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05B1 - 파우치형 쿠션 팩트 - Google Patents

파우치형 쿠션 팩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05B1
KR102093505B1 KR1020180071900A KR20180071900A KR102093505B1 KR 102093505 B1 KR102093505 B1 KR 102093505B1 KR 1020180071900 A KR1020180071900 A KR 1020180071900A KR 20180071900 A KR20180071900 A KR 20180071900A KR 102093505 B1 KR102093505 B1 KR 10209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ouch
exposed
opening
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511A (ko
Inventor
한영민
Original Assignee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한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한영민 filed Critical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쿠션 팩트에 관한 것으로, 파손 염려 없이 다루기가 용이하여 휴대 및 수납이 간편하고 실내, 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자리가 씰링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액상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의 함침을 위한 쿠션시트가 내장되며 쿠션시트의 상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파우치, 파우치의 개구부 둘레에 긴밀하게 접착되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의 노출면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쿠션 노출공을 형성하여 쿠션 노출공을 통해 파우치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쿠션 팩트 캡, 및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의 상면에 직접 접촉시켜 액상 화장료를 묻혀 피부에 바를 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쿠션 팩트 캡에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쿠션 퍼프를 포함하여, 쿠션 팩트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쿠션시트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분 또는 화장료를 실내, 외에서 편리하게 취하여 사용토록 하여 메이크업에 예민한 젊은 층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파우치형 쿠션 팩트{A pouch type cushion pact}
본 발명은 파우치형 쿠션 팩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편리한 파우치에 분말(fowder) 또는 액상(liquid)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료를 저장하고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를 함침시켜 유동을 방지하고 소량만 인출되게 하는 쿠션(cushion)의 내설한 후 쿠션의 일부가 파우치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게 하고, 파우치의 개구부에 쿠션 퍼프(puff)의 안착이 가능한 쿠션 팩트 캡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러짐 또는 깨짐 등의 파손 염려 없이 다루기가 용이하고 부피 또는 형태 변화를 통해 쿠션 팩트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쿠션 퍼프를 이용하여 수시로 화장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이크업에 예민한 젊은 층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파우치형 쿠션 팩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는 휴대용 화장도구로서, 케이스 내부에 분말 또는 고형 상태의 파운데이션, 또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료가 수납되고, 휴대하면서 뚜껑의 내주면에 구비된 거울과 퍼프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콤팩트는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정형화된 디자인으로 케이스가 제작 및 판매되기 때문에, 휴대시 정형화된 케이스의 크기나 두께나 맞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 있는 가방에 넣어 휴대하여야 하므로 비교적 수납 공간이 작은 핸드백 등과 같은 소형 가방에는 휴대할 수 없게 되어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케이스의 제작에 따른 제조 원가의 상승은 콤팩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스펀지나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패드에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타입의 화장품, 즉 에어 쿠션 타입의 화장품을 수납하여 사용하도록 한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가 일부 제안되고 있으며, 에어 쿠션 타입의 화장품만을 새것으로 교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7401호(명칭: 파우더 화장품 용기,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외용기로부터 파우더를 저장하고 있는 내용기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고 외용기 뚜껑을 회전시킴으로써 내용기와 외용기를 동시에 여닫을 수 있게 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외용기로부터 파우더를 저장하고 있는 내용기를 교체하여 고가의 외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소비자의 구매 부담을 줄이며 외용기 뚜껑을 회전시켜 내용기와 외용기를 동시에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6854호(명칭: 캡슐 화장품 리필구조 및 에어 타이트 기능을 갖는 콤팩트 케이스,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다공성 패드에 액상 화장료가 함침되어진 타입의 캡슐 화장품을 직접 리필 구조로 장착하고 캡슐 화장품의 장착에 따른 에어 타이트 기능을 부여하여 에어 쿠션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에 대한 캡슐 화장품의 리필에 따른 교체 분리가 간편하고,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다공성 패드를 캡슐에 수납하는 구조로 하여 캡슐 화장품의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면서도 하부 케이스에 장착시 안정된 기밀력을 제공하여 다공성 패드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의 수분 증발이나 누액을 방지하고, 퍼프에 대한 공기 소통이 가능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콤팩트 케이스는, 에어 쿠션 타입의 화장품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콤팩트 용기 또한 에어 쿠션 타입의 화장품을 수납하기 위한 본체, 본체에 대하여 힌지로 연결 조립되고 개폐 조작되는 뚜껑, 및 본체 내에 수납된 에어 쿠션 타입의 화장품의 커버링 및 지지를 위한 수납 접시 등 최소한 3 피스 이상의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부러짐 또는 깨짐 등의 파손 염려 없이 다루기가 용이하고 부피 또는 형태 변화를 통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공정 및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콤팩트가 요구되고 있다.
KR 10-2014-0067401 A 2014.06.05. 공개 KR 10-1466854 B1 2014.11.24.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러짐 또는 깨짐 등의 파손 염려가 없어 다루기가 용이하고 부피 또는 형태 변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수납이 간편한 파우치에 분말 또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료를 저장하고 파우치의 개구부에 쿠션시트가 내설되고 퍼프 안착이 가능한 캡을 설치하고 커버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 팩트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퍼프를 이용하여 쿠션시트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분 또는 화장료를 실내, 외에서 편리하게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메이크업에 예민한 젊은 층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파우치형 쿠션 팩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가장자리가 씰링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액상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의 함침을 위한 쿠션시트가 내장되며 쿠션시트의 상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파우치, 파우치의 개구부 둘레에 긴밀하게 접착되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의 노출면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쿠션 노출공을 형성하여 쿠션 노출공을 통해 파우치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쿠션 팩트 캡, 및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의 상면에 직접 접촉시켜 액상 화장료를 묻혀 피부에 바를 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쿠션 팩트 캡에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쿠션 퍼프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쿠션 팩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에 분말 또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료 및 쿠션시트가 저장 및 내설되고 파우치의 개구부에 퍼프 안착이 가능한 인출 브라켓이 설치되어 커버로 간단히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쿠션 팩트의 부러짐 또는 깨짐 등의 파손 염려가 없어 다루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피 또는 형태 변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수납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쿠션 팩트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퍼프를 이용하여 쿠션시트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분 또는 화장료를 실내, 외에서 편리하게 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메이크업에 예민한 젊은 층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형 쿠션 팩트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형 쿠션 팩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파우치형 쿠션 팩트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형 쿠션 팩트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우치형 쿠션 팩트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우치형 쿠션 팩트는, 파우치(100), 쿠션 팩트 캡(200), 및 쿠션 퍼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파우치형 쿠션 팩트는 분말(fowder) 또는 액상(liquid)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료를 필요에 따라 퍼프 등으로 소량씩 찍어 얼굴 등에 바를 수 있도록 제조되는 쿠션 팩트에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파우치(100)는 가장자리가 씰링(sealing)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내부 공간에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와,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쿠션시트(110)가 내장되고, 파우치(100)의 몸체 상부에는 몸체의 일부가 제거되어 쿠션시트(110)의 상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쿠션시트(110)는 스펀지나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재질의 시트로서 분말 또는 액상의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팩트 캡(200)은 파우치(100)의 개구부(120) 둘레에 긴밀하게 접착되며, 쿠션시트(110)의 노출면을 상부로 노출시키는 쿠션 노출공(211) 및 파우치(100)의 개구부(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쿠션 팩트 캡(200)은 파우치 접합부(210)와, 쿠션 팩트 커버(220), 및 이들을 절첩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우치 접합부(210)는 원반형의 띠 형태로서 가장자리가 상부로 라운딩 된 구조를 형성하며,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의 쿠션 노출공(211)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상면을 상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되고, 파우치(100)의 개구부(120) 둘레를 따라 긴밀하게 접착되어,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의 누액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파우치 접합부(210)는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의 누출 또는 누액 방지를 위한 기밀벽(212)이 내벽(212a)과 외벽(212b)의 이중 형성되어 쿠션 노출공(211)의 둘레 전체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쿠션 팩트 커버(220)는 파우치 접합부(210)와 일체로 그 일측에 형성되되 힌지부(23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선회 동작에 의해 쿠션 노출공(211) 측으로 접거나 또는 그 반대 측으로 펼치는 동작으로 필요에 따라 쿠션 노출공(211) 측으로 접어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와 쿠션 노출공(211)을 폐쇄하거나 쿠션 노출공(211) 반대 측으로 펼쳐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와 쿠션 노출공(211)을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러한 쿠션 팩트 커버(220)에는 파우치 접합부(210)의 기밀벽(212)의 외벽(212b)을 내측에서 감싸는 내측벽(222a)과 외측에서 감싸는 외측벽(222b)으로 구성되어, 기밀벽(212)의 외벽(212b)을 내,외 양측에서 각각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차폐벽(22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쿠션 팩트 커버(220)에 형성되는 차폐벽(222)은 파우치 접합부(210)의 기밀벽(212)에 대한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측벽(222a)이 외측벽(222b)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파우치 접합부(210)의 기밀벽(212) 외벽(212b)에 쿠션 팩트 커버(220)의 차폐벽(222)이 긴밀하게 결합되면서 피우치 내부의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가 누출 또는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쿠션 팩트 커버(220) 내면의 차폐벽(222) 내측에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반사체(221)가 부착되어, 화장시 간이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쿠션 팩트 커버(220)를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파지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230)는 쿠션 팩트 커버(220)를 파우치 접합부(210)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며, 쿠션 팩트 커버(220)가 파우치 접합부(22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선회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쿠션 퍼프(300)는 파우치(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상면에 직접 접촉시켜 액상 화장료를 묻혀 피부에 바를 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쿠션 노출공(211)을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노출면을 커버링할 수 있는 크기로서 쿠션 팩트 캡(200)의 기밀벽(212)의 내벽(212a) 안쪽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쿠션 팩트 캡(200)에 수용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쿠션 팩트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우치(100)의 상면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100)의 상부 몸체 일부를 제거하여 개구부(120)를 형성하고, 이러한 개구부(120)가 형성된 파우치(100)의 내부에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를 함침할 수 있는 쿠션시트(110)를 내장한 후 가장자리를 씰링한다. 이때 쿠션시트(110)는 스펀지나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재질의 시트로 구비하여, 추후 주입될 분말 또는 액상의 화장료가 용이하게 함침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씰링된 파우치(100)의 개구부(120) 둘레 상면에 쿠션 팩트 캡(200)의 파우치 접합부(210)의 저면을 긴밀하게 접착시켜 쿠션 팩트 캡(200)을 파우치(100) 상부에 부착한다. 이때 쿠션 팩트 캡(200)은 쿠션 팩트 커버(220)를 개방시켜 파우치 접합부(210)의 쿠션 노출공(211)이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쿠션 팩트 캡(200)의 파우치 접합부(210)를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에 접착함으로써, 파우치 접합부(210)의 일측에 힌지부(2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쿠션 팩트 커버(220)의 선회 동작을 통해 쿠션 노출공(211) 및 파우치(100)의 개구부(120)를 개폐하여 쿠션시트(110)의 노출면을 필요에 따라 상부로 노출 또는 폐쇄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쿠션 팩트 캡(200)의 파우치 접합부(210)가 개구부(120)에 긴밀하게 부착되고 가장자리가 씰링되어 형성된 파우치(100)의 내부 공간에 쿠션 노출공(211)을 통해 정량의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를 주입함으로써, 주입된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가 내장된 쿠션시트(110)에 함침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의 주입이 완료되면, 쿠션 노출공(211)을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노출면의 상부, 즉 파우치 접합부(210)의 기밀벽(212) 내벽(212a) 안쪽에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도록 쿠션 퍼프(300)를 안착시키고, 쿠션 팩트 캡(200)의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하여 쿠션 팩트 커버(220)를 파우치 접합부(210) 측으로 선회 동작시켜 파우치 접합부(210)의 기밀벽(212)의 외벽(212b) 양측에 쿠션 팩트 커버(220)의 차폐벽(222)의 내측벽(222a)과 외측벽(222b)이 내,외측에서 각각 긴밀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파우치 내부의 분말 또는 액상 화장료가 누출 또는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필요에 따라 파우치 접합부(210) 일측에 형성된 쿠션 팩트 커버(220)를 선회 동작시켜 쿠션 노출공(211) 측으로 접어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와 쿠션 노출공(211)을 폐쇄하여 간편하게 휴대하거나, 쿠션 노출공(211) 반대 측으로 펼쳐 파우치(100)의 개구부(120)와 쿠션 노출공(211)을 개방한 후 파우치(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상면에 직접 접촉시켜 액상 화장료를 묻히고, 쿠션 팩트 커버(220) 내측에 부착된 반사체(221)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피부에 바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에 분말 또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료 및 쿠션시트가 저장 및 내설되고 파우치의 개구부에 퍼프 안착이 가능한 인출 브라켓이 설치되어 커버로 간단히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쿠션 팩트의 부러짐 또는 깨짐 등의 파손 염려가 없어 다루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피 또는 형태 변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수납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쿠션 팩트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퍼프를 이용하여 쿠션시트를 통해 유출되는 화장분 또는 화장료를 실내, 외에서 편리하게 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메이크업에 예민한 젊은 층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파우치 110 : 쿠션시트
120 : 개구부 200 : 쿠션 팩트 캡
210 : 파우치 접합부 211 : 쿠션 노출공
212 : 기밀벽 212a : 내벽
212b : 외벽 220 : 쿠션 팩트 커버
221 : 반사체 222 : 차폐벽
222a : 내측벽 222b : 외측벽
223 : 파지부 230 : 힌지부
300 : 쿠션 퍼프

Claims (7)

  1. 가장자리가 씰링(sealing)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공간에 액상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를 흡수하여 함유하는 다공성 재질의 쿠션시트(110)가 내장되며, 상기 쿠션시트(110)의 상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120)가 형성된 파우치(100);
    상기 파우치(100)의 개구부(120) 둘레에 긴밀하게 접착되며,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노출면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쿠션 노출공(211)을 형성하여 쿠션 노출공(211)을 통해 상기 파우치(100)의 개구부(120)를 개폐하는 쿠션 팩트 캡(200); 및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상면에 직접 접촉시켜 액상 화장료를 묻혀 피부에 바를 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 팩트 캡(200)에 수용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인출되는 쿠션 퍼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 팩트 캡(200)은,
    원반형의 띠 형태로서 상기 파우치(100)의 개구부(120) 둘레를 따라 긴밀하게 접착되고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 노출된 상기 쿠션시트(110)의 상면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쿠션 노출공(211)이 중앙부에 형성되되 쿠션 팩트 커버(220)의 선회 동작에 의해 쿠션 노출공(211)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파우치 접합부(210)와;
    상기 파우치 접합부(210)와 일체로 그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쿠션 노출공(211) 측으로 접거나 펼침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 노출공(211)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쿠션 팩트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파우치 접합부(210)는 액상 화장료의 누출 방지를 위한 기밀벽(212)이 내벽(212a)과 외벽(212b)의 이중으로 형성되어 쿠션 노출공(211)의 둘레 전체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쿠션 팩트 커버(220)는 상기 기밀벽(212)의 외벽(212b)을 내측에서 감싸는 내측벽(222a)과 외측에서 감싸는 외측벽(222b)으로 구성되어, 기밀벽의 외벽을 내,외 양측에서 각각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차폐벽(222)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밀벽(212)과 차폐벽(222)의 결합에 의해 액상 화장료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쿠션 팩트 커버(220) 내면의 차폐벽(222) 내측에는 반사체(221)가 부착되어 화장시 간이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일측에는 쿠션 팩트 커버(220)를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파지부(22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쿠션 퍼프(300)는,
    상기 쿠션 노출공(211)을 통해 노출된 쿠션시트(110)의 노출면을 커버링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쿠션 팩트 캡(200)의 기밀벽(212) 내측에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쿠션 팩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71900A 2018-06-22 2018-06-22 파우치형 쿠션 팩트 KR10209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00A KR102093505B1 (ko) 2018-06-22 2018-06-22 파우치형 쿠션 팩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900A KR102093505B1 (ko) 2018-06-22 2018-06-22 파우치형 쿠션 팩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1A KR20200000511A (ko) 2020-01-03
KR102093505B1 true KR102093505B1 (ko) 2020-03-26

Family

ID=6915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00A KR102093505B1 (ko) 2018-06-22 2018-06-22 파우치형 쿠션 팩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07Y1 (ko)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50329Y1 (ko) * 2008-06-30 2010-09-27 (주)아모레퍼시픽 도포구가 구비된 파우치
KR101672675B1 (ko) 2016-04-05 2016-11-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200485968Y1 (ko) * 2016-12-20 2018-03-19 김용배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7401A (ko) 2012-11-26 2014-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더 화장품 용기
KR101466854B1 (ko) 2014-07-02 2014-11-28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캡슐 화장품 리필구조 및 에어 타이트 기능을 갖는 콤팩트 케이스
KR20160116388A (ko) * 2015-03-30 2016-10-10 (주) 이루팩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200489087Y1 (ko) * 2016-11-25 2019-08-27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07Y1 (ko)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50329Y1 (ko) * 2008-06-30 2010-09-27 (주)아모레퍼시픽 도포구가 구비된 파우치
KR101672675B1 (ko) 2016-04-05 2016-11-0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200485968Y1 (ko) * 2016-12-20 2018-03-19 김용배 쿠션 파운데이션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511A (ko) 2020-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694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1619128B1 (ko) 화장품 용기
KR101841178B1 (ko)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KR101459015B1 (ko) 리필 캡슐 장착형 콤팩트 케이스
JP6353921B2 (ja)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JP2018514297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478805Y1 (ko) 스펀지함침형 화장제용기
KR102089722B1 (ko) 용기 커버 개방 시 무게 균형이 유지되는 두께가 슬림한 화장품 용기
KR102255920B1 (ko) 화장품 용기
TWM589998U (zh) 化妝品容器
JP2022500175A (ja) 化粧品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782905B1 (ko) 이종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2093505B1 (ko) 파우치형 쿠션 팩트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KR200473786Y1 (ko) 화장용 퍼프용기
JP2018522670A (ja) コンパクト容器
KR102581360B1 (ko) 액체 메이크업 케이스용 리필 그리고 케이스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KR101975747B1 (ko) 밀폐구조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KR102511824B1 (ko) 화장품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52403B1 (ko) 파우더 화장품을 저장토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200496167Y1 (ko) 내용물 용기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2170773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