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951B1 -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 Google Patents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951B1
KR100460951B1 KR10-2002-0004829A KR20020004829A KR100460951B1 KR 100460951 B1 KR100460951 B1 KR 100460951B1 KR 20020004829 A KR20020004829 A KR 20020004829A KR 100460951 B1 KR100460951 B1 KR 10046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rinter
power supply
host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511A (ko
Inventor
김정환
주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951B1/ko
Priority to US10/254,975 priority patent/US6804482B2/en
Priority to JP2003006523A priority patent/JP2003211797A/ja
Publication of KR2003006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호스트에서 전원공급여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프린터가 개시된다. 프린터는 호스트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선, 및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을 가지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호스트와 연결된다. 프린터는 외부교류전원을 변환하여 프린터의 각 전장품에 구동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각 전장품에 구동전원의 공급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칭부, 및 인터페이스의 전원공급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동작가능하며, 데이터선을 통해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제어부는 인쇄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및 인터페이스의 전원공급선으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각 전장품에 구동전원을 차단시키도록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프린터의 전원공급제어를 호스트에서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전송여부에 따라 제어함으로써, 기존에 항상 프린터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 전원의 낭비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Printer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supply by a host}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린터의 전원공급 제어를 호스트에서 가능하게 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항상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따라인쇄물을 출력할 경우에만 가끔씩 구동하며,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원은 항상 온상태로 유지될 때가 많다.
또한, 종래의 프린터에서는 전원을 오프시켜도 프린터의 모든 전원이 오프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 또는 전체 시스템에는 전원이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프린터가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전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의 전원공급여부를 호스트에서 제어가능하게 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블록도,
도 2은 도 1의 전원공급부에 대한 상세한 회로도, 그리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프린터에 대한 전원공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호스트 200 : 프린터
211 : USB 인터페이스 212 : 저장부
217 : 제어부 240 : 입력부
220 : 인쇄부 230 : 전원공급부
231 : 스위칭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호스트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선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을 가지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호스트와 연결되는 프린터에 있어서, 외부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프린터의 각 전장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전원공급선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에 의해 동작가능하며,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각 전장품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 및 상기 전원공급선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각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프린터의 전원 제어를 호스트에서 제어가능하게 함으로써, 호스트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지의 여부 및 호스트의 전원상태에 대응하여 프린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USB 시스템의 USB 디바이스 중 프린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시스템은 USB 호스트인 컴퓨터와, USB 디바이스인 프린터로 구성된다.
프린터(200)는 프린터(200)의 동작을 논리적으로 제어하는 논리부(210)와, 프린터(200)의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부(220)와, 프린터(200)의 전체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30), 및 사용자의 인쇄동작 및 기타 프린터 동작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40)를 가진다.
논리부(210)는 일반적으로 USB 인터페이스(211), 저장부(212), 제어부(217) 등을 가지며, 논리부(210)를 동작시키는 논리전압(Logic Power)은 대략 +3.3V 내지 +2.5V이다.
저장부(212)는 프린터(200)의 전체 구동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미도시), 및 호스트(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쇄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램(미도시)등을 가진다.
USB 인터페이스(211)는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 데이터선(D+,D-), 및 +5V의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VBUS) 등을 갖는다.
DC/DC 컨버터(232)는 전원공급선(VBUS) 및 전원공급부(230)으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전압을 논리전압(+3.3V 또는 +2.5V)으로 변환하여 논리부(210)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프린터(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도 호스트(100)와 연결된 USB 인터페이스의 전원공급선(VBUS)으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전압을 이용하여 DC/DC 컨버터(232)에 의해 프린터(200)의 논리부(210)에는 항상 논리전압이 공급된다.
전원공급부(230)는 트랜스포머(T)를 기준으로 AC 전원 코드로부터 입력된 AC 전원을 직접 입력받는 제1차측과, 제1차측의 전원을 프린터용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차측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위칭부(231)는 일반적으로 전원공급부(230)의 제1차측에 마련되며 제어부(217)의 제어에 의해 전원의 공급여부를 스위칭한다.
예컨데, 호스트(100)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면, 제어부(217)는 프린터(200)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명령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전원공급부(230)에 보낸어 스위칭부(231)를 동작시킨다. 반대로, 인쇄동작이 완료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에도 인쇄데이터가 전송되지 않고 프린터(200)에 아무런 동작이 없으면, 제어부(217)는 프린터(200)의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프린터(200)에 전원을 차단시키는 명령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전원공급부(230)에 보내어 스위칭부(231)를 차단시킨다.
또는, 호스트(100)의 전원이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면, 프린터(200)의 제어부(217)는 프린터(200)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해 전원공급부(23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전원공급부(230)의 스위칭부(231)를 차단시킨다.
또한, 프린터(200)에 전원공급부(23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인, 전원 '온'상태에서, 호스트(100)의 전원이 '오프'될 경우, 또는 인터페이스 컨넥터가 분리될 경우에는, 제어부(217)는 전원공급선(VBUS)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을 판단하여 전원공급부(23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스위칭부(231)를 차단시킨다.
인쇄부(220)는 실질적으로 인쇄동작을 수행하는 인쇄헤드 및 모터(미도시)등을 가지며, 인쇄부(220)를 동작시키는 구동전압(Drive Power)은 대략 +30V 이다.
입력부(240)에는 일반적으로 프린터(2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버튼(미도시)이 마련되며, 또한, 전원 온/오프에 대한 선택스위치(텍트스위치:S/W)도 마련된다.
즉, 프린터(200)의 전원공급여부에 대한 제어는 호스트(100)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으며, 입력부(240)에 마련된 선택스위치(S/W)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USB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은 프린터(200)의 전원 공급 제어는 일반적인 프린터의 전원 공급 제어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도 2 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프린터(20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전원공급선은 VBUS 라인으로 명칭한다.
프린터(200)의 AC 전원 코드를 통해 AC 전원이 입력되고 있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 정류회로에 의해 정류된 DC 전압이 전원공급부(230)의 제1차측에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는 PWM-IC에 기동전압(Vcc)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프린터(20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원 오프'상태이다.
도 3a를 참조하여 전원 '온'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USB 인터페이스(211)의 VBUS 라인으로부터 +5V의 전압은 항상 공급되어, DC/DC 컨버터(232)에 의해 논리전압(+3.3V 또는 +2.5V)으로 변환되어 논리부(210)를 동작시킨다(S10). 따라서, 논리부(210)가 동작하여 프린터(200)의 초기화 작업이 진행된다(S20).
이때, 제어부(217)는 논리부(210)를 구동시키는 논리전압이 전원공급부(230)로부터 공급되는지, VBUS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인지를 판단하여 프린터(230)에 전원상태를 읽는다(S30). 예컨데, 제어부(217)는 전원공급부(230)의 +5V의 출력단 또는 다른 확인 가능한 포트를 읽어 '하이'이면 프린터(200)의 전원이 '온'상태, '로우'이면 프린터(200)의 전원이 '오프'상태로 판단한다.
현재의 프린터(200)의 전원이 '오프'상태이면(S40), 프린터(200)는 슬리프 (Sleep Mode:외적인 동작은 없음)로 동작하게 되며, 호스트(100)로 '전원 온'에 대응하는 인쇄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때, 호스트(100)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입력될 경우에(S60), 제어부(217)는 프린터(200)의 인쇄부(220)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공급부(23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S60). 즉, 전원공급부(230)의 제2차측의 PWR ON단에 '로우' 신호를 입력시킨다.
PWR ON단에 '로우' 신호가 입력되면, 포토커플러(PC3-1,PC3-2) 내의 포토다이오드(PC3-1)는 동작되어 발광하고 포토다이오드(PC3-1)의 빛에 의해 포토커플러(PC3-1,PC3-2) 내의 포토트랜지스터(PC3-2)가 동작되면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로우'가 된다. 따라서, PNP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따라 콜렉터와 에미터사이가 도통(ON)상태가 되어 DC 전압이 PWM-IC(23)의 동작전압으로 공급된다. PWM-IC의 동작에 의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는 스위칭하여 제1차측의 전압을 제2차측에 유기시킨다. 따라서, 논리전압(Logic Power:+5V) 및 구동전압(Drive Power:+30V)이 출력된다(S70). 이때, 제어부(217)는 출력단 및 기타 다른 포트를 읽어(S80) 현재의 프린터(200) 전원상태가 '온'상태임을 판단한다(S90).
한편, 선택스위치(S/W)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명령을 입력할 경우, 예컨데, 선택스위치(S/W)가 눌려지면(S51), 앞에서 설명한 PWR ON 동작과 동일하게 전원공급부(230)의 트랜지스터(Q2)가 도통되어 PWM-IC가 동작하여 프린터(200)에 전원이 공급된다(S70).
이때, 포토커플러(PC4-1,PC4-2)의 동작에 의해 D플립플롭에 입력되는 클럭신호(CLK)가 변함에 따라 출력신호(PWR_STATUS)가 변하는 것을 제어부(217)에서 읽어(S80) 현재 전원이 '온'상태임을 판단한다(S90). 또는, D플립플롭을 사용하지 않고, 포토트랜지스터(PC4-2)의 출력신호를 제어부(217)가 폴링(polling)방식으로감시하여 '로우'상태가 되는지를 감시한다.
그 후, 프린터(200)는 전원이 공급되어 인쇄동작을 위한 준비상태(stand-by)되어(S100), 인쇄동작이 수행된다.
다음, 도 3b를 참조하여 전원 '오프'에 대한 동작을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인쇄 동작이 종료되고 프린터(200)가 준비상태(S100)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소정의 인쇄데이터 등의 제어명령이 전송되지 않을 경우에(S110), 제어부(217)는 전원공급부(230)에 전원을 차단시키기 위해 제2차측의 PWR OFF 단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즉, PWR OFF 단에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Q36)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콜렉터와 에미터가 도통상태가 된다. 따라서, 포토커플러(PC2-1,PC2-2)가 동작됨에 따라서 PWM-IC의 기동전압(Vcc)은 PWM 인에이블 단자로 바이패스되어 차단된다. 따라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스위칭이 중지되어 제2차측으로 전달되는 전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프린터(20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S120).
또한, 설정시간 내에 선택스위치(S/W)를 눌러 전원을 차단시킬 경우에는, 먼저, 선택스위치(S/W)가 눌러지면(S130), 제어부(217)는 선택스위치(S/W)가 눌러짐 상태를 확인하고 프린터(200)에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PWR OFF 단에 제어신호를 보낸다. 이때, 제어부(217)는 현재 프린터(200)의 전원상태(PWR_STATUS)를 확인하여(S140) 프린터(200)의 전원을 차단시키기 전에 프린터(200)의 전원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따라서, 프린터(200)의 전원상태(PWR_STATUS)가 '오프' 상태이면프린터(200)의 동작상에 에러가 발생한 것이며, 반면, 프린터(200)의 전원상태(PWR_STATUS)가 '온'상태이면, 제어부(217)는 PWR OFF 단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프린터(200)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즉, 제어부(217)는 PWR OFF단에 '하이'신호가 입력되어 전원이 '오프'상태가 되는 동작(S120)은 앞에서 설명한 동작방법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호스트(100)의 전원이 '오프'되는 상태가 진행될 경우, 호스트(100)는 인터페이스의 데이터선을 통해 전원오프명령을 프린터(200)의 제어부(217)에 전송한다(S150). 제어부(217)는 프린터(200)의 전원을 오프시키 위해 PWR OFF 단에 '하이'신호를 입력시킨다. 그 후, 전원 '오프'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S120).
또한, 호스트(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VBUS 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5V의 전압이 차단되므로 제어부(217)는 프린터(200)에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전원공급부(230)의 PWR OFF 단에 전송한다(S150).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부(231)가 차단됨으로써, 프린터(200)의 전원은 '오프'상태가 된다(S120).
따라서, 프린터(200)가 실질적으로 인쇄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호스트로부터 VBUS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5V전압을 논리부를 구동하는 구동전압으로 사용함으로써, 프린터의 전원이 오프상태에서도 프린터의 논리적인 동작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프린터의 전원 공급 제어를호스트에서 전송되는 인쇄데이터의 전송여부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의 전원 제어를 사용자가 프린터의 입력부인 조작판넬을 통해서 제어하던 것을 호스트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호스트로부터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프린터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항상 프린터의 전원을 온시킨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의 전원의 낭비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0)

  1. 호스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선,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을 가지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호스트와 연결되는 전자제품에 있어서,
    외부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각 전장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전원공급선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에 의해 동작가능하며,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선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
  5. 호스트로부터 인쇄데이터를 전송받는 데이터선, 및 상기 호스트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을 가지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호스트와 연결되는 프린터에 있어서,
    외부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프린터의 각 전장품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전원공급선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전압에 의해 동작가능하며,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인쇄데이터가 전송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전원공급부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전장품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가 소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선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선을 통해 상기 호스트로부터 전원차단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상기 각 전장품에 상기 구동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2-0004829A 2002-01-28 2002-01-28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KR10046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29A KR100460951B1 (ko) 2002-01-28 2002-01-28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US10/254,975 US6804482B2 (en) 2002-01-28 2002-09-26 Printer to control power supply via a host
JP2003006523A JP2003211797A (ja) 2002-01-28 2003-01-15 電子製品,及び電子製品の電源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829A KR100460951B1 (ko) 2002-01-28 2002-01-28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511A KR20030064511A (ko) 2003-08-02
KR100460951B1 true KR100460951B1 (ko) 2004-12-09

Family

ID=2760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829A KR100460951B1 (ko) 2002-01-28 2002-01-28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04482B2 (ko)
JP (1) JP2003211797A (ko)
KR (1) KR100460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594B1 (ko) * 2002-07-23 2005-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 상의 파워 서플라이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4202692A (ja) * 2002-12-20 2004-07-22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
US6987334B2 (en) * 2003-11-22 2006-0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switch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JP2006065416A (ja) * 2004-08-24 2006-03-09 Murata Mach Ltd 電子機器
US8587825B2 (en) 2005-01-20 2013-11-19 Zih Corp Ethernet and USB powered printers and methods for supplying ethernet and USB power to a printer
KR101128352B1 (ko) * 2005-02-18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컨트롤러 및 그것의 절전모드 제어 방법
JP2006235993A (ja) * 2005-02-24 2006-09-07 Sharp Corp 電気機器システム、電気機器及び接続制御方法
US8126348B2 (en) * 2006-02-06 2012-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apparatu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43243A (ja) * 2007-07-18 2009-02-26 Ricoh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省エネルギー復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39941B2 (ja) * 2009-05-14 2014-03-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信号送信装置
TW201203954A (en) * 2010-07-09 2012-01-16 Netklass Technology Inc Network device with routing function and the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CN102340440A (zh) * 2010-07-16 2012-02-01 弘真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路由功能的网络装置及其电源管理方法
JP5853368B2 (ja) * 2011-01-13 2016-02-09 富士通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電源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8953341B2 (en) * 2011-05-09 2015-02-10 Infineon Technologies Ag Convert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WO2013050970A1 (en) * 2011-10-06 2013-04-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al lighting system power control
JP2015191453A (ja) * 2014-03-28 2015-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中継回路、記録装置および記録システム
EP3050742A1 (en) * 2015-02-02 2016-08-03 Magneti Marelli S.p.A. Solid-state relay including an electronic current detection bloc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0A (ja) * 1990-11-20 1993-01-08 Canon Inc 無線印刷装置
JPH08166862A (ja) * 1994-12-15 1996-06-25 Canon Inc 印刷装置及び該装置を含む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電源遮断方法
KR19990020087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원격 전원 제어 방법
KR19990078779A (ko) * 1999-08-06 1999-11-05 이상열 사무기기의 전원제어장치와 그 방법
JP2000020179A (ja) * 1998-07-01 2000-01-21 Ricoh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0137552A (ja) * 1998-11-02 2000-05-16 Nec Niigata Ltd 電源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127A (ja) * 1993-03-26 1994-10-07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EP1136907B1 (en) * 1993-12-09 2006-04-2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ing as a hos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217930B2 (ja) * 1995-01-17 2001-10-15 スター精密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DE69904875T2 (de) * 1998-06-01 2003-08-28 Seiko Epson Corp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s Stromversorgungszustands in einem an einen Hauptrechner angeschlossenen Peripheriegerät
KR100338734B1 (ko) * 1998-07-31 2002-07-18 윤종용 인쇄기및그전력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0A (ja) * 1990-11-20 1993-01-08 Canon Inc 無線印刷装置
JPH08166862A (ja) * 1994-12-15 1996-06-25 Canon Inc 印刷装置及び該装置を含む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電源遮断方法
KR19990020087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원격 전원 제어 방법
JP2000020179A (ja) * 1998-07-01 2000-01-21 Ricoh Co Ltd プリンタシステム
JP2000137552A (ja) * 1998-11-02 2000-05-16 Nec Niigata Ltd 電源制御システム
KR19990078779A (ko) * 1999-08-06 1999-11-05 이상열 사무기기의 전원제어장치와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11797A (ja) 2003-07-29
US20030142515A1 (en) 2003-07-31
US6804482B2 (en) 2004-10-12
KR20030064511A (ko) 200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951B1 (ko) 호스트에 의해 전원제어가 가능한 프린터
US81936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multiple power receiving units
US6230277B1 (en) Peripheral device for reducing power supplied from a hos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53065B1 (ko) 전자기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70593B1 (ko) 키오프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JP2000105638A (ja) Usbデバイス及びusb接続システム
CN101387843A (zh) 电源控制系统
JP3664236B2 (ja) Usb機器
US20050063725A1 (en) Image forming device
US20050030680A1 (en) Electric outlet for stanby power interruption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power saving system
KR100448274B1 (ko) 대기전력 차단 및 절전을 위한 전원공급 제어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절전 시스템
JP2003118204A (ja) 印刷装置
JP2002108518A (ja) 周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4670477U (zh) 具有可延迟外接风扇停转的电源供应器
CN1312817C (zh) 电流诱导型开关装置
KR100315809B1 (ko) 세탁기의 전원장치
US8542001B2 (en) Power circuit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KR100380009B1 (ko) 전자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JP4258264B2 (ja) 情報端末装置、これを備えたpos端末
JP4348493B2 (ja) 電源回路
KR0180337B1 (ko) 가전기기 등의 절전형 스위칭 모드 전원 회로
KR200375995Y1 (ko) 컴퓨터용 절전탭
JP2000324421A (ja) 電子機器の待機電源回路
JP3927524B2 (ja) パワーサプライの制御方法,制御装置,及び制御回路
JP2005078475A (ja) データ転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