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06A -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 Google Patents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06A
KR20210114206A KR1020200029608A KR20200029608A KR20210114206A KR 20210114206 A KR20210114206 A KR 20210114206A KR 1020200029608 A KR1020200029608 A KR 1020200029608A KR 20200029608 A KR20200029608 A KR 20200029608A KR 20210114206 A KR20210114206 A KR 2021011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bsorbent member
auxiliary
cosmetic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8528B1 (ko
Inventor
유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Priority to KR102020002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5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내부접시 내 흡수부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재질에 의한 메인흡수부재에 수직의 구획공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 내에는 비투수성 탄력튜브에 끼워진 보조흡수부재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메인흡수부재에는 오일 화장료의 함유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유동성 화장료가 흡수 저장되게 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에는 오일 화장료의 함유량이 크게 증대된 유동성 화장료가 독립적으로 흡수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일리 한 화장료로부터 오일이 분리되어 용기 내,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도 및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것이고,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각각의 제형 제조가 아니라 기본 파우더 화장료에 다양한 기능성 오일 화장료를 선택적으로 구분 적용시킬 수 있어 생산 효율성 및 원가 절감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소비자 및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별도 독립된 오일 흡수부로부터 원하는 오일량을 선택적으로 묻혀 사용할 수 있어 화장료의 도포 부위별 혹은 사용자 선호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화장 및 최선의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Cosmetic absorbing member having separate absorbent parts}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내부접시 내 흡수부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재질로 된 메인흡수부재에 수직 관통의 구획공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 내에는 별도 구비의 보조흡수부재를 비투수성 탄력튜브에 끼워 삽입 형성함에 따라, 오일리한 상태의 유동성 화장료로부터 기능성 오일이 과도하게 분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장료의 오일 혼합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료용 흡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계층과 연령에서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한 형태와 종류 및 특성을 갖고 제조되는 것으로서, 파운데이션이나 메이크업 베이스 및 메이크업 커버 또는 파우더나 트웨이 케익 그리고 파우더 팩트와 스킨 커버 및 썬 블럭 등은 오일리한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 제형을 내부접시 내에 주입한 후 이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고형으로 만들어지거나, 액상이나 크림 또는 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특성 및 성상을 갖고 만들어지는 화장료는 별도의 내부용기 또는 외부용기에 충전되거나 결합 사용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튜브 또는 등록특허 제10-0518614호와 같은 펌핑 용기를 이용하여 제품화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화장품에 있어 고형의 화장품은 단단한 형태로 압축 생산되므로 외부 유출에 대한 우려가 적어 노출 및 개방형 용기에 주로 적용되는 것이고, 액상이나 크림 형태의 화장료는 유동성으로 인한 유출의 우려가 커서 튜브나 토출 용기에 주로 적용되는 제한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화장료는 대부분 별도의 마개를 갖고 있는 튜브 혹은 토출용기에 주입되어 제품화가 되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종류의 화장품은 사용시 반드시 마개를 분리 및 개방시킨 상태에서 이를 별도의 퍼프에 짜거나 배출시켜 필요 부위에 대한 화장이 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화장료를 피부에 고르게 도포하기 위한 퍼프를 한 손에 잡거나 끼운 상태에서 상기의 화장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마개를 열거나 화장료를 배출시키는 동작이 나머지 한 손으로 이루어지기에는 번거로운 점이 있어 대부분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퍼프에 화장료를 묻힌 후 다시 퍼프를 쥐거나 손가락에 끼워 화장을 하게 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액상 또는 크림 형태의 화장료는 마개를 분리 및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을 하게 되므로 화장품 용기를 쓰러트리거나 부주의하게 취급하는 경우 내용물이 과도하게 배출되거나 유출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마개와 용기 몸체 간의 결합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내용물의 유출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 또는 스펀지와 같은 매체에 액상의 화장료를 투입 및 충전시켜 기존의 개방형 화장품 용기와 같은 형태로 퍼프를 스펀지에 대고 눌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사례가 있는 것으로 이는 등록특허 제10-1355051호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화장료가 흘러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퍼프를 이용한 간편한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펀지 구조의 흡수부재는 뚜껑을 갖는 외용기로부터 교체 사용이 가능한 구조의 리필용기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리필용기의 상측에는 커버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상측으로는 별도로 구비되는 퍼프가 안치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리필용기 내에는 다양한 형태의 흡수부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흡수부재는 다양한 종류 및 색상의 유동성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퍼프를 쥐고 리필용기의 커버를 개방시킨 후 리필용기 내의 흡수부재에 퍼프를 대고 눌러 흡수부재가 머금고 있는 화장료가 퍼프로 스며들면 이를 이용하여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와 같이 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가압시 화장료가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수용 구조부와 이 제1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제1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되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제2수용 구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실용신안 제20-0469211호와 같이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가 니들에 의해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되, 화장료 주입공간이 항시 유지됨과 아울러 가압시에만 화장료가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료 주입공간을 일정한 형태로 확보 및 유지함으로써 화장료 수용체 내의 화장료를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흡수부재는 유동성 화장료를 충분히 흡수시켜 효율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만 구조의 개선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로서, 유동성 화장료 자체가 갖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유동성 화장료는 파우더 형태의 화장료와 오일 형태의 화장료가 혼합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파우더 화장료는 색조를 담당하게 되고 오일 화장료는 보습이나 광택 및 영양 등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는 각기 고유의 성분 특성으로 인해 쉽게 혼합되지 못하기 때문에 유화제 등을 추가로 혼합하여 오일리 한 상태의 혼합 화장품 제형을 만들게 되는데 상기 유화제의 혼합량 제한 혹은 한계로 인해 상기의 오일 화장료는 충분한 혼합 및 확산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오일리 한 상태의 화장품 제형을 포함하고 있는 화장품은 소비자에게 도달시 분리된 오일이 비쳐 보이거나 흘러나오면서 불량품과 같은 인식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고 실제로 고객 클레임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면서 판매량 악화 등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유화제의 혼합량을 증대시키는 경우 오일 화장료의 특징적 효과가 반감되거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는 폐단을 갖고 오일 화장료의 혼합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기능성 특징의 감소 및 보습이나 광택 등 화장품 본연의 기본적인 특장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오일리 한 제형을 포함하고 있는 기존의 화장품은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하게 고객 클레임을 감수하며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55051 (2014.01.17.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4761호 (2013.01.10.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9211호 (2013.09.23.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에 의한 메인흡수부재에 수직의 구획공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 내에는 비투수성 탄력튜브에 끼워진 보조흡수부재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메인흡수부재에는 오일 화장료의 함유량이 현저하게 감소된 유동성 화장료가 흡수 저장되게 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에는 오일 화장료의 함유량이 크게 증대된 유동성 화장료가 독립적으로 흡수 저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독립 공간 내에 흡수 저장된 오일 화장료가 화장품 용기 등을 분리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그로 인한 고객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소비자 및 사용자가 오일 사용량을 직관적으로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도포 부위 또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가장 최적의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 내 내부접시에 삽입되어 다양한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화장료용 흡수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메인흡수부재와 보조흡수부재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메인흡수부재에는 수직 관통의 구획공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에는 상기의 보조흡수부재를 끼워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조흡수부재는 상기 구획공으로 끼워지는 별도 구비의 비투수성 탄력튜브 내에 삽입되어, 상기 비투수성 탄력튜브에 의해 메인흡수부재에 포함된 화장료와 보조흡수부재에 포함된 화장료가 서로 구분되어 머금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일리 한 화장료로부터 오일이 분리되어 용기 내,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 신뢰도 및 품질의 향상이 가능한 것이고, 기능성 화장료에 대한 각각의 제형 제조가 아니라 기본 파우더 화장료에 다양한 기능성 오일 화장료를 선택적으로 구분 적용시킬 수 있어 생산 효율성 및 원가 절감이 획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소비자 및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별도 독립된 오일 흡수부로부터 원하는 오일량을 선택적으로 묻혀 사용할 수 있어 화장료의 도포 부위별 혹은 사용자 선호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화장 및 최선의 화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가 적용된 화장품 용기의 전체 분리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가 적용된 화장품 용기의 전체 분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용 흡수부재는 다양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100) 내 내부접시(110)에 삽입되어 다양한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폴리우레탄 발포 폼 또는 스폰지 재질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흡수부재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수부재를 메인흡수부재(10)와 보조흡수부재(20)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 메인흡수부재(10)에는 수직 관통의 구획공(11)을 형성하여 상기 구획공(11)에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흡수부재(20)는 별도 구비의 비투수성 탄력튜브(30)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실리콘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비투수성 탄력튜브(30) 내에 상기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비투수성 탄력튜브(30)를 구획공(11) 내에 끼워 삽입함에 따라 상기 메인흡수부재(10)와 보조흡수부재(20)는 비투수성 탄력튜브(30)에 의해 상호 구분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메인흡수부재(10)에 포함되는 다양한 화장료와 상기 보조흡수부재(20)에 포함되는 다양한 화장료는 상기의 비투성 탄력튜브(30)에 의해 상호 혼합되지 않는 구분 상태로의 제품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메인흡수부재(10)에는 파우더 화장료가 흡수되게 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에는 오일 화장료가 흡수되도록 하여,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가 구분 흡수된 상태의 화장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자는 화장을 하기 위해 퍼프(120)를 이용하여 이들 각각의 화장료를 동시에 눌러 퍼프에 묻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의 메인흡수부재(10)에는 기존의 일반적인 오일리 한 화장품 제형에 비하여 오일의 함유량이 현저히 감소된 형태의 파우더 화장료가 흡수되게 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에는 오일 화장료 단독으로 혹은 오일 화장료에 파우더 화장료가 기존의 제형에 비하여 극히 소량으로 혼합된 형태의 화장료가 흡수되도록 하되, 전체적으로 파우더 및 오일의 흡수량은 기존의 오일리 한 화장품의 제형과 동일한 비율을 갖게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흡수부재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의 도시와 같이 퍼프(120)를 흡수부재 상측에 대고 누르게 되면 상기 메인흡수부재(10)와 보조흡수부재(20)가 동시에 가압되면서 흡수 상태의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가 동시에 퍼프(120)의 저면에 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퍼프(120)의 저면에 동시에 묻어 있는 화장료를 이용하여 얼굴 등 필요한 부위에 파우더 화장료 및 오일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르며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구획공(11)은 메인흡수부재(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 같이 메인흡수부재(10)의 중앙에 구획공(1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는 경우에는 파우더 화장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좋은 오일 화장료가 화장품 용기(100)에 결합되어 있는 내부접시(110)의 뚜껑에 비투성 탄력튜브(30)의 선단이 가로막혀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상기 보조흡수부재(20) 내 오일이 흘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흡수부재(20)에는 다양한 오일 화장료를 흡수시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기초적인 에센스 오일이나 미백 또는 광택이나 보습 또는 영양 공급에 특화된 기능성 오일을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고, 콜라겐 오일과 같이 주름 개선 또는 피부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특징적인 오일 화장료를 선택 혹은 혼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기존의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오일 모두가 이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메인흡수부재(10)의 구획공(11)을 메인흡수부재(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하여 각각의 구획공(11)(11')에 탄력튜브(30)를 갖는 보조흡수부재(20)(20')를 각기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고,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메인흡수부재(10)의 중앙에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중앙의 보조흡수부재(2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또 다른 보조흡수부재(20)가 일정하게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보조흡수부재(20)(20')에 모두 동일의 오일 화장료를 흡수시켜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고, 각각의 보조흡수부재(20)(20')에 적어도 2종 이상의 오일 화장료 즉, 기능성 오일 화장료를 흡수하여 생산함에 따라 더욱 효율적인 화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장료의 사용 과정에서 퍼프(120)의 저면에는 메인흡수부재(10)의 파우더 화장료와 보조흡수부재(20)(20')의 화장료가 동시에 묻어나오는 것은 물론 사방으로 배치된 보조흡수부재(20)(20')의 오일 화장료가 퍼프(120) 저면에 분산되어 고르게 묻어 나오면서 화장료가 묻은 퍼프의 사용과정에서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가 피부 도포면에서 상호 혼합되면서 도르게 도포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보조흡수부재(20)(20')로 인해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는 상호 혼합성이 더욱 향상되면서 효과적으로 피부에 화장품을 고르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메인흡수부재(10)의 구획공(11) 내에 비투성 탄력튜브(30)를 갖는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의 중앙에는 또 다른 비투수성 탄력튜브(30')를 갖는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보조흡수부재(20)와 또 다른 보조흡수부재(20')에 각기 다른 종류의 오일 화장료가 구분 흡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심원 형태로 반복 형성된 다수의 보조흡수부재(20)(20')는 각기 다른 종류의 오일 화장료를 흡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의 화장품 용기(100) 내 불필요한 혼합 또는 오일 화장료의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미관상으로도 미려한 장식성을 연출하므로 소비자의 만족도 및 고급스러움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투수성 탄력튜브(30)에 대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비투수성 탄력튜브(30)의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부(31)를 형성하여, 상기 비투수성 탄력튜브(30) 내 보조흡수부재(20)의 오일 화장료가 비투수성 탄력튜브(30)의 하부를 통해 유출되어 메인흡수부재(10)의 파우더 화장료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조흡수부재(20)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이 내부접시(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화장품 용기(100)의 틈새 등으로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소비자의 휴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용 흡수부재는 보조흡수부재(20)를 감싸고 있는 비투수성 탄력튜브(30)에 의해 보조흡수부재(20) 내의 오일 화장료가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로부터 유출될 수 있는 오일 화장료는 상기 보조흡수부재(20)의 주변에 배치된 메인흡수부재(10)로 인해 재차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휴대 과정에서 오일이 유출되거나 유통 단계에서 오일이 유출되어 소비자로부터 불만이 제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조흡수부재(20)에 구분되어 포함되어 있는 오일 화장료는 사용자 스스로 퍼프를 이용한 가압 정도에 따라 오일 묻힘량을 가감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파우더 및 오일의 혼합율이 가장 최선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므로 사용상의 편리함 및 효율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메인흡수부재 11,11' : 구획공
20,20' : 보조흡수부재
30,30' : 비투수성 탄력튜브 31 : 바닥부
100 : 화장품 용기
110 : 내부접시
120 : 퍼프

Claims (6)

  1. 화장품 용기(100) 내 내부접시(110)에 삽입되어 다양한 화장료를 머금고 있는 화장료용 흡수부재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재는 메인흡수부재(10)와 보조흡수부재(20)로 구분 형성하여 상기 메인흡수부재(10)에는 수직 관통의 구획공(11)을 형성하고, 상기 구획공(11)에는 상기의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조흡수부재(20)는 상기 구획공(11)으로 끼워지는 별도 구비의 비투수성 탄력튜브(30) 내에 삽입되어, 상기 비투수성 탄력튜브(30)에 의해 메인흡수부재(10)에 포함된 화장료와 보조흡수부재(20)에 포함된 화장료가 서로 구분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메인흡수부재(10)에는 파우더 화장료가 흡수되게 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에는 오일 화장료가 각기 구분 흡수되게 하여, 상기 파우더 화장료와 오일 화장료가 메인흡수부재(10)와 보조흡수부재(20)에 대한 퍼프의 가압에 의해 혼합 사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메인흡수부재(10)의 구획공(11)은 메인흡수부재(1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하여 각각의 구획공(11)(11')에 탄력튜브(30)를 갖는 보조흡수부재(20)(20')를 각기 삽입함에 따라, 화장료의 사용 과정에서 메인흡수부재(10)의 화장료와 보조흡수부재(20)(20')의 화장료에 대한 상호 혼합성이 향상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메인흡수부재(10)에는 파우더 화장료가 흡수되게 하고, 각각의 보조흡수부재(20)(20')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기능성 오일 화장료가 구분 흡수되게 하여, 각기 다른 기능성 오일 화장료가 혼합 사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메인흡수부재(10)의 구획공(11) 내에 비투성 탄력튜브(30)를 갖는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고, 상기 보조흡수부재(20)의 중앙에는 또 다른 비투수성 탄력튜브(30')를 갖는 보조흡수부재(20')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보조흡수부재(20)와 또 다른 보조흡수부재(20')에 각기 다른 종류의 오일 화장료가 구분 흡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비투수성 탄력튜브(30)는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비투수성 탄력튜브(30) 내 보조흡수부재(20)의 화장료가 비투수성 탄력튜브(30)의 하부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KR1020200029608A 2020-03-10 2020-03-10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KR102398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08A KR102398528B1 (ko) 2020-03-10 2020-03-10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608A KR102398528B1 (ko) 2020-03-10 2020-03-10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06A true KR20210114206A (ko) 2021-09-23
KR102398528B1 KR102398528B1 (ko) 2022-05-17

Family

ID=7792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608A KR102398528B1 (ko) 2020-03-10 2020-03-10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52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101355051B1 (ko) 2012-05-09 2014-01-27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527694B1 (ko) * 2014-12-23 2015-06-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KR200482302Y1 (ko) * 2014-12-03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101924228B1 (ko) * 2017-08-10 2018-11-30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51B1 (ko) 2012-05-09 2014-01-27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2302Y1 (ko) * 2014-12-03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101527694B1 (ko) * 2014-12-23 2015-06-16 정규열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KR101924228B1 (ko) * 2017-08-10 2018-11-30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8528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727B1 (en)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equipped with such an applicator
US67731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and applying a substance
KR200481481Y1 (ko) 펌프가 구비된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KR101380587B1 (ko) 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 토출마개
US2002005793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0478242Y1 (ko) 메쉬분배망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0475944Y1 (ko) 액상 화장품 용기의 배출 구조체
KR200481241Y1 (ko) 도포용볼을 구비한 펌프 용기
JPH0257585A (ja) ペースト状物質及び添加剤の混合物の分与装置
KR20150002744U (ko) 화장품 용기
CN105163626A (zh) 化妆品容器
EP3103363B1 (en)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101755780B1 (ko) 화장품 용기
KR20140000942U (ko)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KR102398528B1 (ko)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58213Y1 (ko) 파운데이션 충진장치용 확산기 및 이를 갖는 충전장치
KR102219673B1 (ko) 용기 세트
US20170231355A1 (en) Hair color applicator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200430507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용기
KR20190021084A (ko)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KR102067958B1 (ko)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