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2062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2062A
KR20150132062A KR1020150157421A KR20150157421A KR20150132062A KR 20150132062 A KR20150132062 A KR 20150132062A KR 1020150157421 A KR1020150157421 A KR 1020150157421A KR 20150157421 A KR20150157421 A KR 20150157421A KR 20150132062 A KR20150132062 A KR 20150132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cosmetics
cosmetic
topsheet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511B1 (ko
Inventor
노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6784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320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5013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diaphragm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65D2251/1033Protuberances and cavities provided on a horizontal flange respectively of the container or base and the closure, and penetrating one into the other, e.g. of the press-but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 및 상기 토출판과 상기 배출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수단에서 배출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기 위한 확산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판과 면접촉으로 밀착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하면서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직접 화장품에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퍼프에 묻어서 퍼프가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펀지 등에 화장품을 함침시키고, 사용자가 퍼프로 스펀지를 누르게 되면 스펀지에 스며들어 있던 액체 화장품이 배출됨에 따라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기존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스펀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서 퍼프에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묻어 나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과도한 압력으로 스펀지를 가압하게 되면, 퍼프에서 피부에 직접 닿는 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접한 면까지 화장품이 묻어나와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스펀지에 함침된 화장품을 퍼프에 묻혀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켜 화장품을 바르고 다시 반복하여 퍼프를 화장료가 함침된 스펀지에 눌러서 접촉시키게 되는데, 이때 피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세균 등으로 인해 화장품에 심각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화장품 내에 오염된 미생물은 화장품 사용이 완료될 때까지 성장함에 따라 제품의 오염을 지속하여 결국에는 피부자극, 피부트러블, 피부알러지, 변취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불편한 경험을 겪게될 경우, 화장품을 기피하게 되며, 미용을 위해 사용한 제품이 오히려 개인의 위생과 피부 트러블을 초래함에 따라 심각한 불만을 품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화장품을 보관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용물과 외부 오염원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취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잔량의 화장품은 안전하게 미생물의 오염 없이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검토는 심각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이러한 근본적 해결 없이 화장품을 미용목적에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오히려 심각한 피부부작용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9877호(2012.06.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통해서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성을 높인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판의 토출구로 화장품을 가이드하는 확산부가 토출판과 밀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화장품이 외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산부에 형성되는 확산 공간으로만 화장품이 흐르도록 확산부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화장품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 및 상기 토출판과 상기 배출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수단에서 배출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기 위한 확산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판과 면접촉으로 밀착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상면이 상기 토출판과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상면에서 상기 확산 공간의 외측 부분이 상기 토출판과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상기 토출판과 밀착되는 밀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 공간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판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의 일면에 상기 확산부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확산부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확산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부분이 관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상면에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를 두르는 테두리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밀착면의 외측에 구비되는 패킹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 또는 상기 확산 공간은, 상기 배출수단의 출구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토출판에 형성된 매우 작은 구멍을 통해 화장품이 토출되도록 하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품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여 미생물 발생 등과 같은 화장품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배출수단으로부터 화장품을 토출판의 토출구로 전달하는 확산부를 구비하되, 확산부에 구비되는 밀착면 등을 활용하여 토출판과 확산부의 밀착을 구현함으로써 화장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확산부가 토출판에 직접 밀착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화장품의 확산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높일 수 있으며, 내부에 남게 되는 잔량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화장품의 토출을 원활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뚜껑(90)이 덮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뚜껑(90)이 열려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배출수단(10), 토출판(20), 확산부(30), 밀착면(40), 패킹재(50, 60), 테두리부(70), 외측 커버(80), 뚜껑(90)을 포함한다.
배출수단(10)은, 화장품을 배출한다. 배출수단(10)은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였다가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하여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출구(11)로 배출하는 에어리스 펌프(10)일 수 있다.
배출수단(10)이 에어리스 펌프(10)일 경우, 배출수단(10)은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내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실린더와 피스톤 등과 같은 에어리스 펌프(10)의 상세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출수단(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액상이거나 또는 고체가 혼합된 액상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로션이나 자외선 차단제 등과 같이 다양한 성분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화장품의 성분이나 상태, 사용목적 등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배출수단(10)은 출구(11)를 통해 화장품을 배출하는데, 이때 배출수단(10)의 출구(11)는 별도로 마련되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승되어 있을 수 있다. 배출수단(10)의 출구(11)가 후술할 토출판(20) 등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면, 에어리스 펌프(10)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서 출구(11)를 통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수단(10)은 일정한 크기를 가짐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품의 용량이 감소하면 비어있는 공간이 점차 확대될 수 있다. 다만 배출수단(10)은 화장품이 위치한 부분에 빈 공간을 형성하지 않기 위해서, 내부에 가압판(도시하지 않음)을 둘 수 있다.
가압판은 배출수단(10)의 출구(11)를 통해서 화장품이 빠져나갈 때, 배출수단(10) 내부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배출수단(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판은 화장품이 배출될수록 상승 또는 하강하여 화장품이 저장된 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때 가압판의 승강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 배출수단(10)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입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수단(10)에서 화장품이 빠져나가면, 화장품과 출구(11) 사이의 공간이 화장품의 배출량에 따라 감소될 수 있도록 가압판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배출수단(10)에 수용된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놓여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배출수단(10)으로서 에어리스 펌프(10)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액상의 화장품이 함침되어 있는 스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스폰지는 확산부(30)에 의하여 가압됨에 따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확산부(30)의 확산 공간(31)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스폰지는 가압될 때 상면 전체에서 화장품이 상방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스폰지를 배출수단(10)으로서 사용할 경우 확산부(30)의 확산 공간(31)에 연통되는 가압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가압판은 스폰지의 상면을 모두 덮는 형태로 구비되어 스폰지를 가압하고, 스폰지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을 확산부(30)의 확산 공간(31)에만 공급되도록 하여 화장품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압판의 테두리는 후술할 외측 커버(80)의 내측에 실링되어 있으며, 가압판에서 확산부(30)와 연통되는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여 스폰지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이 원활하게 토출판(20)까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스폰지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에폭시레진, 해면, 나일론, 면, 부직포 등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출수단(10)은, 탄성 변형되는 주머니일 수 있다. 즉 배출수단(10)은 부피가 가변되는 주머니 형태로 구비되어, 화장품이 배출될 때 배출수단(10)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줄어들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배출수단(10)은 풍선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토출판(20)은, 배출수단(10)의 일측에 마련되며 화장품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21)를 갖는다. 토출판(20)은 녹 생김이 방지되는 철,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아연, 주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소재의 합금 또는 도금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토출판(20)에 도금을 할 경우, 크롬, 구리, 은, 금 등과 같이 내식성과 방오성, 항균성능 그리고 아름다움과 미려함을 부여하여 사용자들에게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고 위생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토출판(20)은, 두께가 0.1 내지 1mm(바람직하게는 0.2mm 내지 0.3mm) 이고,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부식에 강하고 녹이 슬지 않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라믹과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판(20)은, 스테인리스로서 내식성, 내산성, 내열성이 양호한 SUS 300 계열 중 SUS 304 재질일 수 있으며, 특히 항균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304J1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토출판(20)의 재질을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304 계열을 포함하는 301L, 304L, 304LN, 304N1, 305EG, 309S, 310S, 316, 316L, 316LN, 316Ti, 317L, 321, 347, 329J3L, 329L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SUS 300 계열의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토출판(20)을 사용함으로써, 배출수단(10)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품이 안착되며 화장품이 지속적으로 묻어있게 되는 토출판(20) 상면의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부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금속 재질의 토출판(20)을 이용함에 따라 토출판(20)이 열을 효율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해, 화장품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펌프(10) 대신 함침 스폰지를 사용할 수 있는데, 후술하겠으나 스폰지를 사용하더라도 토출판(20)은 확산부(30)로 인해서 스폰지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판(20)이 스폰지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아니어서, 배출수단(10)으로 스폰지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토출판(20)에 의한 화장품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확산부(30)를 통해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것이어서, 스폰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화장품의 오염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토출판(20)은 상면에 화장품이 묻어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퍼프 등을 이용하여 토출판(20)의 상면에 묻은 화장품을 문지를 때, 화장품에 포함되는 분말 등으로 인해 토출판(20) 상면의 마모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토출판(20)을 화장품에 포함되는 안료보다 강한 경도를 갖는 재질로 제작하거나, 토출판(20)의 상면을 코팅하거나 또는 특정한 물질로 도금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품을 토출판(20)의 상면에서 문지르더라도 토출판(20)의 내구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토출판(20)에는 토출판(20)을 구성하는 금속과 상이한 금속이 도금될 수 있으며, 일례로 크롬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판(20)에는 3가 크롬 도금 또는 6가 크롬 도금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판(20)을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적어도 일면에 크롬을 도금함으로써, 위생성과 항균성 및 내구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토출판(20)에 묻어있는 화장품이 간편하게 닦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사용을 가능케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가 토출판(20)의 상면에 별도의 부재가 올려지지 않도록 하여 토출판(20)의 상면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토출판(20)에는 화장품의 배출을 위한 토출구(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데, 토출구(21)는 배출수단(10)의 출구(11)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토출구(21)는, 토출판(2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질 수 있다. 화장품은 배출수단(10)에 의해 중앙에서 배출되어 확산 공간(31)을 따라 퍼지게 되므로,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화장품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구(21)의 직경을 모두 동일하게 한다면 토출판(20)의 상면에는 화장품이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토출구(21)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토출구(21)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 외에도, 특정한 모양을 갖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원형이나 다각형, 별모양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토출구(21)만 배치될 수도 있다.
토출구(21)는 배출수단(10)의 출구(11)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배출수단(10)으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이 확산부(30)를 거쳐 토출구(21)로 바로 토출된다면, 점도가 낮은 화장품의 경우 튀어올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출판(20)에 형성된 토출구(21)는, 직경이 0.1 내지 1mm로 매우 작을 수 있다. 토출구(21)의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은 사용자가 배출수단(10)을 통해 토출판(20)의 상부로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용이하게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또한 토출구(21)를 통하여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토출구(21)는, 토출판(20)의 중심을 기준으로 45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토출판(20)의 중심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정 방향으로 3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나란히 구비되는 3개의 토출구(21)는, 토출판(20)의 중심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0.3mm, 0.4mm, 0.5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에어리스 펌프(10) 타입의 배출수단(10)에 상기와 같이 매우 작은 직경을 갖는 토출구(21)를 구비한 토출판(20)을 사용하므로, 화장품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함으로써, 화장품에 포함된 일부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구(21)가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짐에 따라, 토출판(20)을 사출 방식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토출구(21)의 정확한 제작이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토출판(20)을 제작한 후, 토출구(21)를 에칭(Etching) 방식으로 성형하여, 0.1mm의 토출구(21)를 제작할 수 있다.
토출판(2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겨울과 같이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오히려 냉각 효과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판(20)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나무, MDF, 비금속 광물, 종이, 실리콘, 세라믹, 고무, 유리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에 수용되는 화장품이 여름에 주로 사용되는 화장품이라면, 토출판(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장품 용기(1)에 수용되는 화장품이 여름이 아닌 겨울 등에 주로 사용되는 화장품이라면, 토출판(20)은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판(20)이 비금속재질일 경우, 토출판(20)은 일례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ABS, SAN,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비금속 재질의 토출판(20)은, 비통전 재질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비통전 재질로 이루어지는 토출판(20)은, 사용자가 토출판(20)의 상면에 노출된 화장품을 바르기 위하여 퍼프를 토출판(20)에 문지를 경우, 퍼프와 토출판(2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정전기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토출판(20)은 비통전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출된 화장품을 문지르기 위한 퍼프와의 마찰 시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토출판(20)은 이와 같이 금속재질 또는 비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토출판(20)의 상면 등의 일면에는 후로킹 가공에 의해 섬유재질이 구비되거나, 코팅에 의해 박막이 형성되거나, 증착에 의해 외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토출판(20)의 일면에 대한 가공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토출판(20)의 재질이나 일면에 대한 가공 여부, 가공 방법, 가공 소재 등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을 수 있다.
토출판(20)의 일측에는 결합구(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구(22)는 확산부(30)의 결합 돌기(36)에 맞물릴 수 있고, 결합구(22)와 결합 돌기(36)가 맞물림에 따라 토출판(20)이 확산부(30)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구(22)와 결합 돌기(36)를 이용하는 것은 토출판(20)의 안착 각도를 제한하기 위함이다. 즉 토출판(20)에 형성된 토출구(21)가 확산부(30)에 형성된 확산 공간(31)과 연통되기 위하여 토출판(20)이 놓여야 하는 각도가 한정될 수 있는데, 이를 구조적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다르게 토출판(20)에 결합 돌기(36)가 구비되고 확산부(30)에 결합구(22)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토출판(20)의 안착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만 토출판(20)의 안착 각도가 변화되더라도 화장품의 배출이 없는 경우, 즉 토출판(20)의 토출구(21)가 원형으로 배치되고 확산 공간(31) 역시 원형일 경우에는, 상기의 결합구(22)와 결합 돌기(36)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확산부(30)는, 토출판(20)과 배출수단(10) 사이에 구비되어 배출수단(10)에서 배출된 화장품을 토출구(21)로 전달하기 위한 확산 공간(31)을 구비한다. 확산부(30)는 토출판(20)과 배출수단(10)을 이격시키는 구성이며, 하나의 출구(11)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을 여러 개의 토출구(21)로 각각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확산 공간(31)과 배출수단(10)의 출구(11)는 연통구(32)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다.
*확산부(30)는 배출수단(10)의 출구(11)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이 토출구(21)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토출구(21)는 배출수단(10)의 출구(11)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커질 수 있으므로, 확산 공간(31)을 거쳐 각각의 토출구(21)로 충분한 화장품이 토출될 수 있다.
또한 확산 공간(31)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줄어듦에 따라 외측에 배치되는 토출구(21)로 화장품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즉 확산 공간(31)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높아지는 경사 형태일 수 있다.
배출수단(10)에는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으며, 출구(11) 외에는 외부와 격리되어 있으므로 오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판(20)의 상면으로 토출되는 화장품은 공기와 접촉되므로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이는 사용자에 의해 단시간 내에 사용될 것이어서 장시간 노출에 따른 오염은 문제되지 않는다. 다만 확산부(30)의 확산 공간(31)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이 문제될 수 있다. 확산 공간(31)에 수용된 화장품은 배출수단(10)에 수용된 화장품과 대비할 때 공기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확산부(30)에 잔류하고 있는 화장품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장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확산부(30)는, 확산 공간(31)을 제외한 부분에 후술할 밀착면(40)을 구비할 수 있다.
확산부(30)는, 밀착면(40)을 통해 토출판(20)과 면접촉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면접촉되는 부분은 확산부(30)의 상면이며, 확산 공간(31)의 외측 부분일 수 있다. 이는 확산 공간(31)만 토출판(20)과 이격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이 모두 토출판(20)과 밀착되도록 하여, 확산 공간(31)의 외측으로 화장품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확산 공간(31)에만 화장품이 잔류하게 되므로, 확산부(30)의 상면 등의 부분에 화장품이 잔류하지 않게 됨에 따라, 화장품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밀착면(40)은, 토출판(20)과 밀착된다. 밀착면(40)은 확산부(30)의 상면에 마련되어 토출판(20)의 하면에 밀착되며, 확산부(30)와 토출판(20)을 밀착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확산부(30)의 상면에는 밀착면(40)의 안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간이라 함은 확산 공간(31)과 토출판(20)의 하면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밀착면(40)이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밀착면(4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확산부(30)에는 테두리 돌기(33)가 구비될 수 있다. 테두리 돌기(33)는 확산부(30)의 상면에서 밀착면(40)의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또는 호나 링 형태로 돌출되어 밀착면(40)의 테두리를 두른다.
밀착면(40)은, 확산 공간(31)의 외측에 구비된다. 밀착면(40)은 토출판(20)과 확산부(30)를 밀착시키되, 확산 공간(31)만은 토출판(20)과 이격시켜서 화장품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즉 밀착면(40)은 확산 공간(31)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확산 공간(31)이 아닌 나머지 부분에 대해 확산부(30)와 토출판(20)을 밀착시켜서, 화장품이 새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밀착면(40)은 얇은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확산부(30)의 일면에 확산부(3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밀착면(40)은 확산부(3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토출판(2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밀착면(40)은 확산부(30)와 토출판(20)의 밀착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밀착면(40)은 섬유 재질이거나 또는 발포 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밀착면(40)은 확산부(30)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밀착면(40)은 이중 사출에 의하여 확산부(30)에 마련될 수 있다.
밀착면(40)은 발포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때 셀의 크기는 화장품의 유입이 허용되지 않는 작은 크기일 수 있다. 화장품이 밀착면(40)으로 함침된다면, 밀착면(40)에 의한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밀착면(40)은 확산부(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로 구비되어 확산부(30)의 상면에 안착될 수도 있다. 즉 밀착면(40)과 확산부(30)는 한꺼번에 제작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며, 별도로 제작될 경우 밀착면(40)은 공지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확산부(30)에 접착되거나, 또는 다양한 공지의 결합 구조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밀착면(40)은 확산 공간(31)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확산 공간(31)의 외측을 토출판(20)에 밀착시키는데, 이때 확산 공간(31)이 덮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착면(40)은 확산 공간(31)에 대응되는 부분이 관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밀착면(40)에 형성되는 관통 부분을 지칭하는 확산구(41)는, 확산 공간(31)과 연통될 수 있다.
또는 밀착면(40)은 토출판(20)의 토출구(21)에 대응되는 부분이 관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확산구(41)는 확산 공간(31)과 유사하거나 또는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확산구(41)는 최소한 토출구(21)를 막지 않는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패킹재(50)는, 확산 공간(31)의 외측에 구비되어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한다. 확산부(30)는 패킹재(50)의 안착을 위한 패킹 홈(34)을 구비할 수 있으며, 패킹 홈(34)은 확산 공간(31)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확산부(30)의 패킹 홈(34)은 꽃 모양이거나 또는 링 모양일 수 있으며, 패킹 홈(34)의 형상에 따라서 패킹재(50)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패킹재(50)는 하나의 일체형 구성일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분리 결합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패킹재(50)는 고무 등과 같이 압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킹재(50)가 구비되는 패킹 홈(34)은 어디까지나 확산 공간(31)의 외측에 해당하는바, 패킹재(50)의 상부에는 밀착면(4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재(50)는 밀착면(40)에 의해 압착될 수 있으며, 밀착면(40)과 함께 이중으로 화장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패킹재(50)는 패킹 홈(34)보다 상대적으로 큰 높이를 가짐에 따라, 패킹 홈(34)에 안착된 패킹재(50)가 밀착면(40)을 밀어 올릴 수 있고, 이를 통해 밀착면(40)과 토출판(20)의 밀착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패킹재(60)는, 밀착면(40)의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의 패킹재(50)는 밀착면(4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반면, 본 패킹재(60)는 밀착면(40)의 외측에 구비되어 이중 밀착을 구현한다. 즉 상기의 패킹재(50)는 상하로 이중 밀착을 구현하고, 본 패킹재(60)는 내외로 이중 밀착을 구현할 수 있다.
패킹재(60)는 앞서 설명한 패킹재(50)와 동일/유사한 형태로 구비되고, 동일/유사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패킹재(60)는 상기의 패킹재(50)보다 폭이 넓게 구성될 수 있다.
패킹재(60)의 안착을 위해서 토출판(20)에는 패킹 홈(3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패킹 홈(35)은 상기의 패킹 홈(34)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패킹 홈(34)은 밀착면(40)의 하부에 패킹재(50)를 구비하기 위한 것이고, 본 패킹 홈(35)은 밀착면(40)의 외측에 패킹재(60)를 구비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패킹 홈(35)은 상기의 패킹 홈(34)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두 패킹 홈(34, 35) 간의 높이 차이는 결국 밀착면(40)의 두께에 따를 수 있다.
테두리부(70)는, 토출판(20)의 테두리에 결합된다. 테두리부(70)는 후술할 외측 커버(80)를 기준으로 토출판(2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마련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측 테두리부(71)와 외측 테두리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테두리부(71)는, 토출판(20)의 테두리를 감싸면서 토출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내측 테두리부(71)의 내부는 관통된 형태로, 토출판(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토출판(20)의 상면에 배출된 화장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내측 테두리부(71)는, 토출판(2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내측 테두리부(71)의 하강 시 토출판(20)이 함께 하강하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내측 테두리부(71)의 재질은 토출판(20)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일례로 철, 스테인리스 스틸, 구리, 아연, 주석,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이러한 소재의 합금 또는 도금된 금속재질, 기타 비금속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테두리부(71)는 미관 향상, 내구성 향상 등의 효과를 갖기 위해서 토출판(20)과 유사하게 크롬, 구리, 은, 금, 등의 금속 재질로 도금될 수 있다.
내측 테두리부(71)는 토출판(20)의 테두리에서 멀어질수록 완만하게 높이가 상승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토출판(20)을 퍼프로 문지를 때 내측 테두리부(71)가 걸림턱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화장품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외측 테두리부(72)는, 내측 테두리부(71)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측 커버(8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외측 테두리부(72)는 내측 테두리부(71)에 고정되지 않으며, 내측 테두리부(71)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내측 테두리부(71)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 테두리부(71)의 외면에는 돌기(711)가 형성되고, 외측 테두리부(72)의 내면에는 내측 테두리부(71)의 돌기(711)에 대응되는 홈(721)이 형성되어, 외측 테두리부(72)는 내측 테두리부(71)의 회전은 제한하고 승강은 허용할 수 있다.
외측 테두리부(72)의 측면 중에서 후술할 걸이부(82)의 걸쇠(822)가 마련되는 부분은, 결합 시 구성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함몰되거나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 테두리부(72)는 외측 커버(8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 테두리부(71)는 외측 테두리부(72)를 기준으로 승강되어 배출수단(1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측 커버(80)를 파지한 상태로 내측 테두리부(71)의 내측에 있는 토출판(20)을 퍼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가압하면, 외측 커버(80)에 결합된 외측 테두리부(72)의 내측에서 토출판(20)과 결합된 내측 테두리부(71)가 하강하면서, 배출수단(10)이 작동됨에 따라 화장품이 토출판(20)의 상면 및 내측 테두리부(71)의 안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토출판(20)의 상면에 노출된 화장품을 퍼프 등으로 찍어서 피부에 발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내측 테두리부(71) 대신 토출판(20)의 외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버튼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배출수단(10)에 의한 화장품 토출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버튼 구조는 에어리스 펌프(10)의 출구(11)를 가압하여 화장품을 토출시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지렛대 방식의 버튼 구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측 테두리부(71)는 내측에서 토출판(20)의 승강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측 커버(80)는, 배출수단(10)의 주변을 감싸는 구성이다. 외측 커버(80)는 배출수단(10)이 안착되도록 하는 공간을 가지며, 다만 외측 커버(80)에는 하방에 배출수단(10)이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8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외측 커버(80)의 개방부(81)를 통해 배출수단(10)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배출수단(10) 등이 분리되도록 하여, 배출수단(10)의 교체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이다.
외측 커버(80)의 상면은, 바깥쪽에서 중심쪽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외측 테두리부(72), 내측 테두리부(71), 토출판(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배출수단(10) 등을 외부에서 볼 수 없으므로, 본 실시예는 미관을 향상시켜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외측 커버(80)에는 걸이부(82)가 포함될 수 있다. 걸이부(82)는 뚜껑(90)에 결합되어 뚜껑(90)의 개방을 차단하는 것으로, 버튼(821)과 걸쇠(822)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걸이부(82)는, 사용자가 버튼(821)을 누르면 걸쇠(822) 역시 가압 방향으로 움직여서, 걸쇠(822)가 뚜껑(9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뚜껑(9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뚜껑(90)은, 외측 커버(80)의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을 개폐한다. 뚜껑(90)은 일측이 외측 커버(8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외측 커버(80)의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뚜껑(90)은 앞서 설명한 걸이부(82)에 의해 외측 커버(80)의 상부를 밀폐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뚜껑(90)은 외측 커버(80)에 힌지 결합되되, 힌지 결합 부분에는 스프링 등을 구비하여 걸이부(82)에 의해 뚜껑(90)의 잠금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뚜껑(90)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뚜껑(90)의 내측에는 거울(91)이 구비될 수 있어서, 사용자는 뚜껑(90)을 열고 거울(91)을 보면서 토출판(20) 또는 내측 테두리부(71)를 가압해 화장품을 배출수단(10)으로부터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판(20)과 확산부(30)가 면 형태로 밀착되도록 하여, 확산 공간(31)을 따라 유동하는 화장품이 확산 공간(31)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품의 낭비를 원천 차단할 수 있으며, 확산 공간(31)에만 화장품이 잔류하도록 하여 화장품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밀착면(40)을 확산부(30)의 상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즉 확산부(30)는 밀착면(40)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상면을 토출판(20)의 하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확산부(30)의 일면과 토출판(20)의 일면 사이의 마찰력 및 밀폐력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확산부(30)의 상면에는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가공으로는 섬유 재질을 형성하는 후로킹, 표면의 거칠기를 향상시키는 코팅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후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확산부(30)의 상면에 대한 마찰력과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서, 한정되지 않은 후가공을 확산부(30)의 상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밀착면(40)을 확산부(30)의 상면에 접착하거나 구조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일체로 성형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확산부(30)의 상면 자체가 밀착면(40)으로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한 단계 감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는 구성 생략을 통해 토출판(20)의 하면으로부터 확산부(30)의 하면까지의 두께를 감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화장품 용기(1)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다만 확산부(30)의 상면을 밀착면(40)으로 함에 따라, 패킹재(50)는 밀착면(40)과 별도의 밀착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면을 기준으로 내측부터 외측 방향으로 설명하자면, 확산부(30)의 상면인 밀착면(40)과, 패킹재(50), 패킹재(50)의 외측에 형성되는 확산부(30)의 상면인 밀착면(40), 그리고 다른 패킹재(60)에 의해서 4중으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상하로 이중 밀착은 구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확산부(30)의 상면을 후가공하여 확산부(30)의 상면이 밀착면(40)으로서 작용하도록 하여, 화장품이 확산 공간(31)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구성을 더욱 단순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10과 함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1 실시예와 대비할 때 패킹재(50)와 패킹 홈(34)이 생략될 수 있다. 이는 밀착면(40)에 의한 밀폐력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는 밀착면(40)을 이용한 밀폐를 구현하되, 밀착면(40)의 하부에 위치하는 패킹재(50)를 생략함으로써 구성을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패킹재(50)와 패킹 홈(34)을 생략하는 것 외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11과 함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2 실시예와 대비할 때 패킹재(50)와 패킹 홈(34)을 생략하였다. 패킹재(50)와 패킹 홈(34)의 생략에 대한 내용은 앞서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나머지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12와 함께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제4 실시예와 대비할 때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패킹재(60)를 추가로 생략하였다.
즉 본 실시예는 확산부(30)의 상면이 밀착면(40)을 형성하고, 밀착면(40)을 통해 토출판(20)과 확산부(30)가 면접촉하여 밀폐력을 확보하도록 하면서, 패킹재(50, 60)를 모두 생략하여 구성을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밀착면(40)에 의한 밀폐력을 통해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하면서도, 제조 원가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량 감소나 크기 감소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패킹재(50, 60)의 생략 시 밀폐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바, 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대비할 때 확산부(30)의 상면에 대한 후가공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즉 확산부(30) 상면인 밀착면(40)의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후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패킹재(50, 60)의 생략 시 발생할 수 있는 밀폐력 저하를 대비하여, 밀착면(40)에 대한 표면 거칠기나 후가공 방법, 확산부(30)의 상면이 직접 밀착면(40)을 형성할 경우 확산부(30)의 상면에 대한 후가공 방법 등을, 각 실시예 별로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배출수단, 펌프
11: 출구 20: 토출판
21: 토출구 22: 결합구
30: 확산부 31: 확산 공간
32: 연통구 33: 테두리 돌기
34: 패킹 홈 35: 패킹 홈
36: 결합 돌기 40: 밀착면
41: 확산구 50: 패킹재
60: 패킹재 70: 테두리부
71: 내측 테두리부 711: 돌기
72: 외측 테두리부 721: 홈
80: 외측 커버 81: 개방부
82: 걸이부 821: 버튼
822: 걸쇠 90: 뚜껑
91: 거울

Claims (15)

  1. 화장품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이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 및
    상기 토출판과 상기 배출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수단에서 배출된 상기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기 위한 확산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판과 면접촉으로 밀착되는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면이 상기 토출판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면에서 상기 확산 공간의 외측 부분이 상기 토출판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토출판과 밀착되는 밀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 공간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판의 하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의 일면에 상기 확산부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확산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확산부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발포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확산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면은,
    상기 토출구에 대응되는 부분이 관통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면에서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에 돌출되어 상기 밀착면의 테두리를 두르는 테두리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밀착면의 외측에 구비되는 패킹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또는 상기 확산 공간은,
    상기 배출수단의 출구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50157421A 2014-02-14 2015-11-10 화장품 용기 KR102007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013 2014-02-14
KR20140017013 2014-02-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545A Division KR101599676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062A true KR20150132062A (ko) 2015-11-25
KR102007511B1 KR102007511B1 (ko) 2019-08-06

Family

ID=52678422

Family Applications (3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33A KR20150096603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2A KR101471339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5A KR101781675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2A KR20150096607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1A KR101638230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4A KR101643456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9A KR102071998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3A KR20150096608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6A KR20150096609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52A KR101689433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0A KR20150096601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0A KR101906821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7A KR101566115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6A KR101566114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8A KR101660112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40A KR101787167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9A KR101782198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104495A KR102214116B1 (ko) 2014-02-14 2014-08-12 화장품 용기
KR1020140104488A KR101566119B1 (ko) 2014-02-14 2014-08-12 화장품 용기
KR1020140104502A KR102216664B1 (ko) 2014-02-14 2014-08-12 화장품 용기
KR1020150106537A KR101647259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KR1020150106545A KR101599676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KR1020150106540A KR102023763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KR1020150157421A KR102007511B1 (ko) 2014-02-14 2015-11-10 화장품 용기
KR1020170077248A KR101856000B1 (ko) 2014-02-14 2017-06-19 화장품 용기
KR1020170077252A KR101856005B1 (ko) 2014-02-14 2017-06-19 화장품 용기
KR1020170092481A KR101792981B1 (ko) 2014-02-14 2017-07-21 화장품 용기
KR1020180044487A KR101966421B1 (ko) 2014-02-14 2018-04-17 화장품 용기
KR1020180045161A KR101966424B1 (ko) 2014-02-14 2018-04-18 화장품 용기
KR1020180150653A KR102085290B1 (ko) 2014-02-14 2018-11-29 화장품 용기
KR1020190051714A KR102078864B1 (ko) 2014-02-14 2019-05-02 화장품 용기
KR1020190113767A KR102128109B1 (ko) 2014-02-14 2019-09-16 화장품 용기
KR1020200073907A KR102259302B1 (ko) 2014-02-14 2020-06-17 화장품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333A KR20150096603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2A KR101471339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5A KR101781675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2A KR20150096607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1A KR101638230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4A KR101643456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9A KR102071998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3A KR20150096608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6A KR20150096609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52A KR101689433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30A KR20150096601A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68340A KR101906821B1 (ko) 2014-02-14 2014-06-05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7A KR101566115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6A KR101566114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8A KR101660112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40A KR101787167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092739A KR101782198B1 (ko) 2014-02-14 2014-07-22 화장품 용기
KR1020140104495A KR102214116B1 (ko) 2014-02-14 2014-08-12 화장품 용기
KR1020140104488A KR101566119B1 (ko) 2014-02-14 2014-08-12 화장품 용기
KR1020140104502A KR102216664B1 (ko) 2014-02-14 2014-08-12 화장품 용기
KR1020150106537A KR101647259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KR1020150106545A KR101599676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KR1020150106540A KR102023763B1 (ko) 2014-02-14 2015-07-28 화장품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248A KR101856000B1 (ko) 2014-02-14 2017-06-19 화장품 용기
KR1020170077252A KR101856005B1 (ko) 2014-02-14 2017-06-19 화장품 용기
KR1020170092481A KR101792981B1 (ko) 2014-02-14 2017-07-21 화장품 용기
KR1020180044487A KR101966421B1 (ko) 2014-02-14 2018-04-17 화장품 용기
KR1020180045161A KR101966424B1 (ko) 2014-02-14 2018-04-18 화장품 용기
KR1020180150653A KR102085290B1 (ko) 2014-02-14 2018-11-29 화장품 용기
KR1020190051714A KR102078864B1 (ko) 2014-02-14 2019-05-02 화장품 용기
KR1020190113767A KR102128109B1 (ko) 2014-02-14 2019-09-16 화장품 용기
KR1020200073907A KR102259302B1 (ko) 2014-02-14 2020-06-17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010153B2 (ko)
EP (3) EP3106059B1 (ko)
JP (4) JP6204509B2 (ko)
KR (33) KR20150096603A (ko)
CN (11) CN106974421B (ko)
HK (3) HK1221881A1 (ko)
WO (1) WO20151225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798A1 (ko) * 2015-11-27 2017-06-01 펌텍코리아(주) 러버패드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868738B1 (ko) * 2017-03-03 2018-06-18 강성일 마이크로 펌프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758B1 (ko) * 2013-08-06 2015-06-12 (주)연우 에어리스 콤팩트 용기
KR200474770Y1 (ko) * 2013-08-19 2014-10-13 강성일 화장품 리필용기의 화장품 내용물 증발 방지장치
KR101559078B1 (ko) * 2013-10-10 2015-10-08 (주)연우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0480194Y1 (ko) * 2013-12-12 2016-04-22 강성일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150096603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81481Y1 (ko) * 2014-09-05 2016-10-06 강성일 펌프가 구비된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USD777982S1 (en) * 2014-11-06 2017-01-31 Amorepacific Corporation Combined cosmetic container and screen
KR200483846Y1 (ko) * 2014-12-12 2017-07-11 강성일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0481842Y1 (ko) 2014-12-19 2016-11-17 (주) 디즈인 화장품 용기
KR20160074982A (ko) * 2014-12-19 2016-06-29 강성일 세라믹 재질의 배출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711180B1 (ko) * 2014-12-31 2017-03-15 펌텍코리아 (주)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N205143858U (zh) * 2014-12-31 2016-04-13 蒲木科技韩国株式会社 具有环形按钮构件的粉饼容器
KR200484157Y1 (ko) * 2015-01-21 2017-08-08 (주)아모레퍼시픽 배출판과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84833Y1 (ko) * 2015-01-23 2017-10-31 펌텍코리아(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594275B1 (ko) * 2015-02-24 2016-02-15 강성일 에어출입수단을 갖는 화장품용기
KR101748933B1 (ko) * 2015-03-19 2017-06-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684241B1 (ko) * 2015-05-07 2016-12-09 (주)아모레퍼시픽 함침부재에 화장료저장홈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61472B1 (ko) * 2015-05-12 2017-07-26 강성일 오토 오픈 콤팩트 용기
KR20160133138A (ko) * 2015-05-12 2016-11-22 강성일 인몰드 필름이 부착된 콤팩트 용기
KR101690412B1 (ko) * 2015-05-12 2016-12-27 강성일 오토 오픈 콤팩트 용기
KR101697442B1 (ko) * 2015-06-12 2017-01-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761475B1 (ko) * 2015-07-08 2017-07-26 강성일 볼륨 크림 용기
KR101711186B1 (ko) * 2015-07-13 2017-03-28 펌텍코리아 (주) 펌프의 측면에 수평으로 내용물저장용기가 결합된 콤팩트용기
KR200484240Y1 (ko) * 2015-07-13 2017-08-17 펌텍코리아 (주) 화장료가 골고루 배출되는 배출판을 갖는 콤팩트용기
US20170015957A1 (en) * 2015-07-17 2017-01-19 Ronald Jones Remnant Soap Melting and Shaping Assembly
JP6537411B2 (ja) * 2015-08-31 2019-07-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受皿付きポンプ容器
JP6541514B2 (ja) * 2015-08-31 2019-07-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受皿付きポンプ容器
KR200484645Y1 (ko) * 2015-10-07 2017-10-12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납작이 브러시가 구비된 컴팩트 용기
WO2017061794A1 (ko) * 2015-10-08 2017-04-13 강성일 마이크로 펌프 용기
KR101761481B1 (ko) * 2015-10-08 2017-07-26 강성일 마이크로 펌프 용기
KR101715180B1 (ko) * 2015-10-22 2017-03-10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품 용기
KR102434004B1 (ko) * 2015-10-23 2022-08-19 코웨이 주식회사 흡착용 벨벳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170002211U (ko) * 2015-12-14 2017-06-23 펌텍코리아 (주) 확산분배판에 밀착부와 기밀부가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FR3045293B1 (fr) * 2015-12-22 2020-10-02 Chanel Parfums Beaute Pot de cosmetique comportant un systeme de mise sous pression d'un reservoir de reserve de produit
KR102121793B1 (ko) * 2016-02-16 2020-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59431B1 (ko) * 2016-02-16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05639989B (zh) * 2016-02-26 2018-12-18 殷昌(苏州)包装有限公司 真空泵化妆品容器
KR20170114004A (ko) * 2016-03-31 2017-10-13 펌텍코리아 (주) 투명 배출판 저면에 불투명 박막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CN109219369A (zh) * 2016-04-08 2019-01-15 Elc 管理有限责任公司 与美容护肤膜一起使用的容器系统
KR101891105B1 (ko) * 2016-04-14 2018-08-23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품 용기
KR200486987Y1 (ko) * 2016-04-28 2018-07-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20170318938A1 (en) * 2016-05-09 2017-11-09 Pum-Tech Korea Co., Ltd Compact container having insert-molded discharge plate supported by fixing member
WO2017213298A1 (en) 2016-06-10 2017-12-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KR101896678B1 (ko) * 2016-06-17 2018-09-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20180002070A1 (en) * 2016-06-30 2018-01-04 Pum-Tech Korea Co., Ltd Transparent discharging plate for providing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infiltrating into bottom thereof
FR3054110B1 (fr) * 2016-07-19 2018-09-07 Axilone Plastique Emballage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tel qu'une composition cosmetique
WO2018021791A1 (ko) * 2016-07-28 2018-02-01 펌텍코리아(주)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1897954B1 (ko) * 2016-07-28 2018-09-14 펌텍코리아(주) 링버튼부재가 구비되고 배출판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1837945B1 (ko) * 2016-08-05 2018-03-13 김영호 결합링과 하부커버에 의해 망사가 결합되는 파우더 용기의 중간캡 및 그 제조방법
KR102530658B1 (ko) * 2016-08-10 2023-05-09 (주)아모레퍼시픽 배출면이 변화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80017889A (ko) * 2016-08-11 2018-02-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에어리스 컴팩트 용기
KR101834083B1 (ko) * 2016-09-02 2018-03-02 강성일 마이크로 펌프 용기
JP6657050B2 (ja) * 2016-10-19 2020-03-04 ロレアル 化粧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注出組立体
KR101707455B1 (ko) * 2016-11-11 2017-02-17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원 터치 방식으로 캡이 개폐 조작되는 화장품 용기
KR101922399B1 (ko) 2017-01-17 2018-12-03 (주)에스디생명공학 화장료 함침재
KR101984912B1 (ko) * 2017-03-03 2019-05-31 (주)아모레퍼시픽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7018739B2 (ja) * 2017-10-31 2022-02-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US11457716B2 (en) 2017-03-30 2022-10-04 Yoshino Kogyosho Co., Ltd. Compact container
KR101896699B1 (ko) * 2017-03-30 2018-09-07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품 용기
KR101799478B1 (ko) * 2017-07-25 2017-11-20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회전 타입 화장품 용기
WO2019031665A1 (ko) 2017-08-11 2019-02-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11280B1 (ko) * 2017-08-22 2019-08-16 김수월 화장품 수용 용기
KR101805595B1 (ko) * 2017-08-23 2017-12-07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WO2019039756A1 (ko) * 2017-08-25 2019-02-28 (주)연우 확산판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90022090A (ko) * 2017-08-25 2019-03-06 정재용 토출판이 메쉬망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화장품 용기
KR101942666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1966742B1 (ko) * 2017-10-24 2019-04-08 변영광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203954B1 (ko) * 2017-11-03 2021-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N111148449B (zh) * 2017-11-28 2022-08-19 株式会社黛怡茜 化妆品包装体及化妆品容器
KR200495708Y1 (ko) * 2017-12-06 2022-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20835B1 (ko) * 2017-12-27 2021-02-25 정재용 토출판이 메쉬망 상부에 안착되어 메쉬망에 의해 탄력지지 되는 화장품 용기
KR102122717B1 (ko) 2018-02-06 2020-06-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131199B1 (ko) * 2018-02-20 2020-07-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USD860779S1 (en) * 2018-03-23 2019-09-2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ntainer
WO2019191600A1 (en) 2018-03-30 2019-10-03 Rea.Deeming Beauty, Inc. Dba Beautyblender Container and dispenser system and apparatus
KR102054316B1 (ko) * 2018-05-29 2019-12-10 펌텍코리아(주) 오염 방지 쿨링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915937B1 (ko) * 2018-07-04 2018-11-06 김진우 배출 펌프 내장형 파운데이션 용기
USD898294S1 (en) * 2018-07-05 2020-10-06 Shiseido Co., Ltd. Powder compact
USD898295S1 (en) * 2018-07-05 2020-10-06 Shiseido Co., Ltd. Powder compact
KR20200007370A (ko) 2018-07-13 2020-01-22 펌텍코리아 (주) 배출판에 스펀지가 인서트되어 일체로 사출된 배출판을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490947Y1 (ko) * 2018-07-16 2020-01-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66889B1 (ko) * 2018-08-08 2020-0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65015B1 (ko) * 2018-08-10 2020-01-10 (주)연우 리필 가능한 내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91184Y1 (ko) * 2018-08-10 2020-02-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A3013980A1 (en) * 2018-08-13 2020-02-13 Younsil Seo Sunscreen container system
KR102216057B1 (ko) * 2018-08-28 2021-02-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WO2020050452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200489985Y1 (ko) * 2018-09-14 2019-09-05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CN112566528A (zh) * 2018-09-18 2021-03-26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化妆品
KR102649361B1 (ko) * 2018-09-18 2024-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622778B1 (ko) * 2018-09-18 2024-0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649345B1 (ko) * 2018-09-18 2024-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945160B1 (ko) 2018-10-11 2019-04-17 이승현 토출되는 화장료의 회수기능을 가진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KR102087524B1 (ko) * 2018-12-28 2020-03-10 주식회사 삼화 그라인딩 믹싱 화장품 용기
US11006731B2 (en) 2019-03-28 2021-05-18 Hcp Packaging Usa, Inc. Refillable cosmetic compact
EP3945929B1 (en) * 2019-03-28 2024-03-27 HCP Packaging USA, Inc. Refillable cosmetic compact
KR102000014B1 (ko) * 2019-04-02 2019-07-17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102255920B1 (ko) 2019-09-04 2021-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315725B1 (ko) 2020-01-01 2021-10-22 채령 Qrn key 분배방법 및 이종망 qrn key 분배 하이브리드 양자통신 폐쇄망 시스템
US11395535B2 (en) 2020-09-24 2022-07-26 Hcp Packaging Usa, Inc. Keyed refillable cosmetic dispenser
US11882916B2 (en) 2020-09-24 2024-01-30 Hcp Packaging Usa, Inc. Refillable cosmetic dispenser
WO2022131385A1 (ko) * 2020-12-14 2022-06-23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KR102275183B1 (ko) * 2020-12-14 2021-07-08 (주)우리아이들플러스 스탬프형 유체 토출장치
USD952550S1 (en) * 2021-01-06 2022-05-24 Xiangju Liu Solar panel
CN113827022B (zh) * 2021-09-07 2024-05-10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化妆品容器
USD1004416S1 (en) * 2021-10-27 2023-11-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ackaging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69Y1 (ko) * 2005-02-28 2005-05-10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화장품 용기의 배출판
KR100841441B1 (ko) * 2007-07-03 2008-06-25 (주)에스엔피월드 분산부를 갖는 화장용기
KR101159877B1 (ko) 2008-03-20 2012-06-25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101171305B1 (ko) * 2011-03-03 2012-08-20 정만택 화장용 파우더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68A (en) * 1910-12-07 1915-12-28 United Shoe Machinery Ab Sole-leveling machine.
JPS602605Y2 (ja) * 1978-05-25 1985-01-24 高嶋 イツ子 習字用練習紙
JPH069522B2 (ja) 1982-08-02 1994-0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
JPS59168964U (ja) * 1983-04-26 1984-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形燃料電池
JPS59184709U (ja) 1983-05-25 1984-12-08 株式会社 小林コ−セ− ペ−スト状化粧料用コンパクト
JPS6097513U (ja) 1983-12-08 1985-07-03 株式会社小林コ−セ− 液状化粧料用コンパクト
JPH0538670Y2 (ko) 1986-02-03 1993-09-30
FR2610773B1 (fr) 1987-02-06 1989-05-26 Radiotechnique Ind & Comm Systeme de synchronisation sur un signal semi-numerique
JPH0523135Y2 (ko) * 1987-08-05 1993-06-14
JPH0451709Y2 (ko) 1987-09-09 1992-12-04
JPH058803Y2 (ko) 1987-09-12 1993-03-04
JPH0510743Y2 (ko) * 1987-11-04 1993-03-16
JPH01134924U (ko) 1988-03-09 1989-09-14
JPH061082Y2 (ja) 1988-04-20 1994-01-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ペースト状化粧品収納容器
JPH062605Y2 (ja) * 1988-05-10 1994-01-26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吐出容器
JPH061064Y2 (ja) 1988-05-12 1994-01-12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繰り上げ機構付き容器
US4982751A (en) * 1989-09-26 1991-01-08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Compact case
JP2541593Y2 (ja) 1990-03-30 1997-07-16 オーベクス株式会社 液体の揮散装置
JP2535070Y2 (ja) 1990-12-27 1997-05-07 ぺんてる株式会社 吐出容器
US5548085A (en) * 1994-11-21 1996-08-20 Dsc Communications Corporation Transportable weathertight and EMI shielded cabinet enclosure
JPH08158940A (ja) 1994-11-30 1996-06-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ターリング機関
JPH08156940A (ja) 1994-12-06 1996-06-18 Asai Glass Kk 粉体塗装硝子容器
JPH08338418A (ja) 1995-06-10 1996-12-24 Takeshi Kameyama ネジの緩み止め構造
JP3452688B2 (ja) 1995-06-15 2003-09-29 株式会社コーセー 粉状化粧料コンパクト容器
KR0119055Y1 (ko) 1995-06-16 1998-06-01 김광호 음식쓰레기 처리기
FR2739003B1 (fr) * 1995-09-21 1998-03-20 Oreal Houppette de mousse pour le soin et le traitement topique de la peau
FR2744602B1 (fr) * 1996-02-14 1998-03-06 Oreal Boitier notamment de maquillage et/ou de soin a fond souple
JP3935998B2 (ja) * 1996-08-12 2007-06-27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粉体化粧料収納容器
FR2754687B1 (fr) * 1996-10-17 1998-11-27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pour produit pulverulent, pateux, ou sous forme d'un gel
JP3765897B2 (ja) 1996-12-25 2006-04-12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収納容器
JPH10194308A (ja) 1997-01-13 1998-07-28 Kamaya Kagaku Kogyo Co Ltd 押出し容器
FR2762589B1 (fr) * 1997-04-28 1999-07-16 Sofab Flacon de distribution pour liquide, creme ou gel comportant un dispositif filtrant de l'air entrant
JP3853952B2 (ja) 1997-12-25 2006-12-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粉末化粧品収納容器本体
JP3061178U (ja) 1998-09-10 1999-09-17 株式會社太平洋 パウダ―吸着用のパフケ―ス
JP2000129448A (ja) * 1998-10-23 2000-05-09 Inoac Corp 内面にめっき層を有する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6241128B1 (en) * 1998-12-22 2001-06-05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Dispenser package for fluent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FR2793220B1 (fr) * 1999-05-04 2001-06-01 Oreal Ensemble pour la mise en contact extemporanee d'au moins deux elements, utilisation d'un tel ensemble et procede de traitement
JP4364351B2 (ja) 1999-07-08 2009-11-18 ホーユー株式会社 染毛剤容器
KR20000012681A (ko) * 1999-12-17 2000-03-06 김성태 플라스틱 탄성을 이용한 숨쉬는 발효식품 용기
JP2001292827A (ja) 2000-04-11 2001-10-23 Yoshida Industry Co Ltd コンパクト容器の蓋
JP2002010827A (ja) 2000-06-28 2002-01-15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JP3987272B2 (ja) 2000-07-28 2007-10-0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広域噴射ノズルを備える容器
JP4292720B2 (ja) * 2001-01-24 2009-07-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源ノイズ検出回路を有する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プロセッサ
JP2003116631A (ja) 2001-10-12 2003-04-22 Yoshida Industry Co Ltd 可変模様蓋付容器
FR2832598B1 (fr) 2001-11-26 2006-01-27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et/ou d'application d'un produit
KR100778286B1 (ko) 2001-12-29 2007-11-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기발광소자의 제조 방법
JP2003210245A (ja) * 2002-01-28 2003-07-29 Yoshida Industry Co Ltd 網付レフィル容器
US6945403B2 (en) * 2002-05-17 2005-09-20 Lombardi Design & Manufacturing Loose powder compact with movable screen
JP4338383B2 (ja) 2002-12-02 2009-10-07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パウダー容器
JP4129175B2 (ja) * 2002-12-27 2008-08-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装置を具えたコンパクト容器
CN2618488Y (zh) 2003-05-06 2004-06-02 刘和智 一种牙刷
CN2618486Y (zh) 2003-05-20 2004-06-02 周兴 化妆粉盒
JP2005007093A (ja) * 2003-06-23 2005-01-13 Katsushika:Kk 粉状化粧料容器
FR2866819B1 (fr) * 2004-02-26 2006-03-31 Techpack Int Distributeur-applicateur typiquement a tete massante
KR200372911Y1 (ko) 2004-10-22 2005-01-2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분리형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370307Y1 (ko) *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액상 화장품 용기
WO2006033559A1 (en) 2004-09-24 2006-03-30 Saint Coree Int. Co., Ltd. Container for liquid type cosmetic
KR200370308Y1 (ko) *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JP4590593B2 (ja) 2004-12-03 2010-12-01 大成化工株式会社 金属製チューブの内面塗装方法、並びに、耐食性内面被覆金属製チューブ
JP4738026B2 (ja) 2005-03-10 2011-08-03 大和製罐株式会社 印刷フィルム貼着缶体の製造方法
JP4738025B2 (ja) 2005-03-10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合物、組成物、光学要素、および位相差板
KR100591522B1 (ko) 2005-06-23 2006-06-20 정규열 화장용 파우더 용기
JP4804053B2 (ja) * 2005-07-12 2011-10-26 花王株式会社 化粧料容器
KR200402606Y1 (ko)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KR200402608Y1 (ko) 2005-09-02 2005-12-02 주식회사 태평양 파우더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파우더 용기
KR200416530Y1 (ko) 2006-02-18 2006-05-16 강성일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KR200416630Y1 (ko) 2006-02-25 2006-05-22 이혜성 기념패
KR100751835B1 (ko) 2006-03-16 2007-08-23 주식회사 예찬 이종 내용물의 동시 토출이 가능한 펌프 디스펜서
FR2900550B1 (fr) * 2006-05-05 2008-10-03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KR100781747B1 (ko) 2006-07-14 2007-12-06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파우더 펌핑부재를 구비한 화장용기
KR20080042196A (ko) 2006-11-09 2008-05-15 진상훈 실시간 반응하는 캐릭터를 사용한 쇼핑몰
CN200969917Y (zh) 2006-11-16 2007-11-07 刘坤钟 扣具
KR100776286B1 (ko) * 2006-12-07 2007-11-28 강선아 파우더 화장용기
US7841349B2 (en) * 2007-02-12 2010-11-30 Rexam Beauty And Closures, Inc. Loose powder compact
JP5115956B2 (ja) * 2007-05-01 2013-01-09 株式会社カツシカ 粉状化粧料容器
US7883287B2 (en) * 2007-05-10 2011-02-08 HCT Asia, Ltd Dispenser with thermal storage tip
CN201029548Y (zh) * 2007-05-25 2008-03-05 殷昌(苏州)包装有限公司 化妆粉饼盒
US8025067B2 (en) 2008-01-29 2011-09-27 HCT Asia, Ltd Displacement sifter
CN201192162Y (zh) 2008-03-20 2009-02-11 张少祥 用于盛放散粉的粉盒
JP3142399U (ja) * 2008-03-31 2008-06-12 株式会社資生堂 化粧料容器
KR200450515Y1 (ko) 2008-05-14 2010-10-07 (주)오앤드 파우더 화장품 용기
US8021069B2 (en) 2008-06-23 2011-09-20 Space Systems/Loral, Inc. Redundant radial release apparatus
CN102088886B (zh) * 2008-07-10 2013-08-14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化妆品容器
US8047214B2 (en) * 2008-07-11 2011-11-01 Hct Asia Ltd Powder puff dispenser with flow-through gasket
KR200453355Y1 (ko) 2008-07-15 2011-04-25 이충배 화장품 용기 뚜껑
CN201337078Y (zh) * 2008-10-28 2009-11-04 金吉洙 液状化妆品容器用抽吸式喷嘴
KR200459637Y1 (ko) * 2009-12-31 2012-04-12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WO2010082771A2 (ko) * 2009-01-14 2010-07-22 Kang Sungil 내용물 배출펌프
CN101779858B (zh) 2009-01-16 2012-02-22 苏州洽兴塑胶有限公司 散粉盒
KR101159135B1 (ko) 2009-12-02 2012-07-11 전준성 파우더 용기
FR2954936B1 (fr) * 2010-01-06 2012-03-02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 organe d'application.
KR101088138B1 (ko) 2010-01-14 2011-12-02 손동숙 비닐하우스용 분사장치
KR200461424Y1 (ko) 2010-02-12 2012-07-1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CN201647054U (zh) 2010-03-24 2010-11-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驱动系统
KR101178596B1 (ko) 2010-04-28 2012-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포이트 용기
KR101779858B1 (ko) 2010-04-28 2017-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678222B2 (en) * 2010-04-30 2014-03-25 Hct Asia Ltd Airtight compact
KR200458645Y1 (ko) 2010-07-21 2012-03-06 (주)아모레퍼시픽 액상물 도포 용기
CN201743143U (zh) * 2010-08-23 2011-02-16 杭州孔凤春化妆品有限公司 一种粉饼盒
CN201847054U (zh) 2010-10-14 2011-06-01 连升有限公司 粉末容器结构改良
US20120125361A1 (en) * 2010-11-23 2012-05-24 Elcos America, Inc. Cosmetic case having powder scraping function
KR101248363B1 (ko) * 2010-12-01 2013-04-01 정규선 직압 분사식 화장도구
KR200479944Y1 (ko) * 2011-01-14 2016-03-25 (주)반도뷰티프로덕스 색조화장을 위한 다양한 색이 수용된 케이스의 교환이 가능한 화장용브러쉬
KR101261025B1 (ko) * 2011-03-30 2013-05-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퍼프 내장형 용기
JP5656714B2 (ja) * 2011-03-30 2015-01-21 花王株式会社 内容物押出容器
KR200461897Y1 (ko) 2011-04-06 2012-08-20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용기
KR101326447B1 (ko) 2011-07-22 2013-11-07 (주)엘지하우시스 우드부와 피혁부에 균일한 발열이 가능한 발열 스티어링 휠 및 이의 제조방법
US10283389B2 (en) 2011-07-29 2019-05-07 Wuxi Huaying Micr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djustable semiconductor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25799B1 (ko) 2011-10-20 2014-08-05 (주)연우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에어리스 타입 용기의 하부 구조
KR101280934B1 (ko) 2011-11-01 2013-07-02 강성일 진공용기와 그 제조방법
JP5963344B2 (ja) * 2011-12-02 2016-08-03 株式会社タイキ 化粧用接触冷感パフ及び容器
KR101255161B1 (ko) * 2011-12-30 2013-04-22 이원일 분말용기 퍼프캡
KR101157218B1 (ko) 2012-01-11 2012-07-03 한국콜마 주식회사 메이크업 셋트
KR200471000Y1 (ko) * 2012-04-12 2014-01-28 펌텍코리아 (주)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130116194A (ko)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67991Y1 (ko) 2012-07-16 2013-07-19 박한동 화장품 소성접시
KR200470006Y1 (ko) * 2012-08-10 2013-11-26 이충길 화장품 케이스
JP6002605B2 (ja) 2013-03-07 2016-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
KR101429089B1 (ko) 2013-04-05 2014-08-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494168B1 (ko) 2013-06-19 2015-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6611Y1 (ko) 2013-04-12 2015-03-18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KR200475351Y1 (ko) 2013-04-18 2014-11-26 펌텍코리아 (주)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76239Y1 (ko) * 2013-05-16 2015-02-10 펌텍코리아 (주) 고른 화장액 토출 기능을 갖는 콤팩트 용기
KR200470757Y1 (ko) * 2013-06-18 2014-01-09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를 구비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102144002B1 (ko) * 2013-06-18 2020-08-12 코웨이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KR20140146882A (ko) 2013-06-18 2014-12-29 박정열 구이대 승강구조를 갖는 난로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79430Y1 (ko) 2013-07-15 2016-01-27 강성일 행정거리가 짧은 배출펌프와 내용물 확산부재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5944Y1 (ko) * 2013-08-06 2015-01-19 주식회사 비투와이 액상 화장품 용기의 배출 구조체
CN203399790U (zh) * 2013-08-16 2014-01-22 汕头市京华塑胶有限公司 一种粉底挤压泵
KR101355364B1 (ko)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101446034B1 (ko) 2013-11-13 2014-10-01 강성일 내용물 배출펌프
CN110013717B (zh) 2013-11-15 2022-03-22 斯塔米卡邦有限公司 用于从气体流捕集颗粒的设备和方法以及从气体中去除可溶颗粒的方法
KR101494188B1 (ko) 2013-11-21 2015-02-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측정 셀, 그를 이용한 측정 장치 및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200480194Y1 (ko) * 2013-12-12 2016-04-22 강성일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MY181223A (en) 2014-01-20 2020-12-21 Amorepacific Corp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20150096603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78242Y1 (ko) 2014-03-25 2015-09-11 펌텍코리아 (주) 메쉬분배망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931198B1 (ko) 2014-07-11 2018-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597076B1 (ko) 2015-04-29 2016-02-23 강민구 화장품 용기
KR200483309Y1 (ko) 2015-07-22 2017-04-27 펌텍코리아 (주) 방향성 없이 조립이 가능한 확산분배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69Y1 (ko) * 2005-02-28 2005-05-10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화장품 용기의 배출판
KR100841441B1 (ko) * 2007-07-03 2008-06-25 (주)에스엔피월드 분산부를 갖는 화장용기
KR101159877B1 (ko) 2008-03-20 2012-06-25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101171305B1 (ko) * 2011-03-03 2012-08-20 정만택 화장용 파우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0798A1 (ko) * 2015-11-27 2017-06-01 펌텍코리아(주) 러버패드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868738B1 (ko) * 2017-03-03 2018-06-18 강성일 마이크로 펌프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196A (ko) 2018-04-25
KR20150096617A (ko) 2015-08-25
KR20190108096A (ko) 2019-09-23
KR20150096614A (ko) 2015-08-25
KR102007511B1 (ko) 2019-08-06
US10426246B2 (en) 2019-10-01
CN107006996B (zh) 2020-11-17
JP6204509B2 (ja) 2017-09-27
KR101792981B1 (ko) 2017-11-01
JP6576990B2 (ja) 2019-09-18
KR20150096621A (ko) 2015-08-25
KR101643456B1 (ko) 2016-07-28
CN108634531A (zh) 2018-10-12
CN105725455A (zh) 2016-07-06
KR20150096607A (ko) 2015-08-25
CN106974421A (zh) 2017-07-25
CN106175028B (zh) 2019-08-20
CN105708109A (zh) 2016-06-29
JP6771803B2 (ja) 2020-10-21
HK1221881A1 (zh) 2017-06-16
EP3106060A1 (en) 2016-12-21
KR101471339B1 (ko) 2014-12-10
KR20150096615A (ko) 2015-08-25
JP6492079B2 (ja) 2019-03-27
US20180279741A1 (en) 2018-10-04
KR101638230B1 (ko) 2016-07-11
WO2015122584A1 (ko) 2015-08-20
KR20180042202A (ko) 2018-04-25
KR20150096606A (ko) 2015-08-25
KR101787167B1 (ko) 2017-10-18
US20180116371A1 (en) 2018-05-03
JP2018011966A (ja) 2018-01-25
CN107006996A (zh) 2017-08-04
EP3106060B1 (en) 2021-01-27
CN105725455B (zh) 2017-08-08
US20160015149A1 (en) 2016-01-21
KR102085290B1 (ko) 2020-03-05
KR101966424B1 (ko) 2019-04-08
KR20150096604A (ko) 2015-08-25
KR101856000B1 (ko) 2018-05-10
CN105533990B (zh) 2017-03-15
CN105377073A (zh) 2016-03-02
KR20170075691A (ko) 2017-07-03
KR20150096610A (ko) 2015-08-25
CN105708109B (zh) 2018-01-02
CN105377073B (zh) 2020-10-30
KR102071998B1 (ko) 2020-02-03
KR20150096358A (ko) 2015-08-24
KR20150096602A (ko) 2015-08-25
EP3838061B1 (en) 2023-09-06
KR101966421B1 (ko) 2019-04-08
KR102216664B1 (ko) 2021-02-18
CN108685307B (zh) 2021-03-26
KR20150096616A (ko) 2015-08-25
KR101566115B1 (ko) 2015-11-05
KR101689433B1 (ko) 2016-12-29
JP2016530923A (ja) 2016-10-06
KR20150096601A (ko) 2015-08-25
KR101781675B1 (ko) 2017-09-26
KR101566119B1 (ko) 2015-11-05
KR20150096603A (ko) 2015-08-25
CN108685307A (zh) 2018-10-23
KR20190050759A (ko) 2019-05-13
KR20150096620A (ko) 2015-08-25
KR102214116B1 (ko) 2021-02-15
KR102078864B1 (ko) 2020-02-19
US10010153B2 (en) 2018-07-03
CN106175028A (zh) 2016-12-07
CN106974421B (zh) 2020-08-21
KR101660112B1 (ko) 2016-09-27
KR20150096611A (ko) 2015-08-25
KR20170075690A (ko) 2017-07-03
CN105101834B (zh) 2017-02-08
KR102023763B1 (ko) 2019-09-20
KR101647259B1 (ko) 2016-08-09
KR101856005B1 (ko) 2018-06-20
KR20150096618A (ko) 2015-08-25
KR20200074078A (ko) 2020-06-24
US20160242529A1 (en) 2016-08-25
KR102128109B1 (ko) 2020-06-29
HK1251792A1 (zh) 2019-03-15
KR101599676B1 (ko) 2016-03-03
CN105101834A (zh) 2015-11-25
CN111513448A (zh) 2020-08-11
CN105533990A (zh) 2016-05-04
EP3106059B1 (en) 2021-01-20
KR20150096359A (ko) 2015-08-24
HK1251790A1 (zh) 2019-03-15
KR20150096608A (ko) 2015-08-25
KR101566114B1 (ko) 2015-11-05
KR102259302B1 (ko) 2021-06-01
EP3106059A4 (en) 2018-02-28
KR20150096609A (ko) 2015-08-25
EP3106059A1 (en) 2016-12-21
KR101782198B1 (ko) 2017-09-27
JP2019198693A (ja) 2019-11-21
KR20150096605A (ko) 2015-08-25
KR101906821B1 (ko) 2018-10-15
KR20170088804A (ko) 2017-08-02
CN108634531B (zh) 2021-02-23
KR20150096360A (ko) 2015-08-24
JP2016534761A (ja) 2016-11-10
US10874191B2 (en) 2020-12-29
EP3838061A3 (en) 2021-09-15
EP3838061A2 (en) 2021-06-23
KR20180132002A (ko) 2018-12-11
EP3106060A4 (en) 2018-02-21
US10869534B2 (en) 2020-12-22
KR20150096619A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67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6987Y1 (ko) 화장품 용기
KR101876119B1 (ko) 화장품 용기
KR101896678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066936A (ko) 화장품 용기
KR20180002247U (ko) 화장품 용기
KR102216057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