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128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128B1
KR101619128B1 KR1020140088951A KR20140088951A KR101619128B1 KR 101619128 B1 KR101619128 B1 KR 101619128B1 KR 1020140088951 A KR1020140088951 A KR 1020140088951A KR 20140088951 A KR20140088951 A KR 20140088951A KR 101619128 B1 KR101619128 B1 KR 10161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network
tray
container body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794A (ko
Inventor
오세웅
김현정
강성수
김혜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4008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128B1/ko
Priority to CN201520512219.XU priority patent/CN204889062U/zh
Publication of KR2016000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의 점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화장료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로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와 힌지 결합된 덮개;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화장료가 충진되는 다공망트레이;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화장품용기를 통해 화장료의 점도에 관계없이 액상이나 반고형 형태의 화장료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공망트레이에 충진된 화장료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성과 실속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N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료의 점도에 관계없이 화장료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공망트레이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료를 보관하는 방법으로서, 액상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병이나 튜브 등의 용기에 수용하고, 고체 화장품의 경우에는 콤팩트와 같은 용기에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해, 최근에는 액상 또는 에멀젼 타입의 유화형 화장료를 우레탄 폼 또는 스폰지와 같은 화장료저장부에 함침시켜 제공하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24612호는 저점도의 W/O 자외선 차단 조성물을 함침시키는 화장료 함침 시트를 개시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59877호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팩트 형태로 구성한 예를 개시한다.
이러한 액상 또는 에멀젼 형태의 화장료는, 콤팩트 형태의 화장품 용기 내부 케이스에 스폰지와 같은 화장료저장부에 함침된 상태로 수납되어 제공된다.
화장품의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내부케이스의 뚜껑을 열고 상기 화장료저장부를 눌러 화장용 분첩(퍼프 : puff)에 화장료를 흡인하는 상태로 묻혀 사용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화장품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1a는 뚜껑을 닫은 상태의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1b는 사용에 따른 내부캡을 열고 퍼프에 의해 화장료를 묻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10)에 조립된 내부케이스(20) 내에 화장료(C)가 담긴 화장료저장부(50)를 수납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의 일측에 힌지 조립된 내부캡(21)으로 덮는다.
내부캡(21)의 상부에는 퍼프(30)를 수납한 상태에서 내부캡(21)의 힌지조립부와 용기본체(10)에 힌지 결합된 뚜껑(40)에 의해 내부캡(21)이 닫히게 되어 내부케이스(20)의 내부가 기밀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뚜껑(40)을 열고, 내부캡(21)의 상부 수용홈에 수납된 상태로 있던 퍼프(30)를 잡은 후에 내부캡(21)을 열게 된다.
이렇게 내부캡(21)을 열은 후에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퍼프(30)의 일측을 화장료(C)가 담겨진 화장료저장부(50)를 눌러 퍼프(30)에 화장료를 흡인하고 퍼프(30)에 흡인된 화장료를 이용하여 얼굴화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화장품용기에 수용된 화장료저장부는 퍼프를 두들기나 비비면서 함침된 화장료를 흡인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이 과정에서 퍼프가 화장료와의 마찰로 인해 찢어지거나 화장료의 미세한 분말이 화장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마찰을 일으켜 상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화장료의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 발생되는 것이므로, 점도를 낮추기 위해 화장료를 에멀젼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점도가 너무 낮게 되면 화장료가 화장품용기에서 누액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구조가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 2006-0024612호(2006.03.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장료의 점도에 관계없이 액상이나 반고형 형태의 화장료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공망트레이가 구비된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공망트레이에 충진된 화장료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교체형 다공망트레이 구조의 화장품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와 힌지 결합된 덮개;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화장료가 충진되는 다공망트레이; 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연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에폭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우레탄, 나이론,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어 리필될 수 있다.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화장료가 충진되도록 일측 단부가 밀폐된 다수의 화장료충진셀과 상기 화장료충진셀의 둘레면에 결합된 테두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화장료충진셀은 구획된 격벽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는 십자형, 수직형, 수평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와 힌지 결합된 덮개;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며 화장료가 충진되도록 일측 단부가 밀폐된 다수의 화장료충진셀과 상기 화장료충진셀의 둘레면에 결합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제1 다공망트레이; 상기 제1 다공망트레이에 적층되며 다공망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다공망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다공망트레이 및 적층된 다공망트레이의 각 테두리에는 돌기 및 홈이 형성된다.
상기 다공망트레이적층체는 화장료가 충진되도록 일측 단부가 밀폐된 다수의 화장료충진셀과 상기 화장료충진셀의 둘레면에 결합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제1 다공망트레이와 상기 제1 다공망트레이에 제2 및 제3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되며, 상기 제1 다공망트레이와 제1 및 제2 다공망트레이의 각 테두리에는 돌기 및 홈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화장료충진셀은 구획된 격벽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개부는 십자형, 수직형, 수평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연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에폭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우레탄, 나이론,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화장료의 점도에 관계없이 액상이나 반고형 형태의 화장료를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다공망트레이에 충진된 화장료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성과 실속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콤팩트 용기의 뚜껑을 닫은 상태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1b는 사용에 따른 내부캡을 열고 퍼프에 의해 화장료를 묻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에 복수의 다공망트레이가 적용된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화장품용기에 화장료저장부와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된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에 복수의 다공망트레이가 적용된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화장품용기에 화장료저장부와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된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200)는 용기본체(100)와 용기본체(100)와 힌지 결합된 덮개(120)와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부케이스(110) 및 내부캡(115)과 내부케이스의(120)에 수용된 다공망트레이(14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0)는 휴대성을 감안하여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구성된다.
또한 용기본체(100)에는 내부케이스(110)와 내부케이스(110)에 힌지 결합된 내부캡(115)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00)의 둘레면에는 힌지를 통해 용기본체(100)의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덮개(120)가 결합된다. 덮개(120)는 용기본체(100)와 마주보는 면상에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바라볼 수 있도록 미러(미부호)가 부착된다.
덮개(120)의 외면에는 용기본체(100)를 제조한 기업의 로고가 마킹되거나 심미감을 고려한 디자인이 적용된다.
이때, 내부캡(115)의 상부에는 화장료(C)를 뭍혀 사용할 수 있도록 퍼프(Puff)(130)가 개재된다. 퍼프(130)는 화장료(C)가 쉽게 스며들거나 뭍을 수 있도록 스폰지나 직물재 등을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퍼프(130)의 소재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내부케이스(110)에는 화장료(C)가 충진된 다공망트레이(140)가 수용된다. 다공망트레이(140)는 내부케이스(110)에 리필 가능한 형태로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다공망트레이(140)는 화장료(C)를 모두 사용 후 별도로 구매하여 내부케이스(110)에 끼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망트레이(140)는 연성소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공망트레이(140)는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에폭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우레탄, 나이론, 아크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 소재에 착색을 하거나 이들 소재를 일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공망트레이(140)는 화장료(C)가 충진되도록 일측 단부가 밀폐된 다수의 화장료충진셀(142)과 화장료충진셀(142)의 둘레면에 결합된 테두리(144)를 포함한다. 화장료충진셀(142)의 평면 형상은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연결되는 벌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장료충진셀(142)은 육각형이 아닌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수의 화장료충진셀(142)은 격벽(146)을 통해 각각의 셀이 구획된다. 격벽(146)에는 화장료충진셀(142)에 충진된 화장료(C)를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절개부(146a)가 형성된다.
즉, 퍼프(130)를 이용해 다공망트레이(140)의 상부를 가압 시 화장료충진셀(142)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화장료충진셀(142) 하부에 위치한 화장료(C)를 퍼프(130)를 통해 뭍혀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화장료충진셀(142)을 연성 소재로 구성할 경우 화장료충진셀(142)의 상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게 되면 절개부(146a)를 중심으로 격벽(146)이 찌그러지면서 화장료충진셀(142)의 상부와 하부의 높이차가 줄어들어 퍼프(130)를 통해 화장료(C)를 전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개부(146a)는 십자형, 수직형, 수평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절개부(146a)의 형상은 화장료충진셀(142)의 상부를 가압하여 화장료충진셀(14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높이차를 줄일 수 있는 형상이라면 상기한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과 모양으로 절개되더라도 무관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화장료(C)가 충진된 다공망트레이(140)에 퍼프(130)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될 경우에는 다공망트레이(140)를 가볍게 두들기거나 문지르면서 사용하게 된다.
이후, 계속된 사용으로 점차 충진된 화장료(C)의 량이 줄어들게 되면 다공망트레이(140)의 상부를 누르면서 사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화장료충진셀(142)이 격벽(146)을 중심으로 찌그러져 퍼프와 화장료 사이에 접촉면적이 확대된다.
따라서, 다공망트레이(140)에 충진된 화장료(C)는 화장료충진셀(142)에 충진량이 적거나 많더라도 잔여량에 관계없이 퍼프(130)를 이용하여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공망트레이가 다수개로 적층된 다공망트레이적층체(160)로 구성될 수 있다.
다공망트레이적층체(160)의 최하부에 배치된 제1 다공망트레이(162)는 충진된 화장료(C)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단부가 밀폐되어 있거나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있다. 제1 다공망트레이(162)의 상부에는 제2 및 제3 다공망트레이(170)(175)가 적층되며, 제2 및 제3 다공망트레이(170)(175)는 관통된 허니폼망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각 다공망트레이에는 화장료가 충진되는 화장료충진셀과 화장료충진셀의 둘레를 연결하도록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다공망트레이(162)와 제2 및 제3 다공망트레이(170)(175)는 허니폼의 형상은 동일하지만 형성된 위치는 동일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공망트레이적층체(160)의 상부에서 바라보면 각 다공망트레이의 격벽이 서로 교차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 다공망트레이(162)의 테두리(164)에는 제2 및 제3 다공망트레이(170)(175)가 적층된 후 유동되지 않도록 돌기(164a) 및 홈(164b)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하부에 배치된 제1 다공망트레이의 테두리(164)에 돌기(164a)가 형성되면, 그 상부에 적층된 제2 다공망트레이의 테두리 하부에는 돌기(164a)와 결합되기 위한 홈(172b)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다공망트레이의 테두리 상부에는 돌기(172a)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적층된 제3 다공망트레이의 테두리 하부에는 홈(176b)이 형성된다.
또한 다공망트레이적층체(160)는 모두 연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에폭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우레탄, 나이론,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한다.
이때, 적층된 제1 내지 3 다공망트레이(162)(170)(175) 중 제1 다공망트레이(162)에는 화장료충진셀을 구획하는 격벽(165)마다 절개부(165a)가 형성된다. 절개부(165a)는 십자형, 수직형, 수평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망트레이적층체(160)의 제1 다공망트레이에 화장료(C)가 충진된 후 퍼프(130)를 사용하게 되면, 제1 다공망트레이(162)에 충진된 화장료(C)가 제2 및 제3 다공망트레이(170)(175)의 각 격벽에 의해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케이스(110)에 배치되며 화장료저장부(184)가 수용된 다공망함체(180)를 포함한다.
다공망함체(180)는 내부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리필될 수 있다.
이때, 다공망함체(180)는 수용공간이 구비된 케이스(182)와 케이스(182)의 상부에 결합된 다공망(186)을 포함한다.
케이스(182)의 수용공간에는 화장료(C)가 함침된 화장료저장부(184)가 수용되며, 다공망(186)이 화장료저장부(184)를 커버하도록 케이스(182)와 결합된다.
다공망(186)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케이스(182)의 개구된 상부를 밀폐시킬 수 있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거나, 반대로 케이스(182)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지 못하도록 고정 결합된다.
또한 다공망함체(180)는 연성소재로 구성되며,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에폭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우레탄, 나이론,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공망(186)은 화장료저장부(184)의 상부와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며 허니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망함체(180)가 내부케이스(110)에 삽입된 후 퍼프(130)를 이용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다공망(186)을 눌러 화장료저장부(184)에 함침된 화장료(C)를 퍼프(130)에 뭍혀 사용하게 된다.
화장료저장부(184)에 함침된 화장료(C)를 대부분 사용한 경우에는 다공망(186)을 열어 케이스(182)를 개방시킨 후 화장료저장부(184)를 교환하여 사용하거나, 다공망함체 (180)전체를 교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케이스에 화장료저장부가 배치되고, 상부에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된 상태에서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뭍혀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200)는 화장료(C)의 점도에 관계없이 다공망트레이(140)에 충진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료(C)를 모두 사용한 후에는 화장료(C)가 충진된 다공망트레이(140)나 다공망트레이적층체(160)를 별도로 구매한 후 리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보관성과 실속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내부케이스
115: 내부캡
120: 덮개
130: 퍼프
140: 다공망트레이
142: 화장료충진셀
144: 테두리
146: 격벽
146a: 절개부
160: 다공망트레이적층체
162: 제1 다공망트레이
164: 테두리
164a: 돌기
165: 격벽
165a: 절개부
170: 제2 다공망트레이
172: 테두리
172a: 돌기
172b: 홈
175: 제3 다공망트레이
176: 테두리
176b: 홈
180: 다공망함체
182: 케이스
184: 화장료저장부
186: 다공망
200: 화장품용기
C: 화장료

Claims (12)

  1. 용기본체;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며, 화장료가 충진되도록 화장료충진셀이 형성된 다공망트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충진셀은 구획된 격벽에 절개부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연성소재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 에폭시,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직물, 폴리우레탄, 나이론,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된 화장품 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망트레이는 상기 화장료충진셀의 둘레면에 결합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십자형, 수직형, 수평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된 화장품 용기.
  8. 용기본체;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며 다수의 화장료충진셀과 상기 화장료충진셀의 둘레면에 결합된 테두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다공망트레이가 적층되며,
    상기 화장료충진셀은 구획된 격벽에 절개부가 형성된 화장품 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공망트레이는 제1 내지 3 다공망트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3 다공망트레이의 각 테두리에는 돌기 및 홈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
  10. 삭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십자형, 수직형, 수평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절개된 화장품 용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부에 위치한 다공망트레이는 화장료가 충진되도록 일측 단부가 밀폐된 화장품 용기.
KR1020140088951A 2014-07-15 2014-07-15 화장품 용기 KR10161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51A KR101619128B1 (ko) 2014-07-15 2014-07-15 화장품 용기
CN201520512219.XU CN204889062U (zh) 2014-07-15 2015-07-15 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51A KR101619128B1 (ko) 2014-07-15 2014-07-15 화장품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776A Division KR102064996B1 (ko) 2015-12-21 2015-12-21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794A KR20160008794A (ko) 2016-01-25
KR101619128B1 true KR101619128B1 (ko) 2016-05-18

Family

ID=5491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51A KR101619128B1 (ko) 2014-07-15 2014-07-15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9128B1 (ko)
CN (1) CN20488906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76U (ko) * 2019-09-02 2021-03-10 옥수정 에어쿠션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20086881A (ko) 2020-12-17 2022-06-24 (주)아모레퍼시픽 제1 및 제2 화장료 조성물을 동시에 배출하기 위한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98274B2 (ja) * 2016-03-23 2022-07-1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化粧料保持体及びそれが収納された化粧料容器
KR101787034B1 (ko) * 2016-04-22 2017-10-26 (주)아모레퍼시픽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더 갖는 화장품
KR102499658B1 (ko) 2016-05-12 2023-02-14 (주)아모레퍼시픽 하니컴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WO2018030727A1 (ko) * 2016-08-10 2018-02-15 (주)아모레퍼시픽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014822B1 (ko) * 2016-10-12 2019-08-2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화장료의 유동방지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 용기를 이용한 화장료의 충전방법
JP6657050B2 (ja) * 2016-10-19 2020-03-04 ロレアル 化粧品のためのパッケージング/注出組立体
CN211407953U (zh) * 2017-07-20 2020-09-04 韩国科玛株式会社 化妆料组合物浸渍用材料和化妆品
CN111263600B (zh) * 2017-10-20 2023-06-30 欧莱雅 美容物品
KR102418936B1 (ko) * 2018-03-29 2022-07-07 로레알 코스메틱 물품
KR102285649B1 (ko) * 2019-02-28 2021-08-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상 화장료 함침용 다층 폼을 구비하는 화장품
FR3104009A1 (fr) * 2019-12-10 2021-06-11 L'oreal Procédé de remplissage d’un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63Y1 (ko) 2004-05-24 2004-08-11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화장용 퍼프
KR101355364B1 (ko)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101410746B1 (ko) 2014-01-08 2014-06-24 김진우 액상 화장료 함침을 위한 다공성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KR200473573Y1 (ko)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4612A (ko) 2004-09-14 2006-03-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자외선 차단 화장료 함침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763Y1 (ko) 2004-05-24 2004-08-11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화장용 퍼프
KR200473573Y1 (ko)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355364B1 (ko) 2013-10-15 2014-01-23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KR101410746B1 (ko) 2014-01-08 2014-06-24 김진우 액상 화장료 함침을 위한 다공성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76U (ko) * 2019-09-02 2021-03-10 옥수정 에어쿠션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94021Y1 (ko) * 2019-09-02 2021-07-16 옥수정 에어쿠션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220086881A (ko) 2020-12-17 2022-06-24 (주)아모레퍼시픽 제1 및 제2 화장료 조성물을 동시에 배출하기 위한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889062U (zh) 2015-12-23
KR20160008794A (ko) 201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128B1 (ko) 화장품 용기
US10334935B2 (en) One-touch compact case having refillable structure
KR101527694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케이스
EP3164031B1 (en) Compact case having airtight structure refillable with capsule cosmetic
KR101476314B1 (ko)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JP6374974B2 (ja) クッションシートを具備した液状化粧品コンパクトケース
KR200478110Y1 (ko) 화장품 용기
KR20160146509A (ko) 화장품
JP2018514297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160009003A (ko) 화장품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745842B1 (ko) 화장품 리필 용기
KR20160085060A (ko) 탄성 바닥면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581360B1 (ko) 액체 메이크업 케이스용 리필 그리고 케이스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KR20170025931A (ko)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함침부재가 구비된 콤팩트 용기
KR101404763B1 (ko) 캡슐 화장품 용기
KR102372419B1 (ko) 잔류량을 남기지 않는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101689388B1 (ko) 콤팩트 용기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101922710B1 (ko) 내용물 용기
KR20170125598A (ko) 화장품
KR101842794B1 (ko) 화장품 용기
KR20200114336A (ko) 링 형상의 흡수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