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22B1 - 화장용 파우더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파우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522B1
KR100591522B1 KR1020050054583A KR20050054583A KR100591522B1 KR 100591522 B1 KR100591522 B1 KR 100591522B1 KR 1020050054583 A KR1020050054583 A KR 1020050054583A KR 20050054583 A KR20050054583 A KR 20050054583A KR 100591522 B1 KR100591522 B1 KR 10059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ntainer
cap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열
Original Assignee
정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열 filed Critical 정규열
Priority to KR102005005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diaphragm b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1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openings in the lid, able to be opened or closed by displacing or rotating a cover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사용이 간편하고, 또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 및 지압돌기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가 가능함과 동시에 지압과 마사지 효과의 제공은 물론 파우더의 과다 배출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powder)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일방으로 개방된 입구를 통해 분말 상태의 화장용 파우더가 용기본체의 수용부내에 담겨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에 대고 살살 두드리거나 문지러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부로 부터 파우더가 고루 분산 배출됨과 동시에 엠보싱 형태의 도포 및 지압돌기들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가 가능하고, 또 비산방지턱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가 가능한 화장부와; 상기 화장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부로부터 화장 피부면으로 배출되는 파우더의 배출량을 적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파우더 배출제어망체; 및 상기 화장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의 입구에 장착 커버되는 뚜껑부를 포함함 구성이다.
파우더, 분첩, 퍼프,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 지압돌기, 지압, 마사지

Description

화장용 파우더 용기{A face powder cosmetic case}
도1은 종래 화장용 퍼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 구조(제1변형 예)를 보인 발췌 분리 사시도
도4는 도2에 있어서, 뚜껑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A-A선내의 조립 측 단면도;
도5는 도2에 있어서, 뚜껑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B-B선 내의 조립 측 단면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제2변형 예)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단면도;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제3변형 예)의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단면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제4변형 예)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제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단면도;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제5변형 예)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제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단면도;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제6변형 예)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제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단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화장부에 있어서, 터치캡의 다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용기부 11: 용기본체
12: 파우더 13: 수용부
14: 입구 20,200,300,400,500,600: 화장부
21: 터치 캡 21a,21b: 내 외캡
22,24: 제1 및 제2쿠션판재 23: 받침판재
30: 파우더 배출제어망체 40: 뚜껑부
211:분출공 212: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213,214: 끼움공 215: 터치면
216: 슬리브 217: 안착부
221: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 222.224: 비산 방지턱
223,233: 파우더 배출공간 231: 받침돌기
본 발명은 휴대 사용이 간편한 화장용 파우더(powder)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더의 과다 배출 방지는 물론 엠보싱 형태로 구비되는 도포돌기 및 지압돌기들에 의해 화장 피부면에 대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가 가능하면서도 지압과 마사지 효과가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파우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 형태의 화장용 파우더(가루분 또는 화장분이라고도 함)는 주로 여성들의 얼굴 피부색을 정돈하고 피부 결점을 커버해주며, 먼지, 바람, 자외선 등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한 파우더는 통상적으로 분첩(Puff, 퍼프)이라고 하는 별도의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바르게 된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분첩을 보면, 크게 용기의 내부에 별도로 분리 수용되는 분리형 타입이 있고, 또 용기에 일체로 구비된 일체형 타입이 있다.
그러나, 분리형 타입의 분첩은, 파우더가 수용되는 용기 내부에 별도로 분리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화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분첩을 용기로부터 끄집어내어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 용기내부에 분첩과 파우더를 분리 수용하는 구조의 채택으로 인해 용기의 전체 부피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또 분첩과 파우더의 분리 구조로 인한 조립공정의 추가 및 제품의 코스트가 상승될 수 밖에 없다. 또한 파우더 화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한 손으로 분첩을 잡은 상태에서 용기에 수용된 파우더를 찍어 발라야하기 때문에 이동중에는 파우더의 화장이 매우 곤란하다고, 또 화장도중 부주의로 인해 용기로부터 파우더가 쏟아지는 문제를 전혀 배제할 수 없는 구조상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그 사용 빈도가 점차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일체형 타입의 화장용 퍼프는, 도1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내부에 분말 상태의 파우더가 수용되는 용기(1)의 상단부에 고정체(2)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체(2)의 상부로는 스폰지 재질의 퍼프(3)가 일체로 구비되게 구성되어 있고, 또 휴대시에는 뚜껑(4)을 닫아 상기 퍼프(3)를 보호하게 된 다.
따라서, 상기한 일체형 타입의 화장용 퍼프는, 종래 분리형 타입의 분첩에 비하여 파우더를 바르기 위한 퍼프(3)가 용기(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편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일체형 타입의 화장용 퍼프의 경우에도 용기(1)에 수용된 파우더를 화장 피부면에 배출시키기 위하여 퍼프(3)를 화장 피부면에 두드릴 때 파우더가 퍼프(3)를 통해 과도하게 분출되어져 파우더의 낭비가 초래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 퍼프(3)의 전체면에 고루 퍼져서 분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파우더의 고른 분출을 통한 신속한 화장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파우더의 과도한 분출로 인해 제품의 사용 수명(기간)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문제와 더불어 파우더가 퍼프(3)를 통해서만 배출되고, 또 퍼프(3)의 표면이 화장 피부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면서 도포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퍼프(3)의 표면이 화장 피부면의 습기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막히거나 굳어져 파우더의 배출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또 이로 인하여 퍼프를 자주 교체하거나 세척해주지 않으면 화장 피부면에 대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퍼프의 기능이 단순히 파우더의 배출 도포에 한정되기 때문에 기능적인 단순성도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부피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 사용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또 파우더의 고른 배출이 유도되면서도 배출량이 항상 적정하게 조절되어 파 우더의 과다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사용 기간을 연장할 수 있고, 또, 화장부로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들이나 지압돌기들에 의해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에 대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가 가능함과 동시에 피부 자극을 통한 지압과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방으로 개방된 입구를 통해 분말 상태의 화장용 파우더가 용기본체의 수용부내에 담겨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에 대고 살살 두드리거나 문지러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부로 부터 파우더가 고루 분산 배출됨과 동시에 엠보싱 형태의 도포 및 지압돌기들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가 가능하고, 또 비산방지턱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가 가능한 화장부와; 상기 화장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부로부터 화장 피부면으로 배출되는 파우더의 배출량을 적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파우더 배출제어망체; 및 상기 화장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의 입구에 장착 커버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에 의해 충분히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화장용 파우더 용기는, 크게 용기부(10), 화장부(20),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 및 뚜껑부(40)로 구성되어 진다.
먼저,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용기부(10)의 용기본체(11)로는 분말상태의 화장용 파우더(12)가 저장되는 수용부(13)가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용기본체(11)의 상부로는 수용부(13)와 연이어지게 일방으로 개방 형성된 입구(14)가 구비되어 있다.
용기부(10)의 외주면은 도면상 원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질 수 있고, 또 아크릴 등의 경질소재 용기가 바람직하나, 브로워 방식으로 성형되는 튜브 형태의 용기로도 제작 사용되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부(10)의 입구(14)로는 화장부재(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화장부(20)는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에 대고 살살 두드리거나 문지러는 것에 의해 분출공(211)을 통해 상기 용기부(10)로 부터 파우더가 고루 분산 배출되어 짐과 동시에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지압돌기(212)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지압과 마사지가 가능하고, 또 비산 방지턱(222)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화장부(20)는(제1변형 예), 다수의 분출공(211)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212) 및 끼움공(213)(214)이 각각 형성된 터치면(215)과, 상기 터치면(215)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슬리브(216) 및 이들 경계면으로 형성된 안착부(217)로 구성된 터치 캡(21) 및 상기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끼움공(213)(214)에 각각 끼워지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와 비산 방지턱(222)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또 상기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파우더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파우더 배출공간(223)이 절제 형성된 제1쿠션판재(22)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 캡(21)의 슬리브(216)로는 그 내부로 끼워지는 제1쿠션판재(22)와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16a)이 형성되어 있다(도4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터치 캡(21)은 화장 피부면에 대한 양호한 터치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 러버(silicon rubber)나, 폴리에스테르(polvest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우더를 화장 피부면에 고루 도포하기 위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이 형성된 제1쿠션판재(22)는 부드러운 피부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폰지(sponge) 소재가 바람직하나, 일반적으로 파우더 화장에 사용되는 퍼프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통기성 재질의 발포 스폰지나 NBR라텍스, NR라텍스, 또는 촉감이 우수하도록 스폰지의 표면에 미세한 섬유분말이 접착제에 의해 균일하게 접착된 프로킹 스폰지(Flocking sponge)등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는, 터치 캡(21)의 터치시 용기부(10)로부터 화장 피부면으로 과도한 량의 파우더가 급속하게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캡(21)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진다.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는 파우더의 과도한 배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세미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망사 형태는 물론 기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 바, 어떠한 구조의 경우라도 파우더의 급격한 배출을 적정하게 억제할 수 있는 정도의 메쉬(mesh)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부(40)는, 화장부(20)를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부(10)의 입구(1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커버되어 진다. 뚜껑부(40)는 나사체결 방식이나, 기타 언더컷 방식 등의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뚜껑부(40)의 상단 외주면으로는 별도의 화장 거울을 휴대하지 않고서도 파우더 화장을하기 위한 거울(41)이 부착되어 있다. 이 때 거울(41)은 화장 피부면이 확대되어 보이는 볼록형태의 거울이 바람직하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조립 상태를 설명한다. 도4는, 도2에 있어서 뚜껑부(40)가 결합된 상태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조립 단면도로서, 용기본체(11)의 입구(14)에 대해 터치 캡(21)을 장착하면, 터치면(215)과 슬리브(216)의 경계면으로 형성된 안착부(217)에 의해 장착되어지고, 입구(14)의 내주면으로는 슬리브(216)의 외주면이 상호 밀착상태로 끼워져 밀폐되어 진다.
그리고, 터치면(215)의 상부로는, 상기 터치 캡(21)의 저부에서 제1쿠션판재(22)를 밀어 끼우는 것에 의해 그 상면으로 형성된 도포돌기(221) 및 비산방지턱(222)이 터치 캡(21)의 터치면(215)으로 대응 형성된 각 끼움공(213)(214)에 끼워 조립되는 것에 의해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이 간편하게 형성되어지고, 이 때 화장부(20)의 터치 캡(21)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212) 및 도포돌기(221)는 터치면(215)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상태로 배열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터치 캡(21)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1쿠션판재(22) 및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는 슬리브(216)의 내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216a)에 의해 하부로 처지지 않고 안정되게 받침되어 진다.
또한, 화장부(20)는 용기본체(11)의 입구(14)에 덮혀지는 뚜껑부(40)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되어지고, 또 상기 뚜껑부(40)의 결합시 그 내주면이 터치 캡(21)의 가장자리로 위치되는 비산 방지턱(222)에 의해 상호 밀착 지지됨에 따라 비산 방지턱(222)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파우더는 용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파우더 용기의 휴대에 따른 파우더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파우더의 분출 상태를 보이기 위해 도2에 있어서 뚜껑부(40)가 제거된 상태에서 B-B선을 따라 절단한 것이다. 도4와 같이 용기부(10)에 뚜껑부(40)가 결합 밀폐된 상태에서 휴대하고 다니다가 파우더 화장이 필요한 경우, 도5와 같이 용기부(10)로부터 뚜껑부(40)를 제거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우더 화장을 위해 화장부(20)의 터치 캡(21)이 화장 피부면으로 위치되도록 한 손으로 용기부(10)를 경사지게 잡고 다른 한손에 잡은 뚜껑부(40)의 거울(41)을 보면서 화장 피부면에 살살 두드려주면, 이 때 용기부(10)의 수용부(13)에 담겨진 파우더(12)는 일차적으로 터치 캡(21)의 내부에 장착된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에 의해 적당량의 파우더 만이 제1쿠션판재(22)의 파우더 배출공간(223)을 경유하여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다수의 분출공(211)을 통해 화장 피부면에 골고루 분산 분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 화장 피부면에 분출된 파우더를 도포하기 위하여 용기부(10)를 잡고 화장부(20)의 터치면(215)이 화장 피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살살 돌려주면, 이 때 화장 피부면에 분출된 파우더는 터치면(215)의 상부로 돌출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에 의해 골고루 신속하게 도포되어지고, 또 파우더의 도포 과정에서 상기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212)에 의해 화장 피부면이 자극을 받게되어 혈액 순환 순환에 도움을 주게되고, 또 피부 자극을 통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부 지압과 마사지 효과를 통한 화장 효율의 증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파우더 용기를 이용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파화장을 함으로서, 화장 피부면으로는 항상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에 의해 적당량 의 파우더(12)만이 터치 캡(21)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분출공(211)을 통해 최종적으로 분출되어지기 때문에 파우더 화장에 따른 파우더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또 파우더의 낭비 방지를 통해 제품의 사용 수명을 그 만큼 더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으로 분출되는 파우더(12)는, 화장부(20)를 화장 피부면에 톡톡칠 때 파우더(12)가 분출공(211)을 통해 분출되더라도 상기 터치면(215)의 가장자리로 구비된 원주형의 비산 방지턱(222)이 화장 피부면에 닿게됨에 따라 이의 내측으로 구비된 분출공(211)을 통해 분출되는 파우더는 상기 비산 방지턱(222)의 내부에 갇혀지는 상태로 분출되어지기 때문에 분출되는 파우더가 외부 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장 주변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화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더 분출시, 화장부(20)의 터치시 터치 캡(21)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분출공(211)은, 상기 터치면(215)의 상부로 이보다 높게 분포되어진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나 지압돌기(212) 및 비산 방지턱(222)들에 의해 화장 피부면에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파우더 분출을 위한 터치 동작시 화장 피부면의 유분이나 습기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분출공(211)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파우더의 원활한 분출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 피부면에 분출되어진 파우더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도포되어지기 때문에 종래 퍼프 전체면이 화장 피부면에 닿아 도포되는 것에 비하여 도포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될 뿐 아니라 도포돌기(221)에 파우더가 굳어지거나 뭉쳐지는 현상 또한 현저하게 방지될 수 있는 것이어서 파우더의 안정되고 고른 도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부(20)는 도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 이외에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의 화장부(2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작용은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200)의 제2변형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2변형 예에 따른 화장부(200)는, 제1변형 예(도3참조)의 화장부(20)와 비교하여, 터치 캡(21) 및 제1쿠션판재(22)의 구성은 동일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쿠션판재(22)의 하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캡(21)의 내부로 장착되는 받침판재(23)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받침판재(23)로는 제1쿠션판재(22)에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와 비산 방지턱(222)의 하부를 상호 받침하여 파우더 도포에 따른 쿠션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돌기(231)(232)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제1쿠션판재(22)의 파우더 배출공간(223)과 대응되는 위치로 파우더 배출공간(233)이 절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변형 예의 화장부(200)에 따르면, 터치 캡(21)의 상부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캡(21)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쿠션판재(22)의 하부로 받침판재(23)를 순차적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의 하부가 상기 받침판재(23)로 구비되는 받침돌기(231)(232)에 의해 안정되게 이중으로 받침되기 때문에 파우더 화장시 상기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의 쿠션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터치 및 도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상기 받침판재(23)는 그 하부로 장착되는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가 슬리브(216)로 형성되는 걸림턱(261a)에 의해 걸림 되어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 화장부(200)가 구성되더라도 용기부(10)의 파우더(12)는 화장부(200)의 피부 터치시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를 통해 적량의 파우더가 받침판재(23) 및 제1쿠션판재(22)로 형성된 파우더 배출공간(233)(223)을 통해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분출공(211)을 통해 화장 피부면에 골고루 분산 배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기타 터치 캡(21)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지압돌기(212)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비산방지턱(222)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 작용은 제1변형 예의 화장부(20)와 동일하다.
도8 및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300)의 제3변형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3 변형 예의 화장부(300)는, 제1 및 제2 변형 예의 화장부(20)(200)와 비교할 때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2)을 형성하기 위한 제1쿠션판재(22) 및 이를 받침하기 위한 받침판재(23)의 구성을 제거하고, 터치 캡(21)의 터치면(215)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는 상기 터치면(215)으로 형성되는 끼움공(213)에 하나 하나씩 일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비산 방지턱(222)은 상기 터치 캡(21)의 성형시 동일한 재질로 일체 형성되게 구비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제3변형 예의 화장부(300) 구성에 따르면, 터치 캡(21)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각의 끼움공(213)에 대하여 낱게 형태로 형성된 도포돌기(221)를 각각 끼움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면(215)의 상부로는 엠보싱 형태 의 도포돌기(221)가 구비되어 지기 때문에 단일 형태로 끼워 고정되는 도포돌기(221)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되고, 또 제1 및 제2 변형 예의 화장부(20)(200) 구성에 비해 화장부(300)의 구성부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 화장부(300)가 구성되더라도 용기부(10)의 파우더(12)는 화장부(200)의 피부 터치시 터치 캡(21)의 내부로 장착되는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를 통해 적량의 파우더가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분출공(211)을 통해 화장 피부면에 골고루 분산 배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기타 터치 캡(21)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지압돌기(212)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비산 방지턱(222)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 작용은 제1 및 제2변형 예의 화장부(20)(200)와 동일하다.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400)의 제4변형 예를 보인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4변형 예의 화장부(400)는, 제1변형 예의 화장부(20) 구성의 변형 예로서, 이와 비교할 때, 터치 캡(21)을 슬리브(216)와 안착부(217)가 구비되는 외캡(21b)과, 상기 외캡(21b)에 대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지고, 터치면(215)으로는 파우더 분출공(211)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221) 및 끼움공(213이 각각 형성되는 내캡(21a)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 외캡(21a)(21b)의 결합시 제2쿠션판재(24)를 개재시켜 상기 터치 캡(21)의 가장자리로 비산 방지턱(224)을 형성되며, 상기 내캡(21a)의 내부로 파우더 배출공간(223)이 형성된 제1쿠션판재(22)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가 상기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끼움공(213)에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된 차이만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화장부(400)를 구성하는 경우, 도11과 같이 분리 형성된 내 외캡(21a)(21b)을 상호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 캡(21)의 가장자리로 제2쿠션판재(24)에 의한 비산 방지턱(224)이 간편하게 형성되고, 또 상기 내캡(21a)의 내부로 제1쿠션판재(22)를 끼워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쿠션판재(22)로 형성된 도포돌기(221)가 내캡(21a)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끼움공(213)에 각각 돌출되는 상태로 끼워지게 조립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면(215)의 상부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가 간편하게 형성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 화장부(400)가 구성되더라도 용기부(1)의 파우더(12)는 화장부(20)의 피부 터치시 터치캡(21)의 내부로 장착되는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를 통해 적량의 파우더가 제1쿠션판재(22)의 파우더 배출공간(223)을 경유하여 내캡(21a)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분출공(211)을 통해 화장 피부면에 골고루 분산 배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기타 내캡(21a)의 터치면(215)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지압돌기(212)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비산 방지턱(224)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 작용은 제1 내지 제3변형 예의 화장부(20)(200)(300)와 동일하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500)의 제5변형 예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제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5변형 예의 화장부(500)는 제4변형 예의 화장부(400)구성과 대비할 때 내 외캡(21a(21b)으로 분리 구성된 터치 캡(21)의 구성과 또 이들 사 이에 장착되어 터치 캡(21)의 가장자리로 비산 방지턱(224)을 형성하기 위한 제2쿠션판재(24) 및 제1쿠션판재(22)의 구성은 동일하나, 상기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제1쿠션판재(22)의 하부를 받침하기 위하여 상기 내캡(21a)의 내부로 장착되는 받침판재(23)를 더 포함한 구성이다. 상기 받침판재(23)로는 제1쿠션판재(22)에 형성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를 상호 받침하여 파우더 도포에 따른 쿠션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돌기(231)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쿠션판재(22)의 파우더 배출공간(223)과 대응되는 위치로 파우더 배출공간(233)이 절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5변형 예의 화장부(500)에 따르면, 내캡(21a) 및 외캡(21b)의 결합에 의해 터치 캡(21)의 가장자리로 비산 방지턱(224)이 형성되고, 또 상기 내캡(21a)의 터치면(215) 상부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내캡(21a)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1쿠션판재(22)의 하부로 받침판재(23)를 순차적으로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의 하부가 상기 받침판재(23)로 구비되는 받침돌기(231)에 의해 안정되게 이중으로 받침되기 때문에 파우더 화장시 상기 도포돌기(221)의 쿠션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터치 및 도포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상기 받침판재(23)는 그 하부로 장착되는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가 슬리브(216)로 형성되는 걸림턱(216a)에 의해 걸림되어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 화장부(500)가 구성되더라도 용기부(10)의 파우더(12)는 화장부(500)의 피부 터치시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를 통해 적량의 파우더 가 받침판재(23) 및 제1쿠션판재(22)로 형성된 파우더 배출공간(233)(223)을 통해 내캡(21a)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분출공(211)을 통해 화장 피부면에 골고루 분산 배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기타 내캡(21a)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지압돌기(212)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비산 방지턱(224)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 작용은 제4 변형 예의 화장부(400) 작용과 동일하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600)의 제6변형 예를 보인 일부 절제 분리 사시도 및 조립 측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6변형 예의 화장부(600)는, 제4 및 제5 변형 예의 화장부(400)(500)와 비교할 때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비산 방지턱(224)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1쿠션판재(22)(24) 및 상기 제1쿠션판재(22)를 받침하기 위한 받침판재(23)의 구성을 제거하고, 터치 캡(21)을 구성하는 내캡(21a)의 터치면(215)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는 상기 터치면(215)으로 형성되는 끼움공(213)에 하나 하나씩 일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고정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제6변형 예의 화장부(600) 구성에 따르면, 터치 캡(21)을 구상하는 내캡(21a)의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각의 끼움공(213)에 대하여 낱게 형태로 형성된 도포돌기(221)를 각각 끼움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면(215)의 상부로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가 구비되어지기 때문에 단일 형태로 끼워 고정되는 도포돌기(221)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되고, 또 제4 및 제5 변형 예의 화 장부(400)(500) 구성에 비해 화장부(600)의 구성부재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 화장부(600)가 구성되더라도 용기부(10)의 파우더(12)는 화장부(600)의 피부 터치시 내캡(21a)의 내부로 장착되는 파우더 배출제어망체(30)를 통해 적량의 파우더가 터치면(215)으로 형성된 각 분출공(211)을 통해 화장 피부면에 골고루 분산 배출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기타 내캡(21a)으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및 지압돌기(212)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 효과와 더불어 비산 방지턱(224)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 작용은 제4 및 제5변형 예의 화장부(400)(500)와 동일하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부재(20,200,300,400,500,600)에 있어서, 터치 캡(21)의 터치면(215)의 구조를 직선이 아니라 상향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파우더 (12)의 분출을 위한 터치시 양호한 텐션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피우더의 분출을 더욱 안정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설계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터치 캡(21)의 상부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221), 지압돌기(212) 및 분출공(211)은 그 배열 형태 및 수는 특정의 구조나 수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더 용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콤팩트하 여 휴대 사용이 매우 간편 용이하고, 또 화장부의 간단한 분해 조립을 통해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나 비산 방지턱의 신속 용이한 형성 및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또 파우더 배출제어망체에 의한 파우더의 과도한 배출이 방지되어 파우더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는 물론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에 의한 화장 피부면의 자극을 통한 지압과 마사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고, 또 비산 방지턱에 의한 파우더 비산을 효과거으로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장 피부면의 혈액 순환을 통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여 화장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현저한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수세미상의 파우더 배출제어망체를 통해 용기부로 부터 배출되는 파우더의 배출량이 항상 적정하게 제어됨으로써, 파우더의 과다한 배출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사용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터치 캡의 터치면으로 형성된 분출공에 비해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나, 지압돌기 또는 비산 방지턱이 더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에 잔재하는 유분이나 습기에 의해 분출공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어 신속 용이한 파우더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화장부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가 터치면에 대하여 낱게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이의 교체나 세탁 등의 부분적인 유지 관리 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Claims (9)

  1. 일방으로 개방된 입구를 통해 분말 상태의 화장용 파우더가 용기본체의 수용부내에 담겨지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입구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파우더 화장시 화장 피부면에 대고 살살 두드리거나 문지러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부로 부터 파우더가 고루 분산 배출됨과 동시에 엠보싱 형태의 도포 및 지압돌기들에 의한 파우더의 고른 도포 및 마사지가 가능하고, 또 비산 방지턱에 의한 파우더의 비산 방지가 가능한 화장부와;
    상기 화장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용기부로부터 화장 피부면으로 배출되는 파우더의 배출량을 적정하게 제어하기 위한 파우더 배출제어망체; 및
    상기 화장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의 입구에 장착 커버되는 뚜껑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화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는,
    다수의 분출공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된 터치면과, 상기 터치면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슬리브 및 이들 경계면으로 형성된 안착부로 구성된 터치 캡 및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된 각 끼움공에 각각 끼워지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와 비산 방지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또 상기 도포돌기 및 비산 방지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파우더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파우더 배출공간이 절제 형성된 제1쿠션판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는,
    다수의 분출공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된 터치면과, 상기 터치면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슬리브 및 이들 경계면으로 형성된 안착부로 구성된 터치 캡과,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된 각 끼움공에 각각 끼워지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와 비산 방지턱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또 상기 도포돌기 및 비산 방지턱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파우더의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파우더 배출공간이 절제 형성된 제1쿠션판재 및
    상기 제1쿠션판재의 하부로 장착되고 상기 제1쿠션판재에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와 비산 방지턱의 하부를 상호 받침하여 파우더 도포에 따른 쿠션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돌기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제1쿠션판재의 파우더 배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파우더 배출공간이 절제 형성된 받침판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는,
    다수의 분출공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된 터치면과, 상기 터치면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슬리브 및 이들 경계면으로 형성된 안착부 를 포함하는 터치 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터치면의 상부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는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되는 각 끼움공에 하나 하나씩 일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고정하고,
    상기 터치 캡의 터치면 가장자리로는 파우더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턱이 일체로 형성되어진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는,
    슬리브와 안착부가 구비되는 외캡과, 상기 외캡에 대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지고, 터치면으로는 파우더 분출공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는 내캡으로 이루어진 터치 캡과,
    상기 내 외캡의 결합시 터치 캡의 가장자리로 비산 방지턱을 형성하기 위한 제2쿠션판재 및
    상기 내캡의 내부로 장착되어지고,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지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 및 파우더 배출공간이 형성된 제1쿠션판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화장부는,
    슬리브와 안착부가 구비되는 외캡과, 상기 외캡에 대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지고, 터치면으로는 파우더 분출공과,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는 내캡으로 이루어진 터치 캡과,
    상기 내 외캡의 결합시 터치 캡의 가장자리로 비산 방지턱을 형성하기 위한 제2쿠션판재와,
    상기 내캡의 내부로 장착되어지고,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지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 및 파우더 배출공간이 형성된 제1쿠션판재 및
    상기 제1쿠션판재의 하부로 장착되어지고, 상기 제1쿠션판재에 형성된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의 하부를 상호 받침하여 파우더 도포에 따른 쿠션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돌기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제1쿠션판재의 파우더 배출공간과 대응되는 위치로 파우더 배출공간이 절제 형성된 받침판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는,
    슬리브와 안착부가 구비되는 외캡과, 상기 외캡에 대하여 상호 일체로 결합되어지고, 터치면으로는 파우더 분출공, 엠보싱 형태의 지압돌기 및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는 내캡으로 이루어진 터치 캡과,
    상기 내 외캡의 결합시 터치 캡의 가장자리로 비산 방지턱을 형성하기 위한 제2쿠션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캡의 터치면의 상부로 구비되는 엠보싱 형태의 도포돌기는 상기 터치면으로 형성되는 각 끼움공에 하나 하나씩 일일이 착탈가능하게 끼워 고정되게 구성되 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배출제어망체는 수세미상의 메쉬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를 구성하는 터치 캡의 터치면은, 상향으로 만곡지게 형성하여 파우더의 분출에 따른 양호한 텐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0050054583A 2005-06-23 2005-06-23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059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583A KR100591522B1 (ko) 2005-06-23 2005-06-23 화장용 파우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583A KR100591522B1 (ko) 2005-06-23 2005-06-23 화장용 파우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522B1 true KR100591522B1 (ko) 2006-06-20

Family

ID=3718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4583A KR100591522B1 (ko) 2005-06-23 2005-06-23 화장용 파우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06A (ko)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0524558B2 (en) 2016-06-10 2020-01-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06A (ko)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50096610A (ko) *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0010153B2 (en) 2014-02-14 2018-07-0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KR101906821B1 (ko) * 2014-02-14 2018-10-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0426246B2 (en) 2014-02-14 2019-10-0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KR102071998B1 (ko) 2014-02-14 2020-02-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0869534B2 (en) 2014-02-14 2020-12-22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0874191B2 (en) 2014-02-14 2020-12-2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0524558B2 (en) 2016-06-10 2020-01-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US11490711B2 (en) 2016-06-10 2022-11-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2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ES2663209T3 (es) Amortiguador de golpes para compacto cosmético
KR20090104593A (ko) 화장품 용기
KR20090104591A (ko) 화장품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160146510A (ko) 화장품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ES2871005T3 (es) Recipiente para tónico capilar
EP3443862B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mixing cushion and mixing mesh
KR20150003496U (ko) 화장품 용기
KR100591522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0517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867484B1 (ko) 이중망 사이에 배출판이 삽입된 배출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930227B1 (ko) 탄력배출망에 의해 배출판이 이동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74468Y1 (ko) 피부 맛사지 장치
KR101804172B1 (ko) 에어홀을 갖는 다중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3368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00088Y1 (ko) 화장용 퍼프
KR200487895Y1 (ko) 메쉬망과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캡슐화장품 용기
KR101757390B1 (ko) 탈부착망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JPH0711694Y2 (ja) 粉末化粧料用容器
KR20150003202U (ko) 퍼프 교체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76704Y1 (ko) 분리형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KR200408295Y1 (ko) 패드 교체형 공기주입식 피부 마사지기
KR20120002277U (ko) 화장브러쉬를 포함한 튜브용기의 배출장치
KR102212050B1 (ko) 펌핑구조가 구비된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