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255B1 -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255B1
KR101584255B1 KR1020150096048A KR20150096048A KR101584255B1 KR 101584255 B1 KR101584255 B1 KR 101584255B1 KR 1020150096048 A KR1020150096048 A KR 1020150096048A KR 20150096048 A KR20150096048 A KR 20150096048A KR 101584255 B1 KR101584255 B1 KR 10158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ushion member
cosmetic
foundation
liquid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일
Original Assignee
김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일 filed Critical 김승일
Priority to KR102015009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 토출 작용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부품 고장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중앙에는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수용하는 화장액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화장액 수용 공간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를 덮어 쿠션부재의 화장액 수용 공간을 차폐하되 복수의 토출공을 형성하며, 상방으로부터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가 하방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한 누름판;상기 누름판을 저장부에 결합하되 토출공은 외부로 노출되게 한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A liquid foundation cushion compact container}
본 발명은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액 토출 작용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한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얼굴이 화사하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화장액 등을 이용하여 화장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액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프레그런스(fragrance), 약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화장액은 그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액상의 상태로 구분되어 각 상태에 알맞은 용기에 보관된다.
특히, 메이크업 베이스로 사용되는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액은, 색조 분말원료에 고착제(binder), 유화제(emulsifier)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고 일정온도에서 용융, 냉각시킨 뒤 내용물을 파운데이션 케이스와 같은 화장품 용기에 담아 완제품으로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완제품을 통상, 콤팩트(compact)라 한다.
하지만, 분상의 화장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중 화장액이 비산되고, 얼굴에 도포시 밀착감이 떨어지는 단점으로 인해 상기 화장액을 수분이 함유된 액상으로 개량하여 얼굴화장의 용이성은 물론 화장에 따른 피부에 뭉침이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이 있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리퀴드(liquid) 콤팩트 『등록실용신안 20-0471000』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리퀴드 콤팩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퀴드 콤팩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액을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공간(11)이 형성된 용기 본체(17,27)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저장공간(11)을 한정하고, 구조체 홀(31)을 구비하는 고정 구조체(15)와, 상기 고정 구조체(15)를 덮도록 상기 용기 본체 상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화장액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23)를 구비하는 보호 케이스(13)와, 상기 구조체 홀(31)의 내측에서 상기 구조체 홀(31)의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토출구(23)를 개폐하기 위한 피스톤 모듈(43)과, 상기 고정 구조체(15) 및 상기 보호 케이스(13) 사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피스톤 모듈(43)을 상기 구조체 홀(31)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버튼(47)과, 상기 고정 구조체(15)의 내벽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버튼(47)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저장공간(11)에 저장된 화장액을 상기 구조체 홀(31)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내용물 압축수단(41)과, 상기 내용물 압축수단(4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저장공간(11)의 내측에서 상기 구조체 홀(31)을 개폐하여 상기 구조체 홀(31) 및 상기 제1저장공간(11)을 연통하는 밸브 모듈(7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리퀴드 콤팩트는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47)에 압력을 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토출구 개폐수단(51)에 구비된 플랜지부(61)는 슬라이드 버튼(47)의 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버튼(47)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여 슬라이드 버튼(47)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 단차부(75)와 접촉함으로써 토출구 개폐수단(51)을 고정 구조체(15)의 제2저장공간(39) 하부로 이동시킨다.
상기 토출구 개폐수단(51)이 고정 구조체(15)의 제1실린더(33) 내측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토출구 개폐수단(51)의 하부에 차례로 위치하는 밀폐수단(53) 및 지지체(55) 역시 제2저장공간(39)의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지지체(55)가 제2저장공간(39)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2저장공간(39)에 미리 저장된 내용물에 의해 서로 접촉하고 있던 밀폐수단(53)의 끝단 및 지지체(55)의 지지체 연장부(67)가 이격한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공간(39)에 저장된 내용물은 서로 이격하고 있는 밀폐수단(53)의 끝단 및 지지체(55)의 지지체 연장부(67) 사이의 공간을 따라 지지체(55)의 안내홀(63)로 이동한 후에 제1케이스(25)의 토출구(23)를 통해 콤팩트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의 리퀴드 콤팩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제작기간 및 부품 구성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 상승으로 인해 리퀴드 콤팩트 완제품 가격이 상승되어 소비자의 만족도를 떨어뜨렸던 것이다.
둘째, 구성이 복잡하여 부품 고장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부품 고장으로 인한 불량률 및 AS처리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7100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부품 고장에 따른 불량률 및 오동작을 최소화한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에 배치되되 중앙에는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수용하는 화장액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화장액 수용 공간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를 덮어 쿠션부재의 화장액 수용 공간을 차폐하되 복수의 토출공을 형성하며, 상방으로부터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가 하방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한 누름판;상기 누름판을 저장부에 결합하되 토출공은 외부로 노출되게 한 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는 스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의 화장액 수용공간에는 액상 파운데이션이 쿠션부재에 접촉되지 않도록 액상 파운데이션을 수용하는 화장액 분리부가 더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판은, 쿠션부재의 상면 둘레에 대응된 접착부;상기 접착부로부터 화장액 수용공간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며,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가압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용기의 구성이 간소화됨으로써, 용기 제작을 위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쿠션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한 누름판의 승강 구성을 통해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잔여량 없이 모두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제품 비용을 낮춰 소비자의 구매 상승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둘째, 용기의 구성이 간소해지므로, 화장액 토출 작동을 위한 부품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용기 구성이 복잡해질 경우, 각 부품의 유기적인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해 제품 생산시 불량률 및 사용자 사용 중 고장의 확률이 높지만, 본 발명은 단순한 부품 구성의 용기로 인해 부품 고장 및 오동작의 확률이 낮아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퀴드 콤팩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의 누름판이 최저점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의 누름판 및 저장부를 나타낸 평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저장하고 토출시키는 구성으로서, 리퀴드 콤팩트의 내부를 구성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콤팩트의 외부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C)가 마련되고,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외부케이스(C)의 내부에 삽입되어 마련된다.
상기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리필 제품으로 제공되며, 외부케이스(C)의 일측에는 내부를 차폐하는 커버(V)가 힌지 결합된다.
이때, 커버(V)의 내측에는 미용을 위한 거울이 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인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구성을 간소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되,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줄여 경제성을 높이고 고장 발생률을 최소화한 것이다.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0)와, 쿠션부재(200)와, 화장액 분리부(300)와, 누름판(400)과, 고정캡(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00)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110)을 형성하며, 외부케이스(C)의 내측에 결합된다.
저장부(100)는 외부케이스(C)와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끼움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저장부(100)의 일측에는 저장부(100)의 내부 공간(110)에 수용될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덮기 위한 덮개(120)가 힌지 결합된다.
다음으로, 쿠션부재(200)는 탄성력을 갖고 누름판(40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저장부(100)의 내측에 배치된다.
쿠션부재(200)는 상방으로부터의 누름 압력에 의해 수축되었다가 복원되는 원리를 이용해 누름판(400)을 승강시키며, 그의 재질은 탄성부재임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쿠션부재(200)는 스펀지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재(200)는 상,하 관통된 링(ring)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의 외경은 저장부 내부공간(110)의 내경에 대응된다.
즉, 쿠션부재(200)가 링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의 내부는 화장액 수용공간(210)을 형성하며,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상기 화장액 수용공간(210)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화장액 분리부(300)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구성이며, 쿠션부재(200)의 화장액 수용공간(210)에 배치된다.
화장액 분리부(300)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쿠션부재(200)의 화장액 수용공간(210)에 수용되는 것에 있어서,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쿠션부재(200)에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즉, 쿠션부재(200)에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스며들면, 화장액 수용량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쿠션부재(200)로부터 화장액 소진이 전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쿠션부재의 탄성이 저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액 분리부(300)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스펀지(200)에 함침되지 않도록 화장액과 쿠션부재(200)를 분리하면서 화장액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화장액 분리부(300)는 화장액이 스며들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쿠션부재(20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면 무방하다.
예컨대 화장액 분리부(300)의 재질은 불소 실리콘,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바이톤(viton)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화장액 분리부(300)의 형태는 도 2 및 도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몸체(310)와, 안착편(320)과, 받침편(330)으로 구성된다.
몸체(310)는 액상 파운데이션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쿠션부재(200)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다.
그리고, 안착편(320)은 쿠션부재(200) 안에 몸체(3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310)의 상단부로부터 쿠션부재(200)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착편(320)은 쿠션부재(200)의 상면에 안착이 된다.
그리고, 받침편(330)은 안착편(320)과 더불어 쿠션부재(200) 안에 몸체(3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저장부(100)의 내부공간(110) 안에서 몸체(31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역할을 한다.
쿠션부재(200)에 의해 몸체(310)의 위치가 가이드 되기는 하지만, 쿠션부재(200)의 재질 특성상 몸체(310)가 좌,우로 유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편(330)이 저장부(100)의 내측면에 간섭되도록 하여 몸체(31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받침편(330)이 저장부(100)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몸체(310)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310)는 상,하로만 승강될 수 있어 몸체(310)의 승강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편(330)은 몸체(310)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받침편(330)의 외경은 저장부(100)의 내측면에 맞닿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누름판(400)은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여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쿠션부재(200)의 상면에 위치된다.
정확하게는, 상기 누름판(400)은 쿠션부재(200)를 감싸고 있는 화장액 분리부(300)에 안착이 된다.
누름판(400)은 금속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SUS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누름판(400)의 중앙에는 화장액이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공(400a)이 형성된다.
누름판(4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410)와, 가압부(420)로 구성된다.
접착부(410)는 화장액 분리부(300)에 접착되는 부위이며, 화장액 분리부(300)의 상면에 대응된다.
이때, 접착부(410)와 화장액 분리부(300) 사이에는 양면테이프(T) 또는 접착제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부(420)는 접착부(410)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의 중앙에는 토출공(400a)이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가압부(420)를 누름으로써, 토출공(400a)을 통해 화장액이 토출되며 사용자는 퍼프(미도시)에 화장액을 묻혀 화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가압부(420)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화장액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즉, 누름판(400)이 눌려 쿠션부재(200)가 수축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200) 및 화장액 분리부(300)의 수축 한계로 인해 화장액 분리부(300)의 바닥면에는 화장액의 잔량이 남을 수 있으므로, 화장액의 잔량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누름판(400)의 가압부(420)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화장액 분리부(300)의 바닥면에 닿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캡(500)은 누름판(400)을 저장부(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누름판(400)이 승강되는 과정에서 저장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누름판(400)이 화장액 분리부(300)에 접착되어 있기는 하지만, 고정캡(500)이 누름판(400)을 더 덮어씌움으로써, 누름판(400)의 결합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누름판(400)의 가장자리를 마감하여 외관을 깔끔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캡(500)의 중앙은 상,하 관통된 통공을 형성하며, 고정캡(500)의 둘레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저장부(100)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캡(500)의 통공을 통해 누름판(400)의 토출공(400a)들이 노출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화장액 분리부(300)의 몸체(310) 둘레에 쿠션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쿠션부재(200)의 화장액 수용공간(210)에는 몸체(310)가 배치되며, 안착편(320)과 받침편(330) 사이에는 쿠션부재(200)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쿠션부재(200)와 화장액 분리부(300)를 저장부(100)의 내부공간(110)에 삽입시킨다.
이때, 화장액 분리부(300)의 받침편(330)은 저장부(100)의 내측면에 밀착이 된다.
다음으로, 화장액 분리부(300)의 몸체(310)에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수용하고, 누름판(400)을 덮어 차폐한다.
이때, 누름판(400)과 화장액 분리부(300) 사이에는 양면테이프(T) 또는 접착제를 접착하여 상호 간에 결합력을 높인다.
다음으로, 누름판(400)에 고정캡(500)을 덮어씌움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외부케이스(C)의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한편, 상기한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로부터 화장액이 토출되는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의 측단면도로서, 화장액 분리부(300)의 내부에는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수용된다.
이후, 사용자가 퍼프(미도시)를 이용해 누름판(400)을 누르면, 쿠션부재(200) 및 화장액 분리부(300)의 몸채(310)는 수축이 되고, 누름판(400)은 하강된다.
이때, 화장액 분리부(3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화장액이 누름판(400)의 토출공(400a)을 통해 토출되어 퍼프에 묻게 된다.
그리고, 누름판(400)은 원래 위치로 상승된다.
이후, 사용자는 퍼프에 함침된 화장액을 얼굴에 바르면서 화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400)은 화장액 분리부(300)의 바닥면까지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누름판(400)의 가압부(420)가 접착부(410)로부터 하방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구성은 도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화장액 분리부(300)의 화장액 잔량이 극소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액 사용의 효율성은 물론 경제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누름판(400)의 승강을 더욱 원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저장부(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가이드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30)은 누름판(400)의 승강을 가이드 하기 위한 구성이며, 저장부(100)의 높이 방향으로 요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누름판(400)의 둘레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돌부(430)는 가이드홈(130)에 대응되며, 가이드홈(130)을 따라 이동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누름판(400)을 누르면 돌부(430)는 가이드홈(130)을 따라 승강되며, 정해진 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누름판(400)의 누름 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해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퀴드 액상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는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 토출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쿠션부재와 누름판의 승강 작용을 통해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은 물론 구성 간소화에 따른 제작비용 절감 및 부품 고장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높여 생산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저장부 110 : 내부공간
120 : 덮개 130 : 가이드홈
200 : 쿠션부재 210 : 화장액 수용공간
300 : 화장액 분리부 310 : 몸체
320 : 안착편 330 : 받침편
400 : 누름판 400a : 토출공
410 : 접착부 420 : 가압부
430 : 돌부 500 : 고정캡
C : 외부 케이스 V : 커버
T : 양면 테이프

Claims (4)

  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중앙에는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을 수용하는 화장액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화장액 수용 공간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탄성 재질의 쿠션부재;
    상기 쿠션부재의 상부를 덮어 쿠션부재의 화장액 수용 공간을 차폐하되 복수의 토출공을 형성하며, 상방으로부터의 누름 압력에 의해 상기 쿠션부재가 하방으로 수축되면서 상기 토출공을 통해 액상 파운데이션 화장액이 토출되도록 한 누름판;
    상기 누름판을 저장부에 결합하되 토출공은 외부로 노출되게 한 고정캡:
    상기 쿠션부재의 화장액 수용공간에는 액상 파운데이션이 쿠션부재에 접촉되지 않도록 액상 파운데이션을 수용하는 화장액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액 분리부는 상기 쿠션부재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 안착편 및 상기 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경이 상기 저장부의 내측면에 맞닿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받침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용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쿠션부재의 상면 둘레에 대응된 접착부;
    상기 접착부로부터 화장액 수용공간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되며, 복수의 토출공이 형성된 가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KR1020150096048A 2015-07-06 2015-07-06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58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48A KR101584255B1 (ko) 2015-07-06 2015-07-06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48A KR101584255B1 (ko) 2015-07-06 2015-07-06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255B1 true KR101584255B1 (ko) 2016-01-11

Family

ID=5516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48A KR101584255B1 (ko) 2015-07-06 2015-07-06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68Y1 (ko) 2016-12-20 2018-03-19 김용배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KR101885324B1 (ko) * 2017-02-28 2018-08-06 (주)명성엘티씨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8220U (ja) * 1983-04-27 1984-11-10 株式会社 小林コ−セ− ペ−スト状化粧料用コンパクト
JPS59184709U (ja) * 1983-05-25 1984-12-08 株式会社 小林コ−セ− ペ−スト状化粧料用コンパクト
JP2001017231A (ja) * 1999-07-08 2001-01-23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71000Y1 (ko) 2012-04-12 2014-01-28 펌텍코리아 (주)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8220U (ja) * 1983-04-27 1984-11-10 株式会社 小林コ−セ− ペ−スト状化粧料用コンパクト
JPS59184709U (ja) * 1983-05-25 1984-12-08 株式会社 小林コ−セ− ペ−スト状化粧料用コンパクト
JP2001017231A (ja) * 1999-07-08 2001-01-23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71000Y1 (ko) 2012-04-12 2014-01-28 펌텍코리아 (주) 에어리스 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968Y1 (ko) 2016-12-20 2018-03-19 김용배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KR101885324B1 (ko) * 2017-02-28 2018-08-06 (주)명성엘티씨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US10034531B2 (en) Compact for cosmetics having refill case
CN207604625U (zh) 具有泵的凝胶型粉底用容器
CN106175032B (zh) 具有环形按钮构件的粉饼容器
JP6535808B2 (ja) 行程距離の短いポンプと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CN207912312U (zh) 含有便于加压的泵的粉底容器
CN106175031B (zh) 包括具有短行程的泵的粉盒容器
CN208017088U (zh) 具有用于均匀地排出化妆品的排出板的化妆品用粉盒容器
JP6450417B2 (ja) 排出板が固定部材によって支持されながら、インサート射出成形されるコンパクト容器
EP3015020A1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US20170095055A1 (en) Compact using applicator as pushbutton
JP2020511187A (ja) 異種物質混合容器
KR101585392B1 (ko)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2302Y1 (ko)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CN111770701A (zh) 化妆品容器
JP2018530412A (ja) 化粧品容器
KR101584255B1 (ko)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755780B1 (ko) 화장품 용기
EP3305126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contents storage container horizontally coupled to lateral side of pump
KR101867484B1 (ko) 이중망 사이에 배출판이 삽입된 배출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20100008244U (ko) 사용량에 따라 내부접시가 승강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101867486B1 (ko) 이중망 사이에 배출판이 삽입된 배출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67485B1 (ko) 이중망 사이에 배출판이 삽입된 배출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90000199U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