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218B1 - 메이크업 셋트 - Google Patents

메이크업 셋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218B1
KR101157218B1 KR1020120014728A KR20120014728A KR101157218B1 KR 101157218 B1 KR101157218 B1 KR 101157218B1 KR 1020120014728 A KR1020120014728 A KR 1020120014728A KR 20120014728 A KR20120014728 A KR 20120014728A KR 101157218 B1 KR101157218 B1 KR 10115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esh
makeup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김동명
현승수
이진성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8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provision for sieves or shaping parts for sticks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5Kit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떠짐성, 퍼짐성 밀착력 및 지속력이 좋은 메이크업이 가능한 메이크업 셋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셋트는 경도가 30 내지 150인 화장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 상에 위치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떠짐성을 조절할 수 있는 메쉬(mesh)부와,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밀착되는 진동 퍼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이크업 셋트{Make-up se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화장품 용기와 화장 도구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셋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화장품 용기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의 퍼짐성과 떠짐성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의 떠지는 양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그물망과 화장료 조성물을 고르게 바르기 위한 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메이크업 화장품은 페이셜 메이크업, 포인트 메이크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페이셜 메이크업은 파우더 타입, 유성타입, 유화 타입으로 나누어 지며, 포인트 메이크업은 립 메이크업, 아이메이크업으로 나눌 수 있다. 립메이크업은 립글로스, 립스틱, 립밤으로 나누어 지며, 아이메이크업은 파우더 타입인 아이섀도와 유화타입인 마스카라, 아이라이너로 나누어 진다.
파우더 타입은 압축 파우더와 분말 파우더로 나뉘며, 압축 파우더는 다시 파우더 팩트, 파우더 파운데이션, 트윈 케이크(투웨이 케이크) 등으로 분류되고, 유성타입은 오일에 파우더를 분산시킨 유분산 제형으로 스킨커버와 컨실러가 있으며, 유화 타입은 물에 파우더를 분산시킨 수분산 제형으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이 있다.
또한 스킨커버와 리퀴드 파운데이션의 중간형태인 에멀젼 케이크는 물이 외상인 수중유(O/W) 타입과 오일이 외상인 유중수 (W/O) 타입으로 분류되어 퍼프(puff)를 이용하여 얼굴에 도포하게 된다.
파우더 제품은 오일의 함량에 비해 파우더의 함량이 많은 제품으로 사용시 가루 날림 현상이 나타나며, 피지의 흡수 능력이 높은 파우더의 함량이 많아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 수 있으며, 피지를 흡수 능력이 높은 파우더의 함량이 너무 적을 경우 화장이 뭉침으로서 지속력을 떨어 뜨리는 단점이 있다.
유화 타입 파운데이션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며, 화장 초기에는 보습감을 주지만 커버력이 낮으며 커버력을 높이면 뭉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유성타입의 스킨커버는 파우더 보다 건조하지 않고 파운데이션 보다 커버력이 높지만 화장이 두꺼워져 피부가 답답해 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화장막을 얇게 하기 위하여 퍼짐성을 향상시키고, 밀착감을 높여 답답하지 않으면서도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의 떠지는 양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그물망과 화장료 조성물을 고르게 바르기 위한 퍼프에 관한 메이크업 셋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먼저 진동퍼프를 사용하여 가장 이상적으로 화장료조성물을 손쉽게 골고루 퍼프에 묻일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다각적이고 오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기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퍼프의 진동을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용기로부터 퍼프에 골고루 묻히는 방법을 시도한 적은 없다. 왜냐하면 상기 용기의 화장료를 진동퍼프의 진동을 이용하여 묻힐 경우 화장료가 뭉치고 날리는 등 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그물망 즉 메쉬부를 채택하고 상기 조성물의 경도와 그물망의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여 진동퍼프의 진동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묻힐 경우 획기적으로 균질하며 화장하기 좋은 상태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은 30 내지 150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50~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90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도는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정의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30)의 경도 값은 경도 측정 기기(FUDOH RHEO METER)로 측정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경도는 지름이 5mmΦ의 핀을 30cm/min의 속도로 하강시켜 10mm의 깊이에 들어갈 때까지의 최대값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이하의 경도도 같은 의미이다.
이와 상응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떠짐성을 적절히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그물망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화장품은 대단히 민감하고 미세한 물건으로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와 그물망의 구멍의 크기가 제대로 맞지 않으면 실제로 좋은 제품을 만든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수 많은 실험을 거듭한 결과 그물망 즉 메쉬(mesh)부 그물망 구멍의 크기를 직경이 0.1mm ~ 2mm 이면 가능한 것으로 실험되었다. 그러나 바람직하기로는 0.5mm ~ 1mm이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화장막을 얇게 하기 위하여 퍼짐성을 향상시키고, 밀착감을 높여 답답하지 않으면서도 지속성이 우수하게 메이크업될 수 있는 메이크업 셋트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의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를 아래 방향에서 찍은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를 윗 방향에서 찍은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셋트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셋트(10)는 화장료 조성물(30)이 수용되는 수용부(120)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와,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 상에 위치하고, 화장료 조성물(30)의 떠짐성을 조절할 수 있는 메쉬(mesh)부(210)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쉬부(210)를 통과한 화장료 조성물을 밀착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시키는 진동 퍼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의 그물망의 크기는 사각형으로 가정할 경우 한 변의 평균길이가 0.1mm 보다 작으면 상기 조성물의 출입이 어려워 사용이 곤란하고 2mm를 초과하면 과다 분출되어 진동을 가할 경우 사용이 곤란해진다. 가장 바람직한 경우는 0.5 ~ 1mm가 좋다. 그물망의 각 그물구멍은 당연히 사각형이 아닐 수 있다. 그럴 경우에도 위 적시된 사각형과 면적이 거의 같다면 그 기능도 당연히 같다고 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셋트 (10)에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는 화장료 조성물(30)이 채워질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즉으로 만입된 수용부(120)와 수용부(120)가 형성된 하우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예를 들어 성형이 용이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성의 용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수용부(120)에 채워진 화장료 조성물(30)이 외기에 대해 보호되도록 한다.
수용부(120)는 하우징부(110) 내의 공간으로 화장료 조성물(30)이 채워지는 공간이다. 수용부는 하우징부(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만입된 형상일 수 있다. 수용부(120)는 화장료 조성물(30)을 수용하기 위하여 바닥부(121)와 측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20)는 채워질 화장료 조성물(30)의 용량에 따라 그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는 메쉬(mesh)부(210)와 메쉬부(210)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는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는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고정되지 않고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의 테두리부(220)가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에 맞닿으면서,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가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메쉬부(210)는 화장료 조성물(30)의 떠짐성을 조절할 수 있다. 메쉬부(210)는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과 마주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30)은 메쉬부(210)에 의해 일정 정도의 양이 균일하게 떠질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의 메쉬부(210)에 수용부(120)의 바닥부(12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메쉬부(210)는 화장료 조성물(30)과 밀착하게 된다. 이때, 메쉬부(210)와 밀착되는 최상층의 화장료 조성물(30)은 메쉬부(210)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화장료 조성물(30)은 비교적 고르게 메쉬부(210)를 통과한다. 메쉬부(210)를 통과한 화장료 조성물의 일부는 메쉬부(210) 상에서 하나의 층(32)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30)의 떠짐성을 조절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를 포함함으로써, 비교적 균일하게 화장료 조성물(30)을 떠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3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30)은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에 채워질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30)의 경도는 30 내지 150일 수 있다. 특히 진동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제품의 품질과 직결되는데 바람직하기는 50~120이 적당하고 최적의 범위는 70~90이다. 화장료 조성물(30)의 경도가 30 미만이면, 화장료 조성물(30)의 경도가 낮아 제형이 액상에 가까워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100)에 화장료 조성물(30)이 수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송물 떠짐 조절부(200)의 기능이 축소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가 150을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30)의 제형이 경화되어, 화장료 조성물(30)이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200)를 통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30)이 균일하게 떠지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30)의 경도 값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도 측정 기기(FUDOH RHEO METER)로 측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도는 지름이 5mmΦ의 핀을 30cm/min의 속도로 하강시켜 10mm의 깊이에 들어갈 때까지의 최대값으로 결정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이크업 셋트(10)에 포함된 진동 퍼프(300)는 퍼프부(310)와 진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부(310)에는 메쉬부(210)를 통과한 화장료 조성물(30)이 밀착된다. 또한, 퍼프부(310)는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써, 부드러우면서도 화장료 조성물(30)이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로, 퍼프부(310)는 스펀지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퍼프부(310)는 진동부(32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진동부(320)는 퍼프부(310)에 일정세기의 진동을 균일하게 가할 수 있다. 퍼프부(310)에 상기 진동이 가해지면, 진동에 의해 퍼프부(310)에 밀착된 화장료 조성물(30)이 사용자의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한편, 진동부(320)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손잡이 형상의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떠짐성, 퍼짐성, 밀착력 및 지속력을 테스트 하였다.
조건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화장료 경도 30 ~ 150 O O O
화장료 경도 151~ 300 O
그물망 사용 O O O
그물망 사용하지 않음 O
진동 퍼프 사용 O O O
일반 퍼프를 사용 O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건에 따라 20~35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떠짐성, 퍼짐성, 밀착력 및 지속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항목들을 평가한 후 0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를 주도록 하여 평균점수를 내서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떠짐성 X X
퍼짐성
밀착력
지속력
1이하:X, 1~2.5:△, 2.5~4:○, 4이상:◎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같이할 경우, 각 시험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비교예 1의 경우 화장료 경도가 높아 떠짐성이 좋지 않았으며, 비교예 2의 경우 그물망을 사용하지 않아 떠짐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3의 경우 알맞은 경도와 그물망을 사용하여 떠짐성은 좋으나, 밀착력 및 지속은 실시예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셋트(10)에 의할 경우, 떠짐성, 퍼짐성 밀착력, 지속력이 좋은 메이크업을 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메이크업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화장품 용기 30: 화장료 조성물
100: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 110: 하우징부
120: 수용부 121: 바닥부
123: 측벽부 200: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
210: 메쉬(mesh)부 220: 테두리부
300: 진동 퍼프 310: 퍼프부
320: 진동부

Claims (5)

  1. 경도가 30 내지 150인 화장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수용용기 상에 위치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떠짐성을 조절될 수 있도록 그물망의 각 그물구멍의 크기가 원형기준 직경이 0.1~2mm인 메쉬(mesh)부; 및
    상기 메쉬부를 통과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밀착되는 진동 퍼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메이크업 셋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수용용기에 수용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셋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의 바닥부 방향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떠짐 조절부에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메쉬부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과 밀착하게 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메쉬부를 고르게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셋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지름이 5mmΦ의 핀을 30cm/min의 속도로 하강시켜 10mm의 깊이에 들어갈 때까지의 최대값이 3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셋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퍼프에 밀착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진동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 셋트.
KR1020120014728A 2012-01-11 2012-02-14 메이크업 셋트 KR101157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68 2012-01-11
KR20120003268 2012-01-11
KR1020120013886 2012-02-10
KR20120013886 2012-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218B1 true KR101157218B1 (ko) 2012-07-03

Family

ID=46715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728A KR101157218B1 (ko) 2012-01-11 2012-02-14 메이크업 셋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2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101474932B1 (ko) * 2012-10-17 2014-12-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WO2015142033A1 (ko) * 2014-03-17 2015-09-24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5877112A (zh) * 2015-02-17 2016-08-24 新前技术有限公司 具有再装品容器的化妆盒
CN106535700A (zh) * 2014-03-17 2017-03-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橡胶排放垫的化妆产品
US10010153B2 (en) 2014-02-14 2018-07-0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0524558B2 (en) 2016-06-10 2020-01-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932B1 (ko) * 2012-10-17 2014-12-1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망이 있는 자르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US10426246B2 (en) 2014-02-14 2019-10-0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0874191B2 (en) 2014-02-14 2020-12-2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0869534B2 (en) 2014-02-14 2020-12-22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CN111513448A (zh) * 2014-02-14 2020-08-11 株式会社Lg生活健康 化妆品容器
US10010153B2 (en) 2014-02-14 2018-07-0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0098435B2 (en) 2014-03-17 2018-10-16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rubber discharge pad
CN106535700A (zh) * 2014-03-17 2017-03-22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橡胶排放垫的化妆产品
WO2015142033A1 (ko) * 2014-03-17 2015-09-24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05877112A (zh) * 2015-02-17 2016-08-24 新前技术有限公司 具有再装品容器的化妆盒
US10524558B2 (en) 2016-06-10 2020-01-0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US11490711B2 (en) 2016-06-10 2022-11-08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218B1 (ko) 메이크업 셋트
KR102023973B1 (ko)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CN106890107A (zh) 包括化妆品组合物浸渍的聚氨酯泡沫的化妆品
KR102024727B1 (ko)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발포 폼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836208B1 (ko)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화장품 용기
JP2006298489A (ja) 2つの製品のための収容取出デバイス
CN104379124A (zh) 包含氨基甲酸乙酯发泡体的化妆品组合物载体
JP7071826B2 (ja)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を含む化粧品
KR101886141B1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CN116725309A (zh) 包括非透过层的化妆品组合物涂抹工具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KR102552775B1 (ko)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2423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와 액상 화장료를 함께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KR101736372B1 (ko)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AU774982B2 (en) A swab for make-up removal
KR102508237B1 (ko) 화장품 용기
CN113260278A (zh) 网格类型的水分释放型气垫化妆品
CN105764476B (zh) 使用茶氨酸的表面处理粉体及含有其的化妆品
US20210106116A1 (en) Cosmetic container for two kinds of cosmetics
KR20190068498A (ko) 특정 고무를 이용한 화장료 수용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50047328A (ko) 팩트형 화장품의 액체 화장액 충진방법
KR200482295Y1 (ko) 고정돌기를 구비한 화장료 접시
KR20130060571A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