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780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780B1
KR101755780B1 KR1020150001328A KR20150001328A KR101755780B1 KR 101755780 B1 KR101755780 B1 KR 101755780B1 KR 1020150001328 A KR1020150001328 A KR 1020150001328A KR 20150001328 A KR20150001328 A KR 20150001328A KR 101755780 B1 KR101755780 B1 KR 101755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ing means
discharge
cosmetic
outlet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721A (ko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01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780B1/ko
Priority to CN201620010442.9U priority patent/CN205338038U/zh
Publication of KR2016008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baffles, e.g. for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에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수단은, 제1 배출수단과 제2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며, 나머지는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화장품이 동시에 배출되도록 둘 이상의 배출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직접 화장품에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퍼프에 묻어서 퍼프가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스펀지 등에 화장품을 함침시키고, 사용자가 퍼프로 스펀지를 누르게 되면 스펀지에 스며들어 있던 액체 화장품이 배출됨에 따라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기존의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스펀지를 누르는 압력에 따라서 퍼프에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묻어 나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과도한 압력으로 스펀지를 가압하게 되면, 퍼프에서 피부에 직접 닿는 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인접한 면까지 화장품이 묻어나와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55051호(2014.01.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이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되, 적어도 2개의 배출수단이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을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화장이 가능하도록 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배출수단이 토출판의 일정 부분에 화장품을 배출시키고, 제2 배출수단이 토출판의 다른 부분에 화장품을 배출시켜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두 종류의 화장품을 섞어가며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판을 가압할 때 2개의 배출수단이 동시에 화장품을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두 종류의 화장품을 함께 사용하고자 할 때 화장품의 배출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에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판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수단은, 제1 배출수단과 제2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일부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며, 나머지는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판은, 상기 제1 배출수단 및 상기 제2 배출수단을 가압하여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수단 및 상기 제2 배출수단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출수단은,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단면이 원 형태이고, 상기 제2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단면이 링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 부피가 고정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2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 부피가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이 소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출수단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은, 상기 제2 배출수단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상기 출구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상기 출구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배출수단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상기 토출판의 중심에 위치하는 일부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며, 상기 토출판의 주변에 위치하는 나머지는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은, 상기 제2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과 상이한 종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배출수단 또는 상기 제2 배출수단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화장품을 확산시킨 후 상기 토출구에 전달하는 제1 가이드로와,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1 가이드로와 격리되며 상기 화장품을 확산시킨 후 상기 토출구에 전달하는 제2 가이드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펌프 등의 배출수단에 의해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하되, 적어도 둘 이상의 배출수단을 통해 두 종류 이상의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혼합 사용하거나 개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편리하게 화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토출판에 제1 배출수단에 의해 화장품이 토출되고, 동시에 제2 배출수단에 의해서도 화장품이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를 원하는 만큼 섞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토출판을 가압하게 되면 제1 배출수단과 제2 배출수단에 의해 동시에 화장품의 토출이 일어나도록 하여, 두 종류의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각 배출수단을 개별로 작동할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배출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2는 토출판(30)이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3은 토출판(30)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이고,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배출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 배출수단(20), 토출판(30), 가이드부(4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배출수단(20)을 수용한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 용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이며, 필요에 따라 화장품의 배출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본체부(11)와 뚜껑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는, 배출수단(20)을 내부에 수용한다. 본체부(1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본체부(11)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본체부(11)의 내부에 후술할 배출수단(20)과 토출판(30), 가이드부(40)가 안착될 수 있다.
본체부(11)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일 수 있고, 본체부(11)의 개방된 상면에는 토출판(30)이 마련되어, 토출판(30)을 통해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부(11)는 내부에 수용된 배출수단(20)이 교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체부(11)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체부(11)의 하면 중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출수단(20)을 밀어올리면, 배출수단(20)이 본체부(11)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에 수용된 배출수단(20)에서 화장품이 모두 소진되면, 화장품을 소진한 배출수단(20)은 본체부(11)에서 분리되어 제거되고, 화장품이 충분히 수용되어 있는 새로운 배출수단(20)이 본체부(11)에 결합됨에 따라, 본체부(11)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배출수단(20)은 본체부(11)의 내부 형태에 대응되도록 규격화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배출수단(20)만을 교체하면서 본체부(11)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뚜껑부(12)는, 본체부(11)의 상면을 개폐한다. 뚜껑부(12)는 본체부(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일례로 뚜껑부(12)는 본체부(11)와 힌지(121)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부(12)를 회전시켜서 본체부(11)의 상면에 안착된 토출판(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토출판(30)을 통해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뚜껑부(12)가 불필요하게 본체부(11)의 상면을 개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부(11)는 버튼(111)과 걸쇠(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에 마련되는 버튼(111)과 걸쇠(112)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111)을 누르면 걸쇠(112) 역시 버튼(111)이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걸쇠(112)는 뚜껑부(12)의 내측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뚜껑부(12)는 걸쇠(112)의 걸림을 위한 단턱 구조(도시하지 않음) 등을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걸쇠(112)가 뚜껑부(12)에 걸려 있을 경우, 뚜껑부(12)는 회전이 방지되어 본체부(11)의 상면을 밀폐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버튼(111)을 눌러서 걸쇠(112)가 뚜껑부(12)의 내측에서 더이상 걸리지 않도록 할 경우에는, 힌지(121)가 갖는 탄성력 등에 의해 뚜껑부(12)가 회전하면서 본체부(11)의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뚜껑부(12)는 내측에 거울(12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뚜껑부(12)를 열어 본체부(11)의 상면을 개방시킬 수 있고, 이때 뚜껑부(12)의 내측에 마련된 거울(122)이 사용자에게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거울(122)을 보면서 화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배출수단(20)은,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수단(20)은 화장품을 수용하였다가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서, 배출수단(20)에 의해 배출된 화장품은 후술할 가이드부(40)를 통해 토출판(30)의 토출구(31)로 빠져나가 토출판(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토출판(30)의 상면에 노출된 화장품을 다양한 화장도구로 문지른 후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배출수단(20)은 화장품을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특히 에어리스 펌프 등)일 수 있다. 또는 배출수단(20)은 액상의 화장품을 내부에 머금었다가 가압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함침재(특허 함침스펀지 등)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배출수단(20)은 다양한 형질의 화장품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시키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수단(20)은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출구(211, 221)를 갖는데, 배출수단(20)이 펌프일 경우 펌프의 출구(211, 221)가 배출수단(20)의 출구(211, 221)가 되며, 배출수단(20)이 함침재일 경우 함침재의 상면(가압되는 면)이 배출수단(20)의 출구(211, 221)가 될 수 있다.
배출수단(20)은,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을 포함한다. 제1 배출수단(21)은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는 후술할 토출판(30)의 토출구(31) 중 일부에 연통될 수 있다.
제2 배출수단(22) 역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토출구(31) 중 나머지에 연통될 수 있다. 다만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은, 서로 다른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을 작동시키면, 제1 배출수단(21)으로부터 화장품이 토출되는 동시에 제2 배출수단(22)으로부터 화장품이 토출될 수 있는데, 두 가지의 화장품이 한꺼번에 토출판(30)에 토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화장품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배출수단(21)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은 제2 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과 상이한 종류일 수 있고, 두 가지 이상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화장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제1 배출수단(21)의 화장품과 제2 배출수단(22)의 화장품을 동시에 배출시켜서 간편하게 토출판(30)의 상면에서 브러시나 퍼프 등의 화장도구로 화장품을 혼합하여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수단(21)은 원기둥 또는 원판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제2 배출수단(22)은 제1 배출수단(21)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출수단(22)은 링 또는 고리 형태일 수 있다. 즉 제1 배출수단(21)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은 단면이 원 형태이며, 제2 배출수단(22)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은 단면이 링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배출수단(21)은 에어리스 펌프 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배출수단(22)은 펌프(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부피가 화장품의 배출에 따라 탄성적으로 줄어드는 형태 등) 또는 함침스펀지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두 배출수단(20)은, 화장품을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즉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출수단(21)은 사용 시 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외측 부피는 고정되는 형태이고, 제2 배출수단(22)은, 사용 시 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외측 부피가 줄어드는 주머니(Pouch) 형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배출수단(22)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면 제1 배출수단(21)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이 소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2 배출수단(22)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은, 제1 배출수단(21)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과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배출수단(22)은, 내부에 화장품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가압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압판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에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배출수단(22)에서 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외측 부피는 고정되고 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내측 부피만 가압판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물론 제2 배출수단(22)은, 화장품이 수용된 부분의 외측 부피가 줄어드는 동시에 가압판을 이용함으로써, 화장품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2 배출수단(22)이 제1 배출수단(21)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짐에 따라,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토출판(30)의 토출구(31) 중에서 토출판(30)의 중심에 위치하는 일부는,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에 연통될 수 있고, 토출판(30)의 주변에 위치하는 나머지는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배출수단(21)으로 배출되는 화장품의 비중을 제2 배출수단(22)으로 배출되는 화장품의 비중보다 높게 사용하고자 할 수 있으므로,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는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되되, 각 출구(211, 221)에 연통되는 토출구(31)의 개수나 크기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에 의해 각각 배출되는 화장품의 필요 비율에 따라서, 각 배출수단(20)의 출구(211, 221) 형태, 출구(211, 221)와 연통되는 토출구(31)의 개수 및 크기 등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토출판(30)은, 배출수단(20)에서 화장품이 배출되는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토출구(31)를 구비한다. 토출판(30)에 구비되는 토출구(31) 중 일부는,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에 연통되어 제1 배출수단(21)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화장품이 통과되도록 하며, 나머지는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에 연통되어 제2 배출수단(22)으로부터 빠져나오는 화장품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판(30)은, 제1 배출수단(21) 및 제2 배출수단(22)을 가압하여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토출판(30)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제1 배출수단(21)에 의한 화장품의 배출과 제2 배출수단(22)에 의한 화장품의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토출판(30)의 가압을 대신하여 별도의 버튼부(도시하지 않음)를 마련해 배출수단(20)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버튼부의 눌림과 토출판(30)의 가압 모두에 의해 배출수단(20)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토출판(30)이 눌려서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품이 제1 배출수단(21) 및 제2 배출수단(22) 각각에 의해 배출되면, 토출판(30)의 상면에 마련된 토출구(31) 중 일부 토출구(31a)로는 어느 한 종류의 화장품이 배출되고, 나머지 토출구(31b)로는 다른 종류의 화장품이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두 종류의 화장품을 퍼프 등을 이용하여 토출판(30)의 상면에서 문지르며 혼합한 뒤 사용할 수 있다.
토출판(30)에 마련되는 토출구(31)는 토출판(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31)는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거나 또는 작아질 수 있다. 다만 토출구(31) 중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연통되는 일부는,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와 연통되는 나머지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연통되는 토출구(31a) 서로 간의 간격보다,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연통되는 토출구(31a) 및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와 연통되는 토출구(31b) 사이의 간격이 더 클 수 있다. 이는 서로 다른 화장품이 각 배출수단(20)에 의해 토출될 때, 토출판(30)의 상면에 나오면서 섞이지 않고, 토출판(30)의 상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만큼 섞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토출판(30)은, 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SUS) 재질일 수 있다. 토출판(30)이 금속 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으로부터 토출되는 화장품은 토출판(30)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토출판(30)의 열전도성에 의해 빠르게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을 이용한 토출판(30)을 통해 화장품에 냉감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부에 화장품을 공급할 때 시원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토출판(30)은 평판 형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원판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토출판(30)이 하강하면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이 가압되어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로부터 화장품이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또는 토출판(30)은 중심 부분과 주변 부분의 높이가 서로 다른 곡면 형태일 수 있으며, 중심 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거나 또는 하부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토출판(30)이 중심 부분이 하부로 볼록한 곡면 형태일 경우, 토출판(30)의 하강 시 제1 배출수단(21)이 가압되는 정도와 제2 배출수단(22)이 가압되는 정도에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출수단(21)을 통한 화장품의 배출과 제2 배출수단(22)을 통한 화장품의 배출이 서로 다른 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두 종류의 화장품을 서로 다른 양으로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제1 배출수단(21)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과 제2 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은, 각 배출수단(20)의 형태와, 토출구(31)의 개수, 토출구(31)의 크기에 따라서도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 배출수단(21)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과 제2 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의 양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또는 상기의 구성들을 변경하여 화장품의 양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제1 배출수단(21) 및/또는 제2 배출수단(22)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31)로 전달한다. 가이드부(40)는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 모두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을 토출구(31)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제1 배출수단(21)에서 배출되는 화장품만 토출구(31)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가이드부(40)를 경로하지 않고 토출판(30)에 형성되는 토출구(31)에 직접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토출판(30)과 배출수단(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토출판(30)의 가압 시 토출판(30)과 함께 하강하여 배출수단(20)을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이드부(40)는 배출수단(20)을 직접 가압해 화장품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며, 토출판(30)은 가이드부(40)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배출수단(20)을 가압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가이드부(40)는, 제1 가이드로(41)와 제2 가이드로(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로(41)는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와 연통된다. 제1 가이드로(41)는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11)에서 배출된 화장품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가지며, 확산 공간은 토출판(30)의 토출구(31) 중 일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출수단(21)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은 제1 가이드로(41)를 따라 제1 가이드로(41)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31a)를 통하여 토출판(30)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 제2 가이드로(42)는,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와 연통되며 제1 가이드로(41)와 격리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로(42) 역시 제1 가이드로(41)와 유사하게,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에서 배출된 화장품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가지며, 확산 공간은 토출판(30)의 토출구(31) 중 나머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로(42)는 제1 가이드로(41)와 격리되므로, 제2 배출수단(22)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은 제1 배출수단(21)에서 배출되는 화장품과 섞이지 않은 채, 제2 가이드로(42)를 따라 제2 가이드로(42)에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토출구(31b)를 통하여 토출판(30)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로(41)의 확산 공간은 제1 배출수단(21)의 출구(221)와 연통되는 토출구(31a)의 배치와 대응되기 위해서 별 모양 등 방사상으로 퍼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로(42)의 확산 공간은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와 연통되는 토출구(31b)의 배치와 대응되기 위해서 원 모양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배출수단(21)과 제2 배출수단(22)으로 화장품이 동시에 배출되어 토출판(3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토출판(30)의 상면에 안착된 두 종류의 화장품을 원하는 만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이때 도 7은 토출판(30)이 가압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8은 토출판(30)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2 배출수단(22)이 복수 개로 마련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의 구성들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배출수단(22)은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때 복수 개로 마련되는 제2 배출수단(22)은 각각 출구(221)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가이드부(40)의 제2 가이드로(42)에 연통될 수 있다.
제2 배출수단(22)이 복수 개일 경우, 제2 배출수단(22)으로 배출되는 화장품은 복수 개의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복수 개의 제2 배출수단(22)의 출구(221)는 제2 가이드로(42)에 연통될 수 있으므로, 제2 배출수단(22)을 통해 배출되는 여러 종류의 화장품은 제2 가이드로(42)에서 혼합된 후 토출판(30)의 상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출수단(22)을 복수 개로 마련하면, 토출판(30)을 가압할 때 토출판(30)의 주변 부분에 고르게 제2 배출수단(22)으로부터 화장품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토출판(30)에 충분한 양의 화장품이 제2 배출수단(22)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2 배출수단(22)을 복수 개로 구비함으로써 제2 배출수단(22)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의 토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제2 배출수단(22)에 의해 두 종류 이상의 화장품이 섞여서 토출판(30)에 배출된 후 제1 배출수단(21)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과 혼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 본체
11: 본체부 111: 버튼
112: 걸쇠 12: 뚜껑부
121: 힌지 122: 거울
20: 배출수단 21: 제1 배출수단
211: 출구 22: 제2 배출수단
221: 출구 30: 토출판
31, 31a, 31b: 토출구 40: 가이드부
41: 제1 가이드로 42: 제2 가이드로

Claims (14)

  1.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에서 상기 화장품이 배출되는 일측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토출판; 및
    상기 배출수단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을 상기 토출구로 전달하며 서로 격리된 둘 이상의 확산공간을 갖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수단은, 제1 배출수단과 제2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 및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에 각각 복수 개씩 연통되며,
    상기 확산공간은, 상기 제1 배출수단 또는 상기 제2 배출수단에서 배출되는 화장품을 확산시켜서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기 토출구 또는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는 복수 개의 상기 토출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판은,
    상기 제1 배출수단 및 상기 제2 배출수단을 가압하여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 및 상기 제2 배출수단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수단은,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단면이 원 형태이고,
    상기 제2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단면이 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 부피가 고정되는 형태이고,
    상기 제2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의 외측 부피가 줄어드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이 소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배출수단은,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수단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은,
    상기 제2 배출수단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상기 출구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상기 출구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출수단은,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토출구 중 상기 토출판의 중심에 위치하는 일부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며, 상기 토출판의 주변에 위치하는 나머지는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은,
    상기 제2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과 상이한 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배출수단의 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화장품을 확산시킨 후 상기 토출구에 전달하는 제1 가이드로와, 상기 제2 배출수단의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제1 가이드로와 격리되며 상기 화장품을 확산시킨 후 상기 토출구에 전달하는 제2 가이드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50001328A 2015-01-06 2015-01-06 화장품 용기 KR101755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328A KR101755780B1 (ko) 2015-01-06 2015-01-06 화장품 용기
CN201620010442.9U CN205338038U (zh) 2015-01-06 2016-01-06 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328A KR101755780B1 (ko) 2015-01-06 2015-01-0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721A KR20160084721A (ko) 2016-07-14
KR101755780B1 true KR101755780B1 (ko) 2017-07-07

Family

ID=5617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328A KR101755780B1 (ko) 2015-01-06 2015-01-0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5780B1 (ko)
CN (1) CN2053380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107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664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노즐이 형성된 파우치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2003714B1 (ko) * 2017-10-17 2019-07-25 옴니시스템주식회사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1942665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토출구가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2011807B1 (ko) * 2017-10-24 2019-08-19 (주)아모레퍼시픽 멀티 화장품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28B1 (ko) * 2013-06-17 2014-07-1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51B1 (ko) 2012-05-09 2014-01-27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28B1 (ko) * 2013-06-17 2014-07-1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73967Y1 (ko) * 2013-08-05 2014-08-13 (주)아모레퍼시픽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107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338038U (zh) 2016-06-29
KR20160084721A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780B1 (ko) 화장품 용기
KR10221411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1972Y1 (ko) 이액혼합 가능형 화장료 용기
KR101876119B1 (ko) 화장품 용기
KR20170003816U (ko) 화장품 용기
KR200480111Y1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겔상 화장료용 펌프용기
KR20160002588U (ko) 화장품 용기
KR200385928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70002564U (ko) 화장품 용기
KR101380166B1 (ko) 파우더 토출용 튜브용기
KR200478343Y1 (ko) 중앙집중 토출형 담지 스펀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61938Y1 (ko) 펌핑 화장용기
KR101584255B1 (ko)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KR200491184Y1 (ko) 화장품 용기
US20210106116A1 (en) Cosmetic container for two kinds of cosmetics
KR102070689B1 (ko) 펌프 잠금 구조를 구비한 마시지 용기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2087524B1 (ko) 그라인딩 믹싱 화장품 용기
KR20190000199U (ko) 화장품 용기
KR20150002194U (ko) 중앙집중 토출형 담지 스펀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896678B1 (ko) 화장품 용기
KR102398528B1 (ko)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KR200487907Y1 (ko) 화장품
KR102322665B1 (ko) 충진 장치, 화장품 용기, 화장품 충진 세트 그리고 화장품 충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