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251A -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251A
KR20180064251A KR1020160164693A KR20160164693A KR20180064251A KR 20180064251 A KR20180064251 A KR 20180064251A KR 1020160164693 A KR1020160164693 A KR 1020160164693A KR 20160164693 A KR20160164693 A KR 20160164693A KR 20180064251 A KR20180064251 A KR 20180064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ase
hinge
seating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원
이선주
유찬미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251A/ko
Publication of KR20180064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는, 거울이 구비된 케이스 상부, 케이스 상부와 힌지결합된 케이스 하부, 케이스 상부 및 케이스 하부 사이에 수용가능하고 퍼프 저장부 및 내용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케이스 상부와 케이스 하부 사이에 수용되고 저장부가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퍼프 저장부는,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거울로부터 퍼프를 차단시키는 차단부, 차단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퍼프를 수용하는 공간인 퍼프 수용부를 형성하는 거치부, 및 거치부의 테두리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퍼프에 의해 거울이 오염되지 않아 사용자가 매번 깨끗한 거울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A cosmetic case comprising a puff storage unit}
본 발명은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퍼프에 묻어있는 화장품의 잔여물이 케이스 상부에 있는 거울을 더럽히지 않도록 구성된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케이스는 콤팩트, 아이섀도, 트윈케익, 압축 파우더 등의 화장재료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화장품 케이스는 한정된 두께를 가진 본체의 일측단에 설치된 힌지 핀을 매개로 덮개가 회동되는 여닫이 형태로 개폐 구조로 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에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부분과 퍼프가 보관되는 부분이 내장되어 있고, 화장품 케이스의 뚜껑을 이루는 상부에는 거울이 부착되어 생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일반적인 화장품 케이스들은, 퍼프에 묻은 화장품의 잔여물이 거울에 쉽게 닿아서 거울이 뿌옇게 되므로 매번 거울을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기술의 한 예시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387265호는 화장품 내용물이 커버부재에 부착된 거울과 접촉되지 않도록 내용물을 커버하는 내용물커버부재를 퍼프가 수용된 서랍과 연동되도록 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87265호의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퍼프(151)는 서랍(150)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서랍(150) 상부에는 내용물커버부재(160)가 구비되고, 내용물커버부재(160)는 내용물(141)과 지지부재(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서랍(150)은 내용물커버부재(160)와 연동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서랍(150)을 용기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내용물커버부재(160)도 함께 이동되어 내용물(141)이 노출된다.
즉,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퍼프(15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랍(150)의 개방된 양측면으로부터 꺼내야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랍(150)의 양측면은 서랍(15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 두께가 서랍(150)의 양측면의 개방된 크기보다 두꺼울 경우에, 서랍(150)에 수용된 퍼프(151)를 꺼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불편할 수밖에 없다.
또한, 서랍(150) 양측면이 개방되고 퍼프(151)를 별도로 고정시키는 구성이 없으므로, 실수로 용기를 좌우로 흔들었을 경우에 퍼프(151)는 쉽게 서랍(150)으로부터 빠져나와 바닥에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퍼프(151)가 바닥에 떨어지면 위생상 다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아, 새로 구매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현재에는 퍼프에 의해 거울이 오염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퍼프를 꺼내는 데에 불편함이 없으며, 실수로 용기를 흔들거나 순간적으로 기울이더라도 퍼프가 쉽게 바닥에 떨어지지 않는 화장품 케이스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387265 B1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퍼프에 의해 거울이 오염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도 퍼프가 쉽게 꺼내지되, 퍼프가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구성된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는, 거울이 구비된 케이스 상부; 상기 케이스 상부와 힌지결합된 케이스 하부; 상기 케이스 상부 및 상기 케이스 하부 사이에 수용가능하고, 퍼프 저장부 및 내용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케이스 상부와 상기 케이스 하부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저장부가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퍼프 저장부는,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거울로부터 퍼프를 차단시키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퍼프를 수용하는 공간인 퍼프 수용부를 형성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테두리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퍼프는 상기 차단부보다 작지만 상기 거치부보다 크고, 상기 거치부에 의해 상기 퍼프의 일부가 지지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퍼프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차단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결된 반원형 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프 저장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 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저장부는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안착턱을 지지하는 안착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상측 일부에 구비된 힌지 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퍼프 저장부가 회동하되, 상기 안착턱이 상기 안착턱 지지부에 안착하면서 회동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퍼프 저장부는 상기 차단부의 일 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저장부는 내측에 안착턱 지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턱을 지지하고,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퍼프 저장부가 회동하되, 상기 안착턱이 상기 안착턱 지지부에 안착하면서 회동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는 퍼프에 의해 거울이 오염되지 않아 사용자가 매번 깨끗한 거울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퍼프 저장부로부터 퍼프를 쉽게 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퍼프가 퍼프 저장부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아 실수로 바닥에 떨어질 걱정 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인 국내등록특허 제10-1387265호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내용물 수용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방된 상태를 반대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는 케이스 상부 및 케이스 하부의 힌지결합된 일부의 반대 측이 벌려진 상태를 의미하며,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는 케이스 상부 및 케이스 하부의 힌지결합된 일부의 반대 측이 밀착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를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저장부(210)를 구비한 케이스 몸체(100)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몸체(100)는 케이스 상부(110), 케이스 상부(110)와 힌지결합된 케이스 하부(130), 및 케이스 상부(110)와 케이스 하부(130) 사이에 수용되는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케이스 상부(110)와 케이스 하부(130)는 힌지결합되어 내부에 하우징(120)이 수납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상부(110)의 내측에는 거울(111)이 구비된다. 케이스 상부(110)는 추가적으로 외측 일부에 구비된 자석과 같은 탈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하부(130)는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구비되어 케이스 상부(110)와 케이스 하부(130)가 용이하게 인력에 의해 밀착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거울(11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케이스 하부(130)에 안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20)은 케이스 하부(130)에 안착되는 중공형의 하우징 몸체(121), 하우징 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된 통공부(122), 및 저장부(200)의 힌지부(213)를 수용하는 힌지수용부(123)를 포함한다.
케이스 하부(130)는 하우징(120)의 통공부(122)와 대응되는 위치 및 크기의 통공부(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의 통공부(122)와 케이스 하부(130)의 통공부를 통해, 하우징 몸체(121) 내에 안착되는 저장부(200)의 하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저장부(200)의 하측은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받음으로써 하우징 몸체(121)와 분리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00)는 하우징 몸체(121)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00)는 퍼프 저장부(210) 및 퍼프 저장부(210) 하부에 배치되는 내용물 저장부(220)를 포함한다. 퍼프 저장부(210)는 퍼프(300)를 보관하는 것으로, 케이스 상부(110) 및/또는 케이스 하부(130)가 회동되어 케이스가 개폐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내용물 저장부(220)와 힌지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퍼프 저장부(210)는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거울(111)로부터 퍼프(300)를 차단시키는 차단부(211), 차단부(211)의 일 측에 구비되어 내용물 저장부(220)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213), 차단부(2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퍼프(3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퍼프 수용부(212)를 형성하는 거치부(215), 및 거치부(215)의 테두리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턱(214)을 포함한다.
차단부(211)는 내용물 저장부(220)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판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215)는 차단부(211)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에 형성된 반원형 판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215)와 차단부(211)는 차단부(211)의 테두리 일부에 따라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측벽(미부호)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거치부(215)와 차단부(211)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차단부(211)와 거치부(215)가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인 퍼프 수용부(212)에 퍼프(300)가 삽입될 수 있다. 퍼프 수용부(212)의 크기는 차단부(211)와 거치부(215) 사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퍼프(300)의 크기에 맞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이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퍼프(300)의 크기는 차단부(211)보다 작지만 거치부(215)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치부(215)에 의해 퍼프(300)의 일부만이 지지되며, 다른 일부는 퍼프 수용부(212)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일 경우, 퍼프(300)의 일부는 퍼프 수용부(212)에 삽입된 상태로 거치부(215)에 의해 지지되고, 퍼프(300)가 쉽게 퍼프 수용부(212)로부터 탈락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는 돌출된 퍼프(300)의 일부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퍼프(300)의 사용이 편리하다.
힌지부(213)는 케이스 상부(110) 및/또는 케이스 하부(130)가 회동되어 케이스가 개폐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퍼프 저장부(210)가 내용물 저장부(220)로부터 회동되도록 퍼프 저장부(210)의 일 측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화장품 케이스에서 힌지부(213)가 퍼프 저장부(210) 및 내용물 저장부(220)를 힌지결합할 경우에, 힌지부(213)는 퍼프 저장부(210)의 하부를 구성하는 거치부(215)의 일 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힌지부(213)를 축으로 하여 퍼프 저장부(210)가 회동하되, 거치부(215)의 테두리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턱(214)이 내용물 저장부(220)의 안착턱 지지부(224)에 안착하면서 회동운동이 제한된다.
안착턱(214)은 안착턱 지지부(224)에 의해 지지되므로 거치부(215)는 내용물 저장부(220)에 밀착되지 않아 퍼프(300)의 돌출된 일부가 내용물 수용부(222)와 닿지 않는 상태로 퍼프(300)가 퍼프 수용부(212)에 유지될 수 있다. 즉, 힌지부(213) 및 안착턱(214)의 위치에 의해 퍼프(300)가 내용물 수용부(222)로부터 화장품 내용물을 불필요하게 흡수하는 것이 방지된다.
내용물 저장부(220)는 상기와 같은 내용물 수용부(222)와, 내용물 수용부(222)를 감싸는 저장부 몸체(221), 힌지부(213)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223), 및 상기 안착턱(214)을 지지하는 안착턱 지지부(224)를 포함한다.
내용물 수용부(222)는 화장품 내용물, 예를 들면 피부 톤을 보정하는 메이크업베이스류, 피부 결점을 커버하는 파운데이션류 및 스킨커버류 또는 자외선 차단기능의 선크림류 등 다양한 타입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화장품 내용물이 흐르는 타입이면 내용물 수용부(222)에는 이를 내용물을 머금은 쿠션이 수용될 수 있다.
저장부 몸체(221)의 하측은 내용물 저장부(220)가 하우징(120)의 통공부(12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끼어 맞춤식으로 통공부(122)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추후에 내용물 수용부(222) 내의 화장품 내용물이 다 사용될 경우에, 통공부(122)에 위치한 저장부(200)의 하측에 소정의 압력을 상측 방향으로 가함으로써 저장부(200)가 용이하게 하우징 몸체(121)와 분리되어 새로운 저장부(200)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힌지 연결부(223)는 저장부 몸체(221)의 상부 외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힌지부(213)와 연결된 상태로 하우징(120)의 힌지 수용부(12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턱 지지부(224)는 저장부 몸체(221)의 상측면에 파인 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안착턱(214)은 안착턱 지지부(224)에 일부가 삽입되면서 퍼프 저장부(210)가 안정적으로 내용물 저장부(220) 상부에 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의 내용물 수용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방된 상태를 반대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는 상술된 일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되 일부 구성의 위치만이 달라진 것으로, 유사한 내용은 설명에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힌지부(213)가 거치부(215)가 아닌 차단부(211)의 일 측에 연결되고, 힌지 연결부(미도시)는 하우징 몸체(121)의 상측 일부에 형성되어 힌지부(213)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11), 퍼프 수용부(212), 안착턱(214), 및 거치부(215)를 포함하는 퍼프 저장부(210)는 하우징 몸체(121) 내부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퍼프 저장부(210)가 하우징 몸체(121)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화장품 케이스의 사용자는 퍼프 저장부(210)가 전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울(111)만을 사용할 수가 있다.
여기서 내용물 저장부(220)의 안착턱 지지부(224)는 홈 형태가 아닌, 내용물 수용부 내측으로 돌출된 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턱(214)은 돌출된 턱 형태의 안착턱 지지부(224)에 의해 지지되어 퍼프 저장부(210)의 회동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퍼프 저장부(210)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퍼프(300)는 퍼프 저장부(210)에 안정적으로 수용됨으로써 거울(111)이 오염되지 않아 사용자가 매번 깨끗한 거울을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반원형의 거치부(215)에 의해 사용자가 퍼프 저장부(210)로부터 퍼프를 쉽게 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퍼프가(300) 퍼프 저장부(210)로부터 쉽게 탈락되지 않아 실수로 바닥에 떨어질 걱정 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100: 케이스 몸체
110: 케이스 상부
111: 거울
120: 하우징
121: 하우징 몸체
122: 통공부
123: 힌지 수용부
130: 케이스 하부
200: 저장부
210: 퍼프 저장부
211: 차단부
212: 퍼프 수용부
213: 힌지부
214: 안착턱
215: 거치부
220: 내용물 저장부
221: 저장부 몸체
222: 내용물 수용부
223: 힌지 연결부
224: 안착턱 지지부
300: 퍼프

Claims (5)

  1. 거울이 구비된 케이스 상부;
    상기 케이스 상부와 힌지결합된 케이스 하부;
    상기 케이스 상부 및 상기 케이스 하부 사이에 수용가능하고, 퍼프 저장부 및 내용물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케이스 상부와 상기 케이스 하부 사이에 수용되고 상기 저장부가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퍼프 저장부는, 케이스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거울로부터 퍼프를 차단시키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퍼프를 수용하는 공간인 퍼프 수용부를 형성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테두리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안착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상기 차단부보다 작지만 상기 거치부보다 크고,
    상기 거치부에 의해 상기 퍼프의 일부가 지지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퍼프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내용물 저장부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차단부와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결된 반원형 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저장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 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저장부는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 및 상기 안착턱을 지지하는 안착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힌지 연결부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상측 일부에 구비된 힌지 수용부에 안착되고,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퍼프 저장부가 회동하되, 상기 안착턱이 상기 안착턱 지지부에 안착하면서 회동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저장부는 상기 차단부의 일 측에 형성된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용물 저장부는 내측에 안착턱 지지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안착턱을 지지하고,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퍼프 저장부가 회동하되, 상기 안착턱이 상기 안착턱 지지부에 안착하면서 회동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1020160164693A 2016-12-05 2016-12-05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20180064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93A KR20180064251A (ko) 2016-12-05 2016-12-05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693A KR20180064251A (ko) 2016-12-05 2016-12-05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251A true KR20180064251A (ko) 2018-06-14

Family

ID=6262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693A KR20180064251A (ko) 2016-12-05 2016-12-05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2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169B1 (ko) * 2019-09-03 2020-04-10 (주)제이엠월드 헤어 트리트먼트 콤팩트
KR20210000168U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쿠션 파운데이션용 화장품 케이스
KR102383572B1 (ko) * 2020-12-08 2022-04-05 정예리 콤팩트 용기
FR3121583A1 (fr) 2021-04-07 2022-10-14 L'oreal Boîtier cosmétique comprenant un porte-applicateur à couvercle clips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743Y1 (ko) * 2005-07-27 2005-10-06 주식회사 태평양 퍼프 압축 보관이 가능한 콤팩트용기
KR101387265B1 (ko) 2013-01-02 2014-04-21 김형섭 거울 오염 방지용 색조 화장품 용기
KR20150003496U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743Y1 (ko) * 2005-07-27 2005-10-06 주식회사 태평양 퍼프 압축 보관이 가능한 콤팩트용기
KR101387265B1 (ko) 2013-01-02 2014-04-21 김형섭 거울 오염 방지용 색조 화장품 용기
KR20150003496U (ko) * 2014-03-13 2015-09-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168U (ko) * 2019-07-12 2021-01-20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쿠션 파운데이션용 화장품 케이스
KR102098169B1 (ko) * 2019-09-03 2020-04-10 (주)제이엠월드 헤어 트리트먼트 콤팩트
KR102383572B1 (ko) * 2020-12-08 2022-04-05 정예리 콤팩트 용기
FR3121583A1 (fr) 2021-04-07 2022-10-14 L'oreal Boîtier cosmétique comprenant un porte-applicateur à couvercle clips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4251A (ko)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KR101937371B1 (ko) 화장품 용기
KR10240643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US10835016B1 (en) Cosmetic case
KR101071478B1 (ko)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557368B1 (ko) 다기능 색조 제품 케이스
US10477939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KR20180003320U (ko) 화장품 용기
KR101789406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210001794A (ko) 퍼프덮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2016159939A (ja) 吐出容器
JP7285594B2 (ja) スライド式化粧料コンパクトケース
KR20210002302A (ko) 퍼프 저장부를 포함하는 쿠션 용기
JP2007135672A (ja) コンパクト容器
JP5555556B2 (ja) 化粧料容器
KR101869186B1 (ko) 화장품 용기
KR101947711B1 (ko) 다단 색조화장품 용기
JP2017510386A (ja) 少なくとも1つの美容製品のための包装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包装方法
JP4732914B2 (ja) 歯間ブラシ用容器
KR200477196Y1 (ko) 틸팅되는 거울을 포함한 아이새도우 용기
WO2020262147A1 (ja) 棒状基材容器
KR102329805B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