 갖는다. 비트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프린터 언어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기 위한 프로그램, 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폰트 데이터가 ROM(115)에 저장된다.
RAM(116)은 항상 인쇄 장치 본체의 파워-ON 상태 중에 전력을 수신하고 CPU(114)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RAM(116)은 또한 정보 처리를 위한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거나, 여러 가지 인쇄 파라메터들을 세이브하는데 사용되며, 인쇄 장치의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콘트롤러 내에 전송되는 데이터, 어드레스 및 제어 신호는 버스(118)을 통해 흐른다. IOP(111)은 RAM(116)에 직접 접속되는 로컬 버스(119)를 통해[CPU(114) 및 버스(118)을 통하지는 않고]RAM(116)을 참조하거나 기록-억세스할 수 있다.
참조번호(140)은 전력 공급 스위치에 의해 턴 온/오프된 전원을 나타낸다. 보통, 필요한 만큼의 포텐셜을 갖는 전력이 항상 인터페이스부(150)에 공급된다.
이러한 실시예와 제1 내지 제8 발명들의 각각의 수단과의 사이의 일치성, 및 각 발명의 기능에 대해서는 제1도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제1발명은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150), 이 인터페이스부(150)을 통해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의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콘트롤러부(110), 이 콘트롤러부(110)로부터 인쇄 영상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엔진부(120), 및 전력 공급 스위치가 ON 상태인 동안에는 항상 전력을 인터페이스부(150)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140)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50)은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원 장치(140)으로부터 콘트롤러부(110) 및 엔진부(120)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IOP 111)을 포함한다. IOP(111)은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원(140)으로부터 콘트롤러부(110) 및 엔진부(120)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여, 인터페이스부(150)에서의 전력공급을 제외한, 슬립 상태에서 콘트롤러부(110) 및 엔진부(120)에의 전력 공급을 제한하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IOP 111)은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될 때 전원(140)로부터 콘트롤러부(110)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고, 콘트롤러부(110)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될 때 전원장치(140)로부터 콘트롤러부(110)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호스트유닛(130-1 또는 130-2)으로부터의 코맨드에 따르면, 인쇄 장치의 본체(100-1 또는 100-2)으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또는 대기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환원적으로 스위칭 될 수 있다.
제3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50)은 인쇄 장치 본체 상태를 호스트 유닛에 통보하기 위한 통보수단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50)의 통보수단(IOP111)은 인쇄 장치 본체 상태를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에 통보하기 때문에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은 인쇄 장치의 본체(100-1 또는 100-2)의 현재 프린터 상태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제4발명에 있어, 인터페이스부(150)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과 통신한다.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코맨드를 수신하면, 슬립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150)에서의 전력 공급을 제외하고 콘트롤러부(110) 및 엔진부(120)로의 전력 공급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제5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정보에 따르면,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은 인쇄 장치가 슬립 상태로 되기 전에, 인쇄 장치의 본체(100-1 또는 100-2)가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 장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므로, 가능한 빠르게 인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결정한다.
제6발명에 있어서, 다수의 인쇄 장치들의 본체(100-1 또는 100-2)들이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이 인식하면, 호스트 유닛(130-1 또는 130-2)은 인쇄 장치들 중 하나를 슬립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인터페이스부에 보낸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 변화에 상관없이, 인쇄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의 본체(100-1 또는 100-2)는 가능한 빠르게 결정될 수 있는 반면, 인쇄 상태에 있지 않는 인쇄 장치들은 슬립 상태로 설정된다.
제7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50)는 인쇄 장치의 본체(100-1 또는 100-2)에/로부터 자유롭게 부착/탈착 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부(150)의 확장 및 변형에 대처할 수 있다.
제8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150)는 인쇄 장치의 본체(100-1 또는 100-2)의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도시안됨)를 통해 외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인쇄 장치에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외부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장치의 엔진부(120)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제2도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엔진에 대응하는 제1도에 도시된 인쇄부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프린터에 있어서, 문자 패턴 또는 고정된 포맷(형식 데이터)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레지스터될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100)은 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장치 본체(100)은 문자 정보(문자코드), 형식 정보, 또는 외부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매크로 코맨드를 수신 및 저장하고, 동시에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문자 패턴 또는 형식 패턴을 준비하므로, 기록 매체 역할을 하는 기록 용지 상에 영상을 형성한다.
참조 번호 (700)은 스위치, LCD 표시, 및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것들을 갖는 동작 패널을 나타낸다. 참조번호(701)은 장치 본체(100)전체를 제어하고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문자 정보 등을 분석하기 위한 프린터 제어 유닛을 나타낸다.
프린터 제어 유닛(701)은 주로 문자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패턴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이를 레이저 구동기(702)로 출력한다. 프린터 제어 유닛(701)은 제1도에 도시된 프린터 콘트롤러부(110)에 대응한다. 레이저 구동기(702)는 반도체 레이저(703)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인데. 이는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703)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비임(704)을 턴 온/오프시킨다. 레이저 비임(704)은 회전 다면경(705)에 의해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편향되어 정전 드럼(706)상에 스캔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문자 패턴과 같은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정전 드럼(706)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잠상은 정전 드럼(706)주위의 전개 유닛(developing unit;707)에 의해 전개된 다음에 기록지 상에 전사된다.
기록지로서는, 절단 용지(cut sheet) 가 사용된다. 절단 용지들은 LBP(100)내에 장착된 용지 카세트(708)에 저장되어, 공급 롤러(709) 및 배송 롤러(710 및 711)들에 의해 장치에 이송되며, 정전 드럼(706)상에 제송된다. 전개 유닛(7078)에 의해 정전 드럼(706)상에 부착된 토너 영상은 이송된 기록지에 전사된다. 그 후 기록지는 고착 유닛(712)쪽으로 이송되어, 토너가 고착된다. 마지막으로, 기록지는 배출 롤러(713)에 의해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제9도는 제1도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호스트 컴퓨터는 CPU(91), 메모리(92), 및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 입력 유닛(93), 표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VRAM(94), VRAM(94)에 의해 전개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95), 및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고 인쇄 장치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9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96)로서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프린터 인터페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제5, 6 및 8도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한 프로그램(후에 기술)은 메모리(92)에 저장되고 CPU(91)에 의해 실행된다.
[동작 설명]
상기 배치에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콘트롤러부(110)의 CPU(114)의 동작 처리는 제3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 플로우차트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당연히, ROM(15)에 저장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제1절전 제어 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번호(1)부터 (7)은 그 단계들을 나타낸다.
장치가 파워 온 되면, 여러 주변 회로들의 초기화 처리가 단계(1)에서 수행된다. 흐름은 단계(2)로 진행되어, RAM(116)내의 소정의 어드레스 장소(이후, 상태 영역)에 인쇄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인터럽트 신호가 IOP(111)로부터 인터페이스부(150)의 CPU(114)로 발생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CPU(114)는 이러한 인터럽트 처리시에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RAM(116)내에 확보된 수신 버퍼 내의 데이터를 기록 처리한다.
흐름은 단계(3)으로 진행되어, 인쇄 데이터가 수신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3)에서 NO이면, 흐름은 단계(4)로 진행되어, 소정의 주기의 시간이 비-수신 상태에서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일정 주기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RAM(116)의 상태 영역에 기록되고, 동시에 슬립 코맨드 신호가 인터페이스부(150)의 IOP(111)에 발생된다(단계 5).
이러한 코맨드가 수신되면, 인터페이스부(150)의 IOP(111)은 버스(118)에 접속된 CPU(114), 나머지 유닛, 및 엔진부(120)으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이후, 상세히 설명됨). 전력 자체의 차단은 예를 들어,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 수행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반면에, 단계(3)에서 YES이면, 흐름은 단계(6)으로 진행되어, 상태 영역에 인쇄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한다. 흐름은 단계(7)로 진행되어,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한다.
그 결과, 인쇄 대기 상태, 슬립 상태 및 인쇄 상태(사용 상태;busy state)를 각각 나타내는 3가지 상태 정보가 상태 영역에 저장된다.
제1도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부(150)의 IOP(111)에 의한 제어 동작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버스(118)에 접속된 유닛들과는 달리, IOP(111) 및 RAM(116)은 슬립 상태와 무관하게 장치 본체의 스위치가 ON상태인 동안에 전력을 공급받는다.
IOP(111)에 의해 수행된 제어 처리는 유닛으로서의 CPU(114)에 의한 것보다 더 간단하다. 동작을 위해 인에이블된 회로는 또한 제한되고, 동작에 필요한 클럭 등의 형태들의 수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력 소비는 전력이 콘트롤러부(110)에 공급되는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의 제2 절전 제어 방법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번호(11)부터 (18)은 단계들을 나타낸다.
단계(11)에서는, 데이터가 LAN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11)에서 NO이면, 흐름은 단계(12)로 진행되어, 슬립 코맨드가 콘트롤러부(110)(CPU 114)로부터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처리 루프는 데이터 또는 슬립 코맨드가 수신될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이러한 루프에서, 슬립 코맨드가 CPU(114)로부터 수신되는 지가 판단되면, 버스(118)에 접속된 모든 유닛들로의 전력 공급은 단계(13)에서 중지된다. 동시에, 엔진부(120)로의 전력 또한 중지되며, 슬립 모드가 설정된다.
반면에, 단계(11)에서 YES이면, 흐름은 단계(14)로 진행되어, RAM(116)의 상태 영역 내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RAM(116)은 슬립 모드시에도 전력을 공급받음], 데이터 발생지로서의 호스트 컴퓨터에 정보를 복귀시킨다(호스트 컴퓨터를 특정하기 위한 ID가 수신 데이터에 저장된다). 슬립 상태가 시간적으로 그 시점에서 설정되면,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호스트 컴퓨터에 보내진다.
상태 정보의 복귀 처리가 완료되면, 흐름은 단계(15)로 진행되어, 장치 본체가 현재 슬립 상태로 설정되는 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 결과가 NO이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대기 상태가 설정되거나, 인쇄 상태가 설정되는 지가 판단되며, 흐름은 단계(18)로 진행되어 CPU(114)를 인터럽트 시키므로, CPU(114)가 인터럽트 처리(수신처리)를 수행하게 한다.
반면에, 단계(15)에서 YES이면, 흐름은 단계(16)으로 진행되어, 수신된 데이터가 인쇄 요구 코맨드인 지를 판단한다. 단계(16)에서 NO이면, 장치가 슬립 상태 중에 인쇄를 요구하는 지가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구는 무시되고, 흐름은 단계(11)로 복귀된다.
단계(16)에서 YES이면, 흐름은 단계(17)로 진행되어, 콘트롤러부(110)에 전력 공급을 개시하므로, 슬립 상태를 해제시킨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콘트롤러부(110)의 CPU(114)는 제3도의 상기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처리를 개시한다.
LAN상의 호스트 컴퓨터의 인쇄 데이터 출력 처리에 대해서는 제5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제5도의 플로우차트에 기초한 프로그램은 호스트 컴퓨터의 OS 또는 프린터 구동기일 수 있고,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이 호스트 컴퓨터에 대해 동작하는 프린터 구동기로서 적응되는 한 예가 설명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메모리(92)에 저장되고 CPU(91)에 의해 실행된다(제9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에서의 인쇄 데이터 출력 처리 수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번호(21)부터 (27)은 단계들을 나타낸다.
단계(21)에서, 소정의 코맨드는 프린터 상태를 얻기 위해 LAN에 접속된 각각의 프린터에 발생된다.
흐름은 단계(2)로 진행되어, 인쇄 대기 상태에 있는 프린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22)에서 YES이면, 인쇄 데이터가 장치에 출력되도록 프린터가 인쇄처리를 즉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결정된다(단계 27). 다수의 프린터들이 인쇄 대기 상태로 설정되면, 인쇄 데이터는 먼저 인쇄 대기 상태로 검출된 프린터에 출력된다.
반면에, 단계(22)에서 NO이면, 흐름은 단계(23)으로 진행되어, 슬립 상태의 프린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23)에서 YES이면, 인쇄 요구 코맨드가 프린터에 발생되므로, 슬립 상태를 해제시키고(단계 24), 인쇄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25). 다수의 프린터들이 인쇄 슬립 상태로 설정되면, 인쇄 데이터는 먼저 슬립 상태로 검출된 프린터에 출력된다.
단계(23)에서 NO인 경우에는, 즉, 모든 프린터들이 인쇄 상태(다른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인쇄 데이터의 인쇄 처리가 진행 중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로 설정되면, 네크워크 상의 모든 프린터들이 BUSY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된다(단계 26). 조작자는 모든 프린터들이 인쇄 상태로 설정되어 현재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호스트 컴퓨터 측에서 통보 받는다. 예를 들면, 소정의 메시지가 표시 유닛(95)상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슬립 상태에서,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은 중지되고, 또한 콘트롤러부(110)의 대부분 의 유닛들로의 전력 공급도 중지된다.
따라서, 전력 소비는 종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의 조작자에 있어서,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가 슬립 상태에 있는 프린터보다 우선적으로 선택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동작 환경이 전체적으로 향상될 수 있고, 동시에 전력도 시스템 전체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
상기 실시예에서, 인쇄 장치측의 콘트롤러부(110)의 CPU(114)는 슬립 모드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슬립 모드의 실제 설정 및 해제는 IOP(111)에 의해 수행된다. 호스트 컴퓨터는 슬립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인쇄 요구 코맨드를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립 모드의 설정은 또한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지정되거나, 상태 정보는 상태 요구 코맨드가 발생될 때에만 복귀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컴퓨터가 인쇄 처리를 요구하고, 1개의 프린터를 제외한 2개 이상의 프린터들이 인쇄 대기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판단되면, 모든 나머지 프린터들은 슬립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호스트 컴퓨터들 중 하나가 프린터 서버 (server)역할을 하고, 호스트 컴퓨터들 각각에 의해 발생된 인쇄 데이터가 즉시 인쇄를 요구하지 않으면 (비-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코맨드가 데이터의 헤드에 추가되면), 인쇄 데이터는 오직 한 개의 프린터에만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에 출력되면,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는 호스트 컴퓨터에 즉시 전송된다. 그러나 종래 슬립 상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코맨드가 또한 사용된다. 슬립 상태는 제어 코맨드와 상관없이 인쇄 장치측에 설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인쇄 코맨드가 호스트 유닛(호스트 컴퓨터)의 응용 동작으로부터 발생되면, (비-인쇄 상태에 있으며, 프린터의 콘트롤러부와 엔진부가 파워-온되어 있는)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들이 슬립 상태의 프린터들보다 우선적으로 선택된다.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들이 존재하면, 이들 중 하나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인쇄 데이터는 선택된 프린터에 보내진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프린터가 자동적으로 선택되고, 인쇄 데이터는 선택된 프린터에 보내지는 경우가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면, 많은 수의 프린터들이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선택된 프린터가 인쇄 데이터를 보내는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면, 조작자는 인쇄 출력을 복구하기 위해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상태에 있는 다수의 프린터들이 존재하면, 프린터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에서, 상기 목적이 실현된다.
제6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되어 있는 호스트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프린터 구동기의 동작 부분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러한 처리는 조작자로부터의 인쇄 코맨드에 따라 개시된다. 물론, 이러한 프로그램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의 메모리(92)에 저장되고 CPU(91)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31)에서는, I/F(96)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프린터들에 대해 상태가 획득되는 지가 판단된다. 단계(S31)에서 NO이면, 흐름은 단계(S32)으로 진행되어 상태전송 요구 코맨드를 한 프린터에 발생하므로, 프린터의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의 프린터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배치를 갖는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소정의 데이터,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상태 정보를 얻기 위한 코맨드 데이터가 프린터에 전송될 때에도, 슬립 상태의 프린터는 인쇄 대기 상태로 설정되지 않는다. 획득된 상태 정보는 인쇄 대기 상태, 슬립 상태 및 인쇄 상태를 포함한다.
상태가 단계(S31 및 S32)에서의 처리를 반복 실행함으로써 모든 프린터들에 대해 획득되면, 흐름은 단계(S33)으로 진행한다.
단계(S31)에서, 모든 프린터들의 아이콘(icon)들이 표시기(95)상에 표시되는 지가 판단된다. 단계(S31)에서 NO이면, 흐름은 단계(S34)로 진행되어 상태에 따른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 모든 프린터들에 대해서, 대응하는 프린터의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제7도는 총 4개의 프린터들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한 예를 도시한다. 참조 번호(70) 내지 (73)은 프린터 아이콘들을 나타낸다. 아이콘(70)에 의해 표시된 PRINTER1(네트워크 상에서의 ID 또는 명칭)은 프린터가 현재 슬립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아이콘(71 및 72)는 인쇄 대기 상태를 나타내고, 아이콘 (73)은 인쇄 상태를 나타낸다. 그 결과, 조작자는 각각의 프린터의 현재 상태를 한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가 모든 프린터들에 대해 표시되면, 흐름은 단계(S35)로 진행되어 프린터 아이콘들 중 하나가 입력 유닛(93)을 구성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등에 의해 선택될 때까지 대기한다. 프린터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흐름은 단계(S36)으로 진행되어 선택된 프린터 아이콘이 인쇄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36)에서 YES이면, 흐름은 단계(S37)로 진행되어 인쇄데이터를 선택된 프린터에 출력한다.
인쇄 대기 상태를 나타내지 않는 프린터 아이콘이 선택되면, 흐름은 단계(S38)로 진행되어 선택된 프린터 아이콘에 대응하는 프린터 상태가 슬립 상태인 지를 판단한다. 단계(S38)에서 YES이면, 흐름은 단계(S39)로 진행되어 (제1실시예에서 기술된)인쇄 요구 코맨드를 프린터에 출력하고, 인쇄 데이터는 단계(S40)에서 출력된다.
선택된 프린터가 인쇄 대기 상태도 또는 슬립 상태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프린터가 현재 인쇄 상태로 설정되면, 흐름은 단계(S41)로 진행되어 선택된 프린터가 인쇄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통보하기 위한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컴퓨터가 인쇄 코맨드를 발생하면, 다수의 프린터들 각각의 현재 상태는 가시적으로 지시되고, 그들중 하나가 선택되므로, 조작자에 의해 원하는 프린터에서 인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대기 상태에 있는 다수의 프린터들이 표시되면, 포인팅 디바이스 등은 프린터들을 슬립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대한 설명]
제3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의 모든 동작 가능 프린터(적어도 스위치가 ON상태에 있는 프린터)들이 표시되는 한 예가 기술된다. 즉,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들, 및 슬립 상태의 프린터들은 동시에 함께 표시된다. 인쇄 대기 상태에 있는 프린터들의 존재와는 무관하게, 슬립 상태의 프린터가 인쇄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방법은 우수한데, 그 이유는 인쇄가능한 프린터들 중 가장 가까운 프린터가 선택될 수 있다. 반면에,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가 항상 긍정적으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전력 소비가 억제될 수는 없다.
제4 실시예에서는, 인쇄 동작이 수행되도록 되면,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들이 아이콘 리스트가 표시되고, 인쇄 데이터가 출력되는 프린터는 이들 프린터들로부터 자유롭게 선택된다. 인쇄 대기 상태에 있는 프린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프린터는 슬립 상태에 있는 프린터들로부터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제8도는 제4 실시예의 호스트 유닛 내의 호스트 컴퓨터 상에서 프린터 구동기의 동작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프린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배치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플로우차트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메모리(92)에 저장되고 CPU(91)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S51)에서, 상태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프린터들에 대해 획득되는 지가 판단된다. 단계(S51)NO이면, 흐름은 단계(S52)로 진행되어 상태 전송 요구 코맨드를 한 프린터에 발생하므로, 프린터의 상태르 획득할 수 있다.
상태가 모든 프린터들에 대해 획득되면, 흐름은 단계(S53)으로 진행되어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53)에서 YES이면,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단계(S54 및 S55)에서 호스트 컴퓨터의 표시 유닛(95)상에 표시된다. 적어도 1개의 프린터가 인쇄 대기 상태로 설정되면, 슬립 상태에 있는 프린터들의 아이콘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단계(S53)에서 NO이면, 흐름은 단계(S56)으로 진행되어 슬립 상태의 프린터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단계(S56)에서 YES이면, 슬립 상태의 프린터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단계(S57 및 S58)에서 표시된다.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 프린터 아이콘들이 표시되면, 흐름은 단계(S59)로 진행되어, 입력 유닛(93)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단계(60)에서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프린터의 상태가 결정된다. 슬립 상태의 프린터가 선택되면, 흐름은 단계(S61)로 진행되어 인쇄 요구 코맨드를 프린터에 출력하므로, 프린터를 인쇄 대기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62)에서는, 인쇄 데이터가 프린터에 출력되므로, 이러한 처리를 종료시킨다.
인쇄 대기 상태 및 슬립 상태의 프린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인쇄동작이 실행될 수 없다는 것을 통보하기 위한 메시지가 단계 (63)에서 표시되므로, 이러한 처리를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들은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원하는 프린터가 인쇄 대기 상태의 프린터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의 전력소비는 제3 실시예에 비해 억제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에러 메시지는 인쇄 코맨드가 앤쇄 상태의 프린터에 발생될 때 표시된다. 제4 실시예에서, 에러 메시지는 인쇄 대기 상태 및 슬립 상태의 프린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표시된다.
그러나, 인쇄 동작이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되면, 인쇄 동작은 공지된 바와 같이, 프린터 서버를 통해 수행되고, 인쇄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프린터 서버에 공급된다. 따라서 프린터 서버가 사용되면,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원하는 프린터가 인쇄 상태로 설정되더라도, 인쇄 데이터는 인쇄 순서(printing queue)대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조작자는 인쇄 출력이 약간 지연되어 획득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들에 있어서, 호스트 유닛(호스트 컴퓨터)는 상태 정보 전송 코맨드를 프린터에 직접 출력한다. 그러나, 프린터 서버가 사용되면, 코맨드는 프린터 서버에 출력될 수 있다. 코맨드가 수신되면, 프린터 서버는 대응하는 프린터의 현재 상태를 획득하고, 문의하는 호스트 컴퓨터에 이 상태를 알린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 내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외부 확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에 적용될 수 있다.
최근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특히 네트워크 환경에 사용되도록 설계된 인쇄 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인터페이스 회로들이 종종 제공된다. 또한, 많은 수의 인터페이스들에 대처하기 위해서, 몇몇 인쇄 장치들은 확장가능 인터페이스 회로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회로는 외부 확장되면, 절전 제어는 여러 형태의 인터페이스로 인에이블된다. 인터페이스의 형태는 단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확장가능 인터페이스 회로를 변경시킴으로써 장차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레이저 비임 프린터는 인쇄 장치의 본보기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당연히 LED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 시스템(electrophotography system)을 이용하는 다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소비의 감소에 있어서 극적 효과가 기대될 수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예를 들어 와이어-도트 또는 열전사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 효과는 비교적 전력 소비가 큰 사무실에서 특히 증대된다.
상기 실시예들은 인쇄 장치의 슬립 상태에만 관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립 상태를 갖는 호스트 컴퓨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네트워크 수단에 적용되면, 네트워크 전체의 낮은 전력 소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호스트 컴퓨터에 적용되면,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전력 감소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로드가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면, 컴퓨터 로드를 분산시키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장비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1개의 장비로 구성된 장치에 의해 구성된 시스템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론,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 응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장치의 배치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약간 복잡하더라도, 슬립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는 종래 기술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해 보면, 이러한 제어 방법이 다른 수단들에 응용되면, 네트워크 수단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수단이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전력 공급을 제외하고, 슬립 상태의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한하기 위해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므로, 절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되면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이 개시되고 콘트롤러부로부터 소정의 코맨드가 수신되면 전원으로부터 콘트롤러부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도록 전원을 제어한다. 호스트 유닛으로부터의 코맨드에 따르면, 인쇄 장치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부터 대기 상태로 또는 대기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환원적으로 스위칭 될 수 있다.
제3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의 통보 수단은 인쇄 장치의 본체의 상태를 호스트 유닛으로 알리기 때문에,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의 현재 프린터 상태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유닛과 통신한다. 호스트 유닛들 중 어느 한 유닛으로부터 코맨드를 수신하면, 슬립 상태에서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은 인터페이스부에서의 전력 공급을 제외하고 제한될 수 있으므로, 절전이 가능하다.
제5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 본체가 슬립 상태의 인쇄 장치 이전에 대기 상태로 설정되는 인쇄 장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므로, 가능한 빨리 인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따르면, 인쇄 장치 본체가 대가 상태로 설정되는 다수의 인쇄 장치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호스트 유닛이 인식하면,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들 중 하나를 슬립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각각의 인쇄 장치의 상태 변화에 상관없이, 인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인쇄 장치가 가능한 빨리 결정될 수 있으며, 반면에 인쇄 상태가 아닌 인쇄 장치들은 슬립 상태로 설정된다.
제7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 본체에/로부터 자유롭게 부착/탈착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부의 확장 및 변형에 대처할 수 있다.
제8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 본체의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외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인터페이스부의 기능을 종래 인쇄 장치에까지 외부 확장가능하다.
따라서, 둘 다 큰 전력 손실이 있는 콘트롤러부 및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제어되는 반면, 프린터 장치 자체는 슬립 상태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고, 동시에 호스트 유닛과의 통신 상태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Claims (26)

  1.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고 엔진부로 상기 생성된 인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부-상기 엔진부는 상기 콘트롤러부로부터의 인쇄 영상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수행함-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콘트롤러부와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콘트롤러 및 상기 엔진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동안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에 기초하여 두 가지 처리-상기 두 가지 처리 중 제1 처리는 상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것이고, 제2 처리는 상기 콘트롤러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하는 것임-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콘트롤러부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을 중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저장하기 위힌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메모리 수단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통보하기 위한 통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호스트 유닛들과 통신하는 인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유닛은, 인쇄 장치가 슬립 상태로 되기 이전에, 인쇄 장치 본체가 상기 통보수단에 의해 알려진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인쇄 장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인쇄 장치들이 대기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상기 호스트 유닛이 인식하면, 상기 호스트 유닛은 상기 인쇄 장치들 중 하나를 슬립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코맨드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전송하는 인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인쇄 장치 본체에 자유롭게 부착되고 상기 인쇄 장치 본체로부터 자유게 탈착될 수 있는 인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인쇄 장치 본체의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를 통해 외부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인쇄 장치.
  9.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고 엔진부로 상기 생성된 인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부-상기 엔진부는 상기 콘트롤러부로부터 출력된 인쇄 영상을 기초로 기록매체 상에 기록을 수행함-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장치; 및 다수의 인쇄 장치들을 접속시킬 수 있고 상기 인쇄 장치들 중 하나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들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및 제2 처리-상기 제1처리는 상태 요구 코맨드(status request command)를 제외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가 상기 상태 요구 코맨드인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것임-중의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상태 요구 코맨드를 각각의 상기 인쇄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상기 인쇄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출력될 인쇄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 정보에 기초한 형태로 상기 인쇄 장치들 각각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상기 인쇄 장치들의 표시된 식별 정보들 중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슬립 모드의 인쇄 장치들 및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인쇄 대기 상태의 인쇄 장치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서 인쇄 대기 상태의 인쇄 장치들이 있다는 것이 판단되면, 인쇄 대기 상태의 상기 인쇄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 수단; 인쇄 대기 상태의 인쇄 장치는 없고 슬립 상태의 인쇄 장치들이 있다는 것이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판단되면, 슬립 상태의 상기 인쇄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 수단; 상기 제1 및 제2 표시수단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인쇄 장치들의 식별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호스트 유닛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의 소정의 코맨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콘트롤러부 및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코맨드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 전력이 공급되는 인쇄 대기 상태,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슬립 상태 및 인쇄 상태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호스트 유닛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시스템.
  16. 복수의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각각의 인쇄 장치는 소정의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전력 소비 감소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자신의 상태를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슬립 상태의 인쇄 장치의 인식 정보 및 전력이 서로 분별 가능한 형태로 상기 엔진부로 공급되는 대기 모드의 인쇄 장치의 인식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상기 인쇄 장치의 표시된 인식 정보를 기초로 인쇄 데이터가 출력될 인쇄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해 표시된 인식 정보 중의 하나를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에 기초하여 콘트롤러부와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슬립 모드의 인쇄 장치들 및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인쇄 대기 상태의 상기 인쇄 장치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수단; 상기 식별수단에 의해서 인쇄 대기 상태의 인쇄 장치들이 있다는 것이 판단되면 인쇄 대기 상태의 인쇄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 수단; 슬립 상태의 인쇄 장치들이 있다는 것이 상기 식별 수단에 의해 판단되면 슬립 상태의 상기 인쇄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수단; 상기 제1 및 제2 표시수단들 중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인쇄 장치들의 식별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및 상기 선택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인쇄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상기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콘트롤러부 및 상기 콘트롤러부로부터의 인쇄 영상을 소정의 기록 매체 상에 기록하기 위한 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콘트롤러부 및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 하기 위한 전력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콘트롤러부 및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에 기초하여 두 가지 처리-상기 두가지 처리 중 제1 처리는 상기 콘트롤러부로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것이고, 제2 처리는 상기 콘트롤러부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하는 것임-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정보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호스트 유닛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통신 인터페이스인 정보 처리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이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소정의 코맨드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시점에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처리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 전력이 공급이 인쇄 대기 상태, 상기 프린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슬립 상태 및 인쇄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호스트 유닛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24.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고 엔진부로 상기 생성된 인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부-상기 엔진부는 상기 콘트롤러부로부터의 인쇄영상에 기초하여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수행함-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콘트롤러부 및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단계를 행하되, 상기 전력 제어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유형에 기초하여 두 가지 처리-상기 두 가지 처리 중 제1 처리는 상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것이고, 제2 처리는 상기 콘트롤러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따른 처리를 하는 것임-중의 하나를 수행하는 인쇄 제어 방법.
  25. 호스트 유닛과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영상을 생성하고 엔진부로 상기 생성된 인쇄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콘트롤러부-상기 엔진부는 상기 콘트롤러부로부터 출력된 인쇄 영상을 기초로 기록 매체 상에 기록을 수행함-를 포함하는적어도 하나의 인쇄 장치; 및 다수의 인쇄 장치들을 접속시킬 수 있고 상기 인쇄 장치들 중 하나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쇄 장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소정의 전원으로부터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 단계를 행하되, 상기 제1 제어 단계는 상기 콘트롤러부와 상기 엔진부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1및 제2 처리-상기 제1처리는 상태 요구 코맨드(status request command)를 제외한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트롤러부로의 전력 공급을 시작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상태 요구 코맨드인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부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호스트 유닛으로 상기 인쇄 장치의 상태를 출력하는 것임-중의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호스트 컴퓨터는 상기 상태 요구 코맨드를 각각의 상기 인쇄 장치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상기 인쇄 장치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쇄 데이터가 출력될 인쇄 장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제어 단계를 행하는 시스템 제어 방법.
  26. 복수의 인쇄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각각의 인쇄 장치는 소정의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전력 소비 감소 모드로 설정될 수 있으며 자신의 상태를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들 각각의 상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단계; 상기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부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슬립 상태의 인쇄 장치의 인식 정보 및 전력이 서로 분별 가능한 형태로 상기 엔진부로 공급되는 대기 모드의 인쇄 장치의 인식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단계; 상기 인쇄 장치의 표시된 인식 정보를 기초로 인쇄 데이터가 출력될 인쇄 장치를 결정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정치 제어 방법.
KR1019940033249A 1993-12-09 1994-12-08 인쇄 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0167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09141 1993-12-09
JP30914193A JP3181779B2 (ja) 1993-12-09 1993-12-09 印刷装置及び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6236231A JPH08101606A (ja) 1994-09-30 1994-09-30 印刷装置
JP94-236231 1994-09-30
JP6271509A JP3059646B2 (ja) 1994-11-04 1994-11-04 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94-271509 199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304A KR950020304A (ko) 1995-07-24
KR0167615B1 true KR0167615B1 (ko) 1999-01-15

Family

ID=2733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249A KR0167615B1 (ko) 1993-12-09 1994-12-08 인쇄 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5937148A (ko)
EP (2) EP0657846B1 (ko)
KR (1) KR0167615B1 (ko)
CN (1) CN1092818C (ko)
DE (2) DE69434717T2 (ko)
ES (1) ES217008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7846B1 (en) * 1993-12-09 2002-03-1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JPH0969889A (ja) * 1995-06-19 1997-03-11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
JP3666619B2 (ja) * 1995-07-14 2005-06-29 オキ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プリンタを発見しエージングする方法
JP3250424B2 (ja) * 1995-08-22 2002-01-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方式及び印刷方法
US6989907B1 (en) 1996-12-12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Response apparatus for sending a response in accordance with a state, and a method therefor
JP3538617B2 (ja) * 1996-12-26 2004-06-1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情報処理システム
US6614546B1 (en) * 1997-03-10 2003-09-02 Minolta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212272B2 (ja) * 1997-10-15 2001-09-25 株式会社ハドソン 画像位置指示装置
US6906814B1 (en) * 1998-03-13 2005-06-14 Fuji Photo Film Co., Ltd. Interfacing method for network printers
NL1009817C2 (nl) * 1998-08-07 2000-02-08 Oce Tech Bv Manipulatie van energiebesparing bij beeldvormende apparaten in een netwerksysteem.
CN1175338C (zh) 1998-11-09 2004-11-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接口装置以及其控制方法
JP3360665B2 (ja) * 1999-03-12 2002-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省電力モードを有する電子印刷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1037138A3 (en) 1999-03-18 2001-09-26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s of controlling them, and storage medium carrying computer program
JP2000298564A (ja) * 1999-04-13 2000-10-24 Ricoh Co Ltd 文書印刷処理方法
KR100325809B1 (ko) * 1999-05-20 2002-02-27 윤종용 네트워크 프린터에서의 대기시간 절약방법
MXPA01004905A (es) * 1999-09-22 2003-08-01 Sony Corp Aparat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on, metodo de control de presentacion, y medio de registro.
JP3832164B2 (ja) * 1999-12-08 2006-10-1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130063B2 (ja) * 2000-01-31 2008-08-0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JP3877944B2 (ja) * 2000-08-03 2007-02-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制御システム
JP2002182887A (ja) * 2000-10-06 2002-06-28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印刷処理方法及び印刷処理プログラム
JP2002215721A (ja) * 2001-01-16 2002-08-0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コンピュ―タ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が格納された記憶媒体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02219842A (ja) * 2001-01-25 2002-08-06 Fujitsu Ltd 印刷装置及びそのパワーセーブ制御方法
JP2002244834A (ja) * 2001-02-15 2002-08-30 Fuji Xerox Co Ltd 印刷装置
JP3503605B2 (ja) * 2001-03-26 2004-03-08 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3428590B2 (ja) * 2001-03-30 2003-07-22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消費電力量制限システムおよび消費電力量制限プログラム
JP4298224B2 (ja) 2001-06-07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法
US7086055B2 (en) * 2001-08-02 2006-08-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processing power by communicating with non-computer devices
US20030112461A1 (en) * 2001-12-18 2003-06-1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KR100460951B1 (ko) * 2002-01-28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US6912607B2 (en) * 2002-02-06 2005-06-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scertaining the status of multiple devices simultaneously over a data bus
US7965399B2 (en) 2002-02-18 2011-06-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output method
US7561288B2 (en) * 2002-07-05 2009-07-1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US6895196B2 (en) * 2002-10-08 2005-05-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298256B2 (ja) * 2002-10-08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40139360A1 (en) * 2003-01-15 2004-07-15 Bliley Paul D. Off mode for device
US20040179226A1 (en) * 2003-03-10 2004-09-16 Burkes Theresa A. Accelerating printing
JP4136771B2 (ja) * 2003-04-2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2B2 (ja) *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125173B2 (ja) 2003-04-23 2008-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の接続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334793A (ja) * 2003-05-12 2004-11-25 Canon Inc 周辺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および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検索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348337A (ja) * 2003-05-21 2004-12-09 Minolta Co Ltd ネットワーク情報処理装置
US7523408B2 (en) * 2003-05-30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in a storage subsystem copy services product
JP4341303B2 (ja) * 2003-06-09 2009-10-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印刷システム
KR100529330B1 (ko) * 2003-07-02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복구 가능한 인쇄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 프로그램을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5041127A (ja) 2003-07-23 2005-02-17 Brother Ind Ltd ステータス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通信処理装置
EP2056359B1 (en) * 2003-08-20 2021-06-09 SunPower Corporation, Systems PV wind performance enhancing method
JP2005271370A (ja) * 2004-03-24 2005-10-06 Fuji Xerox Co Ltd 印刷管理装置、印刷管理方法、印刷管理プログラム、及び印刷管理システム
JP4537133B2 (ja) * 2004-07-09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7796588B2 (en) 2004-07-27 2010-09-1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7852501B2 (en) * 2004-10-26 2010-12-14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1710678A3 (en) * 2005-03-31 2006-11-29 Ricoh Company,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adding data converting function, program and medium
US8296649B2 (en) * 2005-05-31 2012-10-23 Sorenson Media, Inc.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a preview of a reformatted preview segment
US7975219B2 (en) * 2005-05-31 2011-07-05 Sorenson Media, Inc.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formatting data
US7885979B2 (en) * 2005-05-31 2011-02-08 Sorenson Media, Inc. Method, graphical interfa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forming a batch job
JP4708869B2 (ja) * 2005-06-08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681397B2 (ja) * 2005-08-31 2011-05-11 株式会社沖データ 電子装置
JP4659597B2 (ja) * 2005-11-17 2011-03-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4255476B2 (ja) * 2006-02-03 2009-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372109B2 (ja) * 2006-02-03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455523B2 (ja) * 2006-03-14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265805B2 (ja) * 2006-03-29 2009-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4236671B2 (ja) * 2006-04-05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236672B2 (ja) * 2006-04-05 2009-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587985B2 (ja) * 2006-04-10 2010-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9274807B2 (en) 2006-04-20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hibernation of activitie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950491B1 (ko) 2006-08-03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카드, 이를 갖는 네트워크프린터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JP4886463B2 (ja) 2006-10-20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パラメータ設定方法、通信装置及び通信パラメータを管理する管理装置
US8248629B2 (en) * 2007-06-21 2012-08-21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ower mode control section for allocating a printout for a reserved low-key print setting job
JP4584296B2 (ja) * 2007-10-29 2010-11-17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処理装置
KR101236392B1 (ko) * 2007-12-10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 및 그 절전모드제어방법
JP2009205538A (ja) * 2008-02-28 2009-09-10 Canon Inc 電子機器、電力状態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1782838A (zh) * 2009-01-16 2010-07-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打印系统
JP5263027B2 (ja) * 2009-06-23 2013-08-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管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391823B (zh) * 2009-09-14 2013-04-01 Avision Inc 與一電腦主機連結之週邊裝置及其相關之電源控制方法
CN102263874B (zh) 2010-05-28 2014-03-12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具有省电模式的图像形成装置
JP5636843B2 (ja) * 2010-09-24 2014-12-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JP5824978B2 (ja) * 2011-08-31 2015-1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3058042A (ja) 2011-09-07 2013-03-2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セキュ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と証明書情報の更新方法
JP5799699B2 (ja) * 2011-09-15 2015-10-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力供給制御装置、管理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6007493B2 (ja) * 2011-12-22 2016-10-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972578B2 (ja) * 2012-01-16 2016-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3161122A (ja) * 2012-02-01 2013-08-19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03922B2 (ja) 2012-02-16 2016-04-13 株式会社リコー 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画像形成装置、機器管理プログラム
JP6006508B2 (ja) * 2012-03-05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6016425B2 (ja) * 2012-04-12 2016-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21479B2 (ja) * 2012-07-09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05031B2 (ja) * 2013-11-26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0375028B2 (en) * 2014-07-03 2019-08-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ceive device management request through firewall
JP6452548B2 (ja) * 2015-05-27 2019-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及び制御方法
JP6609140B2 (ja) 2015-08-25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デバイスアプリケーションとプログラム
US20200204694A1 (en) * 2018-12-21 2020-06-25 Xerox Corporation Multi-part screen displaying document processing status alphanumerically and graphically
JP2022133585A (ja) * 2021-03-02 2022-09-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871A (en) * 1981-05-18 1982-11-22 Sharp Corp Printing apparatus
US5220674A (en) * 1987-07-17 1993-06-1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Local area print server for requesting and storing required resource data and forwarding printer status message to selected destination
JPH0650457B2 (ja) * 1987-10-14 1994-06-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デバイス電源制御装置
JPH03122715A (ja) 1989-10-05 1991-05-24 Casio Comput Co Ltd プリンタ選択装置
JPH04189063A (ja) * 1990-11-22 1992-07-07 Brother Ind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EP1225483A3 (en) * 1991-04-18 2002-08-28 Canon Kabushiki Kaisha Machine managing apparatus
JPH04355556A (ja) * 1991-06-03 1992-12-09 Nec Eng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32013A (ja) 1991-07-30 1993-02-09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H0532012A (ja) 1991-07-30 1993-02-09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JP3093342B2 (ja) 1991-07-30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省電力化のための方法及び印刷装置
US5581668A (en) * 1991-07-30 1996-12-0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US5247623A (en) * 1991-08-15 1993-09-21 Primax Electronics Ltd. Automatic multiple personal computer/computer printer connecting system
JPH0595463A (ja) * 1991-10-01 1993-04-16 Hitachi Ltd 電源自動投入式フアクシミリ装置
US20030156129A1 (en) * 1991-12-25 2003-08-21 Tsutomu Takahashi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05281878A (ja) * 1992-03-31 1993-10-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5706411A (en) * 1992-11-09 1998-01-06 Microsoft Corporation Printer status user interface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5287194A (en) * 1992-11-25 1994-02-15 Xerox Corporation Distributed printing
JPH06342348A (ja) * 1993-03-10 1994-12-13 Minolta Camera Co Ltd プリンタ制御装置
JPH06282127A (ja) * 1993-03-26 1994-10-07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H07114284A (ja) * 1993-10-20 1995-05-02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
JPH07114292A (ja) * 1993-10-20 1995-05-02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
KR960010183B1 (ko) * 1993-10-23 1996-07-26 김광호 에너지절감 화상기록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657846B1 (en) * 1993-12-09 2002-03-13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having power saving function
KR0141675B1 (ko) * 1993-12-30 1998-07-15 김광호 전자 사진 기록장치의 절전 프린팅방법
US5580177A (en) * 1994-03-29 1996-12-03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client network with centrally updated printer drivers and printer status monitoring
US5727135A (en) * 1995-03-23 1998-03-10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printer status information indication
US5935262A (en) * 1995-06-09 1999-08-10 Canon Information Systems, Inc. Outputting a network device log f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57846A3 (en) 1997-07-16
ES2170085T3 (es) 2002-08-01
DE69434717D1 (de) 2006-06-01
DE69434717T2 (de) 2007-04-12
US6459496B1 (en) 2002-10-01
US20020149789A1 (en) 2002-10-17
US6785012B2 (en) 2004-08-31
CN1113329A (zh) 1995-12-13
EP0657846B1 (en) 2002-03-13
DE69430103D1 (de) 2002-04-18
EP0657846A2 (en) 1995-06-14
EP1136907B1 (en) 2006-04-26
CN1092818C (zh) 2002-10-16
DE69430103T2 (de) 2002-08-01
KR950020304A (ko) 1995-07-24
US5937148A (en) 1999-08-10
EP1136907A1 (en)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7615B1 (ko) 인쇄 장치와 이를 구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95716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led activation based on port numb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5897252A (en) Peripheral device control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JP2003220742A (ja) 印刷装置
JP305964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H08101606A (ja) 印刷装置
KR20090060866A (ko) 화상형성장치와 연결된 호스트장치 및 그 절전모드제어방법
JP200021889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H10217583A (ja) 印刷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と印刷システム
JP3123634B2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6005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電力管理方法
JP2000062292A (ja)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3181779B2 (ja) 印刷装置及び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JPH07219727A (ja) 印刷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463889B2 (ja) プリントサーバ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クライアント及びその印刷制御方法
US6438334B1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H10308790A (ja)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JP3724138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並びに印刷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印刷制御装置
JP200035714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とそれらの制御方法
JP3559620B2 (ja) プリンタシステム
JP3228637B2 (ja) 印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7271538A (ja) 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0159726B1 (ko) 프린터의 웨이크 업 방법
JP3397539B2 (ja) 制御処理装置、印刷制御装置、プリンタ及びそれらの制御処理方法
JPH11194917A (ja) 印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