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441A -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441A
KR20170124441A KR1020170035200A KR20170035200A KR20170124441A KR 20170124441 A KR20170124441 A KR 20170124441A KR 1020170035200 A KR1020170035200 A KR 1020170035200A KR 20170035200 A KR20170035200 A KR 20170035200A KR 20170124441 A KR20170124441 A KR 20170124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composite material
alloy
sintering
entropy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7611B1 (ko
Inventor
홍순형
류호진
이빈
이준호
리잘디 무함마드 포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US15/495,41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314097A1/en
Publication of KR20170124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84Alloys containing non-metals by mechanical alloying (blending, 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94Alloys containing non-metals comprising an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04B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17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52Nitrides, e.g. oxynitrides, carbonitrides, oxycarbonitrides, lithium nitride, magnesium 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0Metallic constituents or additives not added as binding ph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Co, Cr, Fe, Ni, Mn, Cu, Mo, V, Nb, Ta, Ti, Zr, W, Si, Hf 및 A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4 이상의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을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강도 및 고온 안정성을 개선하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HIGH- STRENGTH AND HEAT-RESISTING HIGH ENTROPY ALLOY MATRIX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합금 소재 개발은 Ti, Ni 등 주요 금속을 기반으로 미량 원소 첨가에 의한 강도, 인성, 내열성 및 내식성 등의 특성 향상 효과를 목표로 이루어졌다. 현재 미량 원소 첨가에 의한 합금 소재 개발은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되고 있다.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고엔트로피 합금은 4~5가지 이상의 금속원소가 일정 원소비율로 혼합되어 높은 혼합 엔트로피, 원소들의 크기 차이에 따른 격자 뒤틀림, 낮은 확산 속도 등의 효과로 기존 금속에 비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보고되고 있다.
2014년 Science지에 보고된 CoCrFeMnNi 고엔트로피 합금의 경우, 200 MPa·m0.5에 달하는 파괴인성을 보여 티타늄 합금의 세 배에 가까운 물성을 보이고 있어, 기존 구조용 합금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극한 환경용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고엔트로피 합금의 응용성을 더욱 확대시키기 위해 강화재 첨가를 통한 기계적 물성 향상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금속기지에 응용되는 산화물류, 탄화물류를 강화재로 응용한 복합재료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화재의 균일한 분산 및 결정구조 미세화를 위해 분말야금 공정을 이용한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분말야금 공정에서는 유성밀 등을 비롯한 고에너지 밀링 공정이 주로 이용된다.
연성이 강한 FCC계 고엔트로피 합금을 이용한 고에너지 밀링 공정의 경우 밀링 과정에서 볼과 용기에 냉간 압접 (cold welding)이 일어나 분말의 수율이 떨어지고 볼에 의한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강화재가 첨가된 복합 고엔트로피 합금의 경우 강화재가 냉간 압접을 야기시키는 반응점이 되기 쉽고, 냉간 압접에 의한 심각한 수율 저하를 불러오고 있다. 분말야금 공정을 이용한 복합 고엔트로피 합금의 냉간 압접 현상을 저하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금의 내열성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냉간 압접 현상을 저하시켜 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Co, Cr, Fe, Ni, Mn, Cu, Mo, V, Nb, Ta, Ti, Zr, W, Si, Hf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4종 이상의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 를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는, 강화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화재는,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금속 규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붕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강화재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대해 0.01 부피% 내지 50 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VEC(valence electron concentration) 값이 7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상기 기지 원소와 상이하며, Al, Cr, Mn, Mo, Nb, Ta, Ti, V 및 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대해 0.01 몰% 내지 9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VEC(valence electron concentration)는 1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는, 석출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석출상은, Co, Cr, Fe, Ni, Mn, Cu, Mo, V, Nb,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금속 규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붕화물 및 금속간화합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석출상은, Ni3Nb, TiC, MoC, CrC, Cr23C6, Mo23C6, W23C6, Co23C6, Fe23C6, Mo6C, W6C, Co6C, Ni6C, Ni3Al, Ni3Ti, TiAl 및 CraMobNic(a, b 및 c는 유리수이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Co, Cr, Fe, Ni, Mn, Cu, Mo, V, Nb, Ta, Ti, Zr, W, Si, Hf 및 Al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4종 이상의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혼합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하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 형성 단계는,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가 상기 기지 원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에너지 볼 밀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50 % 이상의 수율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는, 강화재, 석출상 형성 원소 또는 이 둘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또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석출상 형성 원소를 첨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출상 형성 원소는, Co, Cr, Fe, Ni, Mn, Cu, Mo, V, Nb,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 이후에 300 ℃ 내지 1500 ℃에서 열처리하여 석출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의 녹는점의 50 % 내지 99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엔트로피 합금기지에 체심입방(BCC)계 형성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냉간압접의 발생을 낮추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합성 수율을 높이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분말의 수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XRD(X-ray diffraction)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경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압축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는, 면심입방 (FCC)구조를 가진 기지 고엔트로피 합금기지에 체심입방 (BCC) 형성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분말의 취성을 소량 증가시켜 냉간 압접 현상을 방지하고,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합금 분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Figure pat00001
' 상 및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붕화물 및 규화물 형성을 비롯한 석출상 형성에 의해서 합금의 기계적 물성과 고온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는,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포함하고, 강화재 및/또는 석출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기지 원소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기지 고엔트로피 합금을 형성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면심입방 구조 (FCC)의 합금을 형성하는 원소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 원소는, 면심입방계 구조를 형성하는 원소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기지 원소는, Co, Cr, Fe, Ni, Mn, Cu, Mo, V, Nb, Ta, Ti, Zr, W, Si, Hf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4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oCrFeNi, CoCrFeMn, CoCrFeCu, CoCrFeMo, 및 CoCrFeV, CoCrFeNb, CuCrFeNi 및 CoCrCuNi 중 어느 하나인 4원계 합금; CoCrFeNiMn, CoCrFeNiCu, CoCrFeNiMn, CoCrFeNiMo, CoCrFeNiV, CuCrFeNiMn, CoCrCuFeNi 및 CoCrFeNiNb 중 어느 하나인 5원계 합금; 및 CoCrFeNiMnMo, CoCrFeNiMnCu, CoCrFeNiMnV 및 CoCrFeNiMnNb 중 어느 하나인 6원계 합금;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 원소는, 각각 상기 기지 고엔트로피 합금에 대해 5 몰% 내지 35 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냉간 압접과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합금기지, 예를 들어, 합금 평균 VEC(valence electron concentration)가 8 이상인 FCC 상 합금기지에 합금 평균 VEC를 8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냉간 압접을 방지하고, 합금 분말의 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간 압접에 따른 볼에 의한 오염도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합금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고엔트로피 합금의 평균 VEC를 낮출 수 있는 원소이며, 바람직하게는 VEC값이 7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6.8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원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Al, Cr, Mn, Mo, Nb, Ta, Ti, V 및 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상기 기지원소와 상이하고, 상기 VEC는, 원자가전자와 d-오비탈에 포함하고 있는 원자의 수를 합한 값을 의미하고, 2011년 Journal of Applied Physics 지에 Guo 등이 게재한 논문에 따라 고엔트로피 합금은 구성 원소의 VEC에 의해 FCC 및 BCC 상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대해 0.01 몰% 내지 90 몰%; 0.1 몰% 내지 60 몰%; 0.1 몰% 내지 30 몰%; 0.1 몰% 내지 20 몰%; 또는 0.1 몰% 내지 5 몰%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냉간 압접을 방지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금속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강화재는,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상기 강화재는,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금속 규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붕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산화물은, Al2O3, SiO2, TiO2, ZrO2, Ta2O5, MgO, BeO, BaTiO3, ZnO, BaO, CrO2, Y2O3, SnO2, WO2, W2O3, 및 W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 탄화물은, SiC, TiC, ZrC, HfC, VC, NbC, TaC, Mo2C 및 W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질화물은, TiN, ZrN, HfN, VN, NbN, TaN, AlN, AlON, 및 Si3N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금속 붕화물은, TiB2, ZrB2, HfB2, VB2, NbB2, TaB2, WB2, MoB2, B4C 및 LaB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강화재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대해 0.01 부피% 내지 50 부피%; 바람직하게는 0.05 부피% 내지 10 부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강화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면, 합금기지 내에 분산이 잘 이루어지고, 금속복합소재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석출상(Precipitation phase)은, 금속복합소재의 고온 물성을 향상시켜 고온용 소재로 적용가능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석출상은, 기지원소;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 및 추가된 석출상 형성 원소 또는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의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석출상은
Figure pat00002
'상; 및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붕화물, 규화물 및 금속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Figure pat00003
'상은 기지 고엔트로피 합금 내에 분산된 기지원소,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 및 석출상 형성 원소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결정상이며, 예를 들어, Ni3Al, Ni3Ti 및 TiAl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출상 중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붕화물, 규화물 및 금속간화합물은, Co, Cr, Fe, Ni, Mn, Cu, Mo, V, Nb,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금속 규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붕화물 및 금속간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탄화물은, TiC, MoC, CrC, Cr23C6, Mo23C6, W23C6, Co23C6, Fe23C6, Mo6C, W6C, Co6C, Ni6C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간화합물은, 2원계 이상의 금속간화합물이며, M1aM2b 및 M1aM2bM3c(여기서, M1 내지 M3는 Co, Cr, Fe, Ni, Mn, Cu, Mo, V, Nb,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에서 선택되고, a, b 및 c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유리수이며, 100 이하의 유리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1aM2b는, Ni3Nb, Ni3Al, Ni3Ti, TiAl 등이며, M1aM2bM3c는, CraMobNic 등의 CrMoNi계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출상은,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합금화 과정에서 기지원소, 체심입방계원소 또는 이둘에 의해 형성되거나 및/또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의 형성 전 또는 후에 석출상 형성 원소의 첨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의 소결 및/또는 소결 이후에 열처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석출상 형성 원소는, 기지원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Co, Cr, Fe, Mn, Cu, Mo, V, Nb, Ni,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 원소; 및/또는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에 대해 0 몰% 초과 및 30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몰% 내지 100 몰%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평균 VEC는,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5일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기지 합금 원소가 FCC 구조를 형성하므로, 기지 합금 원소에 비하여 VEC가 낮은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투입하여 합금의 평균 VEC를 낮추어 BCC 구조 및 FCC 구조를 동시에 포함하는 합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소재의 평균 VEC를 낮추어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상기 기지 합금 원소들 간의 냉간 압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기지 원소에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투입하거나 및/또는 강화재 구성 원소를 더 투입하여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합금 수율과 기계적 강도를 개선시키고 석출상을 더 형성시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고온 특성을 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조방법은, 도 1을 참조하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110);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 및 고온 소결하는 단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110)는,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혼합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이며, 상기 각 원소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11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는 분말 혼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는, 상기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하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는,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의 첨가에 의해서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분말들의 냉간 압접 등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여 합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볼밀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합금 내에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는,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가 기지 원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가 합금기지 내에 분산될 수 있다. 또는,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가, 상기 기지 원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여 체심입방계 합금을 더 형성하고, 합금기지 내에 상기 체심입방계 합금이 더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110)는, 강화재 및/또는 강화재 구성 원소; 를 더 추가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할 수 있으며, 상기 강화재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는, 120 시간 이내; 1 시간 내지 120 시간; 또는 10 시간 내지 50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는, 50 % 이상; 60 % 이상; 80 % 이상 또는 90 % 이상의 수율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는, 고에너지 볼 밀링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동 밀, 유성 밀, 어트리션 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고온 소결하는 단계(130)는,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이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소결하여 벌크(bulk)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소결하는 단계(130)는, 상압 소결법, 반응 소결법, 가압 소결법, 등압 소결법, 가스압 소결법, 분위기 가압 소결법, 또는 고온 가압 소결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온 소결하는 단계(130)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의 녹는점의 50 % 내지 99 %; 50 % 내지 80 %; 60 % 내지 80 %; 70 % 내지 80 %; 50 % 내지 70 %; 60 % 내지 70 %; 또는 50 % 내지 60 %의 온도에서 소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 소결하는 단계(130)는, 공기, 질소, 탄소 및 붕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60 시간 이하; 1분 내지 60 시간; 5분 내지 10 시간; 5분 내지 5 시간; 또는 5분 내지 1 시간 동안 소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석출상 형성 원소를 첨가하는 단계(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석출상 형성원소를 첨가하는 단계(140)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110) 또는 이후에 석출상 형성원소를 첨가하여 혼합하거나 및/또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120) 이후에 석출상 형성 원소를 첨가하여 기계적 합금화 분말과 혼합하고, 필요 시 기계적 합금화를 더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출상 형성 원소를 첨가하는 단계(140)는, 상기 기지 원소; 및/또는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에 대해 0 몰% 초과 및 300 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몰% 내지 100 몰%로 석출상 형성 원소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본 발명의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은, 석출상을 형성하는 단계(1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석출상을 형성하는 단계(150)는, 고온 소결하는 단계(130) 이후에 소결체를 열처리하여 석출상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300 ℃ 내지 1500 ℃에서 60 시간 이하; 1분 내지 60 시간; 10분 내지 50 시간; 1 시간 내지 20 시간; 또는 1 시간 내지 10 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석출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 및 시간 범위 내에 포함되면 석출상의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합금소재의 고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출상을 형성하는 단계(150)는, 공기, 질소, 탄소 및 붕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분위기에서 열처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 1
유성 밀 공정을 이용하여 24 시간 동안 기계적 합금화하여 3 부피% Y2O3첨가 Al0 . 3CoCrFeMnNi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제조하였다. Al 원소가 BCC 형성 합금 원소로써 약 5.7 몰% 첨가되었다. 합금 분말의 수율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통해 900 ℃에서 5분동안 소결을 진행하여 합금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소결 후 얻은 합금 소결체의 미세조직(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상 분석, 경도 및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도 3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유성 밀 공정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기계적 합금화하여 5 부피% TiC 첨가 Al0 . 3CoCrFeMnNi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제조하였다. Al 원소가 BCC 형성 합금 원소로써 약 5.7 몰% 첨가되었다. 합금 분말의 수율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통해 900 ℃에서 5분동안 소결을 진행하여 합금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소결 후 얻은 합금 소결체의 미세조직(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상 분석 및 경도를 측정하여 도 3 내지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유성 밀 공정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기계적 합금화하여 Mo0 . 8CoCrFeMnNi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을 제조하였다. Mo 원소가 BCC 형성 합금 원소로써 약 13.8 몰% 첨가되었다. 합금 분말의 수율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통해 900 ℃에서 5분동안 소결을 진행하여 합금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소결 후 얻은 합금 소결체의 상 분석, 및 경도를 측정하여 도 3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CoCrFeNiMn 고엔트로피 합금을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금 분말을 제조하고, 합금 분말의 수율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통해 900 ℃에서 5분동안 소결을 진행하여 합금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소결 후 얻은 합금 소결체의 경도를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3 부피% Y2O3첨가 CoCrFeNiMn 복합 고엔트로피 합금을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금 분말을 제조하고, 합금 분말의 수율은 도 2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방전 플라즈마 소결법을 통해 900 ℃에서 5분동안 소결을 진행하여 합금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소결 후 얻은 합금 소결체의 경도를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BCC 합금 원소 Al을 첨가하지 않은 CoCrFeNiMn 고엔트로피 합금, 비교예 2의 3 부피% Y2O3첨가 CoCrFeNiMn 고엔트로피 합금의 경우 각각 17.6% 및 16.4%의 수율을 나타내지만, 실시예 1의 3 부피% Y2O3첨가 Al0 . 3CoCrFeMnNi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의 경우 81.2%의 수율로 월등하게 높은 수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분말이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냉간 압접으로 인해 볼과 용기에 엉겨붙어 합금 분말의 회수를 낮게 하지만, BCC 합금 원소 Al가 투입된 실시예 1의 3 부피% Y2O3첨가-Al0.3CoCrFeMnNi고엔트로피 합금 분말은, BCC 합금 원소 Al에 의해 분말의 취성을 향상시켜 냉간 압접을 저하시키고, 높은 수율로 합금 분말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합금 소결체의 상 분석을 나타낸 X-ray diffraction 그래프에서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소결체에서 Mo을 첨가하여 BCC상이 형성되었으며, Cr, Mo, Ni을 포함하는 석출물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합금 소결체의 미세조직을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사진에서 강화재가 고르게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CoCrFeNiMn 합금 소결체 및 비교예 2의 3 부피% Y2O3첨가 CoCrFeNiMn 합금 소결체에 비하여 실시예 1의 3 부피% Y2O3첨가 Al0 . 3CoCrFeMnNi합금 소결체 및 실시예 2의 5 부피% TiC첨가 Al0.3CoCrFeMnNi합금 소결체의 경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살펴보면, 실시예 1의 3 부피% Y2O3첨가 Al0 . 3CoCrFeMnNi합금 소결체가 높은 압축 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엔트로피 합금에 BCC 합금 원소 Al의 첨가에 의해 분말 수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BCC 합금 원소 Al와 강화재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 역시 상승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 및 강화재를 투입하여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개선시키고, 기계적 합금화 과정에서 냉간 압접 등을 방지하여 합금 분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Co, Cr, Fe, Ni, Mn, Cu, Mo, V, Nb, Ta, Ti, Zr, W, Si, Hf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4종 이상의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 를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는, 강화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화재는,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금속 규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질화물 및 금속 붕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대해 0.01 부피% 내지 50 부피%로 포함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VEC(valence electron concentration) 값이 7 이하인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상기 기지 원소와 상이하며, Al, Cr, Mn, Mo, Nb, Ta, Ti, V 및 W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는,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에 대해 0.01 몰% 내지 90 몰%로 포함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VEC(valence electron concentration)는 10 이하인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는, 석출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석출상은, Co, Cr, Fe, Ni, Mn, Cu, Mo, V, Nb,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 금속 규화물, 금속 탄화물, 금속 질화물, 금속 붕화물 및 금속간화합물;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9. Co, Cr, Fe, Ni, Mn, Cu, Mo, V, Nb, Ta, Ti, Zr, W, Si, Hf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4종 이상의 기지 원소; 및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를 혼합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하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 형성 단계는, 체심입방계 형성 합금 원소가 상기 기지 원소의 적어도 일부와 결합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에너지 볼 밀링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50 % 이상의 수율로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를 획득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는, 강화재를 더 첨가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또는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석출상 형성 원소를 첨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석출상 형성 원소는, Co, Cr, Fe, Ni, Mn, Cu, Mo, V, Nb, Al, Si, Ti, Zr, Ta, Mg, Be, Ba, Zn, Cr, Y, Sn, W, Hf, V, Nb, Ta, Mo, W, Ta, La, 및 B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 이후에 300 ℃ 내지 1500 ℃에서 열처리하여 석출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을 고온 소결하는 단계는, 상기 기계적 합금화 분말의 녹는점의 50 % 내지 99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KR1020170035200A 2016-05-02 2017-03-21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7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95,411 US20170314097A1 (en) 2016-05-02 2017-04-24 High-strength and ultra heat-resistant high entropy alloy (hea) matrix composit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3871 2016-05-02
KR1020160053871 2016-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441A true KR20170124441A (ko) 2017-11-10
KR101927611B1 KR101927611B1 (ko) 2018-12-10

Family

ID=6038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200A KR101927611B1 (ko) 2016-05-02 2017-03-21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611B1 (ko)

Cited B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36B1 (ko) * 2017-09-11 2019-02-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리 합금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0173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엔트로피 합금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6931A (ko) * 2018-01-15 2019-07-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0219002A (zh) * 2019-07-02 2019-09-10 爱柯迪股份有限公司 用于修复模具的高熵合金复合涂层材料及模具修复方法
CN110295347A (zh) * 2019-06-14 2019-10-01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在刀具上采用高熵合金镀膜的方法
KR20190143164A (ko) * 2018-06-20 2019-12-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간화합물 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20013524A1 (en) * 2018-07-11 2020-01-16 Lg Electronics Inc. Lightweight medium-entropy alloys using spinodal decomposition
KR20200025803A (ko) * 2018-08-31 2020-03-10 한국과학기술원 석출/분산강화형 하이엔트로피 초내열합금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85697A1 (ko) * 2018-10-24 2020-04-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고인성 중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20085755A1 (ko) * 2018-10-22 2020-04-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엔트로피 합금을 포함하는 복합 구리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N111235565A (zh) * 2020-01-11 2020-06-05 贵州大学 一种类Mo型高熵合金及其用作刀具涂层材料的应用方法
KR20200072385A (ko) * 2018-12-06 2020-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품
CN112251749A (zh) * 2020-10-23 2021-01-22 黑龙江科技大学 一种利用等离子熔覆制备定向阵列的陶瓷相增强高熵合金耐磨涂层的方法
CN112958783A (zh) * 2020-10-09 2021-06-15 山东大学 一种激光熔化沉积难熔高熵合金微叠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962011A (zh) * 2021-01-29 2021-06-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耐蚀核电用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981321A (zh) * 2021-02-04 2021-06-1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单相结构(CrZrVTiAl)N高熵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
CN113045332A (zh) * 2021-02-08 2021-06-29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超高孔隙率的高熵碳化物超高温陶瓷及制备方法
CN113073323A (zh) * 2021-03-16 2021-07-06 兰州荣博特数字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Al-Ni-Mo-Cu-Crx-Fe高熵合金涂层的制备方法
WO2021145708A1 (ko) * 2020-01-16 2021-07-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합재
CN113149629A (zh) * 2021-03-11 2021-07-23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耐高温过渡金属高熵氧化物吸波填料及其制备方法
CN113149646A (zh) * 2021-04-22 2021-07-23 河南大学 一种高熵低热膨胀陶瓷材料及其烧结合成方法
CN113308634A (zh) * 2021-04-07 2021-08-27 浙江大学 一种具有强度-塑性协同效应的新型中熵合金材料
KR102302891B1 (ko) * 2020-04-21 2021-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어-쉘 구조 CoCrFeNiTi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3444955A (zh) * 2021-06-01 2021-09-28 西安理工大学 一种含共晶组织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KR20210120842A (ko) * 2020-03-27 2021-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cc 2상 복합구조 안정성이 우수한 내열 초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N113481397A (zh) * 2021-07-05 2021-10-0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功能海洋工程合金的制备方法
CN113549805A (zh) * 2021-06-30 2021-10-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ZrTiNbAlTa低中子吸收截面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549804A (zh) * 2021-06-30 2021-10-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低中子吸收ZrTiNbAlTa难熔铸造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621862A (zh) * 2021-07-27 2021-11-09 江苏大学 一种高硬度Al-Cr-Ti-V-Cu轻质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913810A (zh) * 2021-09-23 2022-01-11 山东科技大学 一种高稳定性高速列车制动盘涂层及制备方法
CN113913748A (zh) * 2021-09-28 2022-01-11 武汉大学深圳研究院 光热电站集热管用高熵选择性吸收纳米复合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14134384A (zh) * 2021-12-01 2022-03-04 大连理工大学 一种含铜抗菌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164364A (zh) * 2021-10-22 2022-03-11 河海大学 一种利用熵合金颗粒增韧增模的镁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231818A (zh) * 2021-12-21 2022-03-25 中国科学院江西稀土研究院 一种轻质高强耐腐蚀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315359A (zh) * 2022-01-04 2022-04-1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利用固溶耦合法制备高强韧复相高熵陶瓷的方法和应用
CN114349005A (zh) * 2022-01-14 2022-04-15 天津大学 一种高熵金属碳化物陶瓷粉体的制备方法
CN114480940A (zh) * 2021-12-29 2022-05-13 常州大学 一种l12纳米析出强化多主元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472922A (zh) * 2022-01-20 2022-05-13 暨南大学 超高速激光-感应复合熔覆增材制造铜基偏晶高熵合金的方法
KR20220067302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과학기술원 정합계면을 갖는 산화물로 분산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및 정합계면을 갖는 산화물로 분산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
CN114606419A (zh) * 2022-02-22 2022-06-1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难熔高熵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606425A (zh) * 2022-04-11 2022-06-10 大连理工大学 一种含铜银抗菌高熵合金、其制备方法及用途
CN114734041A (zh) * 2022-04-29 2022-07-12 上海交通大学 一种轻质难熔高熵合金粉末材料、制备方法及其在增材制造中的应用
KR20220102766A (ko) * 2021-01-14 2022-07-21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나노-상분리 고엔트로피 내화금속-산화물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799155A (zh) * 2022-03-30 2022-07-29 河南科技大学 陶瓷颗粒强化难熔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4807720A (zh) * 2022-04-18 2022-07-29 贵州大学 一种耐强酸冲蚀的磷酸反应槽搅拌桨叶片修复用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4855045A (zh) * 2022-04-22 2022-08-05 中南大学 一种高强韧高密度多组元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855049A (zh) * 2022-04-11 2022-08-05 北京科技大学 一种TaNbHfZrTi系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55052A (zh) * 2022-05-13 2022-08-05 赵克中 一种钼-钛基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892117A (zh) * 2022-05-26 2022-08-12 刘照松 一种TiC颗粒增强高熵合金耐磨涂层及其制备方法
CN114920546A (zh) * 2022-05-06 2022-08-19 武汉理工大学 一种高熵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07870A (zh) * 2022-01-04 2022-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用于激光铝热还原生成高熵合金涂层的粉末制备方法
CN115302124A (zh) * 2022-06-30 2022-11-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一种NiCrNbMoTa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433864A (zh) * 2022-09-07 2022-12-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摩擦材料用的亚共晶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466921A (zh) * 2022-06-10 2022-12-13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温度自适应润滑耐磨金属涂层的制备方法
CN115533116A (zh) * 2022-09-19 2022-12-30 华东理工大学 一种多组元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584425A (zh) * 2022-11-10 2023-01-10 贵州大学 一种高硬度高耐磨的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595463A (zh) * 2022-10-26 2023-01-13 山东大学(Cn) 一种高熵硬质合金刀具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230029178A (ko) * 2021-08-24 2023-03-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초내열 계층적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747606A (zh) * 2022-12-20 2023-03-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单晶高熵合金NiCoCrFeTaAl及其制备方法
CN115821145A (zh) * 2022-11-18 2023-03-21 华中科技大学 一种高强度高塑性多相高熵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852361A (zh) * 2022-12-07 2023-03-2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材料表面防护的耐磨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874073A (zh) * 2022-11-28 2023-03-31 先导薄膜材料(广东)有限公司 一种高熵合金的熔炼方法
CN115925423A (zh) * 2022-11-21 2023-04-07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性能单相自润滑高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958192A (zh) * 2023-01-09 2023-04-14 东北大学 一种高效抗菌的高熵合金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005059A (zh) * 2022-12-19 2023-04-25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高强韧双BCC结构TaMoZrTiAl系难熔高熵合金
WO2023093464A1 (zh) * 2021-11-23 2023-06-01 燕山大学 一种高熵奥氏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16254447A (zh) * 2022-12-30 2023-06-13 贵州大学 一种兼具高强度高塑性的高熵合金及其激光增材制造方法
CN116287834A (zh) * 2023-03-28 2023-06-23 安徽工程大学 一种氮化钛增强FeCoCrNiAl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6283296A (zh) * 2023-02-22 2023-06-23 广东工业大学 一种碳化硅增硬增韧高熵碳化物的复相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377404A (zh) * 2022-12-06 2023-07-0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在包壳表面基于高熵合金阻扩散性能复合涂层及其制备方法
CN117070936A (zh) * 2023-08-23 2023-11-17 安徽工业大学 一种激光熔覆原位颗粒增强铜基耐磨中熵合金涂层
CN117305675A (zh) * 2023-09-28 2023-12-29 沈阳工业大学 一种高温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913748B (zh) * 2021-09-28 2024-05-31 武汉大学深圳研究院 光热电站集热管用高熵选择性吸收纳米复合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70B1 (ko) 2017-10-20 2019-03-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코발트크롬철망간니켈 질산화물 고엔트로피 합금 및 상기 박막의 제조방법
KR102198924B1 (ko) * 2018-12-03 2021-01-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211B1 (ko) 2019-04-22 2020-10-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엔트로피 합금
KR102301075B1 (ko) * 2019-11-26 2021-09-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o-Ni-Cr-Fe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557018B1 (ko) * 2020-12-28 2023-07-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화학적 질소 환원 반응 향상을 위한 전기화학 기반 고엔트로피 합금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804889B (zh) * 2022-05-24 2022-12-30 深圳技术大学 一种纳/微米结构过渡金属硼化物高熵陶瓷块体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15345B (en) 2006-07-28 2009-10-01 Nat Univ Tsing Hua High-temperature resistant alloys
US9150945B2 (en) 2011-10-27 2015-10-06 Ut-Battelle, Llc Multi-component solid solution alloys having high mixing entropy
KR101773298B1 (ko) 2016-05-30 2017-08-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체심입방 결정구조 하이엔트로피 합금 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11278B1 (ko) 2016-11-30 2017-12-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 엔트로피 분산강화형 내열 합금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6년 한국분물야금학회 춘계 학술강연(2016.03.31.). 1부. *
Ming-Hung Tasi, Jien-Wei Yeh, High Entropy Alloys:A Critical Review, Mater.Res. Lett.(2014.). 1부. *
S.Praveen, et. al., Characterization of oxide dispersed AlCoCrFe High entropy alloy Synthesized by mechanical alloying and Spark Plasma, Trans Indian Inst Met, 66(4), pp.369-373(2013.08.). 1부. *

Cited By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36B1 (ko) * 2017-09-11 2019-02-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리 합금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0173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엔트로피 합금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86931A (ko) * 2018-01-15 2019-07-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43164A (ko) * 2018-06-20 2019-12-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간화합물 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WO2020013524A1 (en) * 2018-07-11 2020-01-16 Lg Electronics Inc. Lightweight medium-entropy alloys using spinodal decomposition
KR20200025803A (ko) * 2018-08-31 2020-03-10 한국과학기술원 석출/분산강화형 하이엔트로피 초내열합금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085755A1 (ko) * 2018-10-22 2020-04-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엔트로피 합금을 포함하는 복합 구리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US11807927B2 (en) 2018-10-22 2023-11-07 Wonjinmetal Co., Ltd. Complex copper alloy including high-entropy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20085697A1 (ko) * 2018-10-24 2020-04-30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고인성 중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2385A (ko) * 2018-12-06 2020-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품
CN110295347A (zh) * 2019-06-14 2019-10-01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在刀具上采用高熵合金镀膜的方法
CN110219002A (zh) * 2019-07-02 2019-09-10 爱柯迪股份有限公司 用于修复模具的高熵合金复合涂层材料及模具修复方法
CN111235565A (zh) * 2020-01-11 2020-06-05 贵州大学 一种类Mo型高熵合金及其用作刀具涂层材料的应用方法
WO2021145708A1 (ko) * 2020-01-16 2021-07-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복합재
EP4092153A4 (en) * 2020-01-16 2024-03-13 Kolon Inc COMPOSITE MATERIAL
CN114945696A (zh) * 2020-01-16 2022-08-26 可隆工业株式会社 复合材料
KR20210120842A (ko) * 2020-03-27 2021-10-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cc 2상 복합구조 안정성이 우수한 내열 초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2891B1 (ko) * 2020-04-21 2021-09-1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코어-쉘 구조 CoCrFeNiTi계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CN112958783A (zh) * 2020-10-09 2021-06-15 山东大学 一种激光熔化沉积难熔高熵合金微叠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958783B (zh) * 2020-10-09 2022-08-12 山东大学 一种激光熔化沉积难熔高熵合金微叠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251749B (zh) * 2020-10-23 2023-04-07 黑龙江科技大学 一种利用等离子熔覆制备定向阵列的陶瓷相增强高熵合金耐磨涂层的方法
CN112251749A (zh) * 2020-10-23 2021-01-22 黑龙江科技大学 一种利用等离子熔覆制备定向阵列的陶瓷相增强高熵合金耐磨涂层的方法
KR20220067302A (ko) * 2020-11-17 2022-05-24 한국과학기술원 정합계면을 갖는 산화물로 분산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및 정합계면을 갖는 산화물로 분산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
KR20220102766A (ko) * 2021-01-14 2022-07-21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나노-상분리 고엔트로피 내화금속-산화물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62011A (zh) * 2021-01-29 2021-06-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耐蚀核电用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962011B (zh) * 2021-01-29 2022-01-2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耐蚀核电用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2981321A (zh) * 2021-02-04 2021-06-1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单相结构(CrZrVTiAl)N高熵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
CN113045332B (zh) * 2021-02-08 2022-05-31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超高孔隙率的高熵碳化物超高温陶瓷及制备方法
CN113045332A (zh) * 2021-02-08 2021-06-29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超高孔隙率的高熵碳化物超高温陶瓷及制备方法
CN113149629A (zh) * 2021-03-11 2021-07-23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耐高温过渡金属高熵氧化物吸波填料及其制备方法
CN113073323B (zh) * 2021-03-16 2023-03-17 兰州荣博特数字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Al-Ni-Mo-Cu-Crx-Fe(x=0,0.5,1.0,1.5,2.0)高熵合金涂层的制备方法
CN113073323A (zh) * 2021-03-16 2021-07-06 兰州荣博特数字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Al-Ni-Mo-Cu-Crx-Fe高熵合金涂层的制备方法
CN113308634A (zh) * 2021-04-07 2021-08-27 浙江大学 一种具有强度-塑性协同效应的新型中熵合金材料
CN113149646A (zh) * 2021-04-22 2021-07-23 河南大学 一种高熵低热膨胀陶瓷材料及其烧结合成方法
CN113444955B (zh) * 2021-06-01 2022-03-22 西安理工大学 一种含共晶组织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444955A (zh) * 2021-06-01 2021-09-28 西安理工大学 一种含共晶组织的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549804A (zh) * 2021-06-30 2021-10-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低中子吸收ZrTiNbAlTa难熔铸造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549805A (zh) * 2021-06-30 2021-10-2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ZrTiNbAlTa低中子吸收截面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3481397B (zh) * 2021-07-05 2022-03-22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功能海洋工程合金的制备方法
CN113481397A (zh) * 2021-07-05 2021-10-0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多功能海洋工程合金的制备方法
CN113621862A (zh) * 2021-07-27 2021-11-09 江苏大学 一种高硬度Al-Cr-Ti-V-Cu轻质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KR20230029178A (ko) * 2021-08-24 2023-03-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초내열 계층적 고엔트로피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13810B (zh) * 2021-09-23 2023-08-01 山东科技大学 一种高稳定性高速列车制动盘涂层及制备方法
CN113913810A (zh) * 2021-09-23 2022-01-11 山东科技大学 一种高稳定性高速列车制动盘涂层及制备方法
CN113913748A (zh) * 2021-09-28 2022-01-11 武汉大学深圳研究院 光热电站集热管用高熵选择性吸收纳米复合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13913748B (zh) * 2021-09-28 2024-05-31 武汉大学深圳研究院 光热电站集热管用高熵选择性吸收纳米复合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设备
CN114164364B (zh) * 2021-10-22 2022-05-27 河海大学 一种利用熵合金颗粒增韧增模的镁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164364A (zh) * 2021-10-22 2022-03-11 河海大学 一种利用熵合金颗粒增韧增模的镁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2023093464A1 (zh) * 2021-11-23 2023-06-01 燕山大学 一种高熵奥氏体不锈钢及其制备方法
CN114134384B (zh) * 2021-12-01 2022-04-15 大连理工大学 一种含铜抗菌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134384A (zh) * 2021-12-01 2022-03-04 大连理工大学 一种含铜抗菌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231818B (zh) * 2021-12-21 2023-03-03 中国科学院江西稀土研究院 一种轻质高强耐腐蚀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231818A (zh) * 2021-12-21 2022-03-25 中国科学院江西稀土研究院 一种轻质高强耐腐蚀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480940B (zh) * 2021-12-29 2022-12-09 常州大学 一种l12纳米析出强化多主元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480940A (zh) * 2021-12-29 2022-05-13 常州大学 一种l12纳米析出强化多主元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007870B (zh) * 2022-01-04 2024-04-19 昆明理工大学 一种用于激光铝热还原生成高熵合金涂层的粉末制备方法
CN114315359B (zh) * 2022-01-04 2022-09-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利用固溶耦合法制备高强韧复相高熵陶瓷的方法和应用
CN115007870A (zh) * 2022-01-04 2022-09-06 昆明理工大学 一种用于激光铝热还原生成高熵合金涂层的粉末制备方法
CN114315359A (zh) * 2022-01-04 2022-04-1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利用固溶耦合法制备高强韧复相高熵陶瓷的方法和应用
CN114349005A (zh) * 2022-01-14 2022-04-15 天津大学 一种高熵金属碳化物陶瓷粉体的制备方法
CN114472922A (zh) * 2022-01-20 2022-05-13 暨南大学 超高速激光-感应复合熔覆增材制造铜基偏晶高熵合金的方法
CN114606419A (zh) * 2022-02-22 2022-06-10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难熔高熵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799155A (zh) * 2022-03-30 2022-07-29 河南科技大学 陶瓷颗粒强化难熔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4799155B (zh) * 2022-03-30 2024-06-07 河南科技大学 陶瓷颗粒强化难熔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4606425A (zh) * 2022-04-11 2022-06-10 大连理工大学 一种含铜银抗菌高熵合金、其制备方法及用途
CN114606425B (zh) * 2022-04-11 2022-12-27 大连理工大学 一种含铜银抗菌高熵合金、其制备方法及用途
CN114855049A (zh) * 2022-04-11 2022-08-05 北京科技大学 一种TaNbHfZrTi系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07720B (zh) * 2022-04-18 2024-01-30 贵州大学 一种耐强酸冲蚀的磷酸反应槽搅拌桨叶片修复用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4807720A (zh) * 2022-04-18 2022-07-29 贵州大学 一种耐强酸冲蚀的磷酸反应槽搅拌桨叶片修复用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4855045A (zh) * 2022-04-22 2022-08-05 中南大学 一种高强韧高密度多组元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855045B (zh) * 2022-04-22 2023-04-07 中南大学 一种高强韧高密度多组元合金及其制备方法
CN114734041A (zh) * 2022-04-29 2022-07-12 上海交通大学 一种轻质难熔高熵合金粉末材料、制备方法及其在增材制造中的应用
CN114920546A (zh) * 2022-05-06 2022-08-19 武汉理工大学 一种高熵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920546B (zh) * 2022-05-06 2023-08-08 武汉理工大学 一种高熵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55052A (zh) * 2022-05-13 2022-08-05 赵克中 一种钼-钛基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892117A (zh) * 2022-05-26 2022-08-12 刘照松 一种TiC颗粒增强高熵合金耐磨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466921A (zh) * 2022-06-10 2022-12-13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温度自适应润滑耐磨金属涂层的制备方法
CN115466921B (zh) * 2022-06-10 2024-05-24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温度自适应润滑耐磨金属涂层的制备方法
CN115302124A (zh) * 2022-06-30 2022-11-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一种NiCrNbMoTa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433864B (zh) * 2022-09-07 2023-02-2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摩擦材料用的亚共晶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433864A (zh) * 2022-09-07 2022-12-0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摩擦材料用的亚共晶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CN115533116A (zh) * 2022-09-19 2022-12-30 华东理工大学 一种多组元合金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595463A (zh) * 2022-10-26 2023-01-13 山东大学(Cn) 一种高熵硬质合金刀具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584425A (zh) * 2022-11-10 2023-01-10 贵州大学 一种高硬度高耐磨的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584425B (zh) * 2022-11-10 2023-11-10 贵州大学 一种高硬度高耐磨的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821145A (zh) * 2022-11-18 2023-03-21 华中科技大学 一种高强度高塑性多相高熵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821145B (zh) * 2022-11-18 2023-11-28 华中科技大学 一种高强度高塑性多相高熵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925423B (zh) * 2022-11-21 2023-07-18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性能单相自润滑高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925423A (zh) * 2022-11-21 2023-04-07 中国科学院兰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性能单相自润滑高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15874073A (zh) * 2022-11-28 2023-03-31 先导薄膜材料(广东)有限公司 一种高熵合金的熔炼方法
CN116377404A (zh) * 2022-12-06 2023-07-04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在包壳表面基于高熵合金阻扩散性能复合涂层及其制备方法
CN116377404B (zh) * 2022-12-06 2023-09-2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在包壳表面基于高熵合金阻扩散性能复合涂层及其制备方法
CN115852361A (zh) * 2022-12-07 2023-03-28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用于材料表面防护的耐磨高熵合金涂层及其制备方法
CN116005059B (zh) * 2022-12-19 2024-06-04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高强韧双BCC结构TaMoZrTiAl系难熔高熵合金
CN116005059A (zh) * 2022-12-19 2023-04-25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高强韧双BCC结构TaMoZrTiAl系难熔高熵合金
CN115747606B (zh) * 2022-12-20 2023-11-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单晶高熵合金NiCoCrFeTaAl及其制备方法
CN115747606A (zh) * 2022-12-20 2023-03-07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单晶高熵合金NiCoCrFeTaAl及其制备方法
CN116254447B (zh) * 2022-12-30 2024-05-28 贵州大学 一种兼具高强度高塑性的高熵合金及其激光增材制造方法
CN116254447A (zh) * 2022-12-30 2023-06-13 贵州大学 一种兼具高强度高塑性的高熵合金及其激光增材制造方法
CN115958192A (zh) * 2023-01-09 2023-04-14 东北大学 一种高效抗菌的高熵合金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283296A (zh) * 2023-02-22 2023-06-23 广东工业大学 一种碳化硅增硬增韧高熵碳化物的复相陶瓷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6287834A (zh) * 2023-03-28 2023-06-23 安徽工程大学 一种氮化钛增强FeCoCrNiAl高熵合金的制备方法
CN117070936A (zh) * 2023-08-23 2023-11-17 安徽工业大学 一种激光熔覆原位颗粒增强铜基耐磨中熵合金涂层
CN117070936B (zh) * 2023-08-23 2024-03-26 安徽工业大学 一种激光熔覆原位颗粒增强铜基耐磨中熵合金涂层
CN117305675A (zh) * 2023-09-28 2023-12-29 沈阳工业大学 一种高温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7305675B (zh) * 2023-09-28 2024-04-12 沈阳工业大学 一种高温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7611B1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611B1 (ko) 고강도 초내열 고엔트로피 합금기지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70314097A1 (en) High-strength and ultra heat-resistant high entropy alloy (hea) matrix composit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966584B1 (ko)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149144A1 (en) High Entropy Alloy Having Composite Micro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725678B (zh) 一种含NiCoCr的非等原子比中/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KR102150756B1 (ko) 석출/분산강화형 하이엔트로피 초내열합금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Li et al.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Ti (C, N)–TiB2–FeCoCrNiAl high-entropy alloys composite cermets
KR101928329B1 (ko) 나노 결정립 고 엔트로피 합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 엔트로피 합금
KR20170123968A (ko) 인시츄 강화 고엔트로피 합금 분말,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0059B1 (ko) 금속간화합물 강화된 고엔트로피 합금, 및 그 제조방법
US20070189916A1 (en) Sputtering target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puttering targets having multiple materials
US11492683B2 (en) Density-optimized molybdenum alloy
US5640666A (en) Composite silicide/silicon carbide mechanical alloy
CN113373366B (zh) 一种多元难熔高熵合金及其制备方法
US20040079191A1 (en) Hard alloy and W-based composite carbide powder used as starting material
JP6011946B2 (ja) ニッケル基金属間化合物複合焼結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ang et al. The role of Cr addition on the process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entropy carbides
US20120063943A1 (en) Metal composite powder, sintered bod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043870B (zh) 一种高Si含量高温钛合金及其制备方法
US5454999A (en) Composite silicide/silicon carbide mechanical alloy
CN112813330B (zh) 一种多主元碳化物弥散型高熵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US6589368B1 (en) High melting point metal based alloy material having high toughness and strength
US20180105901A1 (en) Method of making a molybdenum alloy having a high titanium content
Najafizadeh et al.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high-strength Ti-4Al-2Fe-3Cu alloy fabricated by sintering and hot extrusion
US20200010372A1 (en) Hard sintere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