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823B1 -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823B1
KR102020823B1 KR1020180089662A KR20180089662A KR102020823B1 KR 102020823 B1 KR102020823 B1 KR 102020823B1 KR 1020180089662 A KR1020180089662 A KR 1020180089662A KR 20180089662 A KR20180089662 A KR 20180089662A KR 102020823 B1 KR102020823 B1 KR 10202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 composition
brush
outle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광
전동석
Original Assignee
전재광
전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광, 전동석 filed Critical 전재광
Priority to KR1020180089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일측에 브러시(110)가 구비되는 헤드부(100); 일측이 상기 헤드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200);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실리콘 재질의 퍼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를 이용하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종류에 따라 브러시와 퍼프를 신속하게 교대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밀착감 있는 화장이 가능하며, 화장도구의 보관,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Cosmetic tool having a brush and puff}
본 발명은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과 관계없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신속하고 밀착감 있게 바를 수 있도록 하는 브러시와 퍼프가 모두 구비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보송거리는 피부를 갖고자 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트윈 케익, 화장용 파우더, 컨실러, 비비크림, 씨씨크림 등(이하 "화장료 조성물" 이라 한다)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들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하는데, 밀착감 있는 터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퍼프는 전체적인 형상을 원형 또는 사각,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고 직물을 중합시키되, 피부 표면의 접촉부에 융과 같이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천 또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크림과 같은 리퀴드 형태의 화장료 조성물은 퍼프의 내부로 지나치게 과다한 양이 스며들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화장료 조성물의 소모가 매우 크고, 하나의 퍼프로는 단색의 화장료 조성물만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어서 다수의 퍼프를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리퀴드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과다하게 찍어 바르게 되면 흡수된 리퀴드 상태의 화장품 중 일부만이 피부에 도포되고 상당량이 스펀지에 그대로 남게 되거나 그 양이 과다할 때는 손잡이끈이 부착된 면으로 용출되는 등의 단점도 있다.
아울러, 퍼프에 잔류된 화장품은 보관시 딱딱하게 굳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차후 사용시 퍼프의 부드러운 촉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한번 사용한 퍼프는 세척해서 사용해야 하나 세척시 세척수가 다시 스펀지에 남게 되어 건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잔류하는 세척수 및 화장료 조성물에 의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며, 반복적인 세척 및 건조로 인해 퍼프의 부드러움이 상실되거나 본래의 물성을 잃게 되어 내구성이 약해지며, 촉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형태 혹은 오일리하고 단단한 뭉침 형태 또는 액체 형태나 겔 형태로도 만들어지기 때문에 단일의 퍼프만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용자는 퍼프와 함께 별도의 브러시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화장을 하고 있다. 이에 밀착감 있는 화장을 위해서는, 퍼프와 브러시를 함께 휴대 및 보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단일의 화장품 용기 내에 퍼프와 브러시를 함께 수용하는 경우 화장품 용기가 지나치게 커지거나 퍼프 혹은 브러시의 크기가 작아지는 폐단을 갖고 있어, 상기와 같은 퍼프 혹은 브러시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체품 혹은 대안이 절실한 상태이다
KR 10-147622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측에는 브러시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실리콘 재질의 퍼프가 구비됨으로써, 휴대,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제형에 관계없이 화장료 조성물을 밀착감 있게 도포할 수 있는 브러시와 퍼프가 모두 구비된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퍼프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고, 외력에 의해 소량씩 유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화장료 조성물 또한 요구되지 않는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는, 일측에 브러시가 구비되는 헤드부; 일측이 상기 헤드부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타측에 결합되는 실리콘 재질의 퍼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퍼프는, 내부공간; 상기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유출구;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져, 상기 퍼프가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퍼프는, 상기 유출구를 개폐시키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퍼프는, 상기 손잡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퍼프의 일단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를 이용하면,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종류에 따라 브러시와 퍼프를 신속하게 교대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밀착감 있는 화장이 가능하며, 화장도구의 보관,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고, 퍼프에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는 것이 방지되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퍼프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도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화장료 조성물이란 리퀴드, 크림, 겔 타입, 파우더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제형을 제한하지 않으며, 파운데이션은 물론, 선크림, 비비크림, 씨씨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우더 등 종래 퍼프와 브러시를 통해 피부에 도포, 블랜딩하는 종류의 것은 모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종래 화장도구는 퍼프, 브러시 등이 별도로 마련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종류에 따라 화장도구를 신속하게 변경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다수 개의 화장도구로 인해 휴대, 보관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화장도구가 갖는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 일측에는 브러시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퍼프가 마련된 화장도구를 제공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화장도구를 신속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 보관 및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도구는, 일측에 브러시(110)가 구비되는 헤드부(100); 일측이 상기 헤드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200);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실리콘 재질의 퍼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100)는 일측에 브러시(110)가 구비되며, 타측에 손잡이(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그 형태나 크기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브러시는 일반적인 천연모, 합성모 브러시는 물론, 실리콘 브러시가 구비될 수 있는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손잡이(200)는 브러시(110)의 사용시 사용자가 잡게 되는 부분으로,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100)에 브러시(110)를 결합하는 방법이나 손잡이(200)를 결합하는 방법은 종래 공지된 구성으로, 종래 공지된 다양한 방법 및 구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에 실리콘 재질의 퍼프(300)가 결합되는데, 상기 퍼프(300)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블랜딩한다.
상기 퍼프(300)는 NBR(nitrile-butadiene rubber), 라텍스나 우레탄, 후로킹(flocking), PVA(Poly Vinyl Alcohol), 고무 등의 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퍼프(300)가 실리콘으로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사용시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300)에 함침, 흡수되지 않는 것은 물론, 극소량의 화장료 조성물만으로 얼굴 전체를 블랜딩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밀착력 및 지속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리콘 재질의 퍼프(300)는 물티슈나 스킨, 물 등을 함침시킨 화장솜 등으로 간단하게 닦아내는 것만으로도 세척이 가능하며, 종래 발포폼 등을 이용한 퍼프와는 달리, 미생물의 서식이 어려워 퍼프(300)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미온수, 열탕 또는 알코올 소독도 가능하며, 건조가 빠르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퍼프(300)를 무독성의 의료용 하이드로제닉 실리콘으로 구성함으로써, 피부 표면에 닿는 유해 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피부 트러블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도구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종류에 따라 브러시(110)와 퍼프(300)를 신속하게 교대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밀착감 있는 화장이 가능하며, 화장도구의 보관,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퍼프(300)는 도 2에서와 같이, 내부공간(310); 상기 내부공간(310)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유출구(320); 상기 내부공간(310)에 채워져, 상기 퍼프(300)가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상기 유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화장료 조성물(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퍼프(300)의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400)이 충진되도록 하고, 사용시 충진된 화장료 조성물(400)을 소량씩 유출시켜 사용함으로써, 화장도구와 별도로 화장료 조성물을 구비하여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없앤 것이다.
이때, 상기 퍼프(3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10)은, 그 크기나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리퀴드, 겔 타입 등의 화장료 조성물(400)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320)는 퍼프(300)의 끝단부, 즉 손잡이(200)가 결합되지 않은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310)을 퍼프(300) 외부로 연통시킴으로써, 퍼프(300)의 사용시 내부공간(310)에 충진된 화장료 조성물(400)이 외력에 의해 퍼프(300)가 압축될 때 상기 유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손쉽게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320)는 그 크기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유출구(320)의 크기가 클 경우 소량씩 사용되는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료 조성물(400)의 양 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가 작더라도 손쉽게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유출구(320)의 직경을 0.1~1mm 정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퍼프(300)의 표면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는바, 미세요철부를 통해 상기 퍼프(300)가 피부 표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400)의 밀착 및 지속력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400)은, 상기 퍼프(300)의 내부공간(310)에 수용이 가능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유출구(32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는 리퀴드, 크림, 겔 타입 등이면 족하며, 그 종류는 파운데이션, 선크림, 비비크림, 씨씨크림,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등을 모두 적용 가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장도구는 별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퍼프(300)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400)을 소량씩 유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 편의성 및 휴대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이 퍼프에 함침되는 것이 방지되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일정 수준의 외력을 가해 화장도구의 타측에 구비된 퍼프(300)를 압축시키면, 상기 퍼프(300)의 내부공간(310)에 충진된 화장료 조성물(400)이 상기 내부공간(310)에 연결 형성된 유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로 유출된 화장료 조성물(400)을 피부 표면에 살짝 도포해 둔 후, 도 4에서와 같이, 화장도구의 일측에 구비된 브러시(110)나 퍼프(3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교대로 이용하여 피부 결을 따라 도포 및 블랜딩시킨다. 그리고 상기 퍼프(300)를 물티슈, 화장솜 등으로 세척한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110)와 퍼프(300)의 사용 순서는 무관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1종만을 사용하거나, 2종 모두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화장도구는 상기 퍼프(300)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 조성물(400)을 도포, 블랜딩할 때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별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 블랜딩할 때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퍼프(300)는, 상기 유출구(320)를 개폐시키는 마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도구의 퍼프(300)에 마개(500)가 추가로 구비되면, 휴대 시 불필요한 외력에 의해 내부 화장료 조성물(400)이 유출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유출구(320)를 통해 내부의 화장료 조성물(400)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장료 조성물(400)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퍼프(300)로 화장료 조성물을 블랜딩할 때 강한 압력을 가하더라도 내부의 화장료 조성물(400)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개(500)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바, 도 5와 같이, 유출구(320)에 인입되는 마개 인입부(도번 미도시)와 마개 헤드부(도번 미도시)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 인입부는 상기 유출구(3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 헤드부는 마개 인입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3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으며, 상기 마개(500)는 유출구(320)에 분리가능하게 인입되기 위한 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500)의 마개 헤드부는 퍼프(300)와 동일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퍼프(300)의 사용시 마개(500)에 의한 이물감이 없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마개(500)는 별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400)의 유출 및 퍼프(300)를 통한 블랜딩 시에는 마개(500)를 제거하고 사용하고, 블랜딩 후 마개(500)를 닫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화장도구의 사용 중 마개(500)를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500)가 연결스트랩을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스트랩에 의해 퍼프(300)와 마개(500)를 연결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변형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마개(500)를 추가로 구비한 화장도구는 마개(500)를 통해 내부 화장료 조성물(400)의 산화 및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도구는, 상기 퍼프(300)가 상기 손잡이(2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도 1 내지 2와 같이, 상기 퍼프(300)가 손잡이(200)에 고정된 구조일 수도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에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퍼프(300)의 일단에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40)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퍼프(300)를 착, 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퍼프(300)의 삽입부(340)는 퍼프(3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되어 퍼프(300)의 일단에 고정된 형태일 수도 있는바 그 실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 브러시 제4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삽입홈(210)의 내측면에 암나사산(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40)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산(212)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34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340)와 삽입홈(2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도구는 이러한 퍼프(300)와 손잡이(200) 간의 착탈 구조를 통해 상기 퍼프(300)를 화장도구로부터 분리하여 쉽게 세척, 소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브러시(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구연한이 짧은 퍼프(300)를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도구의 내구연한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헤드브 110 : 브러시
200 : 손잡이 210 : 삽입홈
212 : 암나사산
300 : 퍼프 310 : 내부공간
320 : 유출구 340 : 삽입부
342 : 수나사산
400 : 화장료 조성물 500 : 마개

Claims (6)

  1. 일측에 천연모, 합성모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브러시(110)가 구비되는 헤드부(100);
    일측이 상기 헤드부(1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200);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에 결합되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블랜딩하는 실리콘 재질의 퍼프(300);
    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300)는,
    내부공간(310);
    상기 내부공간(310)을 외부로 연통시키되, 0.1~1mm의 직경을 갖는 유출구(320);
    리퀴드, 크림, 겔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이 내부공간(310)에 채워져, 상기 퍼프(300)가 외력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상기 유출구(3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파운데이션, 선크림, 비비크림, 씨씨크림,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화장료 조성물(400);
    을 포함하며,
    상기 퍼프(300)는 피부 표면에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그 표면에 미세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퍼프(300)는 상기 손잡이(20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에 삽입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퍼프(300)의 일단에 상기 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300)는, 상기 유출구(320)를 개폐시키는 마개(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500)는 유출구(320)에 분리가능하게 인입되기 위한 핀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3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의 마개 인입부와, 상기 마개 인입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유출구(3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마개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개(500)는 퍼프(300)에 연결스트랩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와 퍼프가 동시에 구비된 화장도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0)의 내측면에 암나사산(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40)의 외측면에 상기 암나사산(212)과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산(3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와 퍼프가 동시에 구비된 화장도구.
KR1020180089662A 2018-08-01 2018-08-01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KR102020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62A KR102020823B1 (ko) 2018-08-01 2018-08-01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662A KR102020823B1 (ko) 2018-08-01 2018-08-01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823B1 true KR102020823B1 (ko) 2019-09-11

Family

ID=6794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662A KR102020823B1 (ko) 2018-08-01 2018-08-01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8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325B1 (ko) * 2013-03-29 2013-06-21 김태연 화장기구
KR200469110Y1 (ko) * 2012-06-25 2013-09-17 양향우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KR101476224B1 (ko) 2014-10-06 2014-12-26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KR101837581B1 (ko) * 2017-07-12 2018-03-12 유군일 개선된 구조의 브러시 겸용 퍼프
KR20180070072A (ko) * 2016-12-16 2018-06-26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시와 퍼프를 동시에 구비한 화장도구
KR20180085879A (ko) *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 피플앤코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10Y1 (ko) * 2012-06-25 2013-09-17 양향우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KR101276325B1 (ko) * 2013-03-29 2013-06-21 김태연 화장기구
KR101476224B1 (ko) 2014-10-06 2014-12-26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KR20180070072A (ko) * 2016-12-16 2018-06-26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시와 퍼프를 동시에 구비한 화장도구
KR20180085879A (ko) * 2017-01-20 2018-07-30 주식회사 피플앤코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7581B1 (ko) * 2017-07-12 2018-03-12 유군일 개선된 구조의 브러시 겸용 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5808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3274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аковки и аппликатора
JP6061207B2 (ja) マスカラおよびマスカラリムーバのためのパッケージ
US7293930B2 (en) Dispenser head for fluid container
US20060072963A1 (en) Twist up pen type dispenser with brush applicator
US8517623B2 (en) Molded soap bar for storing and dispensing liquid soap
KR20160111584A (ko) 화장용 도구
US5269037A (en) Applicator device
WO2019169571A1 (zh) 一种化妆扑
KR101837581B1 (ko) 개선된 구조의 브러시 겸용 퍼프
EP0193299A1 (en) Brush for applying material in liquid or emulsion form
US8636016B1 (en) Cosmetic goods storage device and associated use thereof
KR102020823B1 (ko) 브러시와 퍼프가 구비된 화장도구
JP2016538023A (ja) 引張部材を備えた液状内容物容器
KR101937812B1 (ko) 화장용 퍼프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2038832B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립 메이크업 용기
KR102609420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1774371B1 (ko) 브러시 겸용 퍼프
KR200475208Y1 (ko) 화장용 퍼프를 갖는 립클로우즈 화장용기
JP3044252U (ja) ポイントメーキャップ化粧品用直か塗布機能付 バックレス容器
US20210386249A1 (en) Closed and deformable soap case
KR20080001934U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단부구조
KR200483326Y1 (ko) 받침가드를 가지는 마스카라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