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325B1 - 화장기구 - Google Patents

화장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325B1
KR101276325B1 KR1020130034209A KR20130034209A KR101276325B1 KR 101276325 B1 KR101276325 B1 KR 101276325B1 KR 1020130034209 A KR1020130034209 A KR 1020130034209A KR 20130034209 A KR20130034209 A KR 20130034209A KR 101276325 B1 KR101276325 B1 KR 10127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discharge hole
user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102013003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5Flexible holders, pouches for powder or powder p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화장기구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장기구는 화장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 상기 화장료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화장료 배출공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용기가 원상태일 경우,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상기 화장료 입자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이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늘어난 경우,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상기 화장료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확장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기구{MAKEUP DEVICE}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형태의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색조, 기초로 분류하는 바 액상, 분말, 고형, 기타 여러가지 형태 등으로 이루어져, 얼굴이나 피부에 바르면서 화장을 한다.
이러한 화장품 중 색조화장은 통상적으로 파우더(분말파우더및 케익형태 액상형태등)케이스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퍼프 및 파우더가 들어있는 파우더케이스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파우더를 퍼프에 묻혀 화장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통상의 퍼프는 후로킹이나 스폰지 형태의 퍼프 본체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하는 퍼프용 리본을 구성되며, 이때, 퍼프 본체는 스폰지나 부직포로 된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다.
또한, 화장품 중 기초화장은 크림 종류(스킨, 로숀 크림, 아이크림, 맛사지 크림)는 플라스틱, 유리, 크리스탈과 같이 강성을 갖는 용기에 담겨져 있어, 사용시 뚜껑을 열어 용기에 담겨진 내용물(화장료)을 손가락으로 떠내거나 손바닥에 떨어 피부에 두드려 발라줌으로써 화장을 하였다.
아울러, 최근에는 용기에 펌핑장치가 설치된 화장품이 개발되었으며, 사용자는 펌핑장치를 눌러, 용기내의 내용물을 배출시켜 화장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화장품들을 이용하여 화장을 할 경우, 파우더 종류의 화장품에서는 퍼프 또는 파우더(액상, 분체 및 케익)가 들어 있는 파우더케이스를 들고 다니며 열고닫고 화장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퍼프 및 파우더케이스 제조를 위한 많은공정의 제조라인을 구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초화장또한 크림, 로숀, 스킨 종류의 화장품에서는 뚜껑을 열고 용기내에서 화장료(내용물)를 떠내어 피부에 바르거나, 펌핑동작을 해서 화장료를 손에 모아 피부에 발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사용하고 뚜껑을 닫지 않을 경우, 용기 내의 화장료(스킨)가 증발하거나, 화장료(로숀,크림)가 변질/변색되는 문제가 있어, 뚜껑을 꼭 닫아 주어야 하는 불폄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디자인등록 30-0664059호 대한민국 디자인등록 30-065878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001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2198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화장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더, 크림, 로션, 스킨 등의 화장료를 보다 용이하게 피부에 도포할 수 있도록 기능구조가 개선된 형태의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화장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 상기 화장료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화장료 배출공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용기가 원상태일 경우,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상기 화장료 입자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이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이 늘어난 경우,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상기 화장료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확장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실리콘, 라텍스, 폴리우레탄, 고무등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일측면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입자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을 천공하여 제작되어,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상기 화장료가 상기 화장료 배출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이 늘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화장료 배출공이 확장되어 상기 화장료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일측면은, 양측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을 천공한 후,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여 제조됨으로써, 상기 용기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일자형태로 차단된 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이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확장되어 상기 화장료가 통과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모듈; 및, 상기 용기의 하면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의 하면을 신장시키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기존의 화장품과 같이 뚜껑을 열어 손가락으로 용기에서 화장료를 떠내어 사용하는 불편함없이, 용기 자체를 얼굴에 대고, 눌러 줌으로써, 용기의 하면으로부터 화장료가 배출되어 피부에 도포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편하게 화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화장이 끝난 후, 별다른 동작없이 용기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해 주기만 하면, 화장료 배출공이 차단되어, 용기가 밀폐되어 화장료가 배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화장료를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용기의 일측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어, 보다 쉽게 사용자가 화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진동과 초음파가 발생됨으로써, 화장료를 피부에 보다 골고루 바를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에 깊숙히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장기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하면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화장기구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용기 하면에 형성된 화장료 배출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화장기구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화장기구에 액상파우더를 충진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화장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화장기구에서 손가락 삽입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용기(20)와, 상기 용기(20) 내에 수용되는 화장료(c)를 포함한다.
용기(20)는 상부 중앙에 개방구(21)가 형성되며, 용기(20)는 상기 개방구(21)를 막는 뚜껑(29)을 구비한다. 용기(20)내에는 일정 용량의 공간이 형성되어, 화장료(c)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용기(20)의 개방구(21)를 통해 화장료(c)를 용기(20) 내부로 넣은 후, 뚜껑(29)으로 개방구(21)를 막아줌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뚜껑(29)은 용기(20)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고, 고주파나 여타의 열융착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본 실 시 예에 따른 용기(20)는 신축성을 갖는 얇은 실리콘, 라텍스, 폴리우레탄, 일반적인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다만, 뚜껑(29)은 용기(20)와 같은 재질이거나, 플라스틱재질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20)의 하면 즉, 피부와 접촉되는 면에는 다수의 화장료 배출공(24)이 형성된다. 이때, 용기(20)의 하면은 평평하거나 디자인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용기(20)의 측면은 둥글게 라운딩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름관형식이나, 옆으로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장료 배출공(24)은 용기(20)의 하면이 외력에 의해 늘어날 경우, 액상 화장료(c)가 통과할 수 있게 되며, 외력이 제거된 경우, 화장료 배출공(24)이 폐쇄되어 액상 화장료(c)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즉, 화장료 배출공(24)은 액상 화장료(c) 입자가 통과하지 못할 미세크기로 용기(20)의 하면을 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2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화장료 배출공(24)의 크기가 액상 화장료(c) 입자보다 작아 액상 화장료(c)가 화장료 배출공(도 3의 24)을 통과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용기(20)의 하면이 늘어난 경우(신장된 경우), 화장료 배출공(도 5의 24)이 확장되어 액상 화장료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화장료(c)는 액상 또는 반액상(에멀전)의 스킨, 크림, 또는 로션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용기(20)의 하면을 늘린 상태에서 용기(20)의 하면을 피부에 두드리면, 화장료 배출공(도 5의 24)을 통해 화장료(c)가 피부에 골고루 도포되어 화장을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화장기구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20)의 내측에 오목한 접시 형상을 갖는 휘어진 형태의 판 스프링(3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20)의 하면이 피부에 접촉되게 한 후, 뚜껑(29)을 눌러주면, 판 스프링(31)이 펴지면서, 용기(20)의 하면이 늘어나, 화장료 배출공(도 5의 24)이 확장되고, 이 화장료 배출공(24)을 통해 화장료가 배출되어 피부에 도포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용기(20)를 눌렀던 외력을 제거하면, 판 스프링(31)의 복원력에 용기(20)도 원상태로 복원 즉, 용기(20) 하면이 수축함으로써, 화장료 배출공(24, 도 3)이 원상태가 되어, 화장료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판 스프링(31)은 용기(20) 내부의 화장료(c)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도록 중앙 또는 일측이 뚫려 있거나, 판 스프링(31) 전체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용기(20)의 내측에 판 스프링(31)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용기(20)를 누름에 따라, 판 스프링(31)이 퍼지면서 용기(20)의 하면이 늘어나고, 외력제거시, 판 스프링(31)의 복원에 의해 용기(20)도 원상태로 복원될 수만 있으면, 판 스프링(31)이 용기(20)의 외측(외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용기(20)의 하면을 늘이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료 (c)입자 보다 작은 미세크기로 화장료 배출공(24)을 천공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다른 방법으로, 도 6a와 같이, 용기(20)의 하면을 양측으로 신장시켜 늘인 상태에서 화장료 배출공(24)을 천공한 후, 용기(20)의 하면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여, 도 6b와 같이, 탄성재질의 용기(20) 하면을 원상태로 수축시킴으로써, 용기(20) 하면에 형성된 화장료 배출공(24)이 일자형태로 차단되도록 하는 공정을 통해 용기(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용기(20) 하면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도 6b와 같이, 화장료 배출공(24)이 일자형태로 차단된 상태가 되어, 화장료(c) 입자가 통과할 수 없으며, 용기(20) 하면이 늘어날 경우, 도 5a와 같이 화장료 배출공(24)이 확장되어, 화장료(c) 입자가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설명한다. 제 2 실시 예의 화장기구는 제 1 실시 예의 화장기구에 비해, 화장료(c)가 액상 파우더이며, 덮개부재(36) 및 손가락 삽입부(40)가 추가로 구성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덮개부재(36)는 후로킹이나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20)의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덮개부재(36)를 용기(20)의 하면에 접착제로 접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재(36)를 감싸는 틀(미도시)을 구성하여, 상기 틀을 용기(20)의 하면에 스냅결합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삽입부(40)는 골무 형태로 구성되어, 뚜껑(29)의 상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다만 손가락 삽입부(40)는 골무형태가 아니라 반지형태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손을 끼우거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손가락 삽입부(40)에 손가락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덮개부재(36)가 피부에 닿도록 한 후, 눌렀다 땠다를 반복하면서 두드려주면, 용기(20) 하면의 화장료 배출구(24)가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화장료(c)인 액상 파우더가 배출되어 덮개부재(36)에 흡수된 후, 덮개부재(36)와 접촉되는 피부에 골고루 도포되게 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설명한다.
제 3 실시 예의 화장기구는 제 1 실시 예의 화장기구에 비해, 진동발생모듈(35)과 초음파 발생모듈(37)이 추가로 설치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므로 차이가 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진동발생모듈(35)은 소형진동모터로 구성되거나, 그 외에도 전기의 인가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진동발생모듈(35)은 뚜껑(29)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때, 진동발생모듈(35)이 뚜껑(29)과 일체로 제작되거나, 뚜껑(29)의 내측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모듈(37)은 초음파 진동자로 구성되거나, 그 외에도 전기의 인가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초음파 발생모듈(37)은 용기(20)의 하면에 설치된다.
아울러, 진동발생모듈(35) 또는 초음파 발생모듈(37)의 일측에 전원공급용 배터리(38)와 온/오프 동작 스위치(3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스위치(39) 조작에 의해 진동발생모듈(35)로부터 진동이 발생하고, 초음파 발생모듈(37)로부터 초음파가 발생되면, 용기(20) 하면의 화장료 배출공(24)을 통해 배출되는 화장료가 피부에 골고루 도포될 수 있고, 피부 깊숙히 침투하여 화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를 설명한다.
제 1,2,3 실시 예의 화장기구는 외형이 통상의 화장품 용기와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었으나,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장기구는 통상의 퍼프와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
제 4 실시 예의 화장기구는 퍼프형 용기(20')와, 용기(20')의 내부에 내장되는 수용부재(50) 및, 상기 수용부재(50)에 흡수저장된 화장료(c)를 포함한다.
용기(20')는 퍼프 외피 형상과 같이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용부재(5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하 두조각으로 재단된 원단형태로 구성되어, 두 조각의 원단 사이에 수용부재(50)를 넣고, 두 조각의 원단의 가장자리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20')는 수용부재(10)를 감싸도록 구성되면 한 조각으로 구성되든, 어떠한 방식으로 제조되어도 무방하다.
수용부재(50)는 스펀지나 부직포와 같이 복수의 기공을 갖는 쿠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용부재(10)에는 액상파우더로 된 화장료(c)가 주입되어, 수용부재(50)에 화장료(c)가 흡수 저장된다. 즉, 수용부재(50)는 화장료(c)를 흡수된 상태로 조장할 수 있으며, 수용부재(50)가 눌리거나 충격에 의해 수용부재(50)로부터 화장료(c)가 빠져 나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화장기구는 수용부재(50)에 화장료(c)를 주입하기 위하여 도 12와 같이, 니즐(바늘) 형태의 파우더 삽입유닛(60)을 이용해, 용기(20')를 관통하여 수용부재(50)에 화장료(65, 액상파우더)를 주입함으로써, 수용부재(50)에 화장료(c, 65)가 흡수되어 저장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용기(20')의 상면에는 골무 형태의 손가락 삽입부(40')가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화장을 할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삽입부(40')에 검지나 또는 검지와 중지를 함께 끼워 넣은 다음, 엄지와 약지를 이용해 도 13과 같이, 용기(20')를 활처럼 휘도록 늘려줌으로써, 용기(20')의 하면이 늘어나 확장된 화장료 배출공(도 13의 24')을 통해 수용부재(50)에 포함된 화장료(c)가 화장료 배출공(도 13의 24')을 통해 배출되어, 피부에 도포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용기(20')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용기(20')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화장료 배출공(도 11의 24')이 원상태로 되어, 화장료(c)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퍼프형 용기(20')에 골무형태의 손가락 삽입부(40')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손가락 삽입부(40')를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도 14와 같이, 통상의 퍼프에 적용되는 밴드(리본)형 퍼프 손잡이(7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20...용기
24...화장료 배출공
29...뚜껑
31...판 스프링
35...진동발생모듈
36...덮개부재
37...초음파발생모듈
38....배터리
39...스위치
40...손가락 삽입부
50...수용부재
70... 밴드형 퍼프 손잡이

Claims (7)

  1. 화장료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
    상기 화장료가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화장료 배출공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용기가 원상태일 경우,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상기 화장료 입자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이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이 늘어난 경우,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상기 화장료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확장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실리콘, 라텍스, 폴리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측면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입자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을 천공하여 제작되어,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는 상기 화장료가 상기 화장료 배출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이 늘어난 상태에서는 상기 화장료 배출공이 확장되어 상기 화장료가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측면은, 양측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을 천공한 후,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여 제조됨으로써, 상기 용기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원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일자형태로 차단된 상태가 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용기의 일측면이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화장료 배출공은 확장되어 상기 화장료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모듈; 및,
    상기 용기의 하면에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용기의 하면을 신장시키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기구.





KR1020130034209A 2013-03-29 2013-03-29 화장기구 KR10127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209A KR101276325B1 (ko) 2013-03-29 2013-03-29 화장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209A KR101276325B1 (ko) 2013-03-29 2013-03-29 화장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325B1 true KR101276325B1 (ko) 2013-06-21

Family

ID=4886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209A KR101276325B1 (ko) 2013-03-29 2013-03-29 화장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3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101520372B1 (ko) * 2013-12-03 2015-05-20 (주)아모레퍼시픽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WO2017105045A1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WO2018204373A1 (en) * 2017-05-02 2018-11-08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sponge
KR101937812B1 (ko) * 2018-08-02 2019-01-14 주식회사 트리샤 화장용 퍼프
KR102020823B1 (ko) * 2018-08-01 2019-09-11 전재광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KR102176747B1 (ko) * 2019-06-24 2020-11-0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KR20210000577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220158299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뉴퐁 초음파를 가하여 화장품을 활성화시키는 코스메틱 부스터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68Y1 (ko) 2001-11-06 2002-05-06 유강식 파우더 콤팩트용 리필케이스 구조
KR100698407B1 (ko) 2006-03-17 2007-03-2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058359B1 (ko) 2011-04-05 2011-08-22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진동수단이 내장된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68Y1 (ko) 2001-11-06 2002-05-06 유강식 파우더 콤팩트용 리필케이스 구조
KR100698407B1 (ko) 2006-03-17 2007-03-2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058359B1 (ko) 2011-04-05 2011-08-22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진동수단이 내장된 화장용 퍼프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101520372B1 (ko) * 2013-12-03 2015-05-20 (주)아모레퍼시픽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US10709225B2 (en) 2015-12-14 2020-07-14 Cosmecca Korea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puff using membrane film, and cosmetic puff producing using same
WO2017105045A1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20170070484A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101875423B1 (ko) 2015-12-14 2018-08-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WO2018204373A1 (en) * 2017-05-02 2018-11-08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 sponge
KR102020823B1 (ko) * 2018-08-01 2019-09-11 전재광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KR101937812B1 (ko) * 2018-08-02 2019-01-14 주식회사 트리샤 화장용 퍼프
KR102176747B1 (ko) * 2019-06-24 2020-11-0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KR20210000577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42345B1 (ko) 2019-06-25 2021-04-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220158299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뉴퐁 초음파를 가하여 화장품을 활성화시키는 코스메틱 부스터 디바이스
KR102560974B1 (ko) 2021-05-24 2023-07-28 주식회사 뉴퐁 초음파를 가하여 화장품을 활성화시키는 코스메틱 부스터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325B1 (ko) 화장기구
US7461992B2 (en) Applicator and a kit including such an applicator
JP5933745B2 (ja) パーソナルケア器具及び組立方法
JP2002238659A (ja) 製品を包装し適用するための装置
CN111246771B (zh) 化妆品容器
CN103140195B (zh) 具有软边缘的铰接垫
JP2017029608A (ja) 化粧品容器
KR200469110Y1 (ko)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KR100454385B1 (ko) 화장용 파우더가 내장되는 화장용구
KR200477062Y1 (ko) 액체화장품용 퍼프
KR101062166B1 (ko) 액상 화장품 도포용기
JP2008055153A (ja) 交替可能なタッチ部付き化粧品容器
KR20190071291A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20180094322A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US200800154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body piercings
WO2017108587A1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KR200473105Y1 (ko) 화장용 퍼프
KR200485998Y1 (ko) 분할 도포영역을 구비한 화장용 도포구
JP2004033766A (ja) 指の先に固定可能な接着アプリケータ
KR20190038079A (ko) 화장품
JP2017119068A (ja) 化粧料製品を施与するためのアプリケーター
KR101936843B1 (ko) 화장품
KR20170111612A (ko) 변형형상이 유지되는 화장도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27041A (ko) 화장 퍼프
KR101910441B1 (ko) 화장품 수납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