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322A -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322A
KR20180094322A KR1020170020486A KR20170020486A KR20180094322A KR 20180094322 A KR20180094322 A KR 20180094322A KR 1020170020486 A KR1020170020486 A KR 1020170020486A KR 20170020486 A KR20170020486 A KR 20170020486A KR 20180094322 A KR20180094322 A KR 2018009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protrusion
main body
present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0854B1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7002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8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Cosmetic applicator having projecting part and cosmetic good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화장도구 중 퍼프와 같이 피부의 톤 또는 결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도구 대부분은 피부의 넓은 도포 면적과 형태를 고려하여 피부와 접촉하는 면이 평평한 면을 갖는 원판형 또는 사각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입체적인 얼굴에 보다 효과적으로 화장료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얼굴의 입체적 형상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의 화장도구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탄성을 가지는 화장도구의 형상을 인위적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화장도구의 탄성으로 인해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하여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화장도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및 휴대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일본 실용 등록 제3,175,566호(2012년 5월 17일 발행)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적 형상이 상이한 피부 영역에 효과적으로 화장료를 전달할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면은 평평한 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에 비해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금속, 수지, 발포폼 및 압축 발포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비투과성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비투과성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에 비해 화장료 흡수력이 높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정점영역과; 상기 정점영역과 상기 제1면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면을 덮고 있으며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 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면에 편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두께의 20% 내지 150%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면적은 상기 제1면의 면적의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고정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용구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는 담지체 유닛; 상기 담지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으면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 유닛, 상기 안착부 및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져서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입체적 형상을 갖는 피부 화장이 용이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a, 도 15b 및 도 15c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도 16의 XVII-XV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장도구로서 퍼프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를 전달하는 모든 화장도구에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평면도이다.
화장도구(10)는 퍼프라고도 불리며 본체(11)와 돌출부(12)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1)와 돌출부(12) 사이에는 돌출부(12)를 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층이 있을 수 있다. 접착층은 접착제로 이루어지거나 접착필름일 수 있다. 접착제로는 핫멜트나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는 둥근 판상으로 제1면과 제2면을 가지고 있다. 본체(11)의 재질은 탄성을 가지는 다공질일 수 있으며, 특히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포 폼은 건식 발포방식 또는 습식 발포방식으로 발포될 수 있으며, 발포 폼은 파이버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의 다공성 재질로는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바이오 셀룰로오스 또는 스코리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합성 또는 천연의 섬유 재질일 수 있다. 천연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셀룰로오스, 천연펄프, 수세미(loofah), 모시, 라미(식물), 아야테(ayate, 용설란 또는 야자나무의 거친 피륙), 조류(algae), 대나무(Bamboo), 사이잘(sisal), 사이잘 테리(sisal terry, 사이잘로 짠 천), 곤약, 텐셀TM 파이버 원단(유칼립투스 나무로 만든 천연 항균 기능의 텐셀 섬유), 코튼 펠트, 텐셀 솜, 마닐라 삼(abaca fib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합성 섬유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나일론, 아세테이트 섬유, 나일론 부직포, 카시미론 파이버(아크릴로니트릴CH2=CH-CN 섬유를 주요구성 성분으로 하는 합성섬유 즉 아크릴 섬유), 컴포트 파이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 PLA(polylactic acid), 폴리유산계 복합 섬유(친환경 생분해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11)는 사각판상, 타원판상 또는 다각형 판상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12)는 본체(11)의 제1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고정'은 돌출부(12)와 본체(11)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돌출부(12)는 본체(11)보다 강도가 큰, 즉 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2)의 구체적인 재질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발포폼, 압축 발포폼,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또는 라텍스 폼일 수 있다. 발포폼 또는 압축 발포폼은 본체(11)와 동일한 재질 또는 다른 재질일 수 있다. 금속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티타늄 또는 합금(예를 들어, 아연,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구리의 합금, 상표명 ZAMAK)일 수 있다.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설린,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옥시메틸렌일 수 있다.
돌출부(12)는 속이 비어있는 형태이거나, 속이 비어있으면서 제1면과 마주하는 부분이 열려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돌출부(12)는 정점영역(A)과 연결영역(B)을 가진다. 정점영역(A)은 돌출부(12)에서 가장 높은 부분으로 제1실시예에서는 점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영역(B)은 정점영역(A)과 제1면 사이에 위치하며 제1실시예에서는 점차적으로 높이가 변화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돌출부(12)는 제1면에서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부(12)의 높이(d1)(제1면에서 돌출부(12)의 가장 높은 곳까지의 거리)는 본체(11)의 두께(d2)의 20% 내지 200%, 20% 내지 150%, 50% 내지 200% 또는 50% 내지 150%일 수 있다.
화장료가 전달되는 전달면은 제1면 중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1전달면과 돌출부(12) 중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제2전달면을 포함한다. 제2전달면은 제1전달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4에 도시한 평면도 상에서 제2전달면의 면적은 제1면 면적의 5 내지 50%, 5 내지 40%, 5 내지 30% 또는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면적'은 돌출부(12)의 표면적을 고려하지 않은 평면도 상에서의 면적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화장도구(10)를 이용한 화장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화장도구(10)의 전달면을 화장료에 접촉하여 화장도구(10) 내에 화장료를 전달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얼굴 등의 피부에 전달면을 접촉시켜 화장도구(10) 내에 전달되어 있는 화장료를 얼굴에 다시 전달시켜 화장을 수행한다.
이 때 사용자는 일정한 높이의 제1전달면과 돌출되어 있는 제2전달면을 적절히 활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볼이나 이마와 같이 넓은 면적을 갖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평평한 면을 가지는 부분에는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1전달면을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하고 콧망울과 뺨의 경계부, 눈머리, 입가장자리 같이 주변보다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은 정점영역을 가지고 있는 제2전달면을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한다. 따라서, 주변보다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을 갖는 피부 영역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 제2 전달면에 의해 화장료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피부의 일부분만 화장을 하거나 고치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제2전달면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화장도구(10)로 다양한 화장도구 형태에 대한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화장도구(10)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이를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으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서는 제1면 상에 비투과성막(13)이 위치하고 비투과성막(13) 상에 돌출부(12)가 위치한다. 비투과성막(13)은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착제를 투과시키지 않는다.
비투과성막(13)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과정에서 접착제가 본체(11)에 흡수되지 않아 돌출부(12)의 고정이 용이해진다.
도 6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서는 비투과성막(13)이 돌출부(12) 하부에만 한정되어 위치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서는 본체(11)가 하부의 제1본체(11a)와 상부의 제2본체(11a)로 나누어지고, 제1본체(11a)와 제2본체(12a) 사이에 비투과성막(13)이 위치한다. 제2본체(11b)는 제1본체(11a)보다 얇게 마련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2본체(11b)에 의한 화장료 전달성은 가지면서도 제2본체(11b)가 얇기 때문에 제조과정에 접착제 흡수는 억제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제5실시예에서는 본체(11) 중 돌출부(12)에 대응하는, 즉, 돌출부(12)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C)의 두께가 감소되어 있다. 두께의 감소는 본체(11)의 제조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돌출부(12)의 고정과정에서 본체(11)가 압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2)가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1)에 고정된다.
도 9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서는 돌출부(12)가 하부의 제1부분(12a)과 상부의 제2부분(12b)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부분(12b)은 제1부분(12a)보다 강도가 약하고 화장료 전달력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6실시예에서의 전달력은 화장료를 흡수하는 용량을 가리킬 수 있다. 즉, 제1부분(12a)은 돌출부(12)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2부분(12b)은 돌출부(12)의 화장료 전달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제1부분(12a)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제2부분(12b)는 발포폼, 압축된 발포폼 또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제7실시예에서도 돌출부(12)는 하부의 제1부분(12a)와 상부의 제2부분(12b)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제6실시예와 달리 제1부분(12a)이 돌출부(12)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제2부분(12b)이 제1부분(12a)의 표면을 모두 덮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제8실시예에서 돌출부(12)는 돌출부 본체(121)와 고정레그(122)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레그(122)는 돌출부 본체(12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말단에 톱니(122a)를 갖는다. 본체(11)와의 결합 시 톱니(122a)가 본체(11) 내로 삽입된다. 제8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1)에 돌출부(12)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접착제나 접착층을 생략할 수도 있다.
고정레그(122)의 위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돌출부(12)의 형태,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제9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제9실시예에서는 돌출부(12)는 반구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도 13에 나타낸 제10실시예에서는 돌출부(12)는 반구형이며 2개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제11실시예에서는 돌출부(12)는 제1면을 가로지르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단면(연장방향의 가로방향)은 반원형이다. 제11실시예에서 돌출부(12)의 정점영역은 선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돌출부(12)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서로 다른 형태나 크기일 수도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b와 같이 화장도구(10)는 제2면을 가로지르는 손잡이 띠(14)를 포함한다.
도 15c는 돌출부(12)와 손잡이 띠(14)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1면의 돌출부(12)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제2면의 손잡이 띠(14)는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제1방향은 제2방향의 가로 방향이다. 제12실시예에서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 띠(14)에 손가락을 끼고 화장을 수행하는데 이 때 손가락은 제1방향이 된다. 즉, 손가락과 돌출부(12)의 제1방향이 서로 평행하여 사용자가 돌출부(12)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이 서로 평행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도 16의 XVII-XVII'를 따른 단면이다.
제13실시예에서는 제1커버(15)와 제2커버(16)가 본체(11) 및 돌출부(12)를 감싸고 있다. 따라서 본체(11) 및 돌출부(1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돌출부(12)에 의해 제1커버(15)에는 돌출영역(D)이 형성된다.
제1커버(15)와 제2커버(16)는 본체(11)의 측면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제1커버(15)와 제2커버(16)의 재질은 발포폼이나 천 등일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5)와 제2커버(16)의 접합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커버(15, 16)를 사용하면 돌출부(12)를 더욱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13실시예에서의 제1커버(15) 및 제2커버(16)는 이상 설명한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제14실시예에서도 커버(15, 16)가 사용된다. 다만, 제1커버(15) 자체에 두꺼운 부분이 있으며 이 부분이 돌출부(12)가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돌출부(12)를 제1커버(15)에 결합시킨 후 커버(15, 16)를 본체(11)와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돌출부(12)는 커버(15, 16)에 의해 본체(11)에 고정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화장용구(1)는 화장도구(10), 하부케이스(20), 상부케이스(30), 화장료 유닛(40), 및 안착부(5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20) 및 상부케이스(3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화장도구(10), 화장료 유닛(40) 및 안착부(50)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다.
화장료 유닛(40)은 담지체와 담지체 내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를 포함한다. 담지체는 폴리우레탄,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등의 발포폼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저점도일 수 있으며 액상일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유닛(40)은 또한, 담지체를 감싸는 담지체 케이스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40)은 하부 케이스(2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상 화장료는 담지체 없이 수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 유닛(40)은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와 화장료 배출을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50)는 케이스(20, 30)가 닫힌 상태에서 화장도구(10)를 안착시키며 화장료와 공기의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장료 유닛(40)을 밀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안착부(5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화장도구(10)는 돌출부(12)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화장용구(1)에서 각 구성요소의 개폐 및 연결을 위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화장용구(1)를 이용한 화장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케이스(20, 30)를 열고, 화장도구(10)를 손에 잡고, 안착부(50)를 열어 화장료 유닛(40)을 노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화장도구(10)를 화장료 유닛(40)과 접촉시켜 화장료를 화장도구(10)에 흡수한 후, 피부에 화장도구(10)를 접촉시키면서 화장을 수행한다. 화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화장도구(10)를 안착부(50)에 안착시킨 후 케이스(20, 30)를 닫게 된다.
사용자는 화장과정에서 화장도구(10)의 제1전달면과 제2전달면을 활용하여 화장을 수행한다.
한편, 화장도구(10)는 돌출부(12)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판상 형태이기 때문에 돌출부(12)에 의한 부피증가 및 이에 의한 화장용구(1)의 크기 증가는 크지 않다. 또한 돌출부(12) 하부에 위치한 본체(11)가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낮은 높이를 가지는 공간에서는 화장도구(10)는 돌출부(12)의 대부분의 높이가 본체(11)의 두께에 포함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도구(10)는 본체(11)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큰 공간에서도 충분히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도구(10)의 보관이 용이하며 화장용구(1)의 크기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평평한 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에 비해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금속, 수지, 발포폼 및 압축 발포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여 비투과성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와 상기 제2본체 사이에 위치하는 비투과성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부분은 상기 제1부분에 비해 화장료 흡수력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정점영역과;
    상기 정점영역과 상기 제1면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을 덮고 있으며 제2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손잡이 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의 가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면에 편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본체의 두께의 2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면적은 상기 제1면의 면적의 5%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고정레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6. 화장용구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
    화장료를 담지하고 있는 담지체 유닛;
    상기 담지체 유닛 상에 위치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으면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도구를 포함하며,
    상기 담지체 유닛, 상기 안착부 및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용구.
KR1020170020486A 2017-02-15 2017-02-15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430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486A KR102430854B1 (ko) 2017-02-15 2017-02-15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486A KR102430854B1 (ko) 2017-02-15 2017-02-15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22A true KR20180094322A (ko) 2018-08-23
KR102430854B1 KR102430854B1 (ko) 2022-08-09

Family

ID=63454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486A KR102430854B1 (ko) 2017-02-15 2017-02-15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8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35B1 (ko) * 2018-09-03 2020-0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200026844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WO2020050524A1 (ko) * 2018-09-03 2020-03-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447A (ja) * 1998-01-22 1999-08-03 Shiseido Co Ltd 化粧用塗布具
JP2005118433A (ja) * 2003-10-20 2005-05-12 Shiseido Co Ltd 化粧用パフ
JP3175566U (ja) 2012-02-29 2012-05-17 株式会社コージー本舗 化粧用パフ
KR20150132065A (ko) * 2015-11-11 2015-11-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JP2016506830A (ja) * 2013-02-07 2016-03-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塗布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447A (ja) * 1998-01-22 1999-08-03 Shiseido Co Ltd 化粧用塗布具
JP2005118433A (ja) * 2003-10-20 2005-05-12 Shiseido Co Ltd 化粧用パフ
JP3175566U (ja) 2012-02-29 2012-05-17 株式会社コージー本舗 化粧用パフ
JP2016506830A (ja) * 2013-02-07 2016-03-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塗布器
KR20150132065A (ko) * 2015-11-11 2015-11-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35B1 (ko) * 2018-09-03 2020-0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200026844A (ko) * 2018-09-03 2020-03-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WO2020050524A1 (ko) * 2018-09-03 2020-03-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854B1 (ko)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35783B (zh) 具有纤维和筛网的浸渍化妆品制品
JP4168043B2 (ja) 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を含むキット
KR20180094322A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US10653227B2 (en) Hollow unpressurized bouncy cosmetic applicator
WO2018074050A1 (en) Packaging and dispensing assembly for a cosmetic product
WO2006095912A1 (ja) 美容用具
KR20180012071A (ko) 화장용 퍼프
WO2020033776A1 (en) Makeup tool and applicator
AU779382B2 (en) A portable disposable personal article containing a product for body care
KR20140006439U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KR101947728B1 (ko) 복수의 손가락 삽입공간을 가지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52056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0473105Y1 (ko) 화장용 퍼프
JP2004033766A (ja) 指の先に固定可能な接着アプリケータ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28183B1 (ko) 화장용 퍼프
KR20180085879A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7217B1 (ko) 화장용 퍼프
KR101855920B1 (ko) 브러시와 퍼프가 동시에 구비된 화장도구
JP2021517051A (ja) パウダーパフなどの物品
CN109640735A (zh)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KR20180003314U (ko) 화장용 실리콘 퍼프
GB2492595A (en) Deformable soap reservo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