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388A -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388A
KR20160116388A KR1020150043937A KR20150043937A KR20160116388A KR 20160116388 A KR20160116388 A KR 20160116388A KR 1020150043937 A KR1020150043937 A KR 1020150043937A KR 20150043937 A KR20150043937 A KR 20150043937A KR 20160116388 A KR20160116388 A KR 20160116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pace
upper cover
case
circumferential surf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배
Original Assignee
(주) 이루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루팩 filed Critical (주) 이루팩
Priority to KR102015004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6388A/ko
Publication of KR2016011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9Integral supplemental sealing 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내용물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및,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접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가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홀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보다 얕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이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면과 맞닿아 상기 상부 커버가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 하부의 외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아 상기 내부공간의 밀폐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Airtight Case}
본 발명은 밀폐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커버와 하부 용기 간의 밀폐를 통해 내용물의 변질 및 변형, 수분 증발로 인한 건조 및 갈라짐을 방지하도록 한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중 콤팩트는 하부케이스 내부에 고형의 파우더 형태로 제공되는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 하부 케이스에서 상부케이스를 개폐시켜 사용하되, 별도의 퍼프(분첩) 등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의 내용물은 다양하게 제조되는데, 특히 콤팩트 내부에 수납되는 내용물은 수분이나 휘발성 물질이 함유된 고체상태의 분말로 제조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휘발성 물질의 증발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딱딱하게 굳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 케이스가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최근 고가의 화장품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내용물을 변질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밀폐 케이스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 오염을 초래하는 요인으로는 공기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 세균, 먼지 등)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수분함유량이 많은 내용물과 복합 기능을 하는 기능성 내용물의 제품 출시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용물의 수분유지와 내용물 본래 기능을 유지 할 수 있는 밀폐 케이스 즉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 케이스는 하부 용기(10)와 상부 커버(20)를 포함하며, 하부 용기(10)에 상부 커버(20)가 삽입됨으로써 내부공간(12)의 밀폐가 이루어진다. 상부 커버(20)가 닫히면서 내부공간(12)의 공기가 압축되는데, 이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상부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내부공간(12)에 다량의 공기가 존재하므로 내용물(30)과 공기가 맞닿아 내용물(30)의 건조 및 부패가 진행될 수 있다.
둘째, 상부 커버(20)가 닫히면서 내부공간(12)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공기가 압축됨에 따라 상부 커버(20)를 쉽게 닫을 수 없으며, 상부 커버(20)를 닫았다 하더라도 내부공간(20)의 압축공기로 인해 상부 커버(20)가 다시 열릴 수 있다.
셋째, 상부 커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 커버(20)에 조금만 외력을 가해도 압축공기에 의해 상부 커버(20)가 급격히 열리며 내용물(30)이 바깥으로 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밀폐 시 내부공간의 공기가 압축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상부 커버를 다시 열 때 화장품이 튀거나 상부 커버가 갑작스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 커버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는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돌째, 본 발명은 화장품의 변질 및 변형, 수분 증발로 인한 건조 및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화장품을 흡수한 스펀지를 내부공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본 발명은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본 발명은 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는 하부 용기 및 상부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용기에는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용기는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접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다.
또한, 상기 공기 배출홀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보다 얕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이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면과 맞닿아 상기 상부 커버가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 하부의 외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아 상기 내부공간의 밀폐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맞닿아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커버와 함께 이중사출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홀의 깊이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밀폐링까지의 거리보다 얕게 형성되어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밀폐링의 외주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부 용기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공기 배출홀은 힌지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화장품이 흡수되는 스펀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스펀지 사이에는 상기 스펀지의 두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부 내경이 상기 스펀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내경은 상기 고정링 상부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링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링은 상기 내부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는 화장품 퍼프가 수용될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가 상기 수용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만 교체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의하면 돌출부의 길이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의 밀폐를 형성하면서도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의 압축을 최소화하여 상부 커버를 다시 열 때 화장품이 튀거나 상부 커버가 갑작스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 커버를 용이하게 열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의하면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최소화되며, 밀폐를 유지할 수도 있으므로 화장품의 변질 및 변형, 수분 증발로 인한 건조 및 갈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의하면 고정링이 내부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공간에 스펀지를 먼저 위치시킨 후 고정링을 스펀지와 내부공간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화장품을 여기저기에 묻히지 않고 스펀지를 삽입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의하면 고정링의 상부 직경이 스펀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펀지가 고정링의 상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의하면 고정링이 돌출부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밀폐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 케이스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케이스의 상부 커버가 완전히 닫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케이스의 상부 커버가 닫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고체 화장품, 고체 향수, 스펀지에 흡수된 액체 화장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 케이스가 열린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상부 커버(120)를 닫을 때 내부공간(112)에 잔존하는 공기가 압축되면서 케이스를 쉽게 닫을 수 없는 문제점, 케이스의 커버를 완전히 밀폐한 후에도 내부의 압축 공기로 인해 케이스의 커버가 다시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내부 케이스(100)를 포함하며, 내부 케이스(100)는 하부 용기(110) 및 상부용기를 포함한다.
하부 용기(110)에는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112)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내부공간(112)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홈(114)이 형성된다. 즉, 공기 배출홈(114)은 내부공간(112) 및 상부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상부용기는 하면에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이 내부공간(112)의 내주면과 접하며, 엘라스토머(elastomer)로 형성되는 돌출부(122)를 포함하여 하부 용기(110)의 상부에서 내부공간(112)을 덮는다.
엘라스토머는 외력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본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지닌 고분자로서, 돌출부(122)의 재질로는 가황한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외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탄성 섬유, 발포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돌출부(122)의 재질은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온에서 탄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돌출부(122)의 외주면에 내부공간(112)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내부공간(112)의 내주면과 맞닿아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124)을 포함할 수 있다.
밀폐링(124)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링(124)이 두 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두 개의 밀폐링(124) 중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 1 밀폐링(124a),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제 2 밀폐링(124b)이라 부르기로 한다.
제 1 밀폐링(124a) 및 제 2 밀폐링(124b)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 1 밀폐링(124a) 및 제 2 밀폐링(124b)의 재질은 돌출부(122)와 동일한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돌출부(122)는 상부 커버(120)와 함께 이중 사출될 수 있다.
이중 사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수지 또는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사출장치와 가동판에 회전기구를 설치한 구조의 사출기 또는 코어나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하여 사출하는 것으로서, 여러 종류의 수지를 한번에 사출함으로써 기존의 일반사출이 여러 차례에 걸쳐 복수 개의 부품으로 성형하여 용착 또는 도장공정의 2차가공을 행하여 제품화 하던 것을 한 번의 성형으로 제조함으로써 원가절감은 물론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케이스의 상부 커버가 완전히 닫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중 내부케이스의 상부 커버가 닫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홈(114)의 깊이는 돌출부(122)의 길이보다 얕게 형성된다.
밀폐링(124)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기 배출홈(114)의 깊이는 상부 커버(120)의 하면으로부터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밀폐링(124)까지의 거리보다 얕게 형성되어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밀폐링(124)의 외주면은 내부공간(112)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밀폐링(124a) 및 제 2 밀폐링(124b)이 형성되므로 공기 배출홈(114)의 깊이는 상부 커버(120)의 하면으로부터 제 1 밀폐링(124a)까지의 거리보다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커버(1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제 1 밀폐링(124a)은 내부공간(112)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밀폐링(124b)은 공기 배출홈(114)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과 맞닿을 수 있다.
이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버(120)가 회전하여 돌출부(122)가 내부공간(112)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내부공간(112)의 공기가 상부 커버(120)에 의해 가압되면서 공기 배출홈(114)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상부 커버(120)의 하면이 하부 용기(110)의 상단면과 맞닿아 상부 커버(120)가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제 1 밀폐링(124a)의 외주면이 내부공간(112)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아 내부공간(112)의 밀폐를 형성한다.
이 때, 제 2 밀폐링(124b)은 내부공간(112)의 내주면 중 공기 배출홈(114)이 형성된 부분의 나머지 부분과 맞닿아 외부 공기가 제 1 밀폐링(124a) 및 제 2 밀폐링(124b)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밀폐링(124a) 및 제 2 밀폐링(124b)에 의해 공기 유입을 차단하고 내용물의 수분유지와 내용물 본래 기능을 유지하여, 즉 화장품 내용물의 변질을 막는 공기밀폐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부 커버(120)가 닫히면서 내부공간(112)의 공기를 가압해 내부공간(112)의 공기가 공기 배출홈(114)을 통해 빠져나가므로 상부 커버(120)를 닫을 때 내부공간(112)에 잔존하는 공기의 압축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압축으로 인해 상부 커버를 쉽게 닫을 수 없는 문제점, 상부 커버를 완전히 밀폐한 후에도 내부의 압축 공기로 인해 상부 커버가 다시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112)의 공기의 압축을 최소화함으로써 상부 커버가 닫혀있을 때 사용자가 상부 커버에 조그만 힘만 주어도 상부 커버가 급격히 열리며 내용물이 바깥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112)의 공기가 최대한 배출되므로 내부공간(112)에는 최소한의 공기만 남게 되어 내부공간(112)에 위치하는 공기로 인한 내용물의 건조 및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커버(120)는 하부 용기(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홈(114)은 힌지결합부(116)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116)와 대향되는 위치는 상부 커버(120)가 회전 시 가장 늦게 하부 용기(110)와 맞닿는 부분으로서, 이 위치에 공기 배출홈(114)이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112)에 존재하는 공기를 최대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공기 배출홈(114)의 위치는 상술하는 곳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공간(112)의 내주면 어느 곳에든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배출홈(114)이 단독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 배출홈(114)은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내부공간(112)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흐를 가능성이 있는 액체라면, 내부공간(112)에는 화장품이 흡수되는 스펀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펀지(130)의 직경은 내부공간(112)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스펀지(130)와 내부공간(112)이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112)의 내주면과 스펀지(130) 사이에는 스펀지(130)의 두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부 내경이 스펀지(1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스펀지(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140)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링(140)은 내부공간(11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펀지(130)가 고정링(140)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어 스펀지(1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링(140)은 내부공간(11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제품 중에는 고정링이 하부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링이 내부공간에 완전히 고정되어 내용물을 흡수한 스펀지를 삽입 시 내용물이 케이스의 주변에 묻어나 스펀지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링(140)이 내부공간(11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내부공간(112)에 내용물이 흡수된 스펀지(130)를 먼저 삽입한 후, 스펀지(130)와 내부공간(112)의 내주면 사이에 고정링(140)을 삽입함으로써 케이스에 내용물을 묻히지 않고 스펀지(13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120)가 닫힌 상태에서 돌출부(122)는 고정링(140)의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링(140)이 움직이거나 이탈하는 경우, 스펀지(130) 또한 움직이거나 이탈할 가능성이 있으며, 스펀지(130)가 이동하면 스펀지(130)에 흡수되어있는 내용물이 상부 커버(120)에 묻어 위생적인 사용이 어렵다.
따라서, 돌출부(122)의 내경은 고정링(140) 상부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고정링(140)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2)의 길이는 상부 커버(120)의 하면으로부터 고정링(140)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링(140)이 돌출부(122)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링(140)의 움직임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부 커버(120)의 상면에는 화장품 퍼프(puff)가 수용될 수 있는 함몰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120) 중 힌지결합부(116)와 대형되는 부분에는 상부 커버(120)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12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내부에 내부 케이스(1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02)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200)를 더 포함하며, 내부 케이스(100)가 수용공간(202)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 케이스(100)만 교체 할 수 있다.
이로써, 판매자는 내용물을 포함한 리필용 내부 케이스(100)만 판매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용물 소진 시 내부 케이스(100)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하부 용기 12: 내부공간
20: 상부 커버 30: 내용물
100: 내부 케이스 110: 하부 용기
112: 내부공간 114: 공기 배출홀
116: 힌지결합부 120: 상부 커버
122: 돌출부 124: 밀폐링
124a: 제 1 밀폐링 124b: 제 2 밀폐링
126: 함몰부 128: 손잡이
130: 스펀지 140: 고정링
200: 외부 케이스 202: 수용공간

Claims (11)

  1. 내용물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하부 용기; 및
    하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접하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용기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 상부 커버; 가 구비되는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 배출홀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보다 얕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이 상기 하부 용기의 상단면과 맞닿아 상기 상부 커버가 완전히 닫힌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 하부의 외주면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아 상기 내부공간의 밀폐를 형성하는 밀폐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맞닿아 압착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을 포함하는 밀폐 케이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 커버와 함께 이중사출 되는 밀폐 케이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홀의 깊이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밀폐링까지의 거리보다 얕게 형성되어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밀폐링의 외주면은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완전히 맞닿는 밀폐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하부 용기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공기 배출홀은 힌지결합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밀폐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내용물이 흡수되는 스펀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주면과 상기 스펀지 사이에는 상기 스펀지의 두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상부 내경이 상기 스펀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펀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링이 구비되는 밀폐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경은,
    상기 고정링 상부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밀폐 케이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링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밀폐 케이스.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내부공간에 착탈 가능한 밀폐 케이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는 화장품 퍼프가 수용될 수 있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밀폐 케이스.
  11.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내부 케이스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케이스가 상기 수용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케이스만 교체 가능한 밀폐 케이스.
KR1020150043937A 2015-03-30 2015-03-30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20160116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37A KR20160116388A (ko) 2015-03-30 2015-03-30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37A KR20160116388A (ko) 2015-03-30 2015-03-30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88A true KR20160116388A (ko) 2016-10-10

Family

ID=5714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37A KR20160116388A (ko) 2015-03-30 2015-03-30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638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29B1 (ko) * 2017-06-27 2018-07-12 펌텍코리아(주) 공기순환면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20200000511A (ko) * 2018-06-22 2020-01-03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파우치형 쿠션 팩트
KR102114396B1 (ko) 2019-09-27 2020-05-22 마사끼산업 코리아 주식회사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20200125038A (ko) * 2019-04-25 2020-11-04 애경산업(주)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20210001372U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29B1 (ko) * 2017-06-27 2018-07-12 펌텍코리아(주) 공기순환면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WO2019004640A1 (ko) * 2017-06-27 2019-01-03 펌텍코리아(주) 공기순환면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EP3628185A4 (en) * 2017-06-27 2020-06-10 Pum-Tech Korea Co., Ltd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AN AIR CIRCULATION SURFACE
JP2020521614A (ja) * 2017-06-27 2020-07-27 パムテク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Pum−Tech Korea Co., Ltd 空気循環面が備えられた化粧品容器
KR20200000511A (ko) * 2018-06-22 2020-01-03 도영에프엔비 주식회사 파우치형 쿠션 팩트
KR20200125038A (ko) * 2019-04-25 2020-11-04 애경산업(주)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102114396B1 (ko) 2019-09-27 2020-05-22 마사끼산업 코리아 주식회사 기밀 구조를 갖는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20210001372U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6388A (ko) 밀폐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US7832564B2 (en) Cosmetics case having structure of dual seal
EP3047752A1 (en) Foundation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1297824B1 (ko) 기밀 화장품용기
JP3322306B2 (ja) 過剰圧力吸収機構を備えた棒状品収容具
US10478842B2 (en) Auto-open compact container
KR101551230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KR101564981B1 (ko) 화장품 케이스
WO2008120954A1 (en) Contact lens storage case
KR200479315Y1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336014B1 (ko) 화장품 케이스
CN107847037B (zh) 具有与泵的侧面水平联接的内容物储存容器的紧凑型容器
KR101903494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US20180099789A1 (en) Auto-open compact container
KR20180001658U (ko) 화장품 용기
KR101404766B1 (ko) 화장품 캡슐용기
KR200483650Y1 (ko) 에어리스 펌프를 장착한 화운데이션 화장품용기
KR20130005050U (ko) 도포부재가 구비된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
KR101789136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200464918Y1 (ko) 화장품 용기
KR20170025697A (ko) 뚜껑 분리와 동시에 퍼프가 출몰되는 파운데이션 용기
KR102188196B1 (ko) 화장품 용기
KR20180001158U (ko)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의 덮개 결합 구조
KR102203401B1 (ko) 변형 가능한 측벽을 포함하는 미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6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07

Effective date: 2018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