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757A -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757A
KR20180062757A KR1020160162806A KR20160162806A KR20180062757A KR 20180062757 A KR20180062757 A KR 20180062757A KR 1020160162806 A KR1020160162806 A KR 1020160162806A KR 20160162806 A KR20160162806 A KR 20160162806A KR 20180062757 A KR20180062757 A KR 2018006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guide
shaft
display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568B1 (ko
Inventor
이종익
이덕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6016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56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밴딩시 한계 곡률반경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시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굽힘 및 펼침이 이루어지는 밴딩부가 형성되는 표시패널; 상기 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밴딩부 외의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분리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를 연결하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와 결합되는 암을 구비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COUPLED HINGES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동형 힌지와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밴딩시 한계 곡률반경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시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D(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은 얇은 두께, 가벼운 무게가 장점으로 최근에는 고화질 영상의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 더 많은 분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를 통해 실현하려 했던 기술 중 가장 중요한 기술인 플렉서블 기술 및 곡면화 기술이 진일보하여 이와 관련된 평판표시장치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제품은 상용화되어 출시되고 있다.
곡면화기술은 생산기술의 발달로 대면적화 되는 평판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의 몰입감을 높이고, 화면 전체의 시청효율을 높이기 위해 일정한 곡률로 만곡된 표시장치를 생산하고, 이러한 표시장치에서 왜곡없이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곡면화 기술이 적용된 표시장치들은 130cm 급 화면을 가지는 표시장치의 생산에 적용되어 이미 일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플렉서블 기술은 과거에 비해 표시화면의 밴딩시 곡률의 한계점인 곡률반경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구부림과 펼침의 반복에도 표시장치의 표시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기술을 통해 접이식 또는 롤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간편하게 화면의 면적을 자유자재로 조정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라 할지라도, 구부림의 한계 즉, 한계 곡률반경을 가지며, 한계 곡률반경 이상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정 부분만이 구부러지도록 하고, 밴딩시 곡률한계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종래의 곡률한계 보장을 위한 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이 어렵거나, 많은 부품으로 인해 무게가 무겁거나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4407호(공개일 2015. 09. 1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밴딩시 한계 곡률반경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시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적은 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어 경량화 및 작은 부피로 구현이 가능한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이외의 장치에서도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 상호 간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거나, 한계 곡률반경을 보장해야 하는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는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를 연결하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와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판상의 비대칭 말굽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일측종단이 상기 제1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동부재로 형성되는 가이드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타측종단에 상기 암과 상기 가이드가 마주하는 면으로 돌출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홀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암 및 제2암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을 결합시키는 제1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은 서로 대칭이되도록 상기 제1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축을 축으로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굽힘 및 펼침이 이루어지는 밴딩부가 형성되는 표시패널; 상기 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밴딩부 외의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분리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를 연결하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와 결합되는 암을 구비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판상의 비대칭 말굽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일측종단이 상기 제1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동부재로 형성되는 가이드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타측종단에 상기 암과 상기 가이드가 마주하는 면으로 돌출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홀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암 및 제2암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을 결합시키는 제1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은 서로 대칭이되도록 상기 제1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축을 축으로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밴딩시 한계 곡률반경을 유지하도록 하여 표시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고, 적은 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어 경량화 및 작은 부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와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이외의 장치에서도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 상호 간의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거나, 한계 곡률반경을 보장해야 하는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연동형 힌지가 설치된 단말의 측면 예시도.
도 2는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중간 상태의 힌지와 디바이스의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힌지와 디바이스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연동형 힌지가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 5는 펼침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연동형 힌지가 설치된 단말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40)는 제1 및 제2암(41 :41a, 41b)와 제1축(50), 제2축(53) 및 가이드(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암(41)은 가이드(60)에 결합된 대상체 (이하에서는 대상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하 '디바이스'로 통칭하기로 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함) 즉, 디바이스의 접힘과 펼쳐짐(이하 '밴딩'이라 함)을 위해, 디바이스(20 : 20a, 20b)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제1 및 제2암(41)은 제1축(50)을 공유하여 제1축(50)에 결합되며, 제1축(50)을 회전 축으로 이용하게 된다. 즉, 제1축(50)에 제1 및 제2암(41)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암(41)은 제1축(50)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신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종단(43 : 43a, 43b)이 표시패널(10)이 위치하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치우치는 구부러진 말굽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암(41)은 제1축(50)을 기준으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즉, 암(41)의 일측 종단(43b)이 타측 종단(43a)에 비해 더 구부러진 형태가 되어 말굽 형태에서 일측 종단이 굽의 내측으로 더 구부러진 형태의 비대칭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암(41)의 일측종단(43b)은 제2축(51 : 51a, 51b)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축(53)과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60)와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60)와 결합된 디바이스(20)는 제2축(51)을 통해 회전하여 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및 제2암(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일측종단(43b)이 서로 다른 가이드(60a, 60b)에 결합되며, 이를 위해 동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암(41)이 서로 반전되어 제1축(5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암(41)의 일측종단(43b) 및 이와 결합되는 제2축(51)은 암(41)의 타측종단에 형성되는 홀더(53 : 53a, 53b)에 비해 밴딩되는 내측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연동형 힌지(40)에 결합되는 디바이스(20)의 몸체(20a, 20b)는 접힘상태(0도)와 펼침상태(180)로 힌지(40)에 의해 밴딩이 가능하며, 제1 및 제2암(41)이 각각 90도 범위의 밴딩각을 담당하여 펼침상태가 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밴딩되는 내측방향은 이 접힘이 이루어지는 방향인 내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바이스 몸체(20)가 접혀져 서로 마주보게 되는 상태의 위치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방향 또는 접힘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제1 및 제2암(41)의 타측종단(43a)은 홀더(53a)가 구비된다. 홀더(53a)는 제1 및 제2암(41)이 가이드(60)와 마주대하는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돌출된 부분이 가이드(6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1)에 안착된다. 그리고, 밴딩시 홀더(53)가 가이드홈(61)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디바이스(20)의 밴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암(41)은 제1축(50)과 제2축(51)에 의해 일측종단(43b)이 고정되고, 타측종단(43a)에 홀더를 구비함으로 써, 밴딩시 암(41)에 의해 제한되는 형태로 디바이스의 몸체(20)가 가동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제1 및 제2축(50, 51)은 지렛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홈(61) 내에서의 홀더(53)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제2축(51)이 홀더(53)에 비해 접힘방향 즉, 밴딩되는 내측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즉, 홀더(53)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제2축(51)과 홀더(53)의 위치는 변경될 수도 있다.
제1축(50)은 제1암과 제2암(41a, 41b)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이들에 대해 회전을 위한 축의 역할을 한다. 제2축(53)은 제1암(41a)과 제1가이드(60a), 제2암(41b)와 제2가이드(60b)
가이드(60)는 힌지(40)와 디바이스(20)의 몸체(20a, 20b)를 결합시킨다. 또한, 가이드(60)는 힌지(40)는 쌍으로 구성되고, 각 가이드(6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61)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61)은 힌지(40)에 의해 밴딩시 가이드(60)에 결합된 디바이스가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인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60) 쌍 중 하나는 암(41a, 41b)을 제2축(5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디바이스(20)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다른 하나는 암(41a, 41b)이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디바이스(20)의 밴딩시 디바이스(20)가 미리 지정된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3은 연동형 힌지에 의한 밴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로써, 도 2는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중간 상태의 힌지와 디바이스의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힌지와 디바이스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동형 힌지(40)는 힌지(40)에 의해 결합되는 몸체들(20a, 20b)의 접힘과 펼쳐짐을 위한 관절의 역할을 한다. 특히, 연동형 힌지(40)는 한쌍의 암(41a, 41b)와 가이드(60)에 의해 몸체들(20a, 20b)이 일정한 거리, 일정한 각도로 쌍을 이루어 회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리의 유지는 우선 제1축(50)과 제2축(51)에 의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한편, 회전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제1축(50)과 가이드홈(61)에 의해 회전에 따라 경로를 제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동형 힌지(40)는 도 1과 같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힌지(40)에 의해 몸체들(20a, 2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한 형태로 배치되고, 몸체들(20a, 20b)의 마주하는 면에 구성되는 표시패널(10)은 밴딩부(11)가 만곡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밴딩부(11)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는 이격되도록 힌지(40)에 의해 간극이 유지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간격은 제1암(41a)과 제2암(41b)의 제1축(50)과 제2축(51)을 연결하는 부분에 의해 유지가 되고, 제1암(41a)과 제2암(41b)의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의 나란한 상태는 제1축(50)과 홀더(53)을 연결하는 부분이 가이드홈(6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유지가 되게 된다. 즉, 가이드홈(61)이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제1축(50) 방향으로 더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경우 제1 및 제2몸체(20a, 20b)는 도시된 바와 같은 평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밴딩부(11)와 반대되는 부분의 몸체(20a, 20b)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배열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몸체(20a, 20b)를 펼치게 되면, 가이드(60)와 제2축(51)에 의해 몸체(20a, 20b)가 회전하고, 타측에서는 홀더(53)가 가이드홈(61)을 따라 이동하면서 몸체(20a, 20b)가 펼쳐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암(41a)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암(41a)의 일측종단(43b)이 제2축(51b)에 의해 제1가이드(60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60a)가 펼침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몸체(20b)도 제2축(51a)에 의해 제2가이드(60b)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제1축(50)과 제2축(51a)을 잇는 제1암(41a)과 제1축(50)과 제2축(51b)를 잇는 제2암(41b)에 의해 가이드(60)는 제1축(5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암(41a)의 타측종단(43a)에 형성된 홀더(53a)가 가이드홈(61)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몸체(20a, 20b)가 제2축(51)을 축으로 곡률반경을 저해하는 형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제한을 동일한 형태의 제1암(41a)과 제2암(41b)에 의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몸체(20a, 20b)가 동일한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후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는 홀더(53)가 가이드홈(61)의 타측 종단으로 완전히 이동함으로써 몸체(20a, 20b)라 일직선을 유지하는 펼친 상태가 된다. 이때, 가이드홈(61)이 제1축(5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우 '〈'와 같은 형태로 몸체(20a, 20b)가 표시패널(10)이 배치되지 않은 위치로 더 굽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동형 힌지(40)는 서로 쌍을 이루되 제1축(50)을 기준으로 대를 이루게 제1축(50)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암(41a, 41b)를 가이드(6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1) 및 가이드(60)에 결합되는 제2축(51)에 의해 구속함으로써 몸체(20a, 20b)의 회전시의 반경 및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연동형 힌지가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고, 도 5는 펼침 상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동형 힌지가 적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10), 프레임(120) 및 힌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패널910)은 프레임(120)의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에 고정되어,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데이터에 의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0)은 박막형태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밴딩될 수 있는 표시소자에 의해 플렉서블하게 제조되며, 일례로, 액정표시장치, 유기/무기 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표시소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패널(10)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접힌상태)에 비밴딩부(12)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밴딩부(11)는 몸체(20a, 20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표시패널(10)은 일부분만 밴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20)은 표시패널(10)을 고정하고 표시패널(1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미도시), 전원부(미도시)와 같은 구성이 마련된다. 특히, 이 프레임(120)은 접힘상태에서 간극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몸체(20a, 2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밴딩부(11)가 표시패널(10)의 한 곳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여러 위치에 밴딩부(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위치에 힌지(40)가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한 곳의 밴딩부를 가지는 표시패널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임(120)은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강도가 강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면이 표시패널(10)의 배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프레임(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밴딩부(11)의 구성에 따라 한쌍 이상의 몸체(20a, 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한쌍의 몸체(20a, 20b)로 구성되는 경우, 제1몸체(20a)와 제2몸체(20b)는 각각 가이드(60)쌍에 의해 힌지(40)와 결합되며, 힌지(40)에 의해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표시패널(10)의 밴딩부911)가 간극에 위치하게 되어 힌지(40)에 의해 프레임(120)이 회동하는 경우 표시패널(10)의 밴딩, 즉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60)는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프레임(12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도면에서 힌지(40)가 결합된 부분은 구동부, 전원부와 같은 구성을 마련하기 위해 몸체(20a, 20b)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부분과 같은 두께로 형성이 가능하다.
힌지(40)는 제1 및 제2몸체(20a, 20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특히, 힌지(40)는 제1 및 제2몸체(20a, 20b)의 회전시 표시패널910)이 한계곡률반경보다 같거나 큰 반경을 유지하면서 밴딩될 수 있게 제1 및 제2몸체(20a, 20b)의 상대적인 거리와 회전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힌지(40)는 제1 및 제몸체(20a, 20b)의 회전에 의해 접힘이 발생하는 경우, 밴딩부(11)가 한계 곡률반경 미만의 반경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밴딩시 표시패널(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힌지의 구성은 도 1 내지 4 및 이와 관련된 설명의 힌지(4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표시패널 20 : 디바이스
20a, 20b : 디바이스 몸체 120 : 프레임
40 : 힌지 41 : 암
43 : 종단 50 : 제1축
51 : 제2축 53 : 홀더
60 : 가이드 61 : 가이드홈

Claims (12)

  1.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를 연결하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와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판상의 비대칭 말굽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일측종단이
    상기 제1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동부재로 형성되는 가이드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타측종단에 상기 암과 상기 가이드가 마주하는 면으로 돌출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홀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암 및 제2암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을 결합시키는 제1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은 서로 대칭이되도록 상기 제1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축을 축으로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
  7. 굽힘 및 펼침이 이루어지는 밴딩부가 형성되는 표시패널;
    상기 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밴딩부 외의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분리되어 결합되는 제1몸체와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를 연결하며, 가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 및 상기 제2가이드와 결합되는 암을 구비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판상의 비대칭 말굽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일측종단이
    상기 제1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가동부재로 형성되는 가이드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타측종단에 상기 암과 상기 가이드가 마주하는 면으로 돌출되는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홀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1암 및 제2암의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을 결합시키는 제1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 및 상기 제2암은 서로 대칭이되도록 상기 제1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축을 축으로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힌지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60162806A 2016-12-01 2016-12-01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891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06A KR101891568B1 (ko) 2016-12-01 2016-12-01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806A KR101891568B1 (ko) 2016-12-01 2016-12-01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757A true KR20180062757A (ko) 2018-06-11
KR101891568B1 KR101891568B1 (ko) 2018-08-27

Family

ID=6260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806A KR101891568B1 (ko) 2016-12-01 2016-12-01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56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107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CN111105711A (zh) * 2019-11-28 2020-05-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20200080745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9602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에스코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되는 힌지장치
KR20210009574A (ko) *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인폴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279103B1 (ko) * 2020-11-03 2021-07-19 노완동 링크 힌지 구조
KR20230007059A (ko) * 2021-07-05 2023-01-12 (주)연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WO2023042933A1 (ko) *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5233A (ko) * 2021-11-16 2023-06-14 정민우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633B1 (ko) * 2018-11-19 2024-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25180A1 (ko) * 2019-08-02 2021-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407A (ko) 2014-03-05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4826B1 (ko) * 2014-05-23 2016-03-21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407A (ko) 2014-03-05 2015-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04826B1 (ko) * 2014-05-23 2016-03-21 주식회사 다이아벨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745A (ko) * 2018-12-27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09602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에스코넥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치되는 힌지장치
KR102043107B1 (ko) * 2019-06-20 2019-11-11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히든 힌지 용기
KR20210009574A (ko) * 2019-07-17 2021-01-27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인폴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CN111105711A (zh) * 2019-11-28 2020-05-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1105711B (zh) * 2019-11-28 2021-05-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KR102279103B1 (ko) * 2020-11-03 2021-07-19 노완동 링크 힌지 구조
KR102336736B1 (ko) * 2020-11-03 2021-12-07 노완동 링크 힌지 구조
KR20230007059A (ko) * 2021-07-05 2023-01-12 (주)연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WO2023042933A1 (ko) * 2021-09-16 2023-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85233A (ko) * 2021-11-16 2023-06-14 정민우 스마트 디스플레이 기기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568B1 (ko) 201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2757A (ko)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62096B1 (ko) 표시 장치
KR101861077B1 (ko)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95424B2 (en) Rotating mechanism and foldable terminal
US11474570B2 (en) Hinge structure for foldable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panel
US10403177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of which end portion is perturbable by using elastic force of flexible display device during hinge operation
US10310551B2 (en) Foldable device
US11134579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10289164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CN108874040B (zh) 显示系统
US9086850B2 (en)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US20230243387A1 (en) Foldable device
KR20180071900A (ko)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US20210333838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7765502B (zh) 投影屏幕装置
KR20210137286A (ko) 표시 장치
CN111828460A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JP2020053001A (ja) 折畳み可能な表示装置及びヒンジ装置
KR20180081250A (ko) 힌지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CN113366405A (zh) 覆盖机构、折叠装置及电子设备
WO2021118538A1 (en)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08962036B (zh) 一种可折叠显示装置
CN111667772A (zh) 卷曲结构和显示装置
CN209859507U (zh) 一种具有良好支撑效果的内折式铰链机构
JP2020190580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ヒンジ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