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420B1 -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420B1
KR102609420B1 KR1020210100502A KR20210100502A KR102609420B1 KR 102609420 B1 KR102609420 B1 KR 102609420B1 KR 1020210100502 A KR1020210100502 A KR 1020210100502A KR 20210100502 A KR20210100502 A KR 20210100502A KR 102609420 B1 KR102609420 B1 KR 102609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button
liquid conte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678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1010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420B1/ko
Priority to CN202280045505.2A priority patent/CN117561125A/zh
Priority to PCT/KR2022/009937 priority patent/WO2023008772A1/ko
Priority to EP22849749.1A priority patent/EP4342590A1/en
Publication of KR2023001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hand-car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Sealing arrangements around pump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는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 또는 외부용기에 결합되는 숄더와, 상기 숄더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용기에 연결되어 액상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수단과, 상기 토출수단의 일측과 연결되어 토출수단을 작동시키고 내측에 토출유로가 형성된 버튼과, 상기 버튼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 및 상기 버튼과 노즐 내측에 형성되고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토출구와 토출유로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Liquid content discharge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면서 노즐의 토출구와 버튼의 토출유로를 동시에 개폐함에 따라, 상기 노즐과 버튼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되어 액상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급속하게 다변화되어 가는 시대 흐름에 따라 남녀노소 모두 필요에 따라 화장품(化粧品)을 애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다양한 색체를 갖춘 화장용품 및 도구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관련업체의 연구개발에 의해 다채로운 양질의 화장용품 및 도구가 하루가 다르게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상기 화장품을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해보면 피부표면의 피지, 노폐물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안화장품과,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공급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화장품과, 아름다운 색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조화장품과, 모발 또는 두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시에 모발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발화장품 및 향료를 알코올 등에 녹여서 타인에게 향기를 풍기기 위해 사용되는 향수 등으로 분류된다.
한편, 상기 화장품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화장품의 조성물에 대한 안정성 및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천연원료로 많이 제조되고 있으나, 이러한 화장품은 피부에 미치는 자극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방부제 등을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화학원료로 제조된 화장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질의 위험성이 높은 단점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품은 사용 시 외부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세균이 침투하거나 공기와의 접촉으로 조성물이 산화됨으로써, 오염 또는 변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 중에서 로션, 크림, 젤, 샴푸, 린스 등과 같이 액상 또는 겔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화장료를 보관하고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단순 개폐 기능을 갖는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용기로부터 화장품을 주걱 또는 손가락으로 덜어내어 피부 또는 모발에 도포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용기는 토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하지 못하여 화장품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화장품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 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화장품의 토출양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펌프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었다.
상기 펌프형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구비되어 누름 조작되는 가압식 펌프 및 상기 가압식 펌프와 연결된 상태로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노즐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태의 노즐헤드를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가압식 펌프의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펌프형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지 않으며, 내용물이 노즐의 토출구를 통해 과도하게 배출되지 않아 경제적이고, 용기본체를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도 작동되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펌프형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항상 개방된 상태로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이 깔끔하게 마감되지 못하고 노즐의 하부로 흘러내려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토출구와 토출유로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장시간 외부로 노출되면서 경화되어 토출구를 막거나, 오염 또는 성분이 변질되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등록실용신안 제20-0467636호로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를 출원, 등록한 바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점성 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탈부착하기 위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결합 본체; 상기 결합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 본체의 내측에서 승강하는 펌프 본체; 상기 펌프 본체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펌프 본체 내부의 배출 유로를 따라 안내된 상기 점성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 배출공을 구비하는 노즐 헤드 및 상기 펌프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 배출공을 개방시켜 상기 점성 유체를 상기 펌프 본체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점성 유체의 배출이 완료된 경우 상기 유체 배출공을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노즐의 단부에 내용물이 굳어 노즐의 내측 단부와 개폐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거나, 탄성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면서 개폐부와 노즐 사이로 틈새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노즐 및 펌프본체 내부의 밀폐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리필용기 없이 저장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가 결합본체에 스크류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전부 소진되었을 때 저장용기를 교체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3299호(2011. 03. 08.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376050호(2014. 03. 19. 공고)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636호(2013. 07. 02.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면서 노즐의 토출구와 버튼의 토출유로를 함께 개폐하고, 이를 통해 상기 노즐과 버튼 내부를 이중으로 밀폐함으로써, 액상 내용물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액상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용기; 상기 내부용기 또는 외부용기에 결합되는 숄더; 상기 숄더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용기에 연결되어 액상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수단; 상기 토출수단의 일측과 연결되어 토출수단을 작동시키고 내측에 토출유로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 및 상기 버튼과 노즐 내측에 형성되고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토출구와 토출유로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소진됨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는 파우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는 내부에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연질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접합되고 숄더에 결합되는 경질의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에는 각각 착탈돌기 및 착탈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간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서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에는 제1배수홀이 형성되고, 외부용기에는 제2배수홀이 형성되어 상기 숄더와 버튼 사이로 유입된 물이 제1배수홀과 제2배수홀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출수단은 내부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토출유로에는 밀폐날개가 형성되어 개폐수단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밀폐날개는 토출유로의 내벽으로부터 액상 내용물의 토출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과 토출수단은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수단에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외측에는 버튼의 누름 작동을 방지하는 버튼스토퍼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전, 후로 왕복 이동하는 개폐봉 및 상기 개폐봉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의 개폐봉은 토출구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와 토출유로를 밀폐하는 제2밀폐부와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개폐봉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토출유로의 내벽에 밀착되는 가이드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밀폐부는 제1밀폐부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개폐수단이 작동되면서 노즐의 토출구와 버튼의 토출유로를 함께 개폐하고, 이를 통해 상기 노즐과 버튼 내부를 이중으로 밀폐함에 따라, 액상 내용물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액상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용기 간의 단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외부용기가 내부용기로부터 손쉽게 착탈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외부용기를 분리한 후 내부용기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숄더와 외부용기에 각각 제1배수홀과 제2배수홀을 형성함에 따라, 버튼과 숄더 사이로 유입된 물이 숄더 내부 또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에 그대로 남아있지 않고 제1배수홀과 제2배수홀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튼을 가압하여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튼의 가압을 해제하여 토출구와 토출유로를 이중으로 밀폐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튼과 숄더 사이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내, 외부용기 착탈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숄더 또는 외부용기를 회전하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체결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튼과 숄더 사이로 유입된 물이 배수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내, 외부용기 착탈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는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와, 숄더(30)와, 토출수단(40)과, 버튼(50)과, 노즐(60) 및 개폐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를 각 구성 별로 나누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내부용기(10)는 내부에 액상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로써, 내부가 진공 상태로 유지되어 액상 내용물이 안전하게 보관된다. 상기 액상 내용물은 화장품, 샴푸 또는 비누와 같이 액체 또는 젤(gel) 상태의 내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용기(10)는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소진됨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는 파우치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용기(10)는 내부에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연질의 수용부(12)와, 상기 수용부(12)와 접합되어 숄더(30)에 결합되는 경질의 결합부(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4)의 일측에는 액상 내용물이 주입되고 토출수단(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입구부(14a)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14a)의 반대편에는 접합부(14b)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가 접합부(14b)를 감싸면서 접합되며, 상기 결합부(14)의 테두리에는 착탈돌기(14c)가 돌출 형성되어 외부용기(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착탈돌기(14c)에는 고정홈(14c-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홈(14c-1)은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의 체결 시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서로에 대해 임의대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구부(14a)의 외주연에는 그 둘레를 따라 링 형상의 제1체결돌기(14a-1)가 형성되어 숄더(30)와 체결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14a-1)와 인접한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회전방지돌기(14a-2)가 입구부(14a)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숄더(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용기(20)는 내부용기(10)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내부용기(10)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외부용기(20)는 일측이 개방된 경질의 원통 형태로써,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 외부용기(20)가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외부용기(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파지함은 물론, 바닥에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폭이 좁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바닥이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20)의 상부 내주연에는 착탈홈(22)이 형성되어 내부용기(10)의 착탈돌기(14c)와 체결되고, 이를 통해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 간의 회전 조작에 의한 외부용기(20)와 내부용기(10)의 착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착탈홈(22)은 외부용기(20)의 내주연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된 홈으로써, 일측은 개방되어 착탈돌기(14c)가 삽입되고, 타측은 폐쇄되어 착탈돌기(14c)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착탈홈(22)의 안쪽에는 고정돌기(22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돌기(22a)는 착탈돌기(14c)와 착탈홈(22)의 체결 시 상기 내부용기(10)의 고정홈(14c-1)과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기 전까지는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 간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외력에 의해 서로 회전되면서 체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는 내부용기(10)에 고정홈(14c-1)이 구비된 착탈돌기(14c)가 형성되고, 외부용기(20)에 고정돌기(22a)가 구비된 착탈홈(22)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홈(14c-1)이 구비된 착탈돌기(14c)와 고정돌기(22a)가 구비된 착탈홈(22)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내부용기(10)를 외부용기(20)의 안쪽으로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10) 또는 외부용기(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용기(10)의 착탈돌기(14c)가 외부용기(20)의 착탈홈(22)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체결되고, 상기 착탈돌기(14c)의 고정홈(14c-1)과 착탈홈(22)의 고정돌기(22a)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의 회전이 임시로 제한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10) 또는 외부용기(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착탈돌기(14c)의 고정홈(14c-1)와 착탈홈(22)의 고정돌기(22a)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내부용기(10)의 착탈돌기(14c)가 외부용기(20)의 착탈홈(22)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10)와 상기 내부용기(10)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용기(20) 간의 단순 회전 조작을 통해 상기 외부용기(20)가 내부용기(10)로부터 손쉽게 착탈됨에 따라, 상기 외부용기(20)를 분리한 후 내부용기(10)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2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배수홀(2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배수홀(23)은 외부용기(2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숄더(30)는 내부용기(10) 또는 외부용기(20)의 일측에 결합되고, 그 내측에 설치되는 토출수단(40)을 보호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숄더(30)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외관의 아름다움이나 고급스러움 및 디자인의 연속성 등을 위해 하부가 외부용기(2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용기(20)의 상단과 접하게 되고, 상부로 갈수록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면서 그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숄더(30)의 상부 내측에는 버튼(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버튼삽입홈(32)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삽입홈(32)의 바닥으로부터 상부연장돌륜(34)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연장돌륜(34)의 중앙에는 토출수단(40)이 관통하는 토출수단관통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숄더(30)의 하부 내측에는 하부연장돌륜(38)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연장돌륜(38)의 내측으로 내부용기(10)의 입구부(14a)가 삽입되면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장돌륜(38)의 내주연에는 제2체결돌기(38a)가 형성되어 내부용기(10)의 제1체결돌기(14a-1)와 언더컷 결합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38a)와 인접한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회전방지돌기(38b)가 하부연장돌륜(38)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그 사이로 내부용기(10)의 제1회전방지돌기(14a-2)가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용기(10)와 숄더(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헛돌지 않고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연장돌륜(38)과 인접한 외측으로 제1배수홀(3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배수홀(33)은 숄더(30)와 버튼(50)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물이 외부용기(2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출구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에 샴푸 또는 린스 또는 비누를 충전하여 욕실 등에서 사용하게 되면, 버튼과 숄더 사이 또는 숄더와 외부용기 사이의 틈새로 물이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물이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내부에 장시간 그대로 남아 있게 되면서 부패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는 숄더(30)와 외부용기(20)에 각각 제1배수홀(33)과 제2배수홀(23)을 형성함으로써, 버튼(50)과 숄더(30) 사이로 유입된 물이 숄더(30) 내부 또는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 사이에 그대로 남아있지 않고, 제1배수홀(33)과 제2배수홀(23)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토출수단(40)은 숄더(30) 내측에 설치되어 내부용기(10)와 연결되며, 버튼(50)의 가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내부용기(10)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토출하게 된다. 상기 토출수단(40)은 내부용기(10)와 숄더(30) 사이에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데, 적어도 일부분이 내부용기(10)의 입구부(14a)로 삽입되면서 상기 내부용기(10)와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숄더(30)의 토출수단관통홀(36)을 관통하여 상부연장돌륜(34)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버튼(5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토출수단(40)은 펌핑에 의해 액상 내용물을 정량으로 토출시키는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출수단(40)은 내부용기(10)의 입구부(14a)로 삽입되며 하부에 내용물흡입구(41a)가 형성된 실린더(41)와, 내용물흡입구(41a)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용기(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용물흡입관(42)과, 상기 실린더(41)의 내용물흡입구(41a)를 개폐하는 흡입밸브판(43)과, 상기 실린더(41)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밀폐캡(44)과, 상기 밀폐캡(44)을 관통한 상태에서 펌핑 작동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스템(45)과, 상기 스템(45)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6)과, 상기 스템(45)에 결합되어 함께 왕복 이동되는 작동토출관(47) 및 상기 작동토출관(47)의 외측에 끼워져 실린더(41)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작동토출링(4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수단(40)의 실린더(41)와 내부용기(10)의 입구부(14a) 사이에는 밀폐링(49)이 더 형성되어 내용기(20)의 밀폐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링(49)은 내용기(20)의 밀폐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 재질로 형성되되, 우레탄 고무(urethane rubber), 천연고무(natural rubber), 엘라스토머(elastomer), NBR(nitrile-butadiene rubber), 실리콘(silicone) 중 하나 이상의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말랑말랑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와 플라스틱 중간 형태의 재질인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50)은 토출수단(40)의 일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수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토출수단(40)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버튼(50)은 적어도 일부분이 숄더(30)의 버튼삽입홈(32)에 삽입되고, 숄더(30)의 상부 내벽을 타고 상, 하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버튼(50)의 내측에는 토출유로(52)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유로(52)의 일측 단부는 토출수단(4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노즐(60)과 연결된다. 상기 토출유로(52)는 토출수단(40)에 의해 토출된 액상 내용물이 통과하는 통로인 동시에, 개폐수단(70)이 삽입되는 공간으로써, 버튼(50)의 내측 공간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50)의 토출유로(52)에는 밀폐날개(5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날개(52a)는 토출유로(52)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개폐수단(70)의 외주연에 밀착되면서 토출유로(52)를 차단하고,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한 개폐수단(70)의 수평 이동 시 일시적으로 상기 개폐수단(70)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액상 내용물이 통과하는 틈새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날개(52a)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기울어진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튼(50)과 토출수단(40)은 연결수단(80)을 통해 서로 연결될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80)에는 버튼(50)의 토출유로(52)와 토출수단(40)의 내측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통로(8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버튼(50)과 고정 결합되는 버튼결합돌륜(84)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에는 토출수단(40)의 스템(45)과 고정 결합되는 토출수단결합돌륜(86)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에서는 버튼(50)과 토출수단(40)이 연결수단(8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수단(80) 없이 버튼(50)과 토출수단(40)이 직접 고정 결합되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50)의 외측에는 버튼(50)의 누름 작동을 방지하는 스토퍼(9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90)는 버튼(50)의 외측면과 상면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하측 단부가 숄더(30)의 상단에 안착됨에 따라, 상기 버튼(50)이 사용자의 실수로 또는 외력에 의해 의도치 않게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50)으로부터 스토퍼(90)를 분리, 제거하기 전에는 상기 버튼(50)이 눌려지지 않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90)에는 노즐(60)이 관통하는 노즐관통홀(92)이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는 버튼(50)이 삽입되는 버튼삽입홀(9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60)은 버튼(5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5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노즐(6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버튼(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토출유로(52)와 연결되고, 그 단부에 토출구(62)가 형성되어 토출유로(52)를 통과한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노즐(60)은 액상 내용물의 원활한 토출을 위해 토출유로(52)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으로 개폐수단(7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수단(70)이 수평으로 왕복 이동되면서 노즐(60)의 토출구(62) 내벽에 밀착 또는 이격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62)를 선택적으로 개폐히게 되고, 이를 통해 노즐(60) 내부에 남아있는 화장품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면서 오염 또는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70)은 버튼(50)과 노즐(60)의 내측에 형성되고,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전, 후로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토출유로(52)와 토출구(62)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개폐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70)은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전, 후로 왕복 이동하는 개폐봉(72) 및 상기 개폐봉(72)에 액상 내용물의 토출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70)의 개폐봉(72)은 둘레가 둥글고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버튼(50)과 노즐(6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는데, 상기 노즐(6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토출구(62)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72a)와, 버튼(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토출유로(52)를 밀폐하는 제2밀폐부(72b)와, 탄성부재(74)가 끼워지는 끼움부(72c) 및 개폐봉(72)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토출유로(52)의 내벽에 밀착되는 가이드날개(72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밀폐부(72a)와 제2밀폐부(72b) 및 끼움부(72c)는 개폐봉(72)의 작동 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밀폐부(72a)와 제2밀폐부(72b)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밀폐부(72b)가 제1밀폐부(72a)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개폐수단(70)이 전, 후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버튼(50)의 밀폐날개(52a)가 개폐봉(72)의 외주연 즉,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밀폐부(72b)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토출유로(52)를 폐쇄하거나, 외주연 즉,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밀폐부(72a)의 외주연으로부터 이격되어 토출유로(52)를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구간별 직경이 다른 개폐봉(72)의 위치 변화를 통해 상기 밀폐날개(52a)가 개폐봉(72)의 외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노즐(60)의 토출구(62)와 함께 버튼(50)의 토출유로(52)가 개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밀폐부(72a)의 직경은 밀폐날개(52a)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밀폐부(72b)의 직경은 밀폐날개(52a)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제2밀폐부(72b)의 직경이 밀폐날개(52a)의 내경보다 너무 클 경우 상기 개폐봉(72)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2밀폐부(72b)의 직경과 밀폐날개(52a)의 내경 차이를 조절하는 적절할 것이다.
상기 개폐수단(70)의 가이드날개(72d)는 개폐봉(72)의 외주연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유로(52)의 내벽에 밀착됨에 따라, 개폐봉(72)의 전, 후 이동 시 상기 개폐봉(72)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또한 버튼(50)의 토출유로(52) 내측에 남아 있는 액상 내용물이 탄성부재(74)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4)는 일측이 개폐봉(72)의 끼움부(72c)를 감싸면서 끼워지고, 타측이 버튼(50)의 내측에 형성된 끼움돌륜(54)을 감싸면서 끼워져 개폐봉(72)이 탄력적으로 전, 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는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개폐수단(70)이 전, 후로 왕복 이동되면서 노즐(60)의 토출구(62)와 버튼(50)의 토출유로(52)를 함께 개폐하고, 이를 통해 상기 노즐(60)과 버튼(50) 내부를 이중으로 밀폐함으로써, 종래의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와 달리 액상 내용물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차단하여 액상 내용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작동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리필 과정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의 작동 및 리필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튼을 가압하여 액상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버튼의 가압을 해제하여 토출구와 토출유로를 이중으로 밀폐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버튼(50)의 외측을 감싸고 있는 스토퍼(90)를 분리한다.
이후,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50)을 눌러 토출수단(40)을 작동시킨다. 상기 버튼(50)이 눌려지면 버튼(50)에 결합된 연결수단(80) 및 상기 연결수단(80)에 결합된 토출수단(40)의 스템(45)과 작동토출관(47)이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토출링(48)은 실린더(41) 내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작동토출관(47)만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작동토출관(47)과 작동토출링(48)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내용물의 이동통로가 생긴다. 계속 버튼(50)을 누르면 상기 버튼(5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던 스템(45)의 하단이 작동토출링(48)을 눌러 상기 작동토출링(48)이 작동토출관(47)과 함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실린더(41) 내부의 체적이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41) 내의 토출 압력에 의해 흡입밸브판(43)이 내용물흡입구(41a)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실린더(41) 내에 저장되어 있던 액상 내용물이 작동토출관(47)과 작동토출링(48) 사이로 나와 작동토출관(47)과 스템(45)의 내부 통로로 이동된다.
연속적으로, 도 4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수단(40)으로부터 토출된 액상 내용물이 연결수단(80)의 연결통로(82)를 통과하여 버튼(50)의 토출유로(52)로 유입되고, 상기 토출유로(52)로 유입된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개폐수단(70)의 개폐봉(72)이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개폐봉(72)의 단부와 노즐(60)의 내측 단부가 이격되면서 토출구(62)가 개방되고,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상기 버튼(50)의 밀폐날개(52a)와 개폐봉(72)의 제1밀폐부(72a)가 이격되면서 그 틈새로 토출유로(52)가 개방되어, 액상 내용물이 토출유로(52)와 토출구(62)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
이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50)의 가압을 해제하면 토출수단(40)의 스템(45)을 탄력 지지하는 탄성스프링(46)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스템(45)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스템(45)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토출관(47) 역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토출관(47)의 하부가 작동토출링(48)을 위로 끌어올려 작동토출관(47)과 작동토출링(48) 사이의 틈새가 막히면서 상기 작동토출관(47)과 작동토출링(48)이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41) 내부의 체적이 커져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린더(41) 내부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밸브판(43)이 들리면서 실린더(41)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용물흡입구(41a)가 개방되어 내부용기(10)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내용물흡입관(42) 및 내용물흡입구(41a)을 통해 실린더(4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내부용기(10)의 수용부(12)가 토출된 내용물의 양만큼 찌그러지게된다.
이때, 도 5의 부분 확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이 사라지면서 상기 개폐수단(70)의 개폐봉(72)이 탄성부재(7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개폐봉(72)의 단부와 노즐(60)의 내측 단부가 밀착되면서 토출구(62)가 폐쇄되고, 상기 버튼(50)의 밀폐날개(52a)와 개폐봉(72)의 제2밀폐부(72b)가 밀착되면서 토출유로(52)가 폐쇄되어 상기 노즐(60)과 버튼(50)의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숄더 또는 외부용기를 회전하여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체결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용기와 내부용기를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10) 내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 상기 내부용기(10)를 교체, 사용하게 되는데,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20)로부터 숄더(3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외부용기(20)의 착탈홈(22)에 형성된 고정돌기(22a)가 상기 내부용기(10)의 착탈돌기(14c)에 형성된 고정홈(14c-1)으로부터 빠져나와 서로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내부용기(10)의 착탈돌기(14c)가 외부용기(20)의 착탈홈(22)으로부터 수평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착탈홈(22)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용기(20)로부터 숄더(30)와 상기 숄더(30)의 하부에 결합된 내부용기(10)를 분리하고, 상기 내부용기(10)를 교체한 다음, 이와 같이 내부용기(10)를 외부용기(2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한 후, 숄더(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내부용기(10)와 외부용기(20)를 체결하여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내부용기 12: 수용부
14: 결합부 14a: 입구부
14c: 착탈돌기 20: 외부용기
22: 착탈홈 23: 제2배수홀
30: 숄더 33: 제1배수홀
40: 토출수단 50: 버튼
52: 토출유로 52a: 밀폐날개
60: 노즐 62: 토출구
70: 개폐수단 72: 개폐봉
74: 탄성부재 80: 연결수단
90: 스토퍼

Claims (12)

  1.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용기;
    상기 내부용기의 외측을 감싸는 외부용기;
    상기 내부용기 또는 외부용기에 결합되는 숄더;
    상기 숄더 내측에 설치되고 내부용기에 연결되어 액상 내용물을 토출하는 토출수단;
    상기 토출수단의 일측과 연결되어 토출수단을 작동시키고 내측에 토출유로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의 일측에 결합되고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 및
    상기 버튼과 노즐 내측에 형성되고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전, 후로 왕복 이동하는 개폐봉 및 상기 개폐봉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봉은 토출구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와 토출유로를 밀폐하는 제2밀폐부와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끼움부 및 상기 개폐봉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토출유로의 내벽에 밀착되는 가이드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수단이 액상 내용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노즐의 토출구와 버튼의 토출유로를 동시에 개폐하여 상기 노즐과 버튼의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이 소진됨에 따라 그 형상이 변화되는 파우치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내부에 액상 내용물이 수용되는 연질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접합되고 숄더에 결합되는 경질의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에는 각각 착탈돌기 및 착탈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간의 회전 조작에 의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서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에는 제1배수홀이 형성되고, 외부용기에는 제2배수홀이 형성되어 상기 숄더와 버튼 사이로 유입된 물이 제1배수홀과 제2배수홀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내부용기에 수용된 액상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토출유로에는 밀폐날개가 형성되어 개폐수단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밀폐날개는 토출유로의 내벽으로부터 액상 내용물의 토출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토출수단은 연결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수단에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외측에는 버튼의 누름 작동을 방지하는 버튼스토퍼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폐부는 제1밀폐부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0210100502A 2021-07-30 2021-07-30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609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02A KR102609420B1 (ko) 2021-07-30 2021-07-30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N202280045505.2A CN117561125A (zh) 2021-07-30 2022-07-08 液体内容物排出容器
PCT/KR2022/009937 WO2023008772A1 (ko) 2021-07-30 2022-07-08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EP22849749.1A EP4342590A1 (en) 2021-07-30 2022-07-08 Liquid content-discharg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502A KR102609420B1 (ko) 2021-07-30 2021-07-30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78A KR20230018678A (ko) 2023-02-07
KR102609420B1 true KR102609420B1 (ko) 2023-12-04

Family

ID=8508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502A KR102609420B1 (ko) 2021-07-30 2021-07-30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42590A1 (ko)
KR (1) KR102609420B1 (ko)
CN (1) CN117561125A (ko)
WO (1) WO2023008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669B1 (ko) * 2023-11-16 2024-01-30 민병선 펌핑식 화장품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255A (ja) * 2000-08-29 2002-03-08 Yoshino Kogyosho Co Ltd 泡放出用ポンプ容器
KR200282746Y1 (ko) * 2002-02-07 2002-07-23 임준국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JP2009057055A (ja) * 2007-08-30 2009-03-19 M & K Kenesu:Kk エアレスポンプ付流体容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3897B2 (ja) * 2001-12-27 2007-09-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吐出器を備えた容器
KR20080024354A (ko) * 2006-09-13 2008-03-18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배출용기
JP4999577B2 (ja) * 2007-06-29 2012-08-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噴出ヘッド
KR101376050B1 (ko) 2008-01-14 2014-03-19 주식회사 종우실업 수동식 분사펌프
KR20090012983U (ko) * 2008-06-16 2009-12-24 김현범 펌프식 유체 용기
JP5443036B2 (ja) * 2009-03-31 2014-03-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開閉式噴出ヘッド
KR101140380B1 (ko) 2009-08-31 2012-05-03 주식회사 디엠티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467636Y1 (ko) 2011-08-11 2013-07-02 펌텍코리아 (주)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
KR200472286Y1 (ko) * 2012-11-30 2014-04-16 주식회사 하나 공기차단 기능을 갖는 화장용기 배출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255A (ja) * 2000-08-29 2002-03-08 Yoshino Kogyosho Co Ltd 泡放出用ポンプ容器
KR200282746Y1 (ko) * 2002-02-07 2002-07-23 임준국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JP2009057055A (ja) * 2007-08-30 2009-03-19 M & K Kenesu:Kk エアレスポンプ付流体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61125A (zh) 2024-02-13
KR20230018678A (ko) 2023-02-07
WO2023008772A1 (ko) 2023-02-02
EP4342590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5986B1 (en) Applicator systems
EP3287039B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hiding/revealing pump outlet
KR200385091Y1 (ko) 내용물출구 개폐가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20220151753A1 (en) Personal Care Device
JP6386668B2 (ja) スポイト型異液混合容器
CN107404988B (zh) 可涂敷液体的头皮护理容器用盖
JP2021010737A (ja) 便利なリフィル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WO2009124049A1 (en) Package for dispensing a personal care product
KR102609420B1 (ko)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US20210161274A1 (en)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pump including part made of polyketone material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EP1032286A1 (en) Applicator systems
WO2009124047A1 (en) Package for lathering a personal care product
US20050103801A1 (en) Multi-chamber container with device for discharge of a substance
KR102549913B1 (ko) 튜브형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636712B1 (ko) 노즐 차단 구조를 갖는 액상 내용물 토출 용기
KR200436166Y1 (ko) 페인팅 솔이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EP4357268A1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ontents
KR102499659B1 (ko) 리필 구조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CN114787042A (zh) 阀设备和包括所述阀设备的容器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KR102604245B1 (ko) 다수 내용물의 동시 토출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375880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 노즐
KR101765712B1 (ko) 유입방지부재를 구비한 펌프용기
KR102087496B1 (ko) 에어리스 아이크림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