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96U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96U
KR20150003496U KR2020140002020U KR20140002020U KR20150003496U KR 20150003496 U KR20150003496 U KR 20150003496U KR 2020140002020 U KR2020140002020 U KR 2020140002020U KR 20140002020 U KR20140002020 U KR 20140002020U KR 20150003496 U KR20150003496 U KR 201500034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rib
cosmetic
l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8937Y1 (ko
Inventor
박신혜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40002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937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을 덮어 보호하며, 퍼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퍼프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퍼프가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퍼프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퍼프 보관부가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상면을 커버함으로써, 보관 시 화장품과 퍼프가 서로 접하지 않게 하여 화장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퍼프가 퍼프 보관부에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퍼프가 분리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퍼프 보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cake foundation, cream foundation 등)이나 파우더(powder), 선블록(sunblock) 등과 같은 고형이나 액상 화장품은, 피부톤을 화사하게 하고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브러쉬나 퍼프(puff)를 이용하여 이러한 화장품을 찍거나 문지른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퍼프 또는 일부 브러쉬는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측 공간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화장품에 퍼프를 두드리거나 문지름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퍼프를 화장품 용기 내에 보관하되 퍼프와 화장품이 밀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퍼프 보관부를 별도로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었다.
퍼프 보관부는 화장품 용기의 내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에 퍼프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퍼프 보관부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퍼프 보관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돌출되며, 퍼프 보관부의 하면은 화장품과 밀착되거나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퍼프 보관부는 화장품을 덮어 보관하는 동시에 퍼프가 화장품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로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용기에 사용되는 퍼프 보관부는, 단순히 퍼프가 올려져 있는 상태로 퍼프를 보관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파지한 상태로 뚜껑을 열었을 때, 뚜껑의 회전 시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화장품 용기의 기울어짐 등의 요인에 의해서 퍼프는 퍼프 보관부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결국 사용자가 뚜껑을 여는 순간 퍼프가 화장품 용기를 벗어나 외부로 떨어질 위험이 있다.
즉 종래의 퍼프 보관부는 실질적으로 화장품을 덮는 커버 역할을 하는 것에 그칠 뿐, 퍼프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는 기능을 전혀 구현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2309호(2003.07.26.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 용기의 용기 본체에 화장품을 수용하되, 용기 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퍼프 보관부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덮어 보호하고, 퍼프 보관부에 퍼프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퍼프의 측면과 상면 일부분이 퍼프 보관부에 의해 감싸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를 개방할 때 외력이 가해져도 퍼프가 화장품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퍼프 보관부의 덮개가 리브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을 찍어 바르는 퍼프에 의해 화장품이 퍼프 보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퍼프 보관부가 오염되었을 때, 덮개를 분리한 뒤 간편히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을 덮어 보호하며, 퍼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퍼프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퍼프가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퍼프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며 상기 퍼프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는, 원호의 양단을 곡선 또는 직선 등으로 연결한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는, 상기 덮개를 지지하며 원호 형태인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되 중앙 부분이 단절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는, 상기 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는, 하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리브의 내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리브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는, 일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리브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퍼프 보관부는, 일측에 힌지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힌지 손잡이를 지지하여 상기 퍼프 보관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 본체에 힌지 결합된 퍼프 보관부가 용기 본체에 수용된 화장품의 상면을 커버함으로써, 보관 시 화장품과 퍼프가 서로 접하지 않게 하여 화장품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퍼프가 퍼프 보관부에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퍼프 보관부가 퍼프의 하면과 측면 및 상면 일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퍼프를 보관함으로써, 사용자가 뚜껑을 열 때 흔들림이나 가벼운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퍼프가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여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화장품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퍼프 보관부의 덮개가 리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리브 내측이 퍼프에 묻은 화장품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 덮개를 제거한 뒤 간편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퍼프 보관부에 남은 화장품으로 인해 퍼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퍼프 보관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에 퍼프(2)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퍼프 보관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 퍼프 보관부(2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수용한다. 용기 본체(10)는 별도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안착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프레임은 화장품 용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프레임 내에 구비되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을 사용하되, 화장품이 소진되면 용기 본체(10)를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후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용기 본체(10)를 프레임에 안착시켜서 화장품을 간편히 리필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측면에는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리브(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리브는 용기 본체(10)가 프레임으로 삽입될 때 용기 본체(10)의 삽입 깊이를 한정하고 용기 본체(10)와 프레임 간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는 화장품이 수용되는데, 화장품은 있는 어떠한 것이든 수용 가능하며, 일례로 분말 상의 제형을 갖는 화장품인 케이크 파운데이션(cake foundation)이나 크림 파운데이션(cream foundation) 등과 같은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파우더(powder), 또는 액상의 선블록(sunblock) 등이 용기 본체(10)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화장품이 분말 형태일 경우에는 사용자가 퍼프(2)로 화장품을 두드릴 때 흩날림이 일어날 수 있고 퍼프(2)에 묻는 화장품의 양이 불규칙할 수 있으므로, 흩날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메쉬 형태의 망(도시하지 않음)이 용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퍼프(2)를 이용해 화장품을 두드리면, 화장품이 망을 관통하여 퍼프(2)에 균일하게 묻을 수 있다.
용기 본체(10)가 수용되는 프레임에는 뚜껑(도 9의 30)이 구비될 수 있다. 뚜껑은 내부에 거울(도 9의 31)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화장을 도울 수 있으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퍼프 보관부(20)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어 화장품을 덮어 보호하며, 퍼프(2)가 안착되도록 한다. 용기 본체(10)의 상면은 퍼프(2)가 화장품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데, 이 경우 화장품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화장품이 소실되거나 오염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퍼프 보관부(20)가 용기 본체(10)의 화장품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의 청결을 유지한다.
또한 퍼프 보관부(20)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동시에, 퍼프(2)가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의 화장품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퍼프 보관부(20), 퍼프(2)가 순차적으로 놓일 수 있고, 사용자는 뚜껑을 연 뒤 퍼프 보관부(20)에 안착되어 있는 퍼프(2)를 사용하여 화장품을 찍어 피부에 바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로 퍼프(2)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에 구비되어 있는 퍼프(2)를 사용한 뒤, 화장을 완료하거나 중단할 때 퍼프(2)를 퍼프 보관부(20)에 보관하면 되므로, 편리하게 화장을 할 수 있다.
다만 퍼프(2)가 퍼프 보관부(20)에 단순히 놓이기만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뚜껑을 열거나 화장품 용기(1)를 의도치 않게 가격하게 되면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퍼프(2)는 퍼프 보관부(20)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지거나, 또는 퍼프(2)에 묻은 화장품이 화장품 용기(1)의 다른 부분을 오염시켜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퍼프 보관부(20)가 퍼프(2)의 상면 일부분까지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퍼프 보관부(20)는, 용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퍼프 보관부(20)의 일측에는 힌지 손잡이(24)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힌지 손잡이(24)를 이용하여 퍼프 보관부(20)를 회전시켜서,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는 퍼프 보관부(20)를 회전시키기 이전에 퍼프 보관부(20)에 보관된 퍼프(2)를 인출할 수 있다.
퍼프 보관부(20)는 다시 회전하여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을 커버하게 되는데, 이때 퍼프 보관부(20)의 회전을 제한하여 화장품이 퍼프 보관부(20)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10)에 회전 제한부(11)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 제한부(11)는 용기 본체(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힌지 손잡이(24)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힌지 손잡이(24)를 지지함에 따라 힌지 손잡이(24)의 하강을 차단하여, 퍼프 보관부(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퍼프 보관부(20)는 용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되, 용기 본체(10)의 화장품이 개방되도록 하는 방향의 퍼프 보관부(20)의 회전은 힌지 자체에 의해 각도가 한정되며, 화장품을 커버하도록 하는 방향의 퍼프 보관부(20)의 회전은 힌지 손잡이(24)가 회전 제한부(11)에 의해 하강이 제한됨에 따라 각도가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퍼프 보관부(20)는 용기 본체(10)를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원활하게 화장품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또는 커버할 수 있다.
퍼프 보관부(20)는, 바닥부(21), 리브(22), 덮개(23)를 포함한다. 바닥부(21)는 용기 본체(1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는 화장품을 커버하기 위한 구성이며, 퍼프(2)가 안착되도록 한다. 바닥부(21)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화장품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면과 이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바닥부(21)에 의하여 화장품이 오염되거나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부(21)는 용기 본체(10)에서 화장품이 노출되는 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례로 원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바닥부(21)가 용기 본체(10)의 개방된 부분을 전부 커버하여 화장품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리브(22)는, 바닥부(21)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덮개(23)를 지지한다. 리브(22)는 바닥부(21)의 테두리에서 상방 돌출되는 구성으로, 퍼프(2)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싼다. 리브(22)는 평단면이 전체적으로 일부가 절단된 링 형태(원호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리브(22)를 링 형태의 평단면을 갖도록 구비하면, 퍼프(2)를 측방향으로 퍼프 보관부(20)에 인입시키지 못하고,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퍼프 보관부(20)에 인입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퍼프(2)가 덮개(23)의 하부에 안착될 때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퍼프(2)가 휘어짐에 따라 퍼프(2)에 묻은 화장품이 불필요하게 흩날릴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리브(22)는 퍼프(2)가 측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퍼프(2)는 덮개(23)를 지지하는 원호 형태의 지지부(221)와, 지지부(221)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개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1)는 바닥부(21)의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되어 덮개(23)와 연결됨으로써 덮개(23)를 지지하는 구성이며, 퍼프(2)는 바닥부(21)와 지지부(221) 및 덮개(2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다.
지지부(221)는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덮개(23)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퍼프(2)가 원활하게 퍼프 보관부(20)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실시예는 지지부(221)가 개방부(222)로부터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퍼프(2)가 바닥부(21)와 덮개(23), 지지부(2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인입되는 방향을 따라, 퍼프(2)의 인입 공간의 높이가 점차 줄어들도록 하여, 퍼프(2)가 퍼프 보관부(20)에 인입된 이후 퍼프(2)의 분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부(221)는,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된 형태일 수 있다. 퍼프(2)는 화장품이 묻어있는 상태로 퍼프 보관부(20)에 안착되는데, 이때 화장품은 바닥부(21)와 지지부(221) 및 덮개(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옮겨질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은 상기 공간에 묻어 지지부(221) 등을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부(221)는 덮개(23)를 지지하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는 복수의 기둥 형태 등으로 구비되어, 퍼프(2)에 묻은 화장품이 지지부(221)의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공간에 지속적으로 묻어있는 화장품으로 인해 퍼프(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지지부(221)를 상기와 같은 형태로 구비할 경우 퍼프(2)에 묻은 화장품이 외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사용자의 손 등에 화장품이 묻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바, 본 실시예는 지지부(221)가 관통되지 않은 면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동시에, 덮개(23)가 지지부(221)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구조를 통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개방부(222)는, 지지부(221)의 양단에서 연장되며 지지부(221)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개방부(222)는 지지부(221)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되 중앙 부분이 단절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퍼프(2)가 개방부(222)를 통해 지지부(221)와 덮개(23)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개방부(222)의 높이는, 지지부(221)에서 멀어질수록 비례적으로 감소하거나 또는 2차원 그래프 등의 모양으로 감소할 수 있다. 개방부(222)의 높이 감소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개방부(222)가 단절된 부분은 퍼프(2)의 인입에 방해되지 않도록 충분한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덮개(23)는, 퍼프(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싼다. 덮개(23)는 지지부(221)에 의해 지지되어 바닥부(21)와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바닥부(21) 및 지지부(221)와 함께 퍼프(2)의 일부분이 인입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퍼프(2)가 단순히 올려져 있는 상태로 보관되었지만, 본 실시예는 퍼프(2)의 측면이 리브(22)에 의해 감싸지고 퍼프(2)의 상면이 덮개(23)에 의해 커버되도록 하여, 퍼프(2)가 퍼프 보관부(2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퍼프(2)는 안정적으로 퍼프 보관부(20)에 보관될 수 있다.
이때 덮개(23)는 원호의 양단을 곡선 또는 직선 등으로 연결한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덮개(23)는 반원에서 일부분이 함몰된 형상의 평면을 갖는다. 즉 덮개(23)는 원호 형태의 지지부(221)에 연결되면서 바닥부(21)의 적어도 일부분에 투영될 수 있도록 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평면이 퍼프(2)의 상면을 덮는 부분이며, 다만 덮개(23)는 퍼프(2)의 전면을 덮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퍼프(2)를 인출함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덮개(23)는, 리브(2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23)는 하면에 결합돌기(231)가 형성되어, 결합돌기(231)가 리브(22)의 내측에 밀착됨에 따라 리브(2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덮개(23)는 하면에 원호 형태의 결합돌기(231) 또는 복수의 점 형태의 결합돌기(231)가 돌출되고, 결합돌기(231)는 리브(22)의 내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돌기(231)가 리브(2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덮개(23)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덮개(23)와 리브(22)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덮개(23)는 리브(22)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리브(22)에는 결합돌기(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함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결합돌기(231)가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덮개(23)가 리브(22)에 결합되도록 하거나, 또는 리브(22)에서 결합돌기(231)에 대응되는 부분이 단차진 형태로 구비되어 결합돌기(231)가 단차진 부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덮개(23)는,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덮개(23)의 하면을 상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리브(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23)가 리브(22)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리브(22)에 퍼프(2)로 인해 화장품이 인입되어 청소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편하게 덮개(23)를 분리한 뒤에 퍼프 보관부(20)의 내측 부분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퍼프(2)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는 다른 방식의 덮개(23) 탈착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브(22)는 일면에 가이드 홈(223)이 형성되는데, 덮개(23)는 가이드 홈(223)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리브(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덮개(23)의 측면에는 가이드 홈(223)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2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덮개(23)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덮개(23)와 리브(22)는 자석 등을 이용하여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3)는 리브(2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퍼프(2)가 퍼프 보관부(20)에 보관될 때 퍼프(2)에 묻은 화장품으로 인해 리브(22) 등이 오염되었을 때, 덮개(23)를 분리하여 간편히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도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덮개(23)를 리브(2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자석이나 나사방식 또는 벨크로 방식 등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때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에 퍼프(2)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덮개(23)의 형상이 일 실시예와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에서 덮개(23)의 형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덮개(23)는 반원 또는 반원에 가까운 형태로 구비되어, 일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으로 퍼프(2)를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퍼프(2)는 덮개(23)와 접촉하는 상면의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퍼프 보관부(20)에 보관될 수 있는 반면, 사용자가 퍼프(2)를 인출함에 있어서 방해가 되는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로 덮개(23)의 형상을 한정하지 않으며, 덮개(23)의 형상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퍼프(2)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동시에 퍼프(2)의 인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퍼프(2)가 바닥부(21)와 리브(22) 및 덮개(2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인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퍼프(2)의 보관 측면에서 안정성을 향상시켜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퍼프(2)를 사용 또는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의 형상이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는 다르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용기 본체(10)가 외관을 직접 형성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는 별도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결합 및 분리됨에 따라 교체되는 구성이 아니며, 용기 본체(10)가 직접 화장품 용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 본체(10)는 리브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원통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퍼프 보관부(20)는 용기 본체(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용기 본체(10)에는 회전 제한부(11)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퍼프 보관부(20)는 하면의 단면적이 용기 본체(10)에서 화장품이 노출되는 부분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0)의 상부는 단차가 형성되어, 퍼프 보관부(20)의 하면이 용기 본체(10)의 단차진 부분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 등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2: 퍼프
10: 용기 본체 11: 회전 제한부
20: 퍼프 보관부 21: 바닥부
22: 리브 221: 지지부
222: 개방부 223: 가이드 홈
23: 덮개 231: 결합돌기
232: 가이드 돌기 24: 힌지 손잡이
30: 뚜껑 31: 거울

Claims (12)

  1. 화장품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화장품을 덮어 보호하며, 퍼프가 안착되도록 하는 퍼프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퍼프가 안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퍼프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며 상기 퍼프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원호의 양단을 곡선 또는 직선 등으로 연결한 형태의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덮개를 지지하며 원호 형태인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감소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되되 중앙 부분이 단절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하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리브의 내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리브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일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되어 상기 리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보관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보관부는,
    일측에 힌지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힌지 손잡이를 지지하여 상기 퍼프 보관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40002020U 2014-03-13 2014-03-13 화장품 용기 KR200478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20U KR200478937Y1 (ko) 2014-03-13 2014-03-13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20U KR200478937Y1 (ko) 2014-03-13 2014-03-13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96U true KR20150003496U (ko) 2015-09-23
KR200478937Y1 KR200478937Y1 (ko) 2015-12-02

Family

ID=54341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20U KR200478937Y1 (ko) 2014-03-13 2014-03-13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93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12A (ko) * 2016-02-01 2017-08-10 (주)아모레퍼시픽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KR20180064251A (ko) * 2016-12-05 2018-06-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CN108451156A (zh) * 2018-05-08 2018-08-28 中山尚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妆刷套件
KR20180133616A (ko) * 2017-06-07 2018-12-17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190002551U (ko) * 2018-04-03 2019-10-14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KR20210000168U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쿠션 파운데이션용 화장품 케이스
KR20210028973A (ko) * 2019-09-05 2021-03-1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3967A1 (en) 2019-06-21 2020-12-24 L'oreal Cosmetic compact
KR102219761B1 (ko) * 2019-10-07 2021-02-24 주식회사 에코웰 패팅기기 및 패팅기기 케이스
FR3121583A1 (fr) 2021-04-07 2022-10-14 L'oreal Boîtier cosmétique comprenant un porte-applicateur à couvercle clips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47Y1 (ko) 2002-01-17 2002-07-13 신충식 휴대용 분통
KR200424782Y1 (ko) 2006-01-25 2006-08-28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12A (ko) * 2016-02-01 2017-08-10 (주)아모레퍼시픽 오염 방지 콤팩트 용기
KR20180064251A (ko) * 2016-12-05 2018-06-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20180133616A (ko) * 2017-06-07 2018-12-17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용기
KR20190002551U (ko) * 2018-04-03 2019-10-14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케이스
CN108451156A (zh) * 2018-05-08 2018-08-28 中山尚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妆刷套件
KR20210000168U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쿠션 파운데이션용 화장품 케이스
KR20210028973A (ko) * 2019-09-05 2021-03-15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937Y1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KR20100001116U (ko) 주걱 보관이 가능한 내뚜껑을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48626Y1 (ko) 원터치 방식 화장품 용기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20120096798A (ko) 알약 정량배출 캡
KR20190015446A (ko) 화장품 용기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80064251A (ko)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JP5558913B2 (ja) コンパクト容器
JP5358154B2 (ja) 化粧料用容器
AU2008296761A1 (en) Dentifrice container with oral care implement holder
KR101789406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180003320U (ko) 화장품 용기
KR20190115582A (ko) 퍼프지지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50109867A (ko) 화장품 용기
KR101583902B1 (ko) 화장품 용기
CN113473882A (zh) 滑动式化妆粉饼盒
KR101616232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6850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JP4732914B2 (ja) 歯間ブラシ用容器
JP2015205131A (ja) 化粧料容器
KR101869186B1 (ko) 화장품 용기
KR101600713B1 (ko) 스페츌러 일체형 크림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