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968Y1 -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968Y1
KR200485968Y1 KR2020160007405U KR20160007405U KR200485968Y1 KR 200485968 Y1 KR200485968 Y1 KR 200485968Y1 KR 2020160007405 U KR2020160007405 U KR 2020160007405U KR 20160007405 U KR20160007405 U KR 20160007405U KR 200485968 Y1 KR200485968 Y1 KR 200485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ushion
foundation
sidewall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배
Original Assignee
김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배 filed Critical 김용배
Priority to KR2020160007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45D40/02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consisting of a movable stri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부와 상부로 구분 제조된 케이스가 두 개의 지점에서 밀착 결합되고, 중간덮개 없이 쿠션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부분에 퍼프부재가 기밀하게 밀착 위치됨으로써 파운데이션 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됨은 물론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는 중앙에는 상측이 개방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이격 된 두 개의 제 1 측벽이 상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고 파운데이션 액에 함침 처리된 쿠션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안착되되 그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측벽과 결합되는 두 개의 제 2 측벽이 하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퍼프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스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커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CASE FOR CUSHION FOUNDATION}
개시된 내용은 화장용 액상 파운데이션이 그 내부에 사용 가능하게 수용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색조 화장품은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초 화장품과는 달리 안료가 포함되어 피부의 톤(tone)을 조정해주어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화장품이다. 이러한 색조 화장품은 메이크업베이스, 액상 파운데이션, 콤팩트, 분상 파우더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색조 화장품들은 세안 후에 기초 화장품을 바르고 그 위에 밑 화장용 화장품으로 메이크업 베이스를 바른 후에 다른 색조 화장품을 바르게된다. 이때 메이크업 베이스는 다른 색조화장품의 퍼짐성을 좋게 하고 피부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메이크업 베이스를 바른 후에 바르는 액상 파운데이션은 피부 톤을 정리하고 피부의 결점을 커버 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 액상 파운데이션은 크림 또는 유액(乳液)에 분가루를 배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튜브용기에 담아 사용한다.
또한, 액상 파운데이션을 바른 후에는 콤팩트나 분상 파우더를 발라 피부에 색조효과를 주고 땀이나 오일성분으로 인한 피부의 번들거림을 방지하고 피부를 보송보송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색조화장을 위해서는 여러 개의 화장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상 파운데이션과 콤팩트가 하나로 결합 된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인 쿠션 파운데이션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쿠션 파운데이션은 케이스 내에 액상 파운데이션이 스펀지 재질의 쿠션에 함침 된 상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쿠션 파운데이션은 쿠션에 함침 된 액상 파운데이션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케이스의 상부, 즉 액상 파운데이션이 소량씩 묻혀지는 퍼프가 놓여지는 부분에 중간덮개가 마련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중간덮개가 마련될 경우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가 늘어나게 되고, 소형 및 경량으로 제조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84255호(2016.01.05)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5-0001929호(2015.05.20)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78985호(2014.03.21)
하부와 상부로 구분 제조된 케이스가 두 개의 지점에서 밀착 결합되고, 중간덮개 없이 쿠션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부분에 퍼프부재가 기밀하게 밀착 위치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중앙에는 상측이 개방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이격 된 두 개의 제 1 측벽이 상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고 파운데이션 액에 함침 처리된 쿠션부재와,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안착되되 그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측벽과 결합되는 두 개의 제 2 측벽이 하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퍼프부재와, 상기 상부 케이스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커버가 포함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는 하부와 상부로 구분 제조된 케이스가 두 개의 지점에서 밀착 결합되고, 중간덮개 없이 쿠션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부분에 퍼프부재가 기밀하게 밀착 위치됨으로써 파운데이션 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됨은 물론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의 단면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1)의 구성부재와 그 구성부재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1)의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추후에 설명될 쿠션부재(20)가 내장되는 역할은 한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0)는 그 중앙에 상측이 개방된 저장공간(11)이 형성된다. 또한, 저장공간(11)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이격 된 두 개의 제 1 측벽(12)이 상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저장공간(11)은 그 내부에 내장될 쿠션부재(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재질은 합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제 1 측벽(12)은 하부 케이스(10)의 가장자리에 나란히 두 개가 형성되는데 내측의 것은 단턱 형상으로만 형성되고 외측의 것은 단턱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측벽(3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 1 돌기(13)가 돌출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하부 케이스(10)의 저장공간(11) 내에는 쿠션부재(20)가 위치된다. 이 쿠션부재(20)는 파운데이션 액에 함침 처리된 것으로 추후에 설명될 퍼프부재(40)에 의해 소량씩 묻혀져 사용된다. 이와 같은 쿠션부재(20)는 신축성 있는 압축 스펀지로 제조되며, 파운데이션 액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용 겔상 파운데이션이 사용되는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쿠션부재(20)가 위치된 하부 케이스(10) 상에는 상부 케이스(30)가 안착 결합된다. 이 상부 케이스(30)는 퍼프부재(40)가 그 내부에 수용되고,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커버(50)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30)는 그 가장자리에 제 1 측벽(12)과 결합되는 두 개의 제 2 측벽(32)이 하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쿠션부재(20)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개방부(31)가 형성된다.
제 2 측벽(32)은 상부 케이스(30)의 가장자리에 나란히 두 개가 형성되는데 내측의 것은 단턱 형상으로만 형성되고 외측의 것은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술한 제 1 돌기(13)와 서로 지지 가능한 제 2 돌기(33)가 돌출 형성된다.
즉, 두 개의 제 1 측벽(12)과 제 2 측벽(32) 중에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은 서로 치합 가능한 단턱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제 1 측벽(12)과 제 2 측벽(32) 중에서 외측에 위치되는 것은 서로 이격 된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격 된 지점에는 서로 지지되는 제 1 돌기(13)와 제 2 돌기(33)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때 두 개의 제 1 측벽(12)과 제 2 측벽(32) 중에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은 서로 치합되는 단턱 길이가 5mm 내지 10mm 길이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파운데이션 액이 하부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30)의 연결부위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제 1 측벽(12)과 제 2 측벽(32) 중에서 외측에 위치되는 것은 서로 이격 된 단턱 길이가 5mm 내지 10mm 길이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1 돌기(13) 및 제 2 돌기(33)가 형성되게 하기 위함이며 제 1 돌기(13)가 상측에 제 2 돌기(33)가 하측에 위치되는 형태로 서로 지지된다. 이는 상부 케이스(30)가 하부 케이스(10) 상에 안착 결합 될 때 먼저 내측의 제 1 측벽(12)과 제 2 측벽(32)이 서로 밀착 치합되게 한 상태에서 외측의 제 2 측벽(32)이 제 1 측벽(12)에 가압되면서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개방부(31)는 쿠션부재(20)가 사용 가능하게 노출되게 하고, 동시에 퍼프부재(40)가 안착 구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부(31)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퍼프부재(4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환형의 안착돌기(34)가 내향 돌출 형성된다. 안착돌기(34)는 퍼프부재(40)가 위치되게 함으로써 퍼프부재(40)에 의해 개방부(31)가 기밀하게 폐쇄되게 한다. 즉, 개시된 내용에 따른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1)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중간덮개가 구비되지 않는다. 중간덮개는 파운데이션 액이 쿠션부재(20)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차단해 준다. 즉, 퍼프부재(40)의 측면은 개방부(31)의 측면에 밀착되고, 퍼프부재(40)의 하부면 가장자리는 안착돌기(34) 상에 밀착되어 쿠션부재(20)에 함침 된 파운데이션 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30) 일측에는 커버(50)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 커버(50)는 그 회동 여부에 따라 개방부(3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50)는 힌지 방식으로 결합 될 수도 있지만, 완전히 분리/결합 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커버(50)의 내부면에는 거울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1)에 의하면 하부와 상부로 구분 제조된 케이스가 두 개의 지점에서 밀착 결합되고, 중간덮개 없이 쿠션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되 노출된 부분에 퍼프부재(40)가 기밀하게 밀착 위치됨으로써 파운데이션 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됨은 물론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될 수 있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10 : 하부 케이스
11 : 저장공간
12 : 제 1 측벽
13 : 제 1 돌기
20 : 쿠션부재
30 : 상부 케이스
31 : 개방부
32 : 제 2 측벽
33 : 제 2 돌기
34 : 안착돌기
40 : 퍼프부재
50 : 커버

Claims (5)

  1. 중앙에는 상측이 개방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이격 된 두 개의 제 1 측벽이 상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고 파운데이션 액에 함침 처리된 쿠션부재;
    상기 하부 케이스 상에 안착되되 그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측벽과 결합되는 두 개의 제 2 측벽이 하향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개방부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퍼프부재; 및
    상기 상부 케이스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개방부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하는 커버;가 포함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중에서 내측에 위치되는 것은 서로 치합 가능한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중에서 외측에 위치되는 것은 서로 이격 된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되, 이격 된 지점에는 서로 지지되는 제 1 돌기와 제 2 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상기 퍼프부재가 안착 될 수 있도록 환형의 안착돌기가 내향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퍼프부재의 측면은 상기 개방부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퍼프부재의 하부면 가장자리는 상기 안착돌기 상에 밀착되어 상기 쿠션부재에 함침 된 상기 파운데이션 액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KR2020160007405U 2016-12-20 2016-12-20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KR200485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05U KR200485968Y1 (ko) 2016-12-20 2016-12-20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405U KR200485968Y1 (ko) 2016-12-20 2016-12-20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68Y1 true KR200485968Y1 (ko) 2018-03-19

Family

ID=6180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405U KR200485968Y1 (ko) 2016-12-20 2016-12-20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88B1 (ko) * 2018-03-30 2019-09-2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넘침방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000511A (ko) * 2018-06-22 2020-01-03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파우치형 쿠션 팩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885Y2 (ja) * 1990-09-27 1997-02-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378985B1 (ko) 2012-09-26 2014-03-28 이성환 파운데이션 팩트 화장품 용기
KR20150001929U (ko) 2015-02-26 2015-05-20 강성일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50060103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584255B1 (ko) 2015-07-06 2016-01-11 김승일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672675B1 (ko) * 2016-04-05 2016-11-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885Y2 (ja) * 1990-09-27 1997-02-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378985B1 (ko) 2012-09-26 2014-03-28 이성환 파운데이션 팩트 화장품 용기
KR20150060103A (ko) * 2013-11-25 2015-06-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50001929U (ko) 2015-02-26 2015-05-20 강성일 에어출입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584255B1 (ko) 2015-07-06 2016-01-11 김승일 리퀴드 파운데이션 쿠션 콤팩트 용기
KR101672675B1 (ko) * 2016-04-05 2016-11-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788B1 (ko) * 2018-03-30 2019-09-24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의 넘침방지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00000511A (ko) * 2018-06-22 2020-01-03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파우치형 쿠션 팩트
KR102093505B1 (ko) * 2018-06-22 2020-03-26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파우치형 쿠션 팩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7447B1 (en) Compact container for receiving two kinds of cosmetics
US10334931B2 (en) Puff-embedded cosmetic powder container
KR20047624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US10172434B2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otating contents container
KR101734181B1 (ko) 두 가지 화장료가 수용되는 콤팩트 용기
KR101881361B1 (ko) 구조가 단순하고 화장료 충전 공정이 개선된 콤팩트 용기
US10897976B2 (en)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pump having convenient pressurization
GB2457111A (en) Rotating dial sifter
KR200483309Y1 (ko) 방향성 없이 조립이 가능한 확산분배판을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5968Y1 (ko)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KR101638813B1 (ko)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JP2022500175A (ja) 化粧品用コンパクト容器
KR20170114004A (ko) 투명 배출판 저면에 불투명 박막이 인서트 사출된 콤팩트 용기
KR101784737B1 (ko) 탄성 재질의 내용물용기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340695B1 (ko) 퍼프 내장형 파우더 용기
KR101867484B1 (ko) 이중망 사이에 배출판이 삽입된 배출부재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850543B1 (ko) 토출부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101726355B1 (ko) 자석을 이용한 콤팩트 용기
KR101924228B1 (ko) 화장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7340B1 (ko) 열과 자외선이 이중으로 차단되는 콤팩트 용기
KR20170010258A (ko) 화장료 배출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20180002796U (ko) 다용도 쿠션 용기
CN109890243B (zh) 通过连接环和下盖将网状物与中间帽连接的粉末容器的中间帽及其制造方法
KR20170022167A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뚜껑을 구비한 펌핑 파운데이션 용기
US1558471A (en) Vanity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