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61Y1 -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 Google Patents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61Y1
KR200464761Y1 KR2020120009891U KR20120009891U KR200464761Y1 KR 200464761 Y1 KR200464761 Y1 KR 200464761Y1 KR 2020120009891 U KR2020120009891 U KR 2020120009891U KR 20120009891 U KR20120009891 U KR 20120009891U KR 200464761 Y1 KR200464761 Y1 KR 200464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 container
injection space
accommodating structur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두진
김덕근
우하택
Original Assignee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여 가압시 화장료가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이 제1 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제1 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되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제2 수용 구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Cosmetic container having injection space for cosmetic materials}
본 고안은 화장료를 주입된 상태로 수용하는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니들에 의해 주입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가압시에만 화장료가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배어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물론 최근에는 남성들 사이에서도 피부의 청결과 미화를 위해 사용하는 화장료는 사용자의 용모를 밝고 건강하게 변화시키고 유지시키는 데에 필수적인 품목이 되고 있다.
화장료 혹은 화장품은 법규상의 정의에 따라 다양한 제품류로 분류되고 있는데, 특히 형태적으로 분류하였을 때 파우더 또는 케이크 등과 같이 경(硬)한 소재의 화장료가 있는가 하면,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과 같이 연성의 화장료도 있다.
이러한 화장료는 그 성상(性狀)에 따라 보존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계된 용기에 수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토너나 스킨 로션 등과 같은 액상의 화장수는 통상적인 유리병이나 플라스틱병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고, 파우더나 케이크 형태의 화장료는 콤팩트 케이스에 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 화장료의 성상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콤팩트 케이스에 화장료를 수용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콤팩트 케이스에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화장료가 충분히 함침 또는 주입될 수 있어야 하고, 케이스를 기울이거나 가볍게 흔들어도 화장료가 임의적으로 유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적절한 화장료 수용체가 필요하다.
가장 최근에 알려진 화장료 수용체로서, 유중수형(water in oil)의 에멀젼 성상인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특정 범위의 점도를 갖는 화장료를 수용하면서 퍼프 등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경도(硬度)의 발포 우레탄 폼으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화장료 수용체에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화장료가 담긴 용기에 화장료 수용체를 침전시켜 화장료가 수용체에 스며들도록 하는 침전식있고, 확산기와 압축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료 수용체 상으로 화장료를 분사하여 흡식시키는 분사식이 있다. 특히, 분사식의 예로는 하기 특허문헌 2와 특허문헌 3에 상세히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877호(명칭 : 발포 우레탄 홈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특허권자 : (주)아모레퍼시픽)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382호(명칭 : 퍼프에 파운데이션을 흡식시키는 방법 및 장치, 특허권자 : (주)아모레퍼시픽)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8213호(명칭 : 파운데이션 충진장치용 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충전장치, 실용신안권자 : (주)아모레퍼시픽)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공개된 것을 비롯한 종래의 화장료 수용체는 발포 우레탄 폼과 같은 소재 자체의 발포 구조 내에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를 침전 또는 분사 방식에 의해 함침시키고 있기 때문에, 화장료 수용체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화장료 수용체로부터 화장료가 외부로 새어나옴으로써, 생산공정 진행 중에 불량률이 증가하고, 제품의 보관과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화장료 수용체에 화장료를 침전시키거나 분사시킬 때는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에 공지된 것과 같이 확산기나 압축기를 포함한 복잡한 장치가 요구되고, 작업과정도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을 하는 경우에만 주입공간으로부터 화장료 수용체의 표면으로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가 있고,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주입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이 제1 수용 구조부에 접합되는 제2 수용 구조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는 제1 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제1 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화장료 주입공간으로부터 제2 수용 구조부의 표면으로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구조부의 공극은, 95~130ppi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는, FP형 애스커 경도기 측정값으로 1~30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는 2~12mm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니들을 사용하여 제2 수용 구조부를 통해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구조부는 화장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 사이에 형성된 화장료 주입 공간을 구비하되, 니들을 통해 화장료 주입공간에 화장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을 하는 경우에만 제2 수용 구조부의 공극을 통해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의 표면으로 배어나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화장료 수용체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 등의 화장료를 안정적으로 수용함은 물론, 화장료가 임의로 새어나올 염려가 없어 생산공정 진행 중에 불량률을 크게 낮출 수 있으며, 제품의 보관과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화장료 수용체는 충전기와 니들을 이용하여 화장료 주입공간에 화장료를 간단하게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확산기나 압축기를 포함하는 복잡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조 공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의 제1실시예와 화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화장료 수용체에 화장료를 주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의 제2실시예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시험예에 따라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주입한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사진이다.
도 7은 제2시험예에 따라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주입한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사진이다.
도 8은 제3시험예에 따라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주입한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사진이다.
도 9는 제4시험예에 따라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주입한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사진이다.
도 10은 제5시험예에 따라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주입한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의 제1실시예와 화장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 제시된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10)는 휴대하기 용이한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화장용기(20)에 담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화장용기(20)에 안착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21)에 화장료 수용체(10)가 안치되는데, 휴대 및 이동시 화장료 수용체(10)가 흔들림이나 이탈됨이 없이 안착홈(21)에 안정적으로 담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화장료 수용체(10)와 안착홈(21)의 외형은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화장료 수용체(10)은 평면 구조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하트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안착홈(21) 역시 이러한 화장료 수용체(10)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료 수용체(10)는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로 구성되어 이들이 접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이 되는데, 예를 들어 톰슨 프레스 열접합 방법을 사용하여 100~110℃의 온도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가장자리 둘레만을 접합하게 된다. 이렇게 접합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로 구성된 화장료 수용체(10)는 제1 수용 구조부(11)가 저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화장용기(20)의 안착홈(21)에 안착이 된다.
이러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모두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과 같이 점성을 가진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소재로 구성이 된다.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스펀지'로 불리는 해면상(海綿狀) 구조의 다공성 소재가 대표적인데, 여기에는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러버 등이 포함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구조라면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였을 때 화장료 수용체(10)에 수용된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에 스며든 상태에서 배어나올 수 있도록,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에 형성되는 공극(G)의 크기는 95~130ppi(pore per inch)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ppi'는 단위 크기(inch) 당 공극의 수를 나타내는데, ppi값이 작을수록 공극의 개수가 적으면서 공극의 크기가 크며, ppi값이 클수록 공극의 개수는 많으면서 공극의 크기는 작은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ppi값이 작을수록 화장료가 빨리 스며드는 반면, ppi값이 클수록 화장료가 천천히 스며들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제2 수용 구조부(12)가 가압되었을 때 점성을 가진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에 스며든 상태에서 적정량이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극(G)의 크기를 95~130ppi로 설정하고 있는데, 만일 95ppi 미만일 경우에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의 표면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고, 130ppi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더라도 화장료가 제2 수용 구조부(12)의 표면으로 배어나오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위와 같이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사이에는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를 주입할 수 있게 되면서 화장료를 주입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게 되는 화장료 주입공간(S)이 형성된다. 즉,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접합됨에 따라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약간 볼록한 상태가 되면서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의 사이에 공간(즉, 화장료 주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화장료 주입 공간(S) 내에 주입된 화장료는, 사용자가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는 경우에만 제2 수용 구조부(12)의 공극(G)을 통해 배어나오게 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수용 구조부(11)와 제2 수용 구조부(12)는 해면상의 다공성 소재처럼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소재로 구성이 되는데, 사용자가 퍼프(puff)와 같은 화장도구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직접 화장을 하고자 할 때 제2 수용 구조부(12)의 표면을 가압하면 화장료 주입공간(S)으로부터 제2 수용 구조부(12)의 공극을 통해 적정량의 화장료가 스며들었다가 배어나오게 된다. 이처럼 적정량의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사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제2 수용 구조부(12)의 경도를 적정한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애스커(Asker)사의 FP형 경도기로 측정하였을 때, 제2 수용 구조부(12)의 경도는 1~30 범위를 갖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수용 구조부(11)는 경도값을 반드시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제조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2 수용 구조부(12)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수용 구조부(12)의 경도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가압하였을 때 적정량의 화장료가 배어나오기가 곤란하거나 지나치게 많은 양의 화장료가 배어나오게 되고, 사용감에 있어서도 지나치게 무르거나 딱딱한 느낌을 받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제2 수용 구조부(12)의 두께(t)는 2~12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2 수용 구조부(12)의 두께(t)가 2mm 미만으로 형성이 되면, 화장료 주입공간(S) 내에 주입되어 있는 제2 수용 구조부(12)를 거의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화장료가 임의로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 제2 수용 구조부(12)의 두께(t)가 12mm를 초과하여 형성이 될 경우에는, 화장료 주입공간(S)으로부터 제2 수용 구조부(12)의 공극(G)을 통해 화장료가 배어나오도록 하기 위해서 큰 힘으로 가압하여야 하는 반면에 화장료가 배어나오는 양은 감소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화장용기(20)에 화장료 수용체(10)를 담기 위해 확보하여야 하는 공간이 커지므로 제품 디자인상 불리하게 된다.
위의 설명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화장료 수용체(10)에 화장료를 주입하는 모습이 도 3의 사진에 예시되어 있다.
도 3에는 화장료를 화장료 수용체(10)에 일정량 주입하기 위한 정량 주입장치의 일부 구성으로서 충전기(F)와 이 충전기(F)에 장착된 니들(N)이 나타나 있는데, 니들(N)을 화장료 수용체(10)의 제1 수용 구조부(11) 또는 제2 수용 구조(12)에 꽂은 상태에서 충전기(F)를 작동시키면 일정량의 화장료가 화장료 수용체(10)의 주입공간(S)에 주입이 된다. 사용되는 니들(N)의 예로는 내경이 0.52~2.18mm이고 길이가 15~40mm인 것을 들 수 있다.
이때 화장료를 주입하는 압력은 화장료의 점도에 따라 가변적인데, 예를 들어 점도 6,000cps인 파운데이션의 경우에 주입 압력 2~3kg/㎠의 범위에서 주입이 가능하고, 점도 30,000cps인 파운데이션의 경우에는 주입 압력 2~5kg/㎠의 범위에서 주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주입 압력은 화장료의 점도와 충전량에 따라 가변적이다.
발포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진 화장료 수용체(10)의 경우에서 관찰된 바에 따르면, 위와 같이 화장료를 주입한 후 화장료 수용체(10)로부터 니들(N)을 뽑았을 때 화장료 수용체(10)가 수축하면서 니들(N)이 꽂혔던 부위의 주입구가 폐색됨으로써 화장료가 누출되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제품 생산시 화장료 주입 공정이나 제품 포장 공정에서 화장료 누출로 인한 오염 현상이나 불량 발생에 대한 우려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주입공간(S)에 화장료가 주입 완료되면 다음 공정에서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화장용기에 화장료 수용체(10)를 담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도 3은 실험적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화장료 수용체(10)에 화장료를 주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대량 생산 시스템에서 자동화 공정에 의해 화장료의 주입 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화장료 수용체(10)에 주입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도 가능한데, 페이스트, 유액, 크림, 겔, 미용액, 유탁액, 현탁액,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수 및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클렌징 등 액상과 유화물 및 점성형 혼합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크림, 맛사지 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클렌징 로션, 클렌징 크림, 바디 로션, 바디 클렌저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료 수용체의 제2실시예에 대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화장료 수용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 예시된 화장료 수용체(100)는 제1 수용 구조부(110)와 제2 수용 구조부(120)로 이루어지며, 이들 제1 수용 구조부(110)와 제2 수용 구조부(12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가장자리 둘레만이 접합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S)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제2 수용 구조부(1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G)이 형성된 해면상 구조의 다공성 소재로서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러버 등으로 구성이 되지만, 제1 수용 구조부(110)는 상기 화장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즉, 제1 수용 구조부(11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콤팩트 케이스와 같은 화장용기의 안착홈에 안착이 되기 때문에, 화장료 주입공간(S) 내에 주입된 화장료가 화장료 수용체(100)의 저면부에 위치하는 제1 수용 구조부(110)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수용 구조부(110)의 소재로는 인조 가죽이나 폴리에틸렌 수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수용 구조부(110)와 제2 수용 구조부(110)의 접합에는 제1실시예에서 예로 든 것처럼 톰슨 프레스 열접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수용 구조부(110)가 인조 가죽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열접합 온도는 180~200℃ 범위에서 진행하여야 접합이 잘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장료 주입공간(S)에 화장료를 주입할 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3에 예시된 것과 같은 충전기(F)와 니들(N)을 이용하되, 니들(N)을 제2 수용 구조부(110)에 꽂아서 화장료를 주입하도록 한다.
제2 수용 구조부(120)의 두께(t)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2~12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수용 구조부(110)의 경우에는 특별히 두께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라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와 종래의 화정료 수용체를 대상으로 각각 화장료를 주입하는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그 결과를 시험한 결과를 설명한다.
<제1시험예>
제1시험예의 화장료 수용체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를 모두 발포 우레탄으로 형성하고, 이들을 톰슨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함으로써,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한 시료이다.
톰슨 프레스 열접합은 110℃에서 수행하였으며, 도 3에 예시된 정량 주입장치의 충전기(F)와 이 충전기(F)에 장착된 니들(N)을 이용하여 2kg/㎠의 주입 압력으로 제2 수용 구조부를 통해 화장료 주입공간에 점도 6,000cps인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10초간 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6의 사진과 같이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주입된 화장료 수용체를 완성하였다. 도 6의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화장료 수용체에 주입된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화장료 수용체의 주입공간 내에만 온전하게 주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2시험예>
제2시험예의 화장료 수용체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의 구분이 없이 일체로 이루어진 발포 우레탄 소재의 시료로서, 도 3에 예시된 정량 주입장치의 충전기(F)와 이 충전기(F)에 장착된 니들(N)을 이용하여 2kg/㎠의 주입 압력으로 점도 6,000cps인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10초간 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7의 사진과 같이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시료에 수용되지 못하고 시료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고안의 화장료 수용체와 달리 제2시험예의 시료에는 니들을 통해 주입되는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제3시험예>
제3시험예의 화장료 수용체는, 제1 수용 구조부를 인조 가죽으로 형성하고, 제2 수용 구조부는 발포 우레탄으로 형성하여, 이들을 톰슨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함으로써,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한 시료이다.
톰슨 프레스 열접합은 200℃에서 수행하였으며, 도 3에 예시된 정량 주입장치의 충전기(F)와 이 충전기(F)에 장착된 니들(N)을 이용하여 2kg/㎠의 주입 압력으로 제2 수용 구조부를 통해 화장료 주입공간에 점도 6,000cps인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10초간 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8의 사진과 같이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주입된 화장료 수용체를 완성하였다. 도 8의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화장료 수용체에 주입된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화장료 수용체의 주입공간 내에만 온전하게 주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4시험예>
제4시험예의 화장료 수용체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를 모두 발포 우레탄으로 형성하고, 이들을 톰슨 프레스 열접합 금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접합함으로써,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한 시료이다.
톰슨 프레스 열접합은 110℃에서 수행하였으며, 도 3에 예시된 정량 주입장치의 충전기(F)와 이 충전기(F)에 장착된 니들(N)을 이용하여 4kg/㎠의 주입 압력으로 제2 수용 구조부를 통해 화장료 주입공간에 점도 30,000cps인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10초간 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9의 사진과 같이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주입된 화장료 수용체를 완성하였다. 도 9의 사진에 보이는 것처럼 화장료 수용체에 주입된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화장료 수용체의 주입공간 내에만 온전하게 주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5시험예>
제5시험예의 화장료 수용체는 제1 수용 구조부와 제2 수용 구조부의 구분이 없이 일체로 이루어진 발포 우레탄 소재의 시료로서, 도 3에 예시된 정량 주입장치의 충전기(F)와 이 충전기(F)에 장착된 니들(N)을 이용하여 4kg/㎠의 주입 압력으로 점도 30,000cps인 파운데이션 화장료를 10초간 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10의 사진과 같이 파운데이션 화장료가 시료에 수용되지 못하고 시료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제2시험예의 시료와 마찬가지로 제5시험예의 시료에는 니들을 통해 주입되는 화장료를 수용할 수 있는 화장료 주입공간이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100 : 화장료 수용체 11,110 : 제1 수용 구조부
12,120 : 제2 수용 구조부 20 : 화장용기
21 : 안착홈 G : 공극
S : 화장료 주입공간 t : 제2 수용 구조부의 두께
F : 충전기 N : 니들

Claims (6)

  1. 화장용기 내에 안착되는 제1 수용 구조부;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서로 접합되어 상기 제1 수용 구조부와의 사이에 화장료 주입공간을 형성하며, 점액상이나 겔상 또는 크림상의 화장료가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으로부터 스며들고 배어나올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 내에 주입된 화장료를 상기 공극을 통해 유출하게 되는 제2 수용 구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구조부의 공극은, 95~130ppi의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는, FP형 애스커 경도기 측정값으로 1~30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는 2~12mm의 두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니들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수용 구조부를 통해 상기 화장료 주입공간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구조부는 상기 화장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20120009891U 2012-10-31 2012-10-31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0464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91U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2-10-31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91U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2-10-31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61Y1 true KR200464761Y1 (ko) 2013-01-16

Family

ID=5136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891U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2-10-31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61Y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20150146072A (ko) * 2014-06-20 2015-12-31 강성일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화장품 충전방법
KR20160073358A (ko) * 2016-06-01 2016-06-24 강성일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936843B1 (ko) * 2017-09-29 2019-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WO201901757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CN109310258A (zh) * 2016-06-20 2019-02-05 欧莱雅 用于涂抹化妆品的涂抹器
KR20190021084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KR20190038084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190038082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164583B1 (ko) 2020-02-11 2020-10-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227356B1 (ko) * 2020-06-03 2021-03-15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출 균일성 및 휘발 억제성이 확보된 화장료 수용체
KR20210114206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946A (en) * 1995-09-21 1998-06-09 L 'oreal Foam pad for the care and topical treatment of the skin
JP2005004971A (ja) * 2003-06-09 2005-01-06 Sony Corp 平面型表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380018Y1 (ko) * 2005-01-13 2005-03-24 (주)삼본퍼프 접착식 화장용 퍼프
JP2006288468A (ja) * 2005-04-06 2006-10-26 Kenji Nakamura 化粧用パフ
KR200440621Y1 (ko) * 2007-05-28 2008-06-2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이 수용된 파우치가 내장된 패드
KR20080079678A (ko) * 2005-12-15 2008-09-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표면에 하나 이상의 물질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어플리케이터
KR20090100643A (ko) *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00011637U (ko) * 2009-05-21 2010-12-01 (주)아모레퍼시픽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퍼프
KR20120004710U (ko) *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대현공예 양면접착 파우더 퍼프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946A (en) * 1995-09-21 1998-06-09 L 'oreal Foam pad for the care and topical treatment of the skin
JP2005004971A (ja) * 2003-06-09 2005-01-06 Sony Corp 平面型表示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380018Y1 (ko) * 2005-01-13 2005-03-24 (주)삼본퍼프 접착식 화장용 퍼프
JP2006288468A (ja) * 2005-04-06 2006-10-26 Kenji Nakamura 化粧用パフ
KR20080079678A (ko) * 2005-12-15 2008-09-0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표면에 하나 이상의 물질을 도포하는데 사용되는어플리케이터
KR200440621Y1 (ko) * 2007-05-28 2008-06-2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이 수용된 파우치가 내장된 패드
KR20090100643A (ko) *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00011637U (ko) * 2009-05-21 2010-12-01 (주)아모레퍼시픽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퍼프
KR20120004710U (ko) * 2010-12-21 2012-06-29 주식회사 대현공예 양면접착 파우더 퍼프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11Y1 (ko) 2013-06-17 2013-10-11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20150146072A (ko) * 2014-06-20 2015-12-31 강성일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화장품 충전방법
KR101663059B1 (ko) 2014-06-20 2016-10-06 강성일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충전방법
KR20160073358A (ko) * 2016-06-01 2016-06-24 강성일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697966B1 (ko) 2016-06-01 2017-01-19 강성일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CN109310258A (zh) * 2016-06-20 2019-02-05 欧莱雅 用于涂抹化妆品的涂抹器
WO2019017577A1 (ko)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190021084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KR102370597B1 (ko) * 2017-08-22 2022-03-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펀지 타입의 토출부를 구비한 화장품
KR101936843B1 (ko) * 2017-09-29 2019-0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190038084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190038082A (ko) *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987350B1 (ko) 2017-09-29 2019-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987362B1 (ko) 2017-09-29 2019-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164583B1 (ko) 2020-02-11 2020-10-12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유중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114206A (ko) 2020-03-10 2021-09-2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구분된 별도의 흡수부를 갖는 화장료용 흡수부재
KR102227356B1 (ko) * 2020-06-03 2021-03-15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토출 균일성 및 휘발 억제성이 확보된 화장료 수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76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TWI600435B (zh) 用於浸漬化妝品組成物的聚氨酯泡材
KR101538110B1 (ko)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KR101875423B1 (ko)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AU2010346453A1 (en) Cosmetic applicator
KR20046921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EP3571954B1 (en) Head structure of applicator
US20180027942A1 (en) Cap for scalp care container capable of applying liquid
KR200478110Y1 (ko) 화장품 용기
KR200456107Y1 (ko) 액체를 토출시키는 액체 저장부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N206079483U (zh) 具有由止回阀实现的密封结构的化妆品管体
KR101736372B1 (ko)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0478728Y1 (ko) 상하 표면에 담지홈이 형성된 담지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160121749A (ko) 화장품 용기
KR20130090487A (ko) 샘플 립스틱 용기의 헤드 구조
KR200461938Y1 (ko) 펌핑 화장용기
KR101663744B1 (ko) 주입형 마스크 팩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의 처리 방법
US20170318936A1 (en) Cosmetic product article comprising a stamp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59351Y1 (ko) 리무버 흡수부를 갖는 화장용 면봉
TWI665981B (zh) 吸收液態內容物方法
US20160113373A1 (en) Eyebrow and/or eyelash tinting kit for home application
KR101520372B1 (ko)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CN207979219U (zh) 一种组合售卖型化妆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