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107B1 -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107B1
KR102043107B1 KR1020190073275A KR20190073275A KR102043107B1 KR 102043107 B1 KR102043107 B1 KR 102043107B1 KR 1020190073275 A KR1020190073275 A KR 1020190073275A KR 20190073275 A KR20190073275 A KR 20190073275A KR 102043107 B1 KR102043107 B1 KR 10204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connection point
guid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항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to KR1020190073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00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 E05D1/06Pinless hinges; Substitutes for hinges consisting of two easily-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힌지 장치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1 가이드와, 제1 하우징연결점을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제1 가이드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와, 제1 하우징연결점과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2 하우징연결점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제1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연결돌기와, 제2 하우징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연결점과, 제1 연결돌기 및 하부연결점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힌지연결점을 구비하는 제1 힌지와, 제2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연결돌기와, 제1 하우징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연결점과, 제1 힌지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연결점을 구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HINGE DEVICE AND HIDDEN HINGE CONTAINER}
본 발명은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를 커버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용기 중에서 용기본체와 커버가 힌지 구조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의 용기가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사용자가 내용물을 토출하거나 사용한 후 커버를 회전에 의해서 닫음으로써 입구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종래의 힌지 타입 용기는 힌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5780호에는 뚜껑부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경우에도 힌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는 화장품 용기의 외관상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힌지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힌지 장치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1 가이드와, 제1 하우징연결점을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제1 가이드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와, 제1 하우징연결점과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2 하우징연결점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제1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연결돌기와, 제2 하우징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연결점과, 제1 연결돌기 및 하부연결점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힌지연결점을 구비하는 제1 힌지와, 제2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연결돌기와, 제1 하우징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연결점과, 제1 힌지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연결점을 구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힌지는 한 쌍의 바디암과, 바디암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고, 제2 힌지연결점은 바디암에 형성되고, 제1 힌지는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1 힌지연결점이 제2 힌지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제1 힌지연결점 및 제2 힌지연결점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한다.
제1 힌지는 제1 연결돌기가 측면에 형성된 제1 헤드와, 제1 힌지연결점 및 하부연결점이 측면에 형성된 제1 바디를 구비하고, 제2 힌지는 제2 연결돌기가 측면에 형성된 제2 헤드와, 제2 힌지연결점 및 하부연결점이 측면에 형성된 제2 바디를 구비하며, 제1 헤드는 제1 헤드접합면을 구비하고, 제2 바디는 제1 헤드접촉면과 접하는 상부접촉면을 구비하고, 제2 헤드는 제2 헤드접합면을 구비하고, 제2 바디는 제2 헤드접합면과 접하는 하부접촉면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은 제1 가이드가 형성된 제1 측면을 구비하고, 제1 측면에는 제1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은 제2 가이드가 형성된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제2 측면에는 제2 연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는 상기와 같은 힌지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힌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히든 힌지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된 힌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가 회전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힌지 장치가 커버프레임에 결합되기 이전 및 이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2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커버(210)가 개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히든 힌지 용기(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200)는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힌지 장치(100)에 의해서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지만, 힌지 장치(100)가 용기(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서 개방된 경우에만 힌지 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되고, 도 1과 같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된 경우에는 힌지 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200)는 힌지 장치(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한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200)는 사각 형상을 갖는 것으로 외체를 형성하는 커버(210) 및 용기본체(240)를 구비한다.
커버(210)의 내부에는 커버프레임(212)이 삽입된다. 커버프레임(212)의 일 측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하우징삽입부(214)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우징삽입부(214)에는 힌지 장치(100)의 제1 하우징(도 4의 도면부호 150 참조)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커버프레임(212)의 내부에는 사각 형상의 커버공간(218)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공간의 입구에는 커버내캡(224)이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미러(2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캐버내캡(224)의 전면에는 내캡플랜지(226)가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공간(218)의 내부에는 퍼프(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 있다.
커버(210)의 하단부에는 커버플랜지(228)가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용기본체(240)는 커버(210)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용기본체(240)의 내부에는 본체프레임(242)이 결합된다.
본체프레임(242)은 커버프레임(2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커버공간(218)에 대응하는 수납공간(248)을 구비한다. 수납공간(248)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프레임(242)은 수납공간(248)의 일 측에 형성된 하우징삽입부(244)를 구비한다. 하우징삽입부(244)에는 힌지 용기(100)의 제2 하우징(도 4의 도면부호 180 참조)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용기본체(240)의 상부 테두리에는 본체플랜지(250)가 결합된다.
본체프레임(242)의 수납공간(248)에는 수납부재(252)가 삽입된다. 수납부재(252)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수납부재(252)의 내부에 내용물(254)이 삽입된다.
내용물(254)은 화장액이 함침된 발포부재에 해당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내용물(254)의 구조 및 성질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내용물(254)의 상부에는 플레이트(256)가 위치한다. 플레이트(256)는 다수 개의 토출홀(258)을 구비하는데, 토출홀(258)을 통해서 내용물이 플레이트(256)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수납부재(252)의 상부 입구에는 수납프레임(260)이 결합된다.
상기에서는 힌지 장치(100)가 결합되는 히든 힌지 용기로서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히든 힌지 용기의 종류, 구조 및 크기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든 힌지 용기는 식품 보관을 위한 용기, 의약품 보관을 위한 용기 등 다양한 구조 및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예시된 힌지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가 회전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6은 도 1과 같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8은 도 2와 같이 커버(210)가 용기본체(240)에 대해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 그리고 제1 하우징(150) 및 제2 하우징(180)을 포함한다.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는 유사한 측면 형상을 갖고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는 제1 힌지연결점(124) 및 제2 힌지연결점(144)에 의해서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힌지(11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헤드(112) 및 제1 바디(120)를 구비한다.
제1 헤드(112)는 제1 힌지(110)의 상부에 해당하고 제1 하우징(15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헤드(112)의 좌우 측면에는 제1 연결돌기(116)가 형성된다. 제1 연결돌기(116)는 제1 하우징(150)의 제1 가이드(15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1 연결돌기(116)는 힌지 장치(100)가 회전하는 경우 제1 가이드(154)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연결돌기(116)는 제1 가이드(154)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1 헤드(112)와 제1 바디(120)와의 연결 부분에는 제1 헤드접합면(1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헤드접합면(118)은 도 8과 같이 두 개의 힌지(110, 130)가 최대로 회전한 경우 제2 힌지(130)의 상부접촉면(148)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힌지(110)에 대한 제2 힌지(130)의 회전이 제한된다.
제1 바디(120)는 제1 헤드(112)에 비해서 작은 폭을 갖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단턱(122)에 의해서 제1 헤드(112)와 구분된다.
제1 바디(120)의 측면에는 제1 힌지연결점(1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 힌지(110)와 제2 힌지(130)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1 힌지연결점(124)은 돌기 또는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바디(120)의 측면에는 하부연결점(1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2 하우징(180)의 제2 하우징연결점(19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부연결점(126)은 돌기 또는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바디(120)의 절곡된 부분에는 하부접촉면(128)이 형성된다. 하부접촉면(128)은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가 상호 회전하지 않을 때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하부접촉면(128)은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가 최대로 회전한 경우 제2 헤드접합면(138)과 접하게 된다. 또한, 하부접촉면(128)은 제1 힌지(110)의 일 면에 해당하는 제1 힌지면(114)와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제 2 힌지(130)는 제1 힌지(11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측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 힌지(110)에 대해 제1 힌지연결점(124) 또는 제2 힌지연결점(144)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제2 힌지(130)도 제2 헤드(132) 및 제2바디(140)를 갖는데, 이는 각각 제1 헤드(112) 및 제1 바디(120)에 대응한다.
제2헤드(132)는 제2 힌지(130)의 하부에 해당하고 제2 하우징(18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헤드(132)의 좌우 측면에는 제2 연결돌기(136)가 형성된다. 제2 연결돌기(136)는 제2 하우징(180)의 제2 가이드(18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2 연결돌기(136)는 힌지 장치(100)가 회전하는 경우 제2 가이드(184)의 내부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 연결돌기(136)는 제2 가이드(184)의 일 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2 헤드(132)와 제2 바디(140)와의 연결 부분에는 제2 헤드접합면(13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헤드접합면(138)은 도 8과 같이 두 개의 힌지(110, 130)가 최대로 회전한 경우 제1 힌지(110)의 하부접촉면(128)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힌지(110)에 대한 제2 힌지(130)의 회전이 제한된다.
제2 바디(140)는 두 개의 바디암(142)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는 관통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힌지(110)의 제1 바디(120)는 관통홀(141)을 통과하는데, 이로 인해 제1 힌지(110)와 제2 힌지(130)가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제2 바디(140)의 측면에는 제2 힌지연결점(14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 힌지(110)와 제2 힌지(130)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제2 힌지연결점(144)은 돌기 또는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바디(140)의 측면에는 상부연결점(1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 하우징(150)의 제1 하우징연결점(16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연결점(146)은 돌기 또는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바디(140)의 절곡된 부분에는 상부접촉면(148)이 형성된다. 상부접촉면(148)은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가 상호 회전하지 않을 때 수평으로 위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상부접촉면(148)은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가 최대로 회전한 경우 제1 헤드접합면(118)과 접하게 된다.
제1 하우징(150)은 히든 힌지 용기(200)의 커버프레임(21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힌지 장치(100)와 히든 힌지 용기(200)를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50)의 내부에는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의 일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하우징(15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면(152)을 구비한다. 제1 측면(152)은 직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선 형상의 홀에 해당하는 제1 가이드(15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면(152)의 단부에는 커버프레임(212)과의 체결을 위한 제1 연결부재(15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154)의 내부에는 제1 힌지(110)의 제1 연결돌기(116)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1 가이드(154)는 제1 측면(152)의 우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2 하우징(180)의 제2 가이드(184)와 대칭되는 형상에 해당한다.
제1 하우징(150)은 하나의 제1 전면(158)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전면(158)은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면(152)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면(158)은 돌출면(160)을 구비하고, 돌출면(160)의 내부에는 제1 하우징연결점(16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연결점(162)에는 제2 힌지(130)의 상부연결점(14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1 하우징연결점(162)은 돌기 또는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돌출면(160) 및 제1 하우징연결점(162)은 제1 하우징(15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80)은 히든 힌지 용기(200)의 본체프레임(242)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힌지 장치(100)와 히든 힌지 용기(200)를 연결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80)의 내부에는 제1 힌지(110) 및 제2 힌지(130)의 일부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 하우징(180)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면(182)을 구비한다. 제2 측면(182)은 직사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선 형상의 홀에 해당하는 제2 가이드(184)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측면(182)의 단부에는 본체프레임(242)과의 체결을 위한 제2 연결부재(18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184)의 내부에는 제2 힌지(130)의 제2 연결돌기(136)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2 가이드(184)는 제2 측면(182)의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제1 하우징(150)의 제1 가이드(154)와 대칭되는 형상에 해당한다.
제2 하우징(180)은 하나의 제2 전면(188)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전면(188)은 상호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면(182)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면(188)은 제2 돌출면(190)을 구비하고, 제2 돌출면(190)의 내부에는 제2 하우징연결점(19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연결점(192)에는 제1 힌지(130)의 하부연결점(126)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제2 하우징연결점(192)은 돌기 또는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돌출면(190) 및 제2 하우징연결점(192)은 제2 하우징(18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제1 하우징(150)의 제1 돌출면(160) 및 제1 하우징연결점(162)과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가 회전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힌지 장치(100)는 커버(210) 및 용기본체(240)가 도 1과 같이 폐쇄된 상태에 해당한다. 이때, 제1힌지(110)의 제1 연결돌기(116)는 제1 가이드(154)의 상단부(일단부)에 위치하고, 제2 힌지(130)의 제2 연결돌기(136)는 제2 가이드(184)의 하단부(타단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1 하우징(150) 및 제2 하우징(180)은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커버(210)가 개방되어 용기본체(24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경우 제1 연결돌기(116)는 제1 가이드(154)를 따라서 이동하고 제2 연결돌기(136)는 제2 가이드(184)를 따라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50) 및 제2 하우징(180) 사이의 간격이 확대된다. 또한, 제1 연결돌기(116)와 상부연결점(146)이 도 6에 비해서 더욱 인접하게 되고, 제2 연결돌기(136)와 하부연결점(126)이 더욱 인접하게 된다.
도 8을 참고하면, 커버(210)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제1 연결돌기(116)는 제1 가이드(154)의 타단부(도 6에서의 반대 위치)에 위치하고 제2 연결돌기(136)도 제2 가이드(184)의 일단부(도 6에서의 반대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 헤드접합면(118)은 상부접촉면(148)과 접하고, 제2 헤드접합면(138)은 하부접촉면(128)과 접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제1 힌지(110)와 제2 힌지(130)의 회전이 중단된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힌지 장치(100)가 커버프레임(212)에 결합되기 이전 및 이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커버(210)와 결합하는 커버프레임(212)의 일 측에는 하우징삽입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삽입부(214)는 오목하게 형성된 빈 공간으로서, 그 양측에는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홀(216)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삽입부(214)의 내부에는 힌지 장치(100)의 제1 하우징(150)이 삽입되고, 연결돌기(136)가 체결홀(216)에 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체결된다.
본체프레임(242)에도 하우징삽입부(24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커버프레임(212)에 형성된 하우징삽입부(214)의 구조와 동일하다. 하우징삽입부(244)에는 제2 하우징(180)이 삽입되고 나사 체결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힌지 장치
110: 제1 힌지
130: 제2 힌지
150: 제1 하우징
180: 제2 하우징
200: 히든 힌지 용기

Claims (6)

  1. 일정한 길이를 갖고 형성된 제1 가이드와, 제1 하우징연결점을 구비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가이드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가이드와, 상기 제1 하우징연결점과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제2 하우징연결점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연결돌기와, 상기 제2 하우징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하부연결점과, 상기 제1 연결돌기 및 상기 하부연결점 사이에 형성되는 제1 힌지연결점을 구비하는 제1 힌지;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연결돌기와, 상기 제1 하우징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연결점과, 상기 제1 힌지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힌지연결점을 구비하는 제2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제1 연결돌기가 측면에 형성된 제1 헤드와, 상기 제1 힌지연결점 및 하부연결점이 측면에 형성된 제1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2 연결돌기가 측면에 형성된 제2 헤드와, 상기 제2 힌지연결점 및 하부연결점이 측면에 형성된 제2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헤드는 제1 헤드접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1 헤드접촉면과 접하는 상부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헤드는 제2 헤드접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제2 헤드접합면과 접하는 하부접촉면을 구비하는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는 한 쌍의 바디암과, 상기 바디암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연결점은 상기 바디암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힌지연결점이 상기 제2 힌지연결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1 힌지연결점 및 제2 힌지연결점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가이드가 형성된 제1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에는 제1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가이드가 형성된 제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에는 제2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그리고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KR1020190073275A 2019-06-20 2019-06-20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KR10204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75A KR102043107B1 (ko) 2019-06-20 2019-06-20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75A KR102043107B1 (ko) 2019-06-20 2019-06-20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107B1 true KR102043107B1 (ko) 2019-11-11

Family

ID=6853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275A KR102043107B1 (ko) 2019-06-20 2019-06-20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59A (ko) * 2021-07-05 2023-01-12 (주)연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EP4311452A1 (en) * 2022-07-25 2024-01-31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the outs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780B1 (ko) * 2015-01-06 2017-07-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80036903A (ko)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062757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이랜텍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65689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780B1 (ko) * 2015-01-06 2017-07-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80036903A (ko) * 2016-09-30 2018-04-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062757A (ko) * 2016-12-01 2018-06-11 주식회사 이랜텍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65689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059A (ko) * 2021-07-05 2023-01-12 (주)연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KR102540825B1 (ko) * 2021-07-05 2023-06-12 (주)연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US11814216B2 (en) 2021-07-05 2023-11-14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outside
EP4311452A1 (en) * 2022-07-25 2024-01-31 Yonwoo Co., Ltd.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the outs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205B2 (en) Cosmetic container
KR102043107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KR910001950Y1 (ko) 콤팩트 케이스
US9427062B2 (en) Multiple level container
US7810644B2 (en) Container with pivoting intermediate support
KR20210056990A (ko) 화장품 용기
KR101589086B1 (ko) 수납용기
US3394835A (en) Plastic container with attached cover
US594456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ver assembly
KR200375840Y1 (ko) 회전 개폐식 화장품 용기
US5213229A (en) Motion limiting mechanism for storage containers
US4681216A (en) Display case for fragrance bottles, jewelry, or the like, and hinge used therein
KR200328446Y1 (ko) 화장품냉장고 케이스
KR200405176Y1 (ko) 아이새도우 화장용 용기
US6843385B2 (en) Container for electronic apparatus such as personal computers, compact disc readers and for objects of one's own or professional use in general, writing and drawing tools, etc
KR20210006668A (ko)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KR200206094Y1 (ko) 콤팩트 케이스
KR200258517Y1 (ko) 수납함을 구비한 책상
JP4679861B2 (ja) 気密容器
KR200328447Y1 (ko) 여닫이 구조용 힌지편
JP2806282B2 (ja) 合成樹脂製品のヒンジ構造並びにそのヒンジ構造を用いたアタッシュケース
US20240151083A1 (en) Cabinet apparatus
KR200262410Y1 (ko) 화장품 용기의 개폐장치
KR200239125Y1 (ko) 용기의 커버용 힌지장치
JPS6417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