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361B1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361B1
KR102649361B1 KR1020180111844A KR20180111844A KR102649361B1 KR 102649361 B1 KR102649361 B1 KR 102649361B1 KR 1020180111844 A KR1020180111844 A KR 1020180111844A KR 20180111844 A KR20180111844 A KR 20180111844A KR 102649361 B1 KR102649361 B1 KR 10264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contents
pump
housing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608A (ko
Inventor
신호준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80111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361B1/ko
Priority to CN201980052405.0A priority patent/CN112566528A/zh
Priority to JP2021511623A priority patent/JP7309254B2/ja
Priority to PCT/KR2019/009819 priority patent/WO2020060026A1/ko
Publication of KR2020003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04Kinds o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 및 상기 내용기를 감싸며 상기 토출판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용기는, 일측에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노즐을 갖고 타측에 내용물을 밀어내는 밀폐체가 채워져 있는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노즐이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토출판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해 토출판 위의 내용물을 문질러 사용하도록 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는,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내용물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내용물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직접 내용물에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내용물이 퍼프에 묻어서 퍼프가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펀지 등에 내용물을 함침시키고, 사용자가 퍼프로 스펀지를 누르게 되면 스펀지에 스며들어 있던 액체 내용물이 배출됨에 따라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은, 기존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스펀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서 퍼프에 필요 이상의 내용물이 묻어 나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과도한 압력으로 스펀지를 가압하게 되면, 퍼프에서 피부에 직접 닿는 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접한 면까지 내용물이 묻어나와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 사용자는, 스펀지에 함침된 내용물을 퍼프에 묻혀 얼굴 등의 피부에 접촉시켜 내용물을 바르고 다시 반복하여 퍼프를 화장료가 함침된 스펀지에 눌러서 접촉시키게 되는데, 이때 피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세균 등으로 인해 내용물에 심각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용물 내에서 미생물은 내용물 사용이 완료될 때까지 성장함에 따라 내용물을 지속적으로 오염시켜 결국에는 피부자극, 피부트러블, 피부알러지, 변취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불편한 경험을 겪게될 경우, 화장품 사용을 기피하게 되며, 미용을 위해 사용한 화장품이 오히려 개인의 위생과 피부 트러블을 초래함에 따라 심각한 불만을 품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내용물을 보관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용물과 외부 오염원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양만큼만 취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잔량의 내용물은 안전하게 미생물의 오염 없이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검토는 심각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며, 이러한 근본적 해결 없이 내용물을 미용목적에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은 오히려 심각한 피부부작용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355364호(2014.01.2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문지르는 토출판을 마련하여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어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 및 상기 내용기를 감싸며 상기 토출판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용기는, 일측에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노즐을 갖고 타측에 내용물을 밀어내는 밀폐체가 채워져 있는 관 형태를 가지며, 상기 노즐이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토출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확산시켜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로 전달하는 확산공간을 갖는 확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노즐에 실링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노즐이 상기 펌프에 연결될 때 상기 실링지가 찢어지면서 내부가 상기 펌프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노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용물과 상기 밀폐체가 채워지는 호스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외력에 의해 직선 형태의 상기 호스가 곡선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호스가 권취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상기 밀폐체가 내용물을 밀어내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내용물을 배출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노즐과 상기 호스를 갖는 소용기가 내부에 교체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용기의 상측에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토출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내용물을 확산시켜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로 전달하는 확산공간을 갖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상단이 확산부의 하면에 맞닿고 하단이 내용기의 상면에 맞닿아 있으며 피스톤 주변을 두르는 하나의 탄성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부재는, 판형 스프링이거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펌프에서 배출되는 내용물이 확산되어 토출판의 미세한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토출판을 퍼프로 문질러서 내용물을 펴바르고 이후 토출판을 닦아내 노출된 면이 다시 깨끗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깔끔한 외관을 확보하면서 쉽게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내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물이 리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물이 리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물이 리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내용기(10), 에어리스 펌프(20), 확산부(30), 토출판(40), 테두리부(50), 하우징(60), 뚜껑(70)을 포함한다.
내용기(10)는, 내용물(P)을 저장한다. 내용기(10)에 저장되는 내용물(P)은 액상일 수 있지만, 유동이 가능하다면 파우더 형태도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내용물(P)은, 액상이거나 또는 고체가 혼합된 액상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로션이나 자외선 차단제 등과 같이 다양한 성분을 갖는 조성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내용물(P)의 성분이나 상태, 사용목적 등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내용기(10)는 상측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개구(11)에 에어리스 펌프(20)가 결합될 수 있다. 개구(11)는 펌프(20)가 안착되며 내용물(P)이 빠져나가는 통로로서, 내용기(10)에서 움푹 함몰된 형태이거나 또는 내용기(10) 상면에 관통된 형태 등일 수 있으며, 개구(11)에 에어리스 펌프(20)가 결합되면서 개구(11)는 밀폐될 수 있고, 내용물(P)은 에어리스 펌프(2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뿐, 다른 부분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내용기(10)에서 내용물(P)을 수용하는 공간은, 에어리스 펌프(20)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P)이 빠져나가면서 압력이 감소하며, 내용물(P)이 모두 빠져나가면 이론적으로 내용기(10) 내부는 진공이 되어 문제된다.
따라서 내용기(10)에는 내용물(P) 배출로 인한 압력 변동을 잡아주기 위해 가압판(12)이 마련된다. 가압판(12)은 에어리스 펌프(20)에 의한 토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내용물(P)을 가압한다.
일례로 가압판(12)은 도 3에서와 같이 내용기(10)의 내부에서 내용물(P) 상측에 놓여있을 수 있으며, 내용물(P)이 배출됨에 따라 가압판(12)은 하강한다. 이때 내용기(10)의 상면에는 가압판(12)의 하강을 위한 공기 유입구(121)가 마련되며, 내용물(P) 배출이 완료되면 가압판(12)은 하측에 위치한다.
반대로 가압판(12)은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내용기(10) 내부에서 내용물(P)의 하측에 놓여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용물(P)이 배출됨에 따라 가압판(12)은 상승하고, 공기 유입구(121)는 내용기(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용물(P) 배출이 완료되면 가압판(12)은 상측에 위치한다.
가압판(12)이 하강하는 경우 개구(11)는 내용기(10)에서 하측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내용기(10)는 가운데가 개방된 도넛 형태로 마련되고 가운데 빈 공간인 개구(11)에 에어리스 펌프(20)가 설치되며, 개구(11)의 내벽 중 바닥은 적어도 일부분이 내용기(10)의 내부를 향해 관통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리스 펌프(20)가 내용기(10)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내용기(10)와 에어리스 펌프(20)를 결합한 높이는 내용기(10) 대비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반대로 가압판(12)이 상승하는 경우 개구(11)는 내용기(10)에서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는 원판이나 원통 형태로 마련되고, 상측에 개구(11)가 형성되며 개구(11)에 에어리스 펌프(20)가 설치된다. 이 경우 내용기(10) 위에 에어리스 펌프(20)가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내용기(10)와 에어리스 펌프(20)를 결합한 높이는 각 구성의 높이의 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내용기(10)에서 내용물(P)이 모두 소진되면, 사용자는 화장품(1)을 새로 구매하거나, 에어리스 펌프(20), 내용기(10) 등의 일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는 내용기(10)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용기(13)를 구비할 수 있고, 소용기(13)만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소용기(13)는 수축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자연스럽게 수축하는 파우치이거나, 자바라 구조를 이용하여 내압 감소 시 높이가 감소하는 주름 주머니이거나, 또는 압력캔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10)가 소용기(13)를 구비할 경우에는 가압판(12)은 생략될 수 있으며, 소용기(13)는 내용기(10)에서 하측으로 분리되어 교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용기(10)의 하측은 개방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지만, 내용기(10) 하측이 개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소용기(13)는 하우징(60)에 의해 덮여 보호될 수 있다.
또는 내용기(10) 하측에 덮개(131)가 마련될 수 있고, 덮개(131)를 분리하면 소용기(13)가 분리 가능하게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덮개(131)는 다양한 방식으로 내용기(10)에 탈착될 수 있는데, 일례로 덮개(131)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둘레가 내측 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금속판 형태의 덮개(131)는, 가운데 부분을 누르면 내측으로 휘어진 둘레가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덮개(131)는 둘레가 오므라든 제1 형태에서, 외력에 의해 둘레가 벌어진 제2 형태로 전환되는 금속판일 수 있고,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를 유지하는 금속판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용기(10)의 덮개(131)에서 가운데 부분을 눌러 덮개(131)의 둘레가 내용기(10) 하단에서 이탈되도록 한 뒤, 덮개(131)를 내용기(10)에서 분리하고 소용기(13)를 교환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새로운 소용기(13)를 내용기(10)에 인입한 뒤, 제2 형태에 놓여있는 덮개(131)를 소용기(13) 하측에 위치시키고, 가운데 부분을 눌러 덮개(131)가 제1 형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둘레가 오므라든 제1 형태로 되돌아간 덮개(131)에 의하여 소용기(13)는 외부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에어리스 펌프(20)는, 내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P)을 배출한다. 에어리스 펌프(20)는 실린더(21)와 중공의 피스톤(22)을 이용할 수 있는데, 도 3을 참고하여 에어리스 펌프(20)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참고로 실린더(21) 등 에어리스 펌프(20)의 일부는 개구(11)에 이미 마련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리스 펌프(20)는 후술할 토출판(40)이 하강하면, 피스톤(22)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부재(23)가 눌리면서 피스톤(22)이 하강하고, 다만 실린더(21) 내면에 밀착된 피스톤링(24)은 하강하지 않아, 피스톤(22) 외주면에 형성된 구멍이 피스톤링(24)에 의해 가려졌다가 피스톤링(24)에서 벗어나면서 실린더(21) 내부와 연통된다.
이후 승강부재(23)의 하강이 지속되면 승강부재(23)에 의해 피스톤링(24)이 더 하강하면서 실린더(21) 내압이 상승하여, 실린더(21) 내부 내용물(P)이 피스톤(22) 내부로 유입되어 승강부재(23)를 거쳐 토출판(40)의 토출구(41)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22)의 상단 중앙은 에어리스 펌프(20)의 출구가 된다.
토출판(4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5)에 의해 승강부재(23)가 상승하면서, 실린더(21)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피스톤(22) 대비 하강하는 피스톤링(24)이 피스톤(22)의 구멍을 밀폐한 뒤, 피스톤(22)의 플랜지에 의해 피스톤(22)과 함께 상승한다.
이때 피스톤링(24)이 상승하면 실린더(21) 내압이 하강하게 되므로, 내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P)은 개구(11)를 통하여 실린더(21) 내부로 유입된다.
물론 본 발명이 에어리스 펌프(20)의 구성을 위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에어리스 펌프(20)는 승강부재(23)가 생략되고 후술할 확산부(30)가 직접 피스톤(22)에 결합되는 구조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선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의 경우, 도 3에서와 달리 확산부(30)의 중앙 부분이 피스톤(22)과 직접 결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의 경우 도 3과 대비할 때 탄성부재(25)의 형상이나 배치가 상이하다.
도 3의 경우 스프링인 탄성부재(25)는 상단이 승강부재(23)와 맞닿아 있고 하단이 개구(11) 내측에서 바닥 부분(구체적으로는 에어리스 펌프(20)의 바닥 둘레 부분)에 마련되어, 적어도 일부가 개구(11)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면 도 5 내지 도 7의 경우 탄성부재(25)는 상단이 확산부(30)의 하면에 맞닿고 하단이 내용기(10)의 상면에 맞닿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10)와 에어리스 펌프(20)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높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피스톤(22) 주변에 3개의 작은 나선형 스프링을 탄성부재(25)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 경우 조립이 번거롭고 토출판(40)의 수평 하강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 개의 작은 나선형 스프링을 대신하여 판형 스프링,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피스톤(22) 주변을 두르는 하나의 탄성부재(25)를 이용해 화장품(1)의 전체 높이를 줄이면서도 토출판(40)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리스 펌프(20)가 내용기(10)의 내부 하단까지 닿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화장품(1)에서 내용기(10)만을 분리해내는 것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앞선 도 4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는, 도 3에서의 나선형 스프링을 대신하여 판형 스프링을 탄성부재(25)로 사용할 수 있고, 도 6에서는 호 형태의 단면을 갖고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탄성부재(25)로 마련하며, 도 7에서는 합성수지를 나선형 스프링처럼 만들어 탄성부재(25)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재질의 탄성부재(25)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에어리스 펌프(20)가 내용기(10)에 삽입된 경우나 내용기(10) 위에 안착되는 경우 모두에서, 토출판(40)의 안정적인 승하강을 보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물(P)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에어리스 펌프(20)는, 에어리스 타입이 아닌 일반 펌프(20)로 대체될 수 있으며, 또는 펌프(20)가 아닌 다른 공지의 배출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 또는 내용기(10)가 자체적으로 배출 기능을 구비하는 함침 스펀지 등인 경우에는, 펌프(2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확산부(30)는, 에어리스 펌프(20)에서 배출되는 내용물(P)을 수평 방향으로 확산시킨다. 확산부(30)는 에어리스 펌프(20)와 토출판(40)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에어리스 펌프(20)의 출구와 토출판(40)에 마련된 토출구(41)가 서로 어긋나 있을 때, 에어리스 펌프(20)에서 배출된 내용물(P)을 토출구(41)로 전달한다.
다만 에어리스 펌프(20)의 출구 대비 토출구(41)가 외측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산부(30)는 에어리스 펌프(20)에서 배출된 내용물(P)을 외측 방향으로 퍼지게 하여 각 토출구(41)에서 내용물(P)이 고르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확산부(30)는 에어리스 펌프(20)의 출구와 연통되는 배출구(부호 도시하지 않음)와, 배출구에서 토출구(41)를 향해 확장되는 확산공간(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확산공간(31)은 단순한 원판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방사상의 유로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확산부(30)는 에어리스 펌프(20)에서 배출된 내용물(P)이 확산된 후 토출판(40)의 토출구(41)로 토출되도록 하는 구성이지만, 일단 확산공간(31)에 내용물(P)이 모두 채워진 후에는, 에어리스 펌프(20)에서 내용물(P)이 확산부(30)로 유입될 때 확산공간(31) 내부의 내압이 올라가면서, 확산공간(31)에 채워졌던 내용물(P) 중 토출구(41) 위치에 있는 내용물(P)이 토출구(41)로 빠져나갈 수 있다.
확산부(30)는 확산공간(31) 외측으로 내용물(P)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패킹부재(32)를 마련할 수 있는데, 패킹부재(32)는 도면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확산공간(31)을 두르는 폐곡선 또는 링 형태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물론 패킹부재(32)를 사용하는 대신, 확산부(30)에 후술할 테두리부(50)를 사출 성형하면서 토출판(40)을 사이에 고정하거나, 확산부(30)와 테두리부(50)를 접착하는 방식 등을 통해, 확산부(30)와 토출판(40) 사이가 테두리부(50)로 실링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확산부(30)에 토출판(40) 둘레가 직접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확산공간(31) 외측으로 내용물(P)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은 패킹부재(32) 등 다양한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토출판(40)은, 에어리스 펌프(20)의 외측에 마련되며, 에어리스 펌프(20)에서 토출되어 확산부(30)에서 확산된 내용물(P)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토출판(40)은 복수 개의 토출구(41)를 구비할 수 있고, 토출구(41)는 확산공간(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두 마련되며, 방사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토출판(40)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토출구(41)가 에어리스 펌프(20)의 출구와 대응되는 개수(일례로 1개)로 마련되고 확산부(3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판(40)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비금속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토출판(40)은 세라믹, 유리, 나무, 합성수지, 천연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토출판(40)은 토출구(41)를 통해 토출된 내용물(P)이 퍼프에 의해 토출판(40) 상면에서 문질러질 때 내용물(P)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면서, 토출판(40)을 눌러서 에어리스 펌프(2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강도/경도를 가질 수 있다.
토출판(40)에 마련되는 토출구(41)가 확산부(30)의 확산공간(31)에 매칭될 수 있도록, 토출판(40)과 확산부(30)에는 안착각도를 제한하는 걸림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걸림부(152)는 토출판(40)과 확산부(3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안착홀(42)과, 다른 하나에서 안착홀(42)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안착돌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확산공간(31)의 형태(원형 등)에 따라 토출판(40)의 안착각도가 제한되지 않을 경우에 걸림부(152)는 생략 가능하다.
테두리부(50)는, 토출판(40)의 주변을 두르도록 마련된다. 테두리부(50)는 토출판(40)과 확산부(30)를 고정하는 내측 테두리부(51)와, 내측 테두리부(51)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 테두리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테두리부(51)는 끼움결합 등을 통해 확산부(30)에 끼워지면서 토출판(40)과 확산부(30)를 밀착 고정할 수 있고, 또는 사출 등을 통해 확산부(30)에 마련되면서 토출판(40)과 확산부(30)를 밀착시킬 수 있다.
에어리스 펌프(20)의 작동을 위한 토출판(40) 하강 시 내측 테두리부(51)는 토출판(40) 및 확산부(30)와 일체로 승강하는 구조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내측 테두리부(51)는 토출판(40) 및/또는 확산부(3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토출판(40) 및 내측 테두리부(51)는 에어리스 펌프(20)의 작동을 위해 하강하는 반면, 외측 테두리부(52)는 후술할 하우징(60)에 고정되어 하강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측 테두리부(51)의 안정적인 하강을 위해, 내측 테두리부(51)와 외측 테두리부(52)가 마주하는 부분에는 외측 테두리부(52)의 회전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돌기 구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60)은, 내용기(10)를 고정한다. 하우징(60)은 내용기(10)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내용기(10)는 걸림돌기(61)에 대응되는 단차 등을 구비하여 내용기(10)가 하우징(60)에 삽입되면 적절히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용기(10) 등은 교체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60)은 바닥에 관통구(62)를 구비하여 내용기(10) 바닥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통구(62)를 통해 내용기(10)를 밀어올리면 내용기(10)와 에어리스 펌프(20), 확산부(30), 토출판(40) 등이 일체로 교체될 수 있다.
하우징(60)의 상측에는 외측 테두리부(52)가 결합될 수 있는데, 물론 외측 테두리부(52)가 없더라도 하우징(60)이 갖는 형태로 인하여 토출판(40)이 상방으로 빠지지 않으면서 토출판(40)의 하강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면, 외측 테두리부(52)는 얼마든지 생략될 수 있다.
뚜껑(70)은, 하우징(60)의 상방을 개폐하도록 마련되어 토출판(40)을 밀폐하거나 외부로 노출시킨다. 뚜껑(70)은 하우징(60)에 힌지 결합, 나사 결합 등으로 연결되거나 연결 없이 탈착될 수 있고, 뚜껑(70) 내면에는 거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는 뚜껑(70)을 열고 거울을 보면서 화장을 할 수 있다.
뚜껑(70)이 힌지 결합될 경우, 하우징(60)에서 힌지부(71)의 반대편에는 버튼(부호 도시하지 않음) 및 걸쇠(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고, 뚜껑(70)에서 힌지부(71)의 반대편에는 걸림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버튼을 누르면 걸쇠가 걸림돌기에서 이탈하면서, 힌지부(71)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70)이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뚜껑(70)은 토출판(40)을 밀폐하면서, 토출판(40) 위에 보관될 수 있는 퍼프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뚜껑(70)은 퍼프를 외부와 완전 격리시키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퍼프에 의해 토출구(41)가 막혀 펌프(20) 내부는 이미 격리된 상태에 놓이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내용기(10)의 교체나 내용물(P)의 리필 등을 가능케 하는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 대비 갖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하는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이는 이하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임을 알려둔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내용기(10)가 펌프(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다만 앞선 실시예 역시 내용기(10)의 개구(11)에서 펌프(20)가 분리되면서 내용기(10)와 펌프(20)가 분리되지만, 본 실시예는 펌프(20)가 하우징(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기(10)가 펌프(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토출판(40)과 확산부(30), 펌프(20) 및 테두리부(50)가 하우징(6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기(10)가 펌프(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60)은 바닥면에 내용기(10)가 인출 가능한 크기의 관통구(62)가 마련되고, 내용기(10)는 외면이 하우징(60)의 내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려 탈착된다.
다만 앞선 실시예 역시 관통구(62)를 구비하고 있지만, 앞선 실시예에서 관통구(62)는 내용기(10)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내용기(10), 펌프(20), 확산부(30), 토출판(40), 내측 테두리부(51)를 한꺼번에 교체하는 방식이나, 본 실시예는 관통구(62)를 통해 내용기(10)가 하방으로 인출되면서 내용기(10)만 교체되는 방식이다.
특히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 내용기(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하우징(6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단이 하우징(6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60) 하측으로 돌출된 내용기(10)의 하단을 잡고 내용기(10)를 회전시켜서, 내용기(10)의 나사산(14)과 하우징(60)의 나사산(63) 간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도록 하여 내용기(10)가 관통구(62)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내용기(10)가 관통구(62)를 통해 인출되면 내용기(10)의 개구(11)는 펌프(20)와 분리되면서 개방될 수 있는데, 다만 내용기(10)의 개구(11)는 펌프(20)에 의한 배출 없이는 배출이 차단되는 밸브(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거나, 내용물(P)이 펌프(20)에 의해서만 배출 가능한 점도를 갖는 등으로 인해, 분리된 내용기(10)는 내용물(P)의 누출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새로운 내용기(10)가 하우징(60)의 관통구(62)에 삽입된 후 회전되면서 하우징(60)에 나사결합되면서, 내용기(10)의 개구(11)는 펌프(20)에 의해 밀폐된다. 이 경우 개구(11)와 펌프(20)는 결합 시 밀폐력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펌프(20), 확산부(30), 토출판(40) 등은 교체하지 않고, 내용기(10)만 교체 가능하도록 마련하여 금속 토출판(40) 등의 교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교체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펌프(20) 등이 하우징(60)에 고정된 상태로 내용기(10)만 하우징(60) 하측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교체 부분을 최소화하면서 간단하고 편리한 내용기(10)의 교체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앞선 제2 실시예와 유사하게 내용기(10)를 하우징(60)의 하측으로 교환 가능하게 마련하면서도, 나사결합 방식을 대신하여 걸림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역시 하우징(60) 바닥면의 관통구(62)는 내용기(10)의 인출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되는데, 내용기(10)는 관통구(62)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부(15)를 갖는다.
이때 커버부(15)는, 하우징(60)에 대해 회전하여 하우징(60)에 결합된 상태 또는 하우징(60)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5)는 하우징(6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152)를 구비하고, 반면 하우징(60)은 커버부(15)가 일정 각도에 놓일 때 걸림부(152)가 관통되어 커버부(15)가 분리되도록 하는 인출홈(64)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부(15)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서 걸림부(152)가 인출홈(64)에서 벗어난 위치에 놓이면, 커버부(15)는 내용기(10)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관통구(62)를 밀폐하게 된다. 반면 커버부(15)가 일정 각도 회전하여 걸림부(152)가 인출홈(64)에 대응된 위치에 놓이면, 커버부(15)는 관통구(62)를 개방하게 되어 내용기(10)의 인출을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커버부(15)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사용자에게 간편히 확인시키기 위해,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부(15)에는 커버부(15)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1)가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15)의 표시부(151)를 활용하여, 커버부(15)가 현재 관통구(62)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관통구(62)를 밀폐하는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내용기(10)의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부(15)는 동전 등을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동전 삽입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지만, 동전 외에도 손가락 등을 통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를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커버부(15)가 관통구(62)를 개방하게 되면, 내용기(10)가 하방으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는 별도의 걸림 없이 중력에 의해 하우징(60)에서 이탈되는 구조로 마련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내용기(10)를 잡아당기면 큰 무리없이 하우징(60)에서 분리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앞선 실시예의 구조가 적용되어, 본 실시예는 커버부(15)를 분리한 뒤 노출되는 내용기(10)의 하단을 회전하여 하우징(60)에서 내용기(1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부(15)는 내용기(10)의 하단을 덮는 접시 형태로 마련되어 하우징(6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커버부(15)가 분리되더라도 내용기(10)의 하단이 하우징(6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때, 내용기(10)의 개구(11)와 펌프(20) 간의 결합력으로 인해 내용기(10)의 분리를 위해선 내용기(10)를 잡아당겨야 한다면, 사용자는 토출판(40)을 눌러 내용기(10)가 관통구(62)로 돌출되도록 하여 내용기(10)를 파지할 수 있다.
커버부(15)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내용기(10)의 하방 움직임이 제한되지 않는데, 이때 토출판(40)이 눌리면 내용물(P)의 펌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토출판(40)과 확산부(30), 펌프(20)가 내용기(10)를 아래로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우징(60)의 관통구(62)를 커버부(15)로 개폐하고, 커버부(15)에 의해 개방된 관통구(62)를 통하여 내용기(1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만 앞선 실시예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내용기(10)의 교체 시 개구(11)와 펌프(20) 간에는 누출 없이 충분한 밀폐력을 구현해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테두리부(50)를 활용하여 내용기(10)의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테두리부(50)에는 내용기(10)에 걸리는 걸쇠(53)와 걸쇠(53)를 움직이는 버튼(54)을 갖는다. 걸쇠(53)와 버튼(54)은 특히 외측 테두리부(52)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버튼(54)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걸쇠(53)는 내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반면 내용기(10)는, 걸쇠(53)와 걸리는 걸림돌기(16)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돌기(16)는 버튼(54)의 가압이 없는 상태에서의 걸쇠(53)와 걸려 내용기(10)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고, 버튼(54)이 가압되어 걸쇠(53)가 내측으로 움직이면 걸림돌기(16)는 걸쇠(53)와 어긋나면서 내용기(10)의 하강을 허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내용기(10)를 하우징(60)에 체결하거나 하우징(60)의 관통구(62)로 분리해내기 위해, 내용기(10)의 걸림돌기(16)와 테두리부(50)의 걸쇠(53) 간의 결합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구조는 테두리부(50)의 버튼(54)에 의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6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외측 테두리부(52)에 마련된 버튼(54)을 눌러서, 걸쇠(53)가 내용기(10)의 걸림돌기(16)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내용기(1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버튼(54) 및 걸쇠(53)는 내용기(10)의 안정적인 체결을 위해 외측 테두리부(52)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내용기(10)에서 걸림돌기(16)는 내용물(P)의 수용공간과 간섭되지 않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버튼(54)과 걸쇠(53)는 일체로 마련되고, 버튼(54)의 양측에 버튼(54)을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날개(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버튼(54)을 가압하지 않을 경우 탄성날개의 탄성력에 의해 걸쇠(53)는 외측 방향으로 복원되면서 내용기(10)의 체결을 유지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우징(60)에서 내용기(10)를 분리해낼 때 화장품(1)을 뒤집어 내용기(10)를 파지하거나 커버부(15)를 회전할 필요 없이, 테두리부(50)에 마련된 버튼(54)을 누른 채 하우징(60)을 들어올리면 내용기(10)만 아래로 빠지도록 하여, 내용기(10) 교체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토출판(40) 및 펌프(20)가 테두리부(50)에 결합된 상태에서, 펌프(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선 제2 실시예와는 달리, 토출판(40), 확산부(30), 펌프(20) 및 테두리부(50)가 내용기(10)와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60)에서 분리된 후, 내용기(10)가 펌프(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용기(10)는, 토출판(40)과 확산부(30) 및 펌프(20)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펌프(20)에서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도 13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용기(10)는 외면의 나사산(14)이 테두리부(50)의 내면의 나사산(부호 도시하지 않음)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려 탈착될 수 있다.
이때 개구(11)와 펌프(20)는 내용기(10)와 외측 테두리부(52) 간의 나사결합 정도에 따라 밀폐력이 해제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나사결합 시 내용기(10)가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돌기가 걸림턱을 넘어서면서 나사결합이 잠금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앞선 표시부(151)가 유사하게 테두리부(50)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반면 도 13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용기(10)는 개구(11)가 펌프(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려 탈착될 수 있다. 즉 내용기(10)의 개구(11)에서 펌프(20)와 마주하는 일면(일례로 내면)과 펌프(20)에서 개구(11)와 마주하는 일면(일례로 외면)에는 각각 나사산(112, 26)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걸림턱을 사용하면서 표시부(151)를 적용할 수 있고, 테두리부(50)는 내용기(10)의 둘레를 감쌀 뿐 내용기(10)와 직접 결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 13의 (A)와 (B)가 조합되어, 내용기(10)의 초기 회전은 내용기(10)와 테두리부(50) 간의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지고, 내용기(10)의 최종 미세 회전은 내용기(10)와 펌프(20) 간의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내용기(10)의 탈착을 위해, 후자의 경우 내용기(10)와 펌프(20) 간의 밀폐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전자와 후자에서의 나사산(14, 112) 간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판(40) 등이 하우징(60)에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경우에도 내용기(10)만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되,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펌프(20)와 개구(11) 간의 밀폐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앞서 제4 실시예에서 테두리부(50)에 적용한 버튼(54)이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버튼(54)은, 하우징(60)에 의해 가려졌다가 테두리부(50)를 하우징(60)에서 분리했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와 대비하여 본 실시예는, 토출판(40)과 확산부(30) 및 펌프(20)가 결합된 테두리부(50)를 하우징(60)에서 분리한 뒤, 테두리부(50)에 마련된 버튼(54)을 눌러서 테두리부(50)의 걸쇠(53)로부터 내용기(10)의 걸림돌기(16)가 이탈되도록 하여, 내용기(10)가 테두리부(50)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걸쇠(53)나 걸림돌기(16) 등에 대한 내용은 앞서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갈음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버튼(54)의 가압 여부에 따라 내용기(10)가 펌프(20)에서 분리 또는 체결되도록 할 때, 개구(11)와 펌프(20) 사이의 밀폐력을 보장하기 위해 도 1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구(11)와 펌프(20)가 억지끼움이나 맞물림구조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는 도 1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용기(10)의 개구(11)에는 실링부재(111)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11)는 개구(11)에서 펌프(20)와 마주하는 일면(일례로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11)는 오링 등의 부재일 수 있고 내용기(10)가 펌프(20)에 결합되면 압축에 의하여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실링부재(111)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링부재(111)를 사용할 경우 버튼(54)을 누르는 것만으로는 내용기(1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버튼(54)을 누른 상태에서 내용기(10)를 잡아당겨 테두리부(50)에서 내용기(10)를 분리해낼 수 있다.
반대로 새로운 내용기(10)를 펌프(20)에 결합하면 실링부재(111)가 펌프(20)와 개구(11) 사이에 안착되면서 개구(11)가 펌프(20)에 의해 충분히 밀폐될 수 있고, 새로운 내용기(10)의 걸림돌기(16)가 테두리부(50)의 걸쇠(53)에 걸리며, 걸쇠(53)는 버튼(54)에 의해 걸림돌기(16)와 걸린 상태를 유지하려 할 것이어서, 내용기(10)가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하우징(60)에서 테두리부(50)와 내용기(10) 등이 분리된 후 내용기(10)를 펌프(2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테두리부(50)의 버튼(54)을 눌러야 내용기(10)가 펌프(2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내용기(10)가 불필요하게 펌프(20)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면서 간편한 방식으로 내용기(10)와 펌프(20)의 체결 및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토출판(40)과 확산부(30) 및 펌프(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60)에서 힌지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토출판(40)과 확산부(30) 등을 체결하는 테두리부(50)가 하우징(60)에 힌지부(55)로 힌지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테두리부(50)를 힌지 회전시키면 테두리부(50)에 마련되는 토출판(40)과 펌프(20)가 일체로 힌지 회전하면서, 하우징(60)에는 내용기(10)만 결합된 채 남아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는, 토출판(40) 및 펌프(20)가 힌지 회전된 상태에서, 관통구(62)를 통해 내용기(10)를 손가락으로 밀어 올리는 등의 동작을 통하여 하우징(60)에서 상방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앞선 제2 실시예 등과 달리 내용기(10)가 하우징(60)의 하방이 아닌 상방으로 교체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는 별도의 걸림 없이 하우징(60)에서 상방으로 분리될 수 있고, 또는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용기(10)의 회전이 선행되어야 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내용기(10)에는 걸림편(17)이 마련될 수 있으며, 걸림편(17)은 내용기(1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60)에 걸리거나 또는 하우징(60)에서 걸리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60)은 걸림편(17)의 상방을 제한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커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17에 따르면, 사용자가 토출판(40) 등을 테두리부(50)의 힌지 회전으로 젖혀 두어 펌프(20)가 내용기(10)에서 분리되도록 하였을 때, 내용기(10)가 회전되지 않으면 걸림편(17)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60)에서 상하로 구속되어 내용기(10)의 상방 움직임이 제한되고, 내용기(10)가 회전되면 걸림편(17) 전체가 하우징(60)에서 상방으로 이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내용기(10)의 상방 움직임이 허용된다.
따라서 도 17의 좌측에 나타난 것처럼 사용자는 토출판(40)과 펌프(20) 등을 힌지 회전시킨 뒤 내용기(10)를 일정각도 돌린 후 하우징(60)의 상방으로 빼낼 수 있고, 반대로 도 17의 우측에 나타난 것처럼 새로운 내용기(10)를 삽입한 뒤 돌려서 걸림편(17)이 하우징(60)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하우징(60)에는 내용기(10)의 안착 고정을 위한 걸림돌기(61)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걸림편(17)은 생략될 수 있고, 또는 걸림편(17)을 대신하여 나사결합 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펌프(20)가 개구(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기(10)를 제외한 펌프(20) 등이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펌프(20)에서 개구(11)에 결합되는 부분의 높이는 충분히 낮을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는 도 3에서의 펌프(20)와 개구(11) 결합 구조가 아닌, 도 5 등에서의 펌프(20)와 개구(11) 결합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힌지 회전에 의해 펌프(20)가 개구(11)에 충분히 밀폐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11)에는 앞서 설명한 실링부재(111)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1)는 펌프(20)가 힌지 회전하면서 펌프(2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토출판(40)과 확산부(30) 및 펌프(20)를 하우징(60)에서 힌지 회전시키는 테두리부(50)는, 하우징(60)에 힌지부(55)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때 힌지부(55)는 핀을 이용하는 구조이거나 나비힌지 등과 같이 핀 없이 형상 자체에서 힌지 회전을 구현하는 구조 등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60)에는 뚜껑(70)의 회전을 위한 힌지부(71)가 추가로 마련되는데, 테두리부(50)의 힌지부(55)는, 도 1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70)의 힌지부(71)와는 다른 각도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판(40)과 펌프(20)의 회전 방향은, 평면에서 볼 때 뚜껑(70)의 회전 방향과 일례로 90도 등의 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면 도 1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두리부(50)의 힌지부(55)는, 뚜껑(70)의 힌지부(71)와 동일한 각도에 겹치게 배치될 수 있고, 테두리부(50)의 힌지부(55)와 뚜껑(70)의 힌지부(71)가 핀을 공유하는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뚜껑(70)을 여는 동작은 내용물(P)의 사용을 위한 것이고 토출판(40) 등을 회전하는 동작은 내용기(10)의 교체를 위한 것이어서 서로 다른 시간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뚜껑(70)을 열 때 테두리부(50)가 회전되지 않도록, 두 힌지부(55, 71)는 겹쳐져 배치되거나 일체로 마련되더라도 서로의 회전을 간섭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위와 달리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내용기(10)는 토출판(40) 및 펌프(20)의 힌지 회전 시 펌프(20)에 결합된 상태로 힌지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기(10)는 토출판(40) 등의 힌지 회전에 의해 하우징(60)에서 상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다만 내용기(10)가 일정한 높이의 원통 형태를 가질 경우, 내용기(10)가 하우징(60)에서 힌지 회전하면서 인출되는 것이 하우징(60)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내용기(10)는 적어도 힌지부(55)의 반대편이 하우징(60)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경사면을 갖는 형태일 수 있거나, 힌지 회전이 문제없는 낮은 높이의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토출판(40) 등과 함께 힌지 회전하면서 하우징(60)에서 인출된 내용기(10)는, 펌프(20)로부터 간단히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는 앞선 제5 실시예에서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개구(11)가 펌프(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려 탈착되거나, 외면이 테두리부(50)의 내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려 탈착될 수 있다.
물론 제6 실시예에서의 버튼(54) 구조도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순히 실링부재(111)를 통해 내용기(10)가 펌프(20)에 끼워져 있다가 사용자가 내용기(10)를 잡아당겨 분리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판(40)과 펌프(20) 등이 하우징(60)에서 힌지 회전되면서 펌프(20)와 내용기(10)가 분리된 후 내용기(10)가 하우징(60) 상방으로 분리되도록 하거나, 토출판(40) 등이 힌지 회전할 때 내용기(10)가 하우징(60)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내용기(10)와 펌프(20)의 결합을 보다 편리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하우징(60)에 마련되는 띠부재(65)를 활용하여 내용기(10)의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60)은, 절취 가능한 띠부재(65)를 통해 내용기(1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띠부재(65)는 절취선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뉠 수 있고, 상부는 하우징(60)에 끼움되는 등에 의해 비교적 견고히 결합되고, 하부는 내용기(10)와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띠부재(65)에서 하부는 하우징(60)과 내용기(1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고, 띠부재(65)의 상부는 하우징(60) 내에 인입되어 하우징(6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도 19의 우측 상단처럼, 사용자가 띠부재(65)의 하부 끝단을 잡아당기면, 띠부재(65)의 하부는 띠부재(65)의 상부에서 절취된다. 이때 절취선은 점선 등일 수 있지만 절취 가능하다면 그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띠부재(65)의 하부가 충분히 절취되면, 내용기(10)는 하우징(60)에 고정된 띠부재(6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내용기(10)에서 띠부재(65)에 의해 둘러싸이는 둘레에는 도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테(18)가 마련되고, 띠부재(65)의 하부는 환테(18)를 감싸 내용기(10)의 하방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띠부재(65)의 상부는 하우징(60)에 고정된 채 띠부재(65)의 하부가 내용기(10)로부터 벗겨지면서, 띠부재(65)에 의해 가려졌던 환테(18)가 띠부재(65)에서 충분히 이탈됨에 따라, 띠부재(65)를 기준으로 내용기(10)의 하강이 허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환테(18)는 고리 형태이거나 하나 이상의 연속적/비연속적 원호 형태 등일 수 있지만, 절취선과 마찬가지로 환테(18)의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본 실시예는, 위와 다른 방식으로 띠부재(65)의 절취 시 띠부재(65)의 하부를 사용자가 충분히 잡아당기면, 하우징(60)에 고정되어 있던 띠부재(65)의 상부의 체결이 강제로 해제되면서 띠부재(65) 전체가 하우징(60)에서 이탈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용기(10)가 하우징(6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환테(18)가 생략될 수 있으며, 띠부재(65)는 내용기(10)에 체결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띠부재(65)의 하부가 띠부재(65)를 하우징(60)에서 분리하는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띠부재(65)의 상부와 하우징(60) 간의 체결력은, 절취된 띠부재(65)의 하부를 잡아당기는 동작이 아니라 내용기(10)를 파지한 채 내용기(10)를 잡아당기는 동작으로는 분리되기 어려울 정도일 수 있지만, 체결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9를 다시 참조하면, 왼쪽 위의 상태에서 오른쪽 위의 상태로 띠부재(65)가 절취되고, 오른쪽 아래의 상태와 같이 띠부재(65)의 하부로부터 내용기(10)가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새로운 내용기(10)의 장착을 위해, 하우징(60)에 고정되어 있는 띠부재(65)의 상부는 띠부재(65)의 하부가 잡아당겨지면서 하우징(60)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도 19의 왼쪽 아래에서와 같이 띠부재(65)가 마련되어 있는 새로운 내용기(10)가 띠부재(65)가 제거된 상태의 하우징(60)에 체결되어 도 19의 왼쪽 위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띠부재(65)의 상부는, 하우징(60)에 억지끼움되면서 삽입되어 하우징(60)에서 인출되지 않는 쐐기 구조의 단면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띠부재(65)의 하부와 고정되는 부분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내용기(10)의 커버부(15)일 수 있고, 따라서 띠부재(65)의 절취에 의해 커버부(15)가 하우징(60)에서 분리된 후 내용기(10)가 하우징(60)에서 인출되는 방식으로 내용기(10)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띠부재(65)의 절취를 이용하여 내용기(10)의 리필이 가능한 구조를 마련함에 따라, 내용기(10)의 리필 시 띠부재(65)가 절취되는 소리와 촉감을 통해 재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뚜껑(70)을 이용하여 내용기(10)의 분리를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도 2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뚜껑(70)이 회전하면서 테두리부(50)를 하우징(60)에서 분리할 수 있고, 이때 뚜껑(70)에는 힌지부(71)에 또는 힌지부(71)에 인접한 위치에 푸시부(711)가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50)는 걸림돌기(56, 66)를 이용하여 하우징(60)에 체결되는데, 푸시부(711)는 뚜껑(70)의 회전에 의해 테두리부(50) 또는 하우징(60)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6, 66)를 변형시켜서, 하우징(60)에 대한 테두리부(5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테두리부(50)를 하우징(60)에서 분리하는 뚜껑(70)의 회전 각도는, 뚜껑(70)이 토출판(40)을 노출시키도록 회전하는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즉 뚜껑(70)이 1단계로 회전하면 토출판(40)이 노출되어 내용물(P)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뚜껑(70)이 2단계로 더 회전하면 테두리부(50)가 하우징(60)에서 분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뚜껑(70)의 회전 단계는 힌지부(71)에 걸림 구조를 두어 딸깍거리는 소리와 촉감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해줄 수 있다.
도 21의 상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70)이 2단계 각도로 회전하면, 푸시부(711)는 하우징(60)에 마련된 걸림돌기(66)를 내측으로 밀어 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60)의 걸림돌기(66)가 테두리부(50)의 걸림돌기(56)로부터 이격되면서, 테두리부(50)가 하우징(60)에서 상방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
반면 도 21의 하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뚜껑(70)이 2단계 각도로 회전하면, 푸시부(711)는 테두리부(50)의 걸림돌기(56)에 걸리면서 테두리부(50)의 걸림돌기(56)를 외측으로 당겨 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우징(60)과 테두리부(50) 간의 걸림돌기(56, 66)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테두리부(50)가 분리 가능하게 되는데, 다만 이 경우에는 푸시부(711)가 테두리부(50)를 살짝 들어 올리게 될 수 있다.
뚜껑(70)을 통해 테두리부(50)를 하우징(60)에서 분리 가능하게 한 이후, 사용자는 테두리부(50)를 잡아 올려 하우징(60)에서 인출할 수 있고, 이때 테두리부(50)에는 토출판(40), 확산부(30), 펌프(20), 그리고 내용기(10)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가 펌프(20)로부터 분리되면서 교체될 수 있음은, 앞서 다른 실시예에서 충분히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과는 달리 도 22의 경우, 뚜껑(70)은 2단계 회전에 의해 내용기(10)를 하우징(6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용기(10)는 하우징(60)과의 체결을 해제하는 가압부(1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뚜껑(70)은 회전에 의해 가압부(161)를 눌러서 내용기(10)를 하우징(60)에서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용기(10)는, 하우징(60)에 체결되는 걸림돌기(16)를 갖고, 걸림돌기(16)는 가압부(161)가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부(161)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61)는 하우징(60) 하단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특히 뚜껑(70)의 힌지부(71)와 상하로 나란한 위치(하측)에 배치되는데, 뚜껑(70)이 2단계 회전하면 뚜껑(70)의 측면이 가압부(161)를 내측으로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10)의 걸림돌기(16) 역시 내측으로 이동하도록 변형됨에 따라, 하우징(60)에 대한 걸림돌기(16)의 체결이 해제된다. 따라서 내용기(10)는 하우징(60)에서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용기(10)는 가압부(161)를 갖는 커버부(15)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뚜껑(70)을 회전하여 커버부(15)를 관통구(62)에서 분리한 뒤 내용기(10)를 하우징(60)에서 인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뚜껑(70)의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 내용기(10)의 분리가 보조될 수 있으므로,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내용기(10)의 인출이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60)의 걸림돌기(61)에 내용기(10)가 끼워져 있을 때, 관통구(62)로 내용기(10)를 밀어올리는 것은 여성 사용자 입장에서 힘들고 어려울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뚜껑(70)의 힌지 회전력을 이용하게 되므로 간단하게 테두리부(50)의 이탈 및 내용기(10)의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내용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저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내용기(10)가 가압판(12)을 대신하여 일정 부피의 액체 또는 작은 볼 등의 형태로 마련되는 밀폐체(S)를 구비하도록 마련된다. 밀폐체(S)로 고체의 소프트 볼을 이용할 경우,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 대비 내용물(P)과의 혼합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용물(P)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내용기(10)는, 내용물(P)이 채워지는 호스(191)를 가질 수 있고, 호스(191)에서 일측에는 내용물(P)이 배출되고, 타측에는 내용물(P)을 밀어내는 밀폐체(S)가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밀폐체(S)는 내용물(P)의 배출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내용물(P)의 부피를 줄이게 되어, 내용기(10) 내부의 압력 평형을 유지한다.
내용기(10)에서 내용물(P)이 배출되는 일측에는, 노즐(19)이 마련된다. 노즐(19)은 펌프(2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호스(191)의 일측에서 배출되는 내용물(P)을 펌프(20)로 전달할 수 있다.
노즐(19)은 펌프(20)와 연결되어 하우징(60) 내에 수납되며, 이때 노즐(19)에는 도 24에서와 같이 실링지(192)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지(192)는 사용자에 의해 벗겨진 후 노즐(19)과 펌프(20)가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노즐(19)이 펌프(20)에 연결될 때 펌프(20)의 하단이 실링지(192)를 관통함에 따라 실링지(192)가 찢어지면서 내용기(10)의 내부가 펌프(20)의 내부와 연통될 수도 있다.
내용기(10)의 호스(191)는, 노즐(19)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23의 (A),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10)는 마치 하나의 펜 형태를 갖는다.
다만 호스(191)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 및 형태로 마련되며, 외력에 의해 직선 형태에서 곡선 형태로 변형되어 하우징(6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일례로 내용기(10)는 도 2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60) 내에 호스(191)가 권취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191)의 내용물(P)은 수평면 상에 회오리처럼 꼬여있도록 마련됨에 따라, 호스(191)의 일측에서 내용물(P)이 배출되는 방향과 펌프(20)의 펌핑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191)와 펌프(20) 사이의 노즐(19)은 밀폐체(S)가 내용물(P)을 밀어내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내용물(P)을 배출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노즐(19)은 절곡되거나 휘어져서 내용물(P)의 유동 방향을 변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펜 형태를 갖는 내용기(10)에 대해 노즐(19)을 펌프(20)에 끼우고, 호스(191) 부분을 휘어지도록 변형하여 하우징(60) 내에 수납하는 방식으로 내용기(10)가 하우징(60)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다른 내용물(P)을 수용하는 둘 이상의 내용기(10)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교체해 사용할 수 있고, 컴팩트와 같은 타입의 화장품(1)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혁신적인 교환 방식을 통해 사용만족도는 물론이고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내용기(10)의 호스(191)를 휘어서 하우징(60) 내에 수납하는 스텝은, 내용기(10)의 호스(191)가 도 23의 (C)와 같이 이미 휘어진 상태로 마련되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즉 내용기(10)의 호스(191)가 이미 말려져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그대로 판매되고, 사용자는 내용기(10)를 별다른 변형 없이 하우징(60) 내에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60)의 관통구(62)는 내용기(10)를 사용자가 수납하기에 충분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내용기(10)를 보호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커버부(15)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우징(60) 또는 커버부(15)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져서, 하우징(60) 내부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내용기(10)에 저장된 내용물(P)의 색, 잔류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펌프(20)는 도 2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도 5 내지 도 7에서의 구조/배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개선된 형태/재질의 탄성부재(25)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토출판(40)의 수평 하강을 보장하고 화장품(1)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호스(191) 형태의 내용기(10)를 사용하여 화장품(1)의 높이를 더욱 컴팩트하게 개선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의 경우 내용기(10)의 개구(11)로 펌프(20)가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본 실시예는 내용기(10)의 노즐(19)을 펌프(20)에 탈착하는 방식으로 내용기(10)를 교체하기 위하여, 도 3이 아닌 도 5 내지 도 7의 펌프(20) 구조가 적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원통 형태가 아닌 휘어질 수 있는 펜 형태나 회오리 판 형태의 내용기(10)를 이용함에 따라, 혁신적인 미감을 부여해 시장 내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불러일으킬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위와 같이 설명한 내용기(10)를 소용기(13)로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3은 소용기(13)를 나타내고, 하측이 개방되고 개구(11)에 펌프(20)가 결합되어 있는 내용기(10)의 내부에 노즐(19)과 호스(191)를 갖는 소용기(13)가 교체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물이 리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물이 리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기가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서 내용물이 리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기(10)를 교체하는 방식 대신, 내용기(10)에 내용물(P)을 충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P)의 충전은 내용물(P)이 모두 사용된 경우이거나 내용기(10)의 내용물(P)에 다른 내용물(P)을 혼합하는 경우 등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내용물(P)이 모두 소진된 후 내용물(P)이 충전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펌프(20)가 안착되며 내용물(P)이 빠져나가는 개구(11)를 통해 내용물(P)의 리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개구(11)를 통한 리필을 구현하기 위해, 펌프(20)는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통해 내용기(10)의 개구(11)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일례로 제7 실시예에서와 같이 펌프(20)는 테두리부(50)의 힌지 회전에 의하여 개구(11)로부터 분리되어 개구(11)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개구(11)에는, 리필부(80)가 결합될 수 있다. 개구(11)와 리필부(80)의 결합은 펌프(20)와 개구(11)의 결합과 동일/유사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필부(80)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리필부(80)를 잡은 상태에서 내용물(P)을 주입하게 되는 반면, 펌프(20)의 경우 토출판(40)을 눌러 펌프(20)의 작동이 구현되는 것이어서, 리필부(80)와 개구(11)의 결합은 펌프(20)와 개구(11)의 결합보다 실링이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2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에어리스 펌프(20)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내용기(10)의 내부에는 내용물(P)이 배출됨에 따라 내용물(P)을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압판(12)이 내부에 마련된다.
다만 내용기(10)가 도 3에서의 형태를 갖는다면, 리필 시 가압판(12)은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반면 내용기(10)가 도 5 등에서의 형태를 갖는다면, 리필 시 가압판(12)은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리필부(80)에 의하여 개구(11)를 통해 내용물(P)이 주입되면, 내용물(P)의 주입 압력에 의해 가압판(12)이 상승하게 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반대로 내용물(P)의 주입 압력에 의해 가압판(12)이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즉 리필부(80)는 개구(11)를 통해 내용물(P)을 주입하면서 가압판(12)이 내용물(P) 배출 전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P)의 점도, 본 발명의 사용자 범위(일반적으로 여성)를 고려할 때, 주입 압력만으로 가압판(12)을 원위치로 복원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공기 유입구(121)의 반대편에 가압판(12) 복원구(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할 수 있다.
가압판(12) 복원구는, 도 3에서의 내용기(10)의 경우 하측에 마련되고 도 5 등에서의 내용기(10)의 경우 상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리필부(80)의 선단(81)이나 별도의 도구가 가압판(12) 복원구에 삽입되어 가압판(12)을 내용물(P) 배출 전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다만 가압판(12) 복원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 내용물(P)이 가압판(12) 복원구를 통해 새어나갈 것이므로, 가압판(12) 복원구는 리필부(80)에 의한 리필 시 개방되고 펌프(20)의 결합 시 밀폐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개폐 가능한 실링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등의 공지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펌프(20)를 하우징(60)에서 힌지 회전으로 젖혀 개구(11)로부터 분리한 뒤, 개구(11)에 주사 형태 등의 리필부(80)를 결합하여 리필부(80)를 통해 내용기(10) 내부로 내용물(P)이 충전되도록 하되, 원활하게 가압판(12)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 27의 경우, 도 26과 달리 가압판(12) 복원구를 마련하지 않으면서 가압판(12)의 원위치 복원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내용기(10)는 도 5 등에서와 같이 내용물(P)이 소진되면 가압판(12)이 상측에 놓이는 형태를 갖는데, 가압판(12)은 개구(11)에 결합되는 리필부(80)에 의하여 하강할 수 있다.
일례로 리필부(80)의 선단(81)은 개구(11)를 관통하여 인입되는데, 가압판(12)은 리필부(80)의 선단(81)에 의하여 눌리면서 내용물(P) 배출 전의 하측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때 개구(11)에는 나사산(112)이 마련되고 리필부(80)에도 나사산(82)이 마련되어, 리필부(80)를 회전시키면서 리필부(80)가 개구(11)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펌프(20)가 에어리스 펌프(20)이므로, 가압판(12)을 그대로 하강시키게 되면 내용기(10)의 내부가 음압이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내용기(10) 내부의 음압을 활용해 내용물(P)의 리필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리필부(80)가 개구(11)에 결합되면서 리필부(80)의 선단(81)에 의해 가압판(12)이 하강하여 내용물(P) 배출 전의 하측 위치로 복원되면, 가압판(12) 상측 부분인 내용기(10) 내부는, 음압이 되어 리필부(80)의 내부로부터 자연스럽게 내용물(P)을 빨아들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리필부(80)에서 음압이 된 내용기(10)의 내부로 내용물(P)이 전달될 수 있으며, 물론 본 실시예는 압력차에 의한 내용물(P) 전달에 더하여 튜브용기 형태 등의 리필부(80)를 가압하여 내용물(P)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리필부(80)의 선단(81)은 압력에 의한 복원력을 이겨내면서 가압판(12)을 원활하게 하강시키는 동시에 내용물(P)의 배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의 날개부분을 이용해 가압판(12)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중공의 원뿔이나 사각뿔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26 및 도 27의 경우 개구(11)를 통해 내용물(P)을 리필하는 경우이나, 이하의 도 28 내지 도 30은 개구(11)가 아닌 주입구(113)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8을 먼저 참조하면 내용기(10)는 개구(11)의 반대편에 리필부(80)를 통해 내용물(P)이 리필되는 주입구(113)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반대편이라 함은 내용물(P)이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편을 의미하며, 개구(11)와 주입구(113)가 반드시 서로 마주할 필요는 없다. 다만 주입구(113)는 내용기(10)에서 내용물(P) 배출 후 가압판(12)이 위치하는 일측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서의 형태를 갖는 내용기(10)에는, 주입구(113)가 상면에서 개구(11) 주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반면 도 5 등에서의 형태를 갖는 내용기(10)에는, 주입구(113)가 하면에서 적정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주입구(113)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입구(113)에 대응되도록 리필부(80)의 선단(81) 역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둘 이상의 주입구(113)를 통해 내용물(P)을 리필하여 내용물(P)이 내용기(10) 내부에 고르게 퍼져나가면서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내용기(10)는, 주입구(113)를 개폐하는 실링부재(114)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114)는 내용기(10)의 일면에서 벗겨지면서 주입구(113)를 개방하는 형태, 내용기(10)의 일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주입구(113)를 개방하는 형태, 및/또는 회전에 의해 내용기(10)의 일면에서 분리되어 주입구(113)를 개방하는 형태 등과 같이 그 형태나 개수에 제한이 없다.
일례로 도 28의 경우 회전하면서 슬라이딩하는 실링부재(114) 위에 벗겨지는 실링부재(114)가 이중으로 마련되어, 주입구(113)에 대한 이중 실링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실링이 가능하다.
또는 본 실시예는, 주입구(113)에 자체적인 실링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 주입구(113)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리필부(80)의 선단(81)에 의해 가압되면 선단(81)만 통과시키도록 관통되는 형태로 변형되는 고무막 등일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도 28에서와 같이 실링부재(114)를 벗겨내거나 움직여서 주입구(1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29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리필부(80)의 선단(81)을 주입구(113)에 결합할 수 있으며, 주입구(113) 내로 인입된 리필부(80)의 선단(81)을 통해 내용기(10) 내부로 내용물(P)이 주입될 수 있다.
또는 도 30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회전을 통해 실링부재(114)를 제거해 주입구(113)를 노출시킨 뒤 리필부(80)의 선단(81)을 주입구(113)에 꽂아 리필을 할 수 있는데, 이때 실링부재(114)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링부재(114)와 맞물리는 구조의 캡(83)이 리필부(80)에 마련되어, 캡(83)을 이용해 실링부재(114)를 회전시킨 뒤 실링부재(114)와 캡(83)을 제거하고 리필부(80)를 주입구(113)에 결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리필 방식은 도 26에서와 달리, 내용물(P)의 주입 방향과 가압판(12)의 복원 방향이 항상 동일하므로, 여성 사용자의 경우에도 가압판(12)을 미리 복원시키지 않아도 내용물(P) 리필을 편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주입구(113)가 가압판(12) 복원구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리필부(80)의 선단(81) 중 적어도 일부분(리필부(80)의 선단(81)이 복수 개일 경우 적어도 일부)은 가압판(12)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구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내용기(10)는, 개구(11)가 마련되는 일측과 주입구(113)가 마련되는 타측이 상호 대칭으로 마련되며, 개구(11)와 주입구(113)가 서로 호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주입구(113)에도 펌프(20)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용기(10)는 뒤집어가며 리필이나 사용을 할 수 있고, 내용물(P) 배출 후 가압판(12)이 놓이는 위치와 무관하게 가압판(12)의 원위치 복원 및 리필이 개구(11)와 주입구(113)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내용기(10)의 교체 없이 내용기(10)에 대해 내용물(P)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내용기(10) 등이 모두 재사용되어 비용 절감 및 환경 보호가 가능하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P)을 리필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P: 내용물
S: 밀폐체 10: 내용기
11: 개구 111: 실링부재
112: 나사산 113: 주입구
114: 실링부재 12: 가압판
121: 공기 유입구 13: 소용기
131: 덮개 14: 나사산
15: 커버부 151: 표시부
152: 걸림부 16: 걸림돌기
161: 가압부 17: 걸림편
18: 환테 19: 노즐
191: 호스 192: 실링지
20: 펌프 21: 실린더
22: 피스톤 23: 승강부재
24: 피스톤링 25: 탄성부재
26: 나사산 30: 확산부
31: 확산공간 32: 패킹부재
33: 안착돌기 40: 토출판
41: 토출구 42: 안착홀
50: 테두리부 51: 내측 테두리부
52: 외측 테두리부 53: 걸쇠
54: 버튼 55: 힌지부
56: 걸림돌기 60: 하우징
61: 걸림돌기 62: 관통구
63: 나사산 64: 인출홈
65: 띠부재 66: 걸림돌기
70: 뚜껑 71: 힌지부
711: 푸시부 80: 리필부
81: 선단 82: 나사산
83: 캡

Claims (10)

  1.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갖는 토출판; 및
    상기 내용기를 감싸며 상기 토출판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내용기는,
    일측에 상기 내용물의 배출을 위한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부러져 수용되며, 상기 내용물과 밀폐체가 채워지는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토출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상기 내용물을 확산시켜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로 전달하는 확산공간을 갖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노즐에 실링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노즐이 상기 펌프에 연결될 때 상기 실링지가 찢어지면서 내부가 상기 펌프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호스가 권취된 상태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밀폐체가 상기 내용물을 밀어내는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내용기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마련되는 소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즐 및 상기 호스는
    상기 소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펌프와 상기 토출판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펌프에서 배출된 상기 내용물을 확산시켜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로 전달하는 확산공간을 갖는 확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상단이 확산부의 하면에 맞닿고 하단이 내용기의 상면에 맞닿아 있으며 피스톤 주변을 두르는 하나의 탄성부재를 갖고,
    상기 탄성부재는, 판형 스프링이거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80111844A 2018-09-18 2018-09-18 화장품 KR10264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844A KR102649361B1 (ko) 2018-09-18 2018-09-18 화장품
CN201980052405.0A CN112566528A (zh) 2018-09-18 2019-08-06 化妆品
JP2021511623A JP7309254B2 (ja) 2018-09-18 2019-08-06 化粧品
PCT/KR2019/009819 WO2020060026A1 (ko) 2018-09-18 2019-08-06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844A KR102649361B1 (ko) 2018-09-18 2018-09-18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08A KR20200032608A (ko) 2020-03-26
KR102649361B1 true KR102649361B1 (ko) 2024-03-20

Family

ID=6995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844A KR102649361B1 (ko) 2018-09-18 2018-09-18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3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4075A2 (en) * 2000-12-02 2002-06-06 Conair Corporation Fluid delivery device
KR20110016832A (ko) * 2009-08-12 2011-02-18 (주)연우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KR101355364B1 (ko)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101643456B1 (ko) * 2014-02-14 2016-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0483953Y1 (ko) * 2015-01-27 2017-07-13 펌텍코리아 (주)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08A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116B1 (ko) 화장품 용기
US20080092916A1 (en) Powder Vessel for Makeup
KR102016670B1 (ko) 화장품 용기
KR101876119B1 (ko) 화장품 용기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US20180140073A1 (en) Compact type liquid fundation packing container structure
KR102649361B1 (ko) 화장품
KR102622778B1 (ko) 화장품
KR102649366B1 (ko) 화장품
KR102649345B1 (ko) 화장품
KR100843642B1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JP7309254B2 (ja) 化粧品
KR20200032603A (ko) 화장품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372911Y1 (ko) 분리형 펌프식 액상 화장품 용기
KR20100018203A (ko)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102370597B1 (ko)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KR101902497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