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67Y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67Y1
KR200496167Y1 KR2020220001534U KR20220001534U KR200496167Y1 KR 200496167 Y1 KR200496167 Y1 KR 200496167Y1 KR 2020220001534 U KR2020220001534 U KR 2020220001534U KR 20220001534 U KR20220001534 U KR 20220001534U KR 200496167 Y1 KR200496167 Y1 KR 200496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accommodating space
close contact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박종현
한상인
정혜진
최성무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67Y1/ko
Priority to PCT/KR2023/002701 priority patent/WO2023249196A1/ko
Priority to CN202380013197.XA priority patent/CN117813241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8Linings or internal coatings spaced appreciably from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측에 제 1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용기;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내측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연통 공간이 형성되는 숄더부; 및 상기 연통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받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거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거치되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의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하면, 상기 내용기의 거치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리필 용기는 통상적으로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는 이중 용기 형태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이중 용기 형태의 리필 용기의 경우, 내용물이 소진된 내용기를 외용기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내용물을 외용기에 결합시킴으로써 내용물의 리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내용기와 외용기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기를 외용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내용기 또는 외용기를 회전 조작하거나 가압 조작하는 등 견고한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번거로운 조작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내용기와 외용기 사이의 결합 강도를 약하게 조절함으로써, 결합 해제를 위한 번거로운 조작 과정을 최소화할 수는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을 경우에도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고, 내용기의 밀폐가 쉽게 해제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측에 제 1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용기;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내측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연통 공간이 형성되는 숄더부; 및 상기 연통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받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거치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거치되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의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하면, 상기 내용기의 거치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부의 상단에는 내측 지지부 및 외측 지지부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에 밀착하는 내측 밀착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에 밀착하는 외측 밀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하강할 때, 상기 내측 밀착부와 상기 외측 밀착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내측 밀착부와 상기 외측 밀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 공간이 압축됨에 따라, 상기 밀폐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부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숄더부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외용기에 결합되는 외측 테두리부;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상기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내측 테두리부를 연결하며, 상단에 상기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할 때 상기 거치부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내용기를 고정 및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에는, 상기 거치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하향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상향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가 상기 숄더부에 거치될 때, 상기 하향 굴곡부의 내측면이 상기 상향 굴곡부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 굴곡부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고, 복수의 상기 상향 굴곡부 사이에는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 공간의 밀폐가 해제되어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액이 발생하면,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 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외부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받침부에 거치될 때, 상기 제 1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 1 수용 공간의 내압 상승이 해소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기를 숄더부에 거치 또는 이탈시키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내용기의 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내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하며 리필 동작을 간단히 수행하되, 교체가 완료되면 내용기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가 연통 공간을 밀폐하면 내용기가 제 1 수용 공간에 고정되도록 하여 내용기가 외용기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가 연통 공간을 밀폐하면 내용기 내부의 수용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여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덮개부가 연통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하강함에 따라 밀폐가 점차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의 누액이 발생하더라도, 내용물이 외용기 내부의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다르면, 내용기가 외용기에 거치될 때, 외용기 내부의 수용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내압 상승을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의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밀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외용기(100), 내용기(200), 숄더부(300) 및 덮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용기(100)는 내측에 제 1 수용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용 공간(s1)에는 내용기(200)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용기(100)는 내측에 제 1 수용 공간(s1)이 형성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용기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외용기(100)의 측면이 개방되거나, 상하부가 모두 개방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내용기(200)는 제 1 수용 공간(s1)에 수용되며, 내측에 제 2 수용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용 공간(s2)에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200)는 내측에 제 2 수용 공간(s2)이 형성되는 보틀(Bottle), 병(Jar), 튜브(Tube), 파우치(Pouch) 용기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용기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화장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형이나 종류의 화장료,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부직포,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함침 부재에 함침된 후 제 2 수용 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내용물은 제 2 수용 공간(s2)에 직접 수용되거나, 거나, 화장 접시에 수용된 상태로 제 2 수용 공간(s2)에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기(200)의 내측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방지 돌기(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돌기(210)는 제 2 수용 공간(s2)에 적층되는 함침 부재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으며, 함침 부재가 제 2 수용 공간(s2)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숄더부(300)는 외용기(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하 관통된 연통 공간(c)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 공간(c)을 통해 내용기(200)가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연통 공간(c)에 내용기(200)가 삽입되어, 내용기(200)가 숄더부(300)에 거치되면, 내용기(200)는 외용기(1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하면서 제 1 수용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숄더부(3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받침부(310)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용기(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거치부(220)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20)는 받침부(310)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220)가 받침부(310)의 상단에 거치되면, 내용기(200)가 외용기(100)의 저면으로부터 이격하면서 제 1 수용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220)가 받침부(310)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면, 내용기(200)가 외용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숄더부(300)에는 받침부(310)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상향 굴곡부(320)가 형성되고, 내용기(200)에는 거치부(220)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하향 굴곡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내용기(200)가 숄더부(300)에 거치될 때(즉, 받침부(310)가 거치부(220)에 거치될 때), 하향 굴곡부(230)의 내측면이 상향 굴곡부(320)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되면서, 내용기(200)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향 굴곡부(320)는 받침부(3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복수의 상향 굴곡부(320)가 서로 이격할 수 있다. 복수의 상향 굴곡부(320) 사이에는 개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방부(330)는 내용물의 외부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수용 공간(s2)의 밀폐가 해제되어 제 2 수용 공간(s2)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액이 발생하면, 내용물이 개방부(330)를 통해 제 1 수용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누액된 내용물은 제 1 수용 공간(s1)으로 유입되고,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받침부(310)에는 개방부(330)를 향할수록 하강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을 따라 누액이 이동하면서 개방부(330)로 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방부(330)는 내용기(200)의 거치 시 제 1 수용 공간(s1)의 내압 상승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200)가 숄더부(300)에 거치될 때(즉, 거치부(220)가 받침부(310)에 거치될 때), 제 1 수용 공간(s1) 내의 공기가 개방부(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수용 공간(s1)의 내압 상승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용 공간(s1) 내부에서 개방부(330)를 향하는 유체 흐름이 생성되어, 내용기(200)의 제 1 수용 공간(s1)으로의 삽입이 가이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숄더부(300)는 외측 테두리부(340), 외측 테두리부(34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테두리부(350) 및 외측 테두리부(340)와 내측 테두리부(350)를 연결하는 연결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테두리부(340)는 외용기(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받침부(310)가 내측 테두리부(350)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테두리부(340)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 및/또는 끼움 돌기가 구비되어, 외용기(100)와 나사 결합 및/또는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걸림 결합, 끼워맞춤 결합, 걸어맞춤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덮개부(400)는 숄더부(300)의 연통 공간(c)을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부(400)는 숄더부(3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에 의해 연통 공간(c)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400)와 숄더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등 회동 가능한 결합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400)가 숄더부(300)에 밀폐 회동된 상태에서 덮개부(400)가 숄더부(300)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연통 공간(c)의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덮개부(400)는 숄더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덮개부(400)가 숄더부(300)에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연통 공간(c)이 밀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400)와 숄더부(300)는 서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에 의해 나사 결합되거나, 서로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등 탈착 가능한 결합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숄더부(3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걸림부(370)가 구비되고, 덮개부(400)에는 제 1 걸림부(370)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걸림부(370)와 제 2 걸림부(410)의 결합에 의해 덮개부(400)가 연통 공간(c)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부(370)는 숄더부(300)에서 지지부(특히, 외측 지지부(390))의 외측에 구비되고, 제 2 걸림부(410)는 덮개부(4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숄더부(300)의 상단, 특히 연결부(360)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380)가 돌출될 수 있고, 덮개부(400)의 하단에는 지지부(380)와 밀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착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420)가 지지부(380)에 밀착됨에 따라, 덮개부(400)에 의한 연통 공간(c)의 밀폐가 보조 및/또는 강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380)는 내측 지지부(381) 및 외측 지지부(382)를 포함하고, 밀착부(420)는 내측 밀착부(421) 및 외측 밀착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측 밀착부(421)는 내측 지지부(381)의 외측에 밀착하고, 외측 밀착부(422)는 외측 지지부(382)의 외측에 밀착할 수 있다. 밀착에 의해, 내측 밀착부(421)와 외측 밀착부(422) 사이에는 기밀 공간(t)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덮개부(400)가 연통 공간(c)을 밀폐하기 위해 하강할 때, 기밀 공간(t)이 압축됨에 따라 덮개부(400)에 의한 연통 공간(c)의 밀폐가 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밀착부(421)와 외측 밀착부(422)가 하강함에 따라 기밀 공간(t)이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압축될 수 있다. 기밀 공간(t)이 압축되면, 기밀 공간(t)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고, 내압 상승에 의해 내측 밀착부(421)는 내측으로 가압되고, 외측 밀착부(422)는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에 의해, 내측 밀착부(421)와 내측 지지부(381)의 밀착 및 외측 밀착부(422)와 외측 지지부(382)의 밀착이 강화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400)에 의한 연통 공간(c)의 밀폐가 강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덮개부(400)가 연통 공간(c)을 밀폐하면, 내용기(200)가 제 1 수용 공간(s1)에 고정되고, 제 2 수용 공간(s2)이 밀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덮개부(40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430)가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430)는 덮개부(400)가 연통 공간(c)을 밀폐할 때 내용기(200), 특히 거치부(220)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내용기(200)를 고정 및 밀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물 용기(1000)는 복수 개 적층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덮개부(400)의 상단은 적어도 일 영역이 외용기(100)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 1 내용물 용기의 덮개부(400) 상단의 함몰된 영역에 제 2 내용물 용기의 외용기(100)의 하단이 삽입됨에 따라, 제 2 내용물 용기가 제 1 내용물 용기의 상단에 적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기의 결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용기(200)는 숄더부(300) 내측의 연통 공간(c)을 통해 제 1 수용 공간(s1)에 삽입될 수 있다. 내용기(200)가 제 1 수용 공간(s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1 수용 공간(s1) 내부의 공기가 개방부(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제 1 수용 공간(s1)의 내압 상승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제 1 수용 공간(s1) 내부에서 개방부(330)를 향하는 유체 흐름이 생성되어, 내용기(200)의 제 1 수용 공간(s1)으로의 삽입이 가이드될 수 있다.
내용기(200)가 제 1 수용 공간(s1)에 완전히 삽입되면, 내용기(200)는 숄더부(300)에 거치됨으로써, 외용기(100)의 저면과 이격된 상태로 제 1 수용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220)가 받침부(310)에 거치됨으로써, 내용기(200)가 숄더부(3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220) 외측의 하향 굴곡부(230)의 내주면이 받침부(310) 내측의 상향 굴곡부(320)의 외주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내용기(200)의 결합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밀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400)가 연통 공간(c)을 밀폐하기 위해 하강하면, 내측 밀착부(421)와 외측 밀착부(422)가 하강함에 따라, 내측 밀착부(421)와 외측 밀착부(422)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 공간(t)은 외부로부터 밀폐되어 압축될 수 있다. 기밀 공간(t)이 압축되면, 기밀 공간(t)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고, 내압 상승에 의해 내측 밀착부(421)는 내측으로 가압되고, 외측 밀착부(422)는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에 의해, 내측 밀착부(421)와 내측 지지부(381)의 밀착 및 외측 밀착부(422)와 외측 지지부(382)의 밀착이 강화되고, 이에 따라 덮개부(400)에 의한 연통 공간(c)의 밀폐가 강화될 수 있다.
덮개부(400)가 완전히 하강할 경우, 제 1 걸림부(370)와 제 2 걸림부(410)가 결합됨에 따라, 연통 공간(c)의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덮개부(400)의 밀폐 동작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적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제 1 내용물 용기(1000-1) 및 제 2 내용물 용기(1000-2)를 포함하고, 제 2 내용물 용기(1000-2)는 제 1 내용물 용기(1000-1)의 상단에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용물 용기(1000-1)의 덮개부(400) 상단은 적어도 일 영역이 제 2 내용물 용기(1000-2)의 외용기(100)의 하단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될 수 있고, 이때 제 1 내용물 용기(1000-1)의 덮개부(400) 상단의 함몰된 영역에 제 2 내용물 용기(1000-2)의 외용기(100)의 하단이 삽입됨에 따라, 제 2 내용물 용기(1000-2)가 제 1 내용물 용기(1000-1)의 상단에 적층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제 2 내용물 용기(1000-2)의 상단에는 복수의 내용물 용기(1000)가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도 6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의 적층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외용기(100), 내용기(200), 숄더부(300), 덮개부(400) 및 화장 용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용기(100), 내용기(200), 숄더부(300) 및 덮개부(400)는 도 1 내지 5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화장 용구(500)는 제 2 수용 공간(s2)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한 도구이다. 예를 들어, 화장 용구(500)는 함침 부재를 집어서 꺼내기 위한 핀셋,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스파츌라,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피펫 등 다양한 화장 도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장 용구(500)는 덮개부(400)의 하단에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덮개부(400)의 하단에는 화장 용구(500)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 공간은 덮개부(400) 하단에 적어도 하나의 수납 돌기가 돌출됨으로써 형성되거나, 덮개부(400) 하단 적어도 일 영역이 함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고안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용기 200: 내용기
210: 이탈 방지 돌기 220: 거치부
230: 하향 굴곡부 300: 숄더부
310: 받침부 320: 상향 굴곡부
330: 개방부 340: 외측 테두리부
350: 내측 테두리부 360: 연결부
370: 제 1 걸림부 380: 지지부
381: 내측 지지부 382: 외측 지지부
400: 덮개부 410: 제 2 걸림부
420: 밀착부 421: 내측 밀착부
422: 외측 밀착부 430: 가압부
500: 화장 용구 1000, 1000`: 내용물 용기
1000-1: 제 1 내용물 용기 1000-2: 제 2 내용물 용기

Claims (9)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측에 제 1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용기;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내측에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내용기;
    상기 외용기의 상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내용기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연통 공간이 형성되는 숄더부; 및
    상기 연통 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받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거치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용기에는, 상기 거치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하향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에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굴곡되어 연장하는 상향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기가 상기 숄더부에 거치될 때, 상기 하향 굴곡부의 내측면이 상기 상향 굴곡부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상향 굴곡부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고, 복수의 상기 상향 굴곡부 사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의 상단에는 내측 지지부 및 외측 지지부가 각각 돌출되고,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내측 지지부의 외측에 밀착하는 내측 밀착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에 밀착하는 외측 밀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하기 위해 하강할 때, 상기 내측 밀착부와 상기 외측 밀착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내측 밀착부와 상기 외측 밀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기밀 공간이 압축됨에 따라, 상기 밀폐가 강화되는, 내용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에서 상기 외측 지지부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걸림부와 상기 제 2 걸림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숄더부를 밀폐하는, 내용물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는, 상기 외용기에 결합되는 외측 테두리부; 상기 외측 테두리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받침부가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상기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내측 테두리부를 연결하며, 상단에 상기 내측 지지부 및 상기 외측 지지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단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할 때 상기 거치부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내용기를 고정 및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가 돌출되는, 내용물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단에 거치되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외용기의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연통 공간을 밀폐하면, 상기 내용기의 거치가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이 밀폐되는, 내용물 용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액이 발생하면, 상기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제 1 수용 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는, 내용물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상기 받침부에 거치될 때, 상기 제 1 수용 공간 내의 공기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제 1 수용 공간의 내압 상승이 해소되는, 내용물 용기.
KR2020220001534U 2022-06-22 2022-06-22 내용물 용기 KR200496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34U KR200496167Y1 (ko) 2022-06-22 2022-06-22 내용물 용기
PCT/KR2023/002701 WO2023249196A1 (ko) 2022-06-22 2023-02-27 내용물 용기
CN202380013197.XA CN117813241A (zh) 2022-06-22 2023-02-27 内容物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534U KR200496167Y1 (ko) 2022-06-22 2022-06-22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167Y1 true KR200496167Y1 (ko) 2022-11-16

Family

ID=8423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534U KR200496167Y1 (ko) 2022-06-22 2022-06-22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96167Y1 (ko)
CN (1) CN117813241A (ko)
WO (1) WO20232491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96A1 (ko) * 2022-06-22 2023-12-28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62B1 (ko) * 2010-09-07 2012-07-27 김진기 화장품용기의 기밀링 구조
KR101354644B1 (ko) * 2012-07-13 2014-01-2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20210154497A (ko) * 2020-06-12 2021-12-21 최승호 내용기 장착이 용이한 화장품 유리용기
KR102386272B1 (ko) * 2021-07-06 2022-04-12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8471B2 (ja) * 2015-05-29 2019-01-09 紀伊産業株式会社 二重容器
KR200496167Y1 (ko) * 2022-06-22 2022-11-16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562B1 (ko) * 2010-09-07 2012-07-27 김진기 화장품용기의 기밀링 구조
KR101354644B1 (ko) * 2012-07-13 2014-01-2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20210154497A (ko) * 2020-06-12 2021-12-21 최승호 내용기 장착이 용이한 화장품 유리용기
KR102386272B1 (ko) * 2021-07-06 2022-04-12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96A1 (ko) * 2022-06-22 2023-12-28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13241A (zh) 2024-04-02
WO2023249196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200489432Y1 (ko) 화장품 용기
EP3480130A1 (en) Discharge container
KR102332817B1 (ko) 이중 용기
CN210988722U (zh) 化妆品容器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KR200496167Y1 (ko) 내용물 용기
EP2777429A1 (en) Cosmetics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KR101968597B1 (ko) 겔상화장료와 고형화장료가 담긴 콤팩트용기
KR200484157Y1 (ko) 배출판과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8602671B2 (en) Cosmetics container with a puff rotatably mounted on a container body
KR200494911Y1 (ko) 화장품 용기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975747B1 (ko) 밀폐구조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KR101903037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CN205738686U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及干燥容器
KR10211710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1689388B1 (ko) 콤팩트 용기
CN107280210A (zh) 被填充有凝胶状化妆品和固体化妆品的化妆品容器
CN109562875A (zh) 旨在配备化妆品再充装器的盖
KR101911923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194696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