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110Y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110Y1
KR200478110Y1 KR2020140000035U KR20140000035U KR200478110Y1 KR 200478110 Y1 KR200478110 Y1 KR 200478110Y1 KR 2020140000035 U KR2020140000035 U KR 2020140000035U KR 20140000035 U KR20140000035 U KR 20140000035U KR 200478110 Y1 KR200478110 Y1 KR 200478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liquid
cosmetic container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744U (ko
Inventor
박윤성
배효진
Original Assignee
박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성 filed Critical 박윤성
Priority to KR2020140000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11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1)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10), 수용공간(11)에 수용되고, 액상 화장품(1)이 내부로 함침되는 함침부재(20), 수용공간(11)에 수용되되, 함침부채의 상측에 배치되고, 가압될 때에 함침부재(20)로부터 액상 화장품(1)을 흡수하여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재(30), 및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S CONTAINER}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서 화장품이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품은 사용목적에 따라 고형, 파우더형, 액상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최근에는 파운데이션도 고형이나 파우더형에서 나아가 액상형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액상형 제품은 퍼프에 묻혀서 피부에 얇게 도포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므로 여성들이 선호한다. 그러나, 액상 화장품은 밀폐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보관용기에서 새어나오고, 공기에 접촉하면 수분이 증발해서 고형화되므로, 보관이 불편하다.
이러한 액상 화장품의 보관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펌프장치를 결합한 화장품 용기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액상 화장품을 수납하는 용기, 용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펌핑장치 등으로 구성되므로, 용기에 수납된 액상 화장품은 펌핑장치의 헤드를 누르면, 튜브를 따라 상승하여 배출구로 배출된다.
다만,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배출구에 잔여물이 남아서 비위생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상 화장품을 퍼프에 묻혀 사용하는 경우에, 배출구의 입구가 좁아서 퍼프의 일부분에만 액상 화장품이 분사되므로, 퍼프에 액상 화장품이 골고루 묻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게다가, 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액상 화장품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분사된 액상 화장품이 퍼프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KR 10-2006-0122451 A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함침부재 및 함침부재로부터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여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액상 화장품이 용기 밖으로 새어나가거나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은 함침부재와 유출부재를 이격배치함으로써, 보관시에 액상 화장품이 함침부재와 유출부재의 다공을 통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액상 화장품이 내부로 함침되는 함침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함침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가압될 때에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상기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여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는 상기 액상 화장품 상측에 배치되어, 가압될 때에 상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는 상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된 상태로 수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상기 함침부재와 접촉되어 적층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이격배치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유출부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외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유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유출부재를 이격시키는 메쉬망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복수 개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배치되되, 서로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묻혀진 상기 액상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에 펴바르는 퍼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퍼프가 탈착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캡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퍼프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 외벽과 제2 외벽이 서로 이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측의 상기 제1 외벽과 외측의 상기 제2 외벽 사이에 빈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빈공간에 삽입되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일단이 제1 외벽을 감싸면서 상기 빈공간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유출부재의 테두리 상측에 배치되도록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상기 용기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캡부의 테두리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잠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잠금돌기 및 상기 잠금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잠금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캡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하부면으로부터 관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상기 빈공간에 삽입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함침부재 및 함침부재로부터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여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유출부재를 가압할 때에만 액상 화장품이 유출되므로, 액상 화장품이 용기 밖으로 새어나가거나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함침부재와 유출부재를 이격배치함으로써, 함침부재와 유출부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보관시에 액상 화장품이 함침부재와 유출부재의 다공을 통하여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를 이중의 외벽으로 형성하고, 외벽과 외벽 상이에 삽입되는 단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열이 액상 화장품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액상 화장품이 점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11)이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1)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10), 수용공간(11)에 수용되고, 액상 화장품(1)이 내부로 함침되는 함침부재(20), 수용공간(11)에 수용되되, 함침부재(20)의 상측에 배치되고, 가압될 때에 함침부재(20)로부터 액상 화장품(1)을 흡수하여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재(30), 및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액상 화장품(1)을 보관하는 용기(10)이다. 여기서, 액상 화장품(1)은 주로 점성을 가진 겔 상태의 화장품뿐 아니라 점성을 갖지 않는 액체 상태의 화장품도 포함한다. 또한, 화장품은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아이쉐도우, 립스틱 등과 같은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가압할 때에만 액상 화장품(1)이 유출되도록, 용기(10), 함침부재(20), 유출부재(30) 및 캡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10)는 액상 화장품(1)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액상 화장품(1)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된다. 또한, 용기(10) 상부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1)이 유출입된다.
한편, 함침부재(20)는 흡입력이 우수한 부재로서, 수용공간(11)에 수용된다. 따라서, 액상 화장품(1)은 함침부재(20)의 내부로 함침된다. 구체적으로, 함침부재(20)에는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므로, 액상 화장품(1)이 미세구멍을 통과해 함침부재(20)로 흡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함침부재(20)는 예를 들어, 천연고무의 원액을 발포시켜 만든 스펀지나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시켜 만든 우레탄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함침부재(20)는 반드시 스펀지나 우레탄폼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액상 화장품(1)이 내부로 함침될 수 있는 한, 모든 공지의 흡입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함침부재(20)는 액상 화장품(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함침부재(20)는 액상 화장품(1)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액상 화장품(1)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액상 화장품(1)은 함침부재(20)가 가압될 때에 함침부재(20) 내부로 함침된다. 따라서, 함침부재(20)가 액상 화장품(1)과 이격된 경우에는, 함침부재(20)는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면을 가압하면 하면이 액상 화장품(1)에 접촉된다. 반면, 함침부재(20)가 액상 화장품(1)에 접촉된 경우에는, 액상 화장품(1)의 점도, 함침부재(20)의 다공의 형상 내지 개수 등을 조절하여 가압되지 않은 함침부재(20)를 통해 액상 화장품(1)이 상승해서는 안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화장품(1)은 함침부재(20)에 함침된 상태로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액상 화장품(1)을 수용공간(11)에 수납하고 상측에 함침부재(20)를 배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함침부재(20)에 액상 화장품(1)을 흡입시킨 후에, 함침부재(20)만 수용공간(11)에 수납하는 것이다. 또한, 함침부재(20) 내부에 액상 화장품(1)을 주입하고, 함침부재(20)만 수용공간(11)에 수납할 수도 있다.
한편, 유출부재(30)는 가압될 때에 함침부재(20)로부터 액상 화장품(1)을 흡입하여 유출시키는 부재로서, 함침부재(20)의 상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유출부재(30)는 수용공간(11)에 수용되되, 함침부재(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압착될 때에 함침부재(20)에 함침된 액상 화장품(1)을 흡입한다. 이때, 유출부재(30)의 하면으로부터 흡입된 액상 화장품(1)은 유출부재(30)의 상면으로 유출된다. 따라서, 유출부재(30)는 탄성력과 흡입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유출부재(30)는 함침부재(20)와 같이 미세한 다공을 가지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펀지, 우레탄폼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탄성력과 흡입력을 갖는 한, 반드시 스펀지 또는 우레탄폼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유출부재(30)는 함침부재(20)로부터 액상 화장품(1)을 흡입하므로, 함침부재(20)에 접촉하여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부재(30)는 액상 화장품(1)의 유출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함침부재(20)는 미세구멍을 갖는 다공성 부재이므로,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액상 화장품(1)이 상승한다. 또한, 용기(10) 내에서 함침부재(20)가 액상 화장품(1)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에, 용기(10)가 쓰러지거나 뒤집히면, 함침부재(20)의 미세구멍을 따라 액상 화장품(1)이 자연적으로 새어나온다. 이때, 유출부재(30)의 미세구멍이 함침부재(20)의 미세구멍과 연통되지 않도록, 유출부재(30)를 함침부재(20)에 적층시킴으로써, 액상 화장품(1)이 상승하거나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유출부재(30)를 가압하여 압착하는 경우에, 유출부재(30)와 함침부재(20)의 미세구멍이 확장되면서 서로 연통되므로, 액상 화장품(1)이 유출부재(30)를 따라 유출된다. 이렇게 유출부재(30)의 상면으로 유출된 액상 화장품(1)은 용기(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유출부재(30)는 가압된 경우에만, 액상 화장품(1)을 유출시키므로, 액상 화장품(1)의 유출을 조절한다.
한편, 캡부(40)는 용기(1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용기(10)에 결합된다. 이때, 캡부(40)와 용기(10)는 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선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구조가 단순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유출부재(30)를 압착하는 경우에만 액상 화장품(1)이 유출부재(30)의 상면으로 유출되고, 캡부(40)에 의해 밀폐되므로, 액상 화장품(1)이 공기에 노출되어 경화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유출부재(30)가 함침부재(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출부재(30)와 함침부재(20) 사이에 공간이 구비되므로, 유출부재(30)가 압착되어 함침부재(20)에 접촉되는 경우에만 액상 화장품(1)이 유출부재(30)를 따라 유출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유출부재(30)가 함침부재(20)로부터 이격되도록, 돌기부(50) 또는 메쉬망(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50)는 수용공간(11)의 외벽으로부터 수용공간(1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도 4 내지 도 5 참조). 따라서, 유출부재(30)는 하면 테두리가 돌기부(50)에 걸려서 수용공간(11)에 고정되므로, 함침부재(20)와 서로 이격된다. 한편, 메쉬망(60)은 그물코가 형성된 망으로서, 함침부재(20)와 유출부재(30) 사이에 배치되므로, 유출부재(30)가 함침부재(20)로부터 이격된다(도 6 참조). 이때, 유출부재(30)를 가압하면, 유출부재(30)가 압착되면서 메쉬망(60)의 구멍을 통해 함침부재(20)에 접촉된다.
한편, 점도가 낮은 액상 화장품(1)이 스며나오지 않도록, 복수 개의 유출부재(3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복수 개의 유출부재(30)는 서로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유출부재(30)는 상술한 돌기부(50) 또는 메쉬망(60)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퍼프(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퍼프(70)는 액상 화장품(1)을 묻혀서 피부에 펴바르는 분첩이다. 한편, 액상 화장품(1)은 유출부재(30)의 상면으로 유출되어 용기(1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도 2 내지 도 6 참조), 사용자는 유출부재(30)의 상면에 퍼프(70)를 접촉시켜 액상 화장품(1)을 묻혀서 피부에 바른다. 한편, 퍼프(7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출부재(30)의 상면과 개구부의 넓이를 넓게 형성함으로써, 액상 화장품(1)이 퍼프(70)에 골고루 묻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퍼프(70)가 수용되도록, 퍼프수용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프수용부(80)는 캡부(40)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퍼프(70)가 탈착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부의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 용기(10)를 2중의 외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의 외벽은 제1 외벽(13)과 제2 외벽(15)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외벽(13)은 내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을 형성한다. 한편, 제2 외벽(15)은 외측에 배치되어 용기(10)의 외면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외벽(13)과 제2 외벽(15)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그 사이에 빈공간이 구비된다. 이러한 빈공간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외부의 열이 수용공간(11)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부의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열이 액상 화장품(1)까지 전달되지 않으므로, 액상 화장품(1)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액상 화장품(1)에 열이 전달되면, 액상 화장품(1)의 점도가 낮아져서 모세관 현상이 활발히 일어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부의 열을 차단하여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액상 화장품(1)이 유출부재(30)에 스며들어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 단열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열부재(90)는 제1 외벽(13)과 제2 외벽(15) 사이의 빈공간에 배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함침부재(20)와 유출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해서, 고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는 일단이 제1 외벽(13)을 감싸면서 제1 외벽(13)과 제2 외벽(15) 사이의 빈공간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부(100)의 타단은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수용공간(11)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유출부재(30)의 테두리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유출부재(30)와 함침부재(20)는 가압되더라도, 고정부(100)에 의해 고정되므로, 용기(1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잠금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110)는 캡부(4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용기(1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캡부(40)의 테두리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캡부(4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용기(10)의 외면과 잠금부(110)의 내면이 서로 밀착되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용기(10)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10)의 개구부를 폐쇄한 캡부(40)가 고정되도록, 잠금돌기(120) 및 잠금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돌기(120)는 잠금부(11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잠금홈(130)은 잠금돌기(120)에 대응되도록 용기(10)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잠금돌기(120)가 잠금홈(130)에 강제삽입됨으로써, 캡부(40)가 용기(10)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갭부를 용이하게 개폐시키기 위해서, 개폐손잡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손잡이(140)는 캡부(4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폐손잡이(14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캡부(40)를 수월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액상 화장품(1)이 누출되지 않도록, 커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50)는 캡부(40)의 하부면으로부터 관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150)는 캡부(40)가 용기(10)의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제1 외벽(13)과 제2 외벽(15) 사이의 빈공간에 삽입되므로, 수용공간(11)이 밀봉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심하게 흔들리거나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액상 화장품(1)이 수용공간(11)으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액상 화장품 10: 용기
11: 수용공간 13: 제1 외벽
15: 제2 외벽 20: 함침부재
30: 유출부재 40: 캡부
50: 돌기부 60: 메쉬망
70: 퍼프 80: 퍼프수용부
90: 단열부재 100: 고정부
110: 잠금부 120: 잠금돌기
130: 잠금홈 140: 개폐손잡이
150: 커버부

Claims (17)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액상 화장품이 내부로 함침되는 함침부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함침부재의 상측에 배치되고, 가압될 때에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상기 액상 화장품을 흡입하여 상면으로 유출시키는 유출부재;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함침부재는,
    상기 액상 화장품 상측에 배치되어, 가압될 때에 상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거나, 또는
    상기 함침부재는,
    상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된 상태로 수용되며,
    상기 유출부재는,
    상기 함침부재로부터 이격배치되는 화장품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유출부재가 걸려서 고정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의 외벽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유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함침부재와 상기 유출부재를 이격시키는 메쉬망;
    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는,
    복수 개로,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배치되되, 서로 적층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되는 화장품 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재의 상면에 접촉되어 묻혀진 상기 액상 화장품을 사용자의 피부에 펴바르는 퍼프;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퍼프가 탈착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캡부의 상부면으로부터 함몰된 퍼프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 외벽과 제2 외벽이 서로 이격되어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측의 상기 제1 외벽과 외측의 상기 제2 외벽 사이에 빈공간이 구비되는 화장품 용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빈공간에 삽입되어, 외부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부재;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일단이 제1 외벽을 감싸면서 상기 빈공간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유출부재의 테두리 상측에 배치되도록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고정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상기 용기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캡부의 테두리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잠금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잠금돌기; 및
    상기 잠금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용기의 외면으로부터 함몰된 잠금홈;
    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캡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손잡이;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하부면으로부터 관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부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때에 상기 빈공간에 삽입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40000035U 2014-01-03 2014-01-03 화장품 용기 KR200478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35U KR200478110Y1 (ko) 2014-01-03 2014-01-03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0035U KR200478110Y1 (ko) 2014-01-03 2014-01-03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44U KR20150002744U (ko) 2015-07-13
KR200478110Y1 true KR200478110Y1 (ko) 2015-08-31

Family

ID=5379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035U KR200478110Y1 (ko) 2014-01-03 2014-01-03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1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084A (ko)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0487907Y1 (ko) * 2017-08-04 2018-1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071A1 (ko) * 2015-06-12 2016-12-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686354B1 (ko) * 2015-06-12 2016-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409177B1 (ko) * 2016-01-06 2022-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170116398A (ko) *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쎄코 증착용 담체
KR102073545B1 (ko) * 2019-04-12 2020-02-05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06Y1 (ko) *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휴대용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370307Y1 (ko)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236050B1 (ko)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06Y1 (ko) *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휴대용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370307Y1 (ko)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236050B1 (ko) 2012-11-27 2013-02-28 김진우 콤팩트형 에어 타이트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084A (ko) * 2016-09-02 2018-03-1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2552600B1 (ko) * 2016-09-02 2023-07-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0487907Y1 (ko) * 2017-08-04 2018-1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44U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110Y1 (ko) 화장품 용기
US10334935B2 (en) One-touch compact case having refillable structure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US10399763B2 (en) Gel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pump
JP6883520B2 (ja) 表面を溶かして凹凸を形成した含浸部材を有する化粧品
KR101619128B1 (ko) 화장품 용기
KR102042647B1 (ko) 화장품 용기
KR102131199B1 (ko) 화장품 용기
JP6277561B2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KR101711180B1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20170347772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discharge plate made of ceramic
KR200478584Y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CN207912312U (zh) 含有便于加压的泵的粉底容器
KR200475944Y1 (ko) 액상 화장품 용기의 배출 구조체
JP2018501013A (ja) リングボタン部材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KR101459015B1 (ko) 리필 캡슐 장착형 콤팩트 케이스
KR200478805Y1 (ko) 스펀지함침형 화장제용기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20170065259A (ko) 콤팩트 용기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379692B1 (ko) 유동성 화장료가 수용되는 화장품용기를 위한 토출마개
JP2018510721A (ja) 化粧用パウダー容器
KR200480195Y1 (ko)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분리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KR102581360B1 (ko) 액체 메이크업 케이스용 리필 그리고 케이스 및 그러한 리필을 포함하는 조립체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