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211Y1 -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 Google Patents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211Y1
KR200469211Y1 KR2020130004842U KR20130004842U KR200469211Y1 KR 200469211 Y1 KR200469211 Y1 KR 200469211Y1 KR 2020130004842 U KR2020130004842 U KR 2020130004842U KR 20130004842 U KR20130004842 U KR 20130004842U KR 200469211 Y1 KR200469211 Y1 KR 200469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space
injection space
cosmetic container
accommoda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식
한지희
고두진
김덕근
우하택
Original Assignee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4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2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Abstract

본 고안은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가 니들에 의해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되, 화장료 주입공간이 항시 유지됨과 아울러 가압시에만 화장료가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 주입공간을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화장료 수용체 내의 화장료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Cosmetic container keeping injection space for cosmetic materials}
본 고안은 화장료를 주입된 상태로 수용하는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니들에 의해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되, 화장료 주입공간이 항시 유지됨과 아울러 가압시에만 화장료가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물론 최근에는 남성들 사이에서도 피부의 청결과 미화를 위해 사용하는 화장료는 사용자의 용모를 밝고 건강하게 변화시키고 유지시키는 데에 필수적인 품목이 되고 있다.
화장료 혹은 화장품은 법규상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특히 형태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파우더 또는 케이크 등과 같이 경(硬)한 소재의 화장료가 있는가 하면,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과 같이 연성의 화장료도 있다.
이러한 화장료는 그 성상(性狀)에 따라 보존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계된 용기에 수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토너나 스킨 로션 등과 같은 액상의 화장수는 통상적인 유리병이나 플라스틱병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고, 파우더나 케이크 형태의 화장료는 콤팩트 케이스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 화장료의 성상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콤팩트 케이스에 화장료를 수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콤팩트 케이스에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화장료가 충분히 함침 또는 주입될 수 있어야 하고, 케이스를 기울이거나 가볍게 흔들어도 화장료가 임의적으로 유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적절한 화장료 수용체가 필요하다.
최근에 알려진 화장료 수용체로서, 유중수형(water in oil)의 에멀젼 성상인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특정 범위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를 수용하면서 퍼프 등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경도(硬度)의 발포 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 위와 같은 화장료 수용체에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화장료가 담긴 용기에 화장료 수용체를 침전시켜 화장료가 수용체에 스며들도록 하는 침전식있고, 확산기와 압축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료 수용체 상으로 화장료를 분사하여 흡식시키는 분사식이 있다. 특히, 분사식의 예로는 하기 특허문헌 2와 특허문헌 3에 상세히 공개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하기 특허문헌 4)에 알려진 바와 같이,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을 하는 경우에만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가 있으면서,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주입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를 개발한 바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877호(명칭 : 발포 우레탄 홈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특허권자 : (주)아모레퍼시픽)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382호(명칭 : 퍼프에 파운데이션을 흡식시키는 방법 및 장치, 특허권자 : (주)아모레퍼시픽)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213호(명칭 : 파운데이션 충진장치용 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장치, 실용신안권자 : (주)아모레퍼시픽) [특허문헌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명칭 :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실용신안권자 :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전술한 특허문헌 4에 공개된 화장료 수용체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화장료 사용시 가압하는 경우에만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화장료가 배어나오게 되는 장점이 있지만, 화장료 수용체가 발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확보 및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화장료 수용체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장료 주입공간을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화장료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이 제1 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제1 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화장료 주입공간으로부터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제2 수용 구조부와,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이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되도록 하는 공간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수단은, 가장자리 둘레가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함께 접합되면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개재되는 그물망일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수단은, 가장자리 둘레가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함께 접합되면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개재되는 해면체일 수도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수단은,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을 분할하면서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를 부분적으로 열융착시킨 열융착부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화장료 수용체 내에 화장료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의 제1실시예와 화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그물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구비된 해면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의 제1실시예와 화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단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 제시된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10)는 휴대하기 용이한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화장용기(20)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화장용기(20)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21)에 화장료 수용체(10)가 안치되는데, 휴대 및 이동시 화장료 수용체(10)가 흔들림이나 이탈됨이 없이 안착홈(21)에 안정적으로 담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화장료 수용체(10)와 안착홈(21)의 외형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장료 수용체(10)은 평면 구조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하트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안착홈(21) 역시 이러한 화장료 수용체(10)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료 수용체(10)는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로 구성되어 이들이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이 되는데, 예를 들어 톰슨 프레스 열접합 방법을 사용하여 100∼110℃의 온도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가장자리 둘레만을 접합하게 된다. 이렇게 접합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로 구성된 화장료 수용체(10)는 제1 수용 구조부(11)가 저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화장용기(20)의 안착홈(21)에 안착이 된다.
이러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모두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과 같이 점성을 가진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소재로 구성이 된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스펀지'로 불리는 해면상(海綿狀) 구조의 다공성 소재가 대표적인데, 여기에는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러버 등이 포함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구조라면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였을 때 화장료 수용체(10)에 수용된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에 스며든 상태에서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에 형성되는 공극(G)의 크기는 95∼130ppi(pore per inch)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pi'는 단위 크기(inch) 당 공극의 수를 나타내는데, ppi값이 작을수록 공극의 개수가 적으면서 공극의 크기가 크며, ppi값이 클수록 공극의 개수는 많으면서 공극의 크기는 작은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ppi값이 작을수록 화장료가 빨리 스며드는 반면, ppi값이 클수록 화장료가 천천히 스며들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제2 수용 구조부(12)가 가압되었을 때 점성을 가진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에 스며든 상태에서 적정량이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극(G)의 크기를 95∼130ppi로 설정하고 있는데, 만일 95ppi 미만일 경우에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의 표면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고, 130ppi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더라도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의 표면으로 배어나오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사이에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를 주입할 수 있게 되면서 화장료를 주입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S)이 형성된다. 즉,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접합됨에 따라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약간 볼록한 상태가 되면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사이에 공간(즉, 화장료 주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화장료 주입 공간(S) 내에 주입된 화장료는, 사용자가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는 경우에만 제2 수용 구조부(12)의 공극(G)을 통해 배어나오게 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해면상의 다공성 소재처럼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소재로 구성이 되는데, 사용자가 퍼프(puff)와 같은 화장도구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직접 화장을 하고자 할 때 제2 수용 구조부(12)의 표면을 가압하면 화장료 주입공간(S)으로부터 제2 수용 구조부(12)의 공극을 통해 적정량의 화장료가 스며들었다가 배어나오게 된다. 이처럼 적정량의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사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제2 수용 구조부(12)의 경도를 적정한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애스커(Asker)사의 FP형 경도기로 측정하였을 때, 제2 수용 구조부(12)의 경도는 1∼30 범위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수용 구조부(11)는 경도값을 반드시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제조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2 수용 구조부(12)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수용 구조부(12)의 경도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였을 때 적정량의 화장료가 배어나오기가 곤란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양의 화장료가 배어나오게 되고, 사용감에 있어서도 지나치게 무르거나 딱딱한 느낌을 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제2 수용 구조부(12)의 두께(t)는 2∼12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수용 구조부(12)의 두께(t)가 2mm 미만으로 형성이 되면, 화장료 주입공간(S) 내에 주입되어 있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거의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화장료가 임의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 제2 수용 구조부(12)의 두께(t)가 12mm를 초과하여 형성이 될 경우에는, 화장료 주입공간(S)으로부터 제2 수용 구조부(12)의 공극(G)을 통해 화장료가 배어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큰 힘으로 가압하여야 하는 반면에 화장료가 배어나오는 양은 감소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화장용기(20)에 화장료 수용체(10)를 담기 위해 확보하여야 하는 공간이 커지므로 제품 디자인상 불리하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장료 수용체(10)에 주입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도 가능한데, 페이스트, 유액, 크림, 겔, 미용액, 유탁액, 현탁액,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수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클렌징 등 액상과 유화물 및 점성형 혼합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크림, 맛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바디 클렌저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통상적으로 '스펀지'로 불리는 해면상(海綿狀) 구조의 다공성 소재인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러버 등으로 제조가 되기 때문에,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S)을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화장료 주입공간(S)의 형태를 일정하게 확보 및 유지하기 위한 공간유지수단을 개시한다.
즉,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구비된 그물망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공간유지수단은 그물망(13)으로 예시되어 있다.
상기 그물망(13)은 가장자리 둘레가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가장자리 둘레에 함께 접합되면서 화장료 주입공간(S) 내에 개재되는데, 이 그물망(13)이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가장자리 둘레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화장료 주입공간(S) 내에서 화장료 주입공간(S)이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구비된 해면체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유지수단이, 가장자리 둘레가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함께 접합되면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개재되는 해면체(14)로 예시된 것이다.
상기 해면체(14) 역시 제1실시예의 그물망(13)과 마찬가지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가장자리 둘레 부분을 지지함과 아울러 화장료 주입공간(S) 내에서 화장료 주입공간(S)이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물망(13)은 2차원적인 소재인데 비해 해면체(14)는 3차원적인 소재이므로 화장료 주입공간(S)을 일정한 형태로 유지하는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유지수단이,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S)을 분할하면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를 부분적으로 열융착시킨 열융착부(15)로 예시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열융착부(15)는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중앙을 일직선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융착된 부분으로써, 이 열융착부(15)가 화장료 주입공간(S)을 지지하는 구조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화장료 주입공간(S)이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더욱이, 열융착부(15)에 의해 화장료 주입공간(S)이 두 개의 공간으로 분할됨으로써, 각각의 분할된 공간에 서로 다른 색상의 화장료를 주입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화장료를 블랜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열융착부(15)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열융착부(15)가 두 개 이상 복수 개로 형성되면 화장료 주입공간(S)도 세 개 이상으로 분할되므로, 화장료 주입공간(S)의 활용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화장료 수용체 11 : 제1 수용 구조부
12 : 제2 수용 구조부 13 : 그물망
14 : 해면체 15 : 열융착부
G : 공극 S : 화장료 주입공간

Claims (4)

  1.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 수용 구조부;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으로부터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제2 수용 구조부; 및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이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되도록 하는 공간유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수단은,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 상기 제2 수용 구조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함께 접합되면서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개재되는 그물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수단은, 가장자리 둘레가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 상기 제2 수용 구조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함께 접합되면서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개재되는 해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유지수단은,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을 분할하면서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를 부분적으로 열융착시킨 열융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2020130004842U 2013-06-17 2013-06-17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200469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842U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06-17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842U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06-17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211Y1 true KR200469211Y1 (ko) 2013-10-11

Family

ID=5073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842U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06-17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21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06B1 (ko) * 2015-09-09 2016-02-01 (주)와코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및 그 장치
KR200479842Y1 (ko) 2014-11-18 2016-03-14 (주)아모레퍼시픽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9864Y1 (ko) 2013-10-31 2016-03-16 (주)아모레퍼시픽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KR20210114206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218B1 (ko) 2012-01-11 2012-07-03 한국콜마 주식회사 메이크업 셋트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276325B1 (ko) 2013-03-29 2013-06-21 김태연 화장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218B1 (ko) 2012-01-11 2012-07-03 한국콜마 주식회사 메이크업 셋트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276325B1 (ko) 2013-03-29 2013-06-21 김태연 화장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864Y1 (ko) 2013-10-31 2016-03-16 (주)아모레퍼시픽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9842Y1 (ko) 2014-11-18 2016-03-14 (주)아모레퍼시픽 겔상 내용물의 잔량 방지가 용이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590406B1 (ko) * 2015-09-09 2016-02-01 (주)와코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및 그 장치
KR101738121B1 (ko) * 2016-07-21 2017-06-08 (주)영서물산 함침용 쿠션 어셈블리
KR20210114206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6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046921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US10918188B2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screen mes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U2010125318A (ru) Система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и
US9913524B2 (en) Gel cosmetic applicator
KR101841934B1 (ko) 이중 헤어 브러쉬
KR20140038880A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EP1769697A4 (en) APPLICATOR FOR HAIR AND COSMETIC CONTAINER WITH APPLICATOR
KR101886141B1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KR200456107Y1 (ko)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KR200477062Y1 (ko) 액체화장품용 퍼프
KR102324556B1 (ko) 화장품 용기
CN206079483U (zh) 具有由止回阀实现的密封结构的化妆品管体
KR102430854B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0478728Y1 (ko) 상하 표면에 담지홈이 형성된 담지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118279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KR101533951B1 (ko) 팩트형 화장품의 액체 화장액 충진방법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898131B1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53976Y1 (ko) 스프링을 구비한 화장품용 퍼프
KR101520372B1 (ko)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US20160113373A1 (en) Eyebrow and/or eyelash tinting kit for home application
KR101774371B1 (ko) 브러시 겸용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