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4644B1 -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 Google Patents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4644B1
KR101354644B1 KR1020120076926A KR20120076926A KR101354644B1 KR 101354644 B1 KR101354644 B1 KR 101354644B1 KR 1020120076926 A KR1020120076926 A KR 1020120076926A KR 20120076926 A KR20120076926 A KR 20120076926A KR 101354644 B1 KR101354644 B1 KR 10135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patula
protruding
liquid contai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to KR102012007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8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 B65D39/082Bung-rings and bungs for bung-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65D51/24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located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관한 것으로,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있어서, 캡부와, 상기 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주걱부와, 상기 캡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캡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액상 용기부와,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주걱부를 돌출시키는 돌출 장치부 및 상기 돌출 장치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LIQUIS CASE HAVING PROTRUDING SPATULA}
본 발명은 액상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에 따라서 캡부의 외부로 주걱부를 돌출시키는 액상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화장품은 그 사용용도에 따라 콜드 크림이나 마사지 크림 또는 나리싱 크림으로 구분되고, 상기 크림들은 모두 액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장품은 화장품 용기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액상을 찍어 해당 피부에 바르도록 되어 있는바, 사용 후에는 캡을 돌려 닫아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손가락으로 액상을 찍어 사용할 경우, 크림 타입 액상 화장품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손가락이 청결하지 못할 때에는 손에 묻어 있던 이물질이 내용물로 혼입되어 세균 번식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변질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크림 타입 액상 화장품의 내용물을 주걱으로 취하여 사용할 수 있게 끔 크림 타입 액상 화장품과 함께 주걱이 제공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을 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크림 타입 액상 화장품 용기와 함께 제공되는 주걱은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수납부의 상부에 덮여져 내용물이 캡 내저면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중간마개위에 넣어 제공되거나, 캡의 외부에 형성된 주걱 삽입홀에 끼워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주걱 보관이 가능한 캡을 갖는 크림 타입 화장품 용기는 이미 대한 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5093호(등록 일자 2005, 12, 27)에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걱 보관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주걱을 캡의 외부에 형성된 주걱 삽입홀에 끼워 결합한 후 다시 분리하여 꺼낼 경우 사용자의 손톱이나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분리해야함으로, 사용자의 손톱이 파손될 수 있고. 이로인해 주걱의 분리가 어려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캡에서 주걱의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캡의 회전에 따라서 주걱을 돌출시키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캡부에 구비된 주걱부를 캡부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캡부에서 주걱부의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캡부를 개폐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를 구성함으로써, 캡부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액상 용기부를 밀폐시키거나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미사용시에는 제품을 밀폐시켜 액상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있어서,
캡부;
상기 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주걱부;
상기 캡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캡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액상 용기부;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주걱부를 돌출시키는 돌출 장치부; 및
상기 돌출 장치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있어서,
캡부;
상기 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주걱부;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주걱부를 돌출시키는 돌출 장치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의하면,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캡부에 구비된 주걱부를 캡부의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캡부에서 주걱부의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주걱부의 사용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사용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캡부의 회전시 캡부를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켜 액상 용기부로부터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를 구성하여 캡부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액상 용기부를 밀폐시키거나,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시 밀폐를 해제시켜 사용하고, 미사용시 밀폐시켜 액상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구성 중 밀폐용 캡의 사용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구성 중 가이드 밀폐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구성 중 밀폐용 캡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D부 확대 측단면도.
도 1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구성 중 가이드 밀폐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액상 용기(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액상 용기(10)는 캡부(20)와, 주걱부(30)와, 액상 용기부(40)와, 돌출 장치부(5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20)는 회전축(A1)을 중심으로 반시계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액상 용기부(4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주걱부(30)는 상기 캡부(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캡부(20)에 구비된다. 상기 액상 용기부(40)는 상기 캡부(20)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캡부(20)를 회전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캡부(2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돌출 장치부(50)는 상기 캡부(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주걱부(30)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후술하는 결합 지지부(43)에 구비된다. 상기 락킹부(60)들은 상기 캡부(20)의 회전에 따라서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돌출 장치부(50)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대표적인 적용예로 액상 용기를 나타내었다. 반드시 액상 용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모든 액상 용기에 적용 가능하다.(예컨대, 화장품 용기, 튜브 용기, 삼퓨 용기 및 세제 용기등)
또한, 상기 액상(C1; 도 9에 도시됨)은 화장품용 크림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은 화장품용 크림이외에 다른 액상도 가능하다.(예컨대, 삼퓨액 및 세제액등)
앞서 언급한 도 1를 참조하여 상기 캡부(2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캡부(20)는 외부캡(21)과, 내부캡(22)과, 주걱 수납부(23) 및 밀폐용 캡(24)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캡(21)은 후술하는 상기 내부캡(22), 상기 주걱 수납부(23) 및 상기 밀폐용 캡(24)과 결합된다. 상기 내부캡(22)은 후술하는 상기 주걱 수납부(23)를 구비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캡(21)내에 구비된다. 상기 주걱 수납부(23)는 상기 주걱부(30)를 수납함과 아울러 돌출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외부캡(21)내에 구비된다. 상기 밀폐용 캡(24)은 상기 캡부(2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액상 용기부(4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걱 수납부(23)의 하부에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부캡(21)내에는 상기 캡부(20)를 회전시 상기 밀폐용 캡(24)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내부 용기부(41)를 밀폐시키거나 밀폐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밀폐부(7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밀폐부(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돌기부(7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72)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돌기부(71)들은 후술하는 가이드부(72)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밀폐용 캡(24)의 외부 둘레에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부(72)는 상기 이동 돌기부(71)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돌기부(71)를 상, 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외부캡(21)내에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외부캡(21)에는 상기 주걱부(30)의 손잡이(31)와 결합됨과 아울러 돌출가능하게 하도록 돌출홈(2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걱 수납부(23)는 상기 주걱부(30)의 돌출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홈(2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도 1를 참조하여 상기 액상 용기부(4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액상 용기부(40)는 내, 외부 용기부(41)(42), 결합 지지부(43)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용기부(41)의 내부에는 상기 주걱부(30)를 사용하여 찍어서 꺼내는 크림 타입 액상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 용기부(42)는 상기 내부 용기부(41)를 수용하고. 상기 캡부(20)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내부 용기부(41)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 지지부(43)는 상기 돌출 장치부(50) 및 상기 락킹부(60)를 구비하도록 상기 외부 용기부(42)의 상부에 결합된다.
더욱이,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돌출 장치부(50)는 상기 주걱부(30)의 후면과 대면되고, 상기 주걱 수납부(23)를 회전시 상기 주걱부(30)와 접촉됨과 아울러 돌출시킬 수 있도록 경사진 가이드면(51)이 형성된 돌출 돌기부(7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락킹부(6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락킹부(60)는 락커홈(61) 및 락커부(62)를 포함한다. 상기 락커홈(61)은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시 후술하는 상기 락커부(62)와 착탈되도록 상기 외부캡(21)내에 형성된다. 상기 락커부(62)는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시 상기 락커홈(61)에서 착탈되도록 상기 결합 지지부(43)에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조립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과 같이, 상기 외부캡(21)내에 상기 내부캡(22)을 결합하고, 상기 내부캡(22)의 하부에 주걱부(30)를 구비한 주걱 수납부(23)를 결합한다. 상기 주걱 수납부(23)의 하부에 밀폐용 캡(24)을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용기부(42)내에 액상(C1 ; 도 9에 도시됨)을 구비한 내부 용기부(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부 용기부(42)의 상부에 상기 돌출 장치부(50) 및 상기 락킹부(60)를 구비한 결합 지지부(43)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캡(21)은 상기 외부 용기부(42)에 힌지부(42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작동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액상 용기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이고,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평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액상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평면도 이며,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평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액상 용기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외부캡(21)의 회전 전 상태이므로, 상기 락킹부(60)의 락커홈(61)은 상기 결합 지지부(43)에 형성된 락커부(62)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주걱부(30)는 상기 외부캡(21)의 외부로 돌출 전 상태이다.
이때,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축(A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주걱 수납부(23)는 상기 외부캡(2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주걱 수납부(23)와 함께 상기 주걱부(30)도 함께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주걱부(30)는 상기 결합 지지부(43)에 형성된 돌출 장치부(50)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외부캡(21)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상기 돌출 장치부(50)는 상기 주걱부(30)와 접촉됨과 아울러 돌출시킬 수 있도록 경사진 가이드면(51)이 형성된 돌출 돌기부(71)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주걱 수납부(23)가 회전하면, 상기 주걱부(30)의 손잡이(31)가 경사진 가이드면(51)과 접촉됨과 동시에 가이드 이동하여 상기 외부캡(21)의 외부로 돌출된다.
더불어, 상기 외부캡(21)에 형성된 락커홈(61)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락커홈(61)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 지지부(43)의 락커부(62)에서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상기 외부캡(21)은 상기 힌지부(42a)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액상 용기부(4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액상 용기부(40)의 내부 용기부(41)도 함께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외부캡(21)에 돌출된 주걱부(30)의 손잡이(31)를 잡고 간편하게 상기 외부캡(21)에서 인출하고, 인출된 주걱부(30)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 용기부(41)내에 구비된 크림타입 액상을 찍어서 꺼내 사용한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외부캡(21)내에는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시 상기 밀폐용 캡(24)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내부 용기부(41)를 밀폐시키거나 밀폐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밀폐부(70)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밀폐부(70)는 상기 외부캡(21)을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용 캡(24)을 상승시켜 상기 내부 용기부(41)의 밀폐를 해제시킨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 밀폐부(70)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밀폐부(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돌기부(71)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7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72)는 상기 외부캡(21)내에 형성되고, 상기 밀폐용 캡(24)의 외부 둘레에 돌출 형성된 상기 이동 돌기부(71)들을 상, 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한다.
즉,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시키면, 상기 외부캡(21)과 함께 상기 가이드부(72)들이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부(72)는 상기 이동 돌기부(71)를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 돌기부(71)들이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용 캡(24)도 함께 상승하고, 상기 밀폐용 캡(24)은 상기 내부 용기부(41)와의 밀폐를 해제시킨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다시 상기 외부캡(21)을 닫을 경우, 상기 외부캡(21)의 주걱 수납부(23)에 다시 상기 주걱부(30)를 인입시키고, 상기 외부캡(21)을 힌지부(42a)에 의해 회전시켜 상기 내부 용기부(41)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축(A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외부캡(21)의 락커홈(61)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락커홈(61)이 상기 락커부(62)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상기 주걱부(30)의 손잡이(31)는 상기 외부캡(21)에 형성된 돌출홈(21a)내에 다시 인입시킴과 동시에 원위치시킨다.
더불어,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외부캡(21)과 함께 상기 가이드부(72)들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부(72)들은 상기 이동 돌기부(71)들을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 돌기부(7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밀폐용 캡(24)도 함께 하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밀폐용 캡(24)은 상기 내부 용기부(41)의 상부를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제품을 미사용시에는 상기 밀폐용 캡(24)이 상기 내부 용기부(41)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용기부(41)내에 구비된 크림타입 액상(C1; 도 9에 도시됨)의 변질을 방지하여 액상의 변질없이 오랜 기간 유지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주걱 보관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미도시 됨)는 주걱(미도시 됨)을 캡(미도시 됨)에서 분리할 경우 사용자의 손톱이나 날카로운 도구를 이용하여 분리해야함으로, 주걱의 분리가 어려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캡(21)을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외부캡(21)내에 구비된 주걱 수납부(23)에서 주걱부(30)가 돌출되고, 외부캡(21)의 외부로 돌출된 주걱부(30)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인출시킴으로서, 주걱부(30)의 인입/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캡부 : 20 주걱부 : 30
액상 용기부 : 40 돌출 장치부 : 50
락킹부 : 외부캡 : 21
내부캡 : 22 주걱 수납부 : 23
밀폐용 캡 : 24 내부 용기부 : 41
외부 용기부 : 42 결합 지지부 : 43
경사진 가이드면 : 51 락커홈 : 61
락커부 : 62 가이드 밀폐부 : 70
이동 돌기부 : 71 가이드부 : 72

Claims (10)

  1.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 용기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주걱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캡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캡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액상 용기부;
    상기 액상 용기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주걱부를 돌출시키는 돌출 장치부; 및
    상기 돌출 장치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를 상기 액상 용기부로부터 걸리거나 걸림을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외부캡;
    상기 외부캡내에 구비되는 내부캡;
    상기 외부캡내에 구비되어 상기 주걱부를 수납하는 주걱 수납부; 및
    상기 주걱 수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액상 용기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용 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에는 상기 주걱부의 손잡이와 결합됨과 아울러 돌출가능하게 하는 돌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걱 수납부는 상기 주걱부의 돌출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용기부는, 그 내부에 액상을 구비하는 내부 용기부;
    상기 내부 용기부를 수용하고, 상기 캡부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내부 용기부를 개폐시키는 힌지부를 구비한 외부 용기부; 및
    상기 외부 용기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돌출 장치부 및 상기 락킹부를 구비하는 결합 지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장치부는 상기 주걱부의 후면과 대면되고, 상기 주걱 수납부를 회전시 상기 주걱부와 접촉됨과 아울러 돌출시키는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된 돌출 돌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외부캡내에 형성되는 락커홈; 및
    상기 결합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캡을 회전시 상기 락커홈에서 착탈되는 락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내에는 상기 캡부를 회전시 상기 밀폐용 캡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내부 용기부를 밀폐시키거나 밀폐를 해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밀폐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밀폐부는, 상기 밀폐용 캡의 외부 둘레에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돌기부; 및
    상기 이동 돌기부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 돌기부를 상, 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10.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에 있어서,
    상기 액상 용기의 상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캡부;
    상기 캡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캡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주걱부;
    상기 액상 용기에 구비되어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주걱부를 돌출시키는 돌출 장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장치부는 상기 주걱부의 후면과 대면되고, 상기 캡부를 회전시 상기 주걱부와 접촉됨과 아울러 돌출시키는 경사진 가이드면이 형성된 돌출 돌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1020120076926A 2012-07-13 2012-07-13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10135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926A KR101354644B1 (ko) 2012-07-13 2012-07-13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926A KR101354644B1 (ko) 2012-07-13 2012-07-13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4644B1 true KR101354644B1 (ko) 2014-01-21

Family

ID=5014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926A KR101354644B1 (ko) 2012-07-13 2012-07-13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464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07B1 (ko) 2014-01-28 2015-12-1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101579405B1 (ko) * 2015-06-10 2015-12-21 김진우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834115B1 (ko) * 2017-03-14 2018-02-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량스푼이 구비되는 분말통
KR20180062150A (ko) 2016-11-30 2018-06-08 김진우 수동 인출식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CN108523686A (zh) * 2018-06-26 2018-09-14 深圳饭来科技有限公司 投料盒
KR102435684B1 (ko) * 2021-04-12 2022-08-24 (주)연우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승강시키는 용기 캡
KR200496167Y1 (ko) * 2022-06-22 2022-11-16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773A (en) * 1988-01-05 1988-10-25 Robert Bennett Container cap with turnable retractable nozzle
KR100814319B1 (ko) * 2007-08-27 2008-03-18 (주)연우 노즐 수납식 디스펜서
WO2009044099A1 (en) * 2007-10-01 2009-04-09 Toly Products (Uk) Limited Cosmetic compact
KR101058055B1 (ko) * 2009-07-29 2011-08-19 (주)연우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9773A (en) * 1988-01-05 1988-10-25 Robert Bennett Container cap with turnable retractable nozzle
KR100814319B1 (ko) * 2007-08-27 2008-03-18 (주)연우 노즐 수납식 디스펜서
WO2009044099A1 (en) * 2007-10-01 2009-04-09 Toly Products (Uk) Limited Cosmetic compact
KR101058055B1 (ko) * 2009-07-29 2011-08-19 (주)연우 화장품 용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307B1 (ko) 2014-01-28 2015-12-14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품 용기
KR101579405B1 (ko) * 2015-06-10 2015-12-21 김진우 화장용 스파츌러 자동 인출 구조를 갖는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6200128A1 (en) * 2015-06-10 2016-12-15 Ctk Co., Ltd Cream cosmetics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automatically ejecting makeup spatula
KR20180062150A (ko) 2016-11-30 2018-06-08 김진우 수동 인출식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KR101834115B1 (ko) * 2017-03-14 2018-02-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량스푼이 구비되는 분말통
CN108523686A (zh) * 2018-06-26 2018-09-14 深圳饭来科技有限公司 投料盒
KR102435684B1 (ko) * 2021-04-12 2022-08-24 (주)연우 회전에 의해 화장용구를 승강시키는 용기 캡
KR200496167Y1 (ko) * 2022-06-22 2022-11-16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WO2023249196A1 (ko) * 2022-06-22 2023-12-28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644B1 (ko) 주걱 돌출이 가능한 액상 용기
KR100712934B1 (ko) 이중밀폐구조의 화장품케이스
KR200450028Y1 (ko) 콤팩트 용기
KR20150008798A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228464B1 (ko)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CN211431425U (zh) 化妆品容器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JPWO2011096257A1 (ja) たばこ用容器
JP2020500614A (ja) 化粧品容器
KR200444386Y1 (ko) 화장품용기의 브러시기구
KR200436955Y1 (ko)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JP2011234763A (ja) 化粧品容器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KR101288852B1 (ko) 화장품 용기
KR200405094Y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WO2009028809A2 (en) Tubular receptacle having retractable outlet
KR200405091Y1 (ko) 볼터치 브러쉬 보관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090006820U (ko) 서랍형 슬라이드 콤팩트
KR200425540Y1 (ko) 아이새도우 화장품 용기
KR20050041128A (ko) 화장품케이스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KR101799243B1 (ko) 주걱 내장형 화장품 용기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CN111818820A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