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45B1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45B1
KR102073545B1 KR1020190043188A KR20190043188A KR102073545B1 KR 102073545 B1 KR102073545 B1 KR 102073545B1 KR 1020190043188 A KR1020190043188 A KR 1020190043188A KR 20190043188 A KR20190043188 A KR 20190043188A KR 102073545 B1 KR102073545 B1 KR 10207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smetic
pump
cosmetics
impregn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상
이창수
안구섭
정혜진
이여울
김희윤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3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제 1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 1 용기; 상기 제 1 용기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용기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구비되는 제 2 용기; 상기 제 2 용기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화장료를 유입하여 토출하는 펌프; 및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이한 제 2 화장료가 함침되고, 상기 제 2 용기에 수용되되, 상기 펌프 상에 배치되는 함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함침 부재는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된 상기 제 1 화장료를 흡수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어 상기 함침 부재에 흡수되는 상기 제 1 화장료 및 상기 함침 부재에 함침된 상기 제 2 화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 1 화장료 및 제 2 화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이란 신체의 아름다운 부분을 돋보이도록 하고, 나아가 신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들은 외모를 보다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기초 화장품 또는 색조 화장품을 이용하여 얼굴에 화장을 하게 된다.
근래에 들어 화장품은 단순 치장을 위한 용도뿐만 아니라, 피부를 보호하면서도 피부에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은 베이스 화장품에 혼합시켜 사용하면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기능성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매우 불안정하며 쉽게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 화장료를 베이스 화장료에 혼합시키면 장기간 보관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종래에는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기능성 화장료와 베이스 화장료를 분리시켜 보관하다가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만 이를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용기는, 하나의 화장품 용기 내에 복수의 화장료가 수납됨에 따라 서로 상이한 화장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염이 발생하거나, 동일한 용기 내에 동일하게 수용됨에 따라 일부 화장료의 변질이나 스웨팅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 서로 상이한 화장료를 하나의 용기 내에 장기간 보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함침 부재를 이용한 화장품의 경우, 함침 부재에는 특정 타입의 단일 화장료만을 함침시킨 상태로 판매되고 있어, 매번 동일하고 단조로운 화장료를 사용해야만 하는 제약이 있었으며, 다른 화장료를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제 1 화장료 및 제 2 화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품 용기는, 제 1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 1 용기; 상기 제 1 용기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용기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구비되는 제 2 용기; 상기 제 2 용기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화장료를 유입하여 토출하는 펌프; 및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이한 제 2 화장료가 함침되고, 상기 제 2 용기에 수용되되, 상기 펌프 상에 배치되는 함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함침 부재는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된 상기 제 1 화장료를 흡수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어 상기 함침 부재에 흡수되는 상기 제 1 화장료 및 상기 함침 부재에 함침된 상기 제 2 화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화장료는,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톤업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액상의 기능성 화장료이고, 상기 제 2 화장료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료 또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용기는, 상기 함침 부재가 안착되되, 일 영역에 상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함침 부재 수용부; 상기 함침 부재 수용부의 외측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 지지벽; 상기 내측 지지벽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측 지지벽; 상기 내측 지지벽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밀폐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용기의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용기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제 2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내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 부재는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접합 부위를 중심으로 상면과 하면이 서로 대향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의 상기 함침 부재 수용부는, 상기 함침 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볼록하게 하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가 수용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외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펌프는, 외부에서 가압이 인가될 때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압의 해제 시에 상측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 1 용기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야기하는 가압부를 상측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 부재는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함침 부재가 상기 제 2 용기에 안착될 때, 상기 펌프의 상기 가압부가 상기 함몰 영역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 부재는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함침 부재가 상기 제 2 용기에 안착될 때, 상기 펌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 영역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 부재는 상기 함몰 영역의 상측으로 상기 가압을 인가받아 상기 가압부로 전달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상기 제 1 화장료는 상기 함몰 영역의 상측으로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 부재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이어가 적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어 중 제 1 레이어는 스펀지로 이루어지고, 제 2 레이어는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레이어의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이어는 상기 제 2 레이어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침 부재의 일면에는 보조층이 추가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보조층은 상기 함침 부재의 표면 형상 및 토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구동바를 포함하는 가압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펌프 내의 압력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용기에 충전된 제 1 화장료 및 함침 부재에 함침된 제 2 화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함침 부재의 저면에 함몰 영역을 형성하고, 펌프의 가압부가 함몰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함침 부재가 사용자의 가압을 펌프로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제 1 화장료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함몰 영역 상측의 함침 부재 영역을 통과하기 때문에, 함침 부재에 흡수 및 함침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분해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용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부 커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화장품 용기의 함침 부재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가 분해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화장품 용기는 제 1 용기(100), 제 2 용기(200), 펌프(300), 함침 부재(400), 고정 부재(500), 내부 커버(600), 외부 용기(700) 및 외부 커버(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용기(100)는, 제 1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제 1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화장료는 미백, 주름개선, 보습, 톤업 등을 위한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기능성 화장료로서, 예를 들어,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용기(10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는, 제 2 용기(200)가 결합됨으로써, 제 2 용기(20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용기(100)에 수용된 제 1 화장료(특히, 기능성 화장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 보관함으로써, 제 1 화장료가 외부에 노출되어 변질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 2 용기(200)는, 제 1 용기(100)와 결합되어 제 1 용기(100)를 밀폐하고, 함침 부재(40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용기(200)의 하부에는 제 1 용기(100)가 삽입되도록 제 1 용기(100)의 상측 둘레에 대응되는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 2 용기(200)는 제 1 용기(100)와 연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제 1 화장료가 제 2 용기(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용기(200)의 일 영역(특히, 함침 부재 수용부(220) 내측의 일 영역)에는 제 1 용기(100)와 연통되는 유입부(21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용기(200)의 상부에는 함침 부재(400)가 안착되기 위한 함침 부재 수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함침 부재 수용부(220)는 함침 부재(4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침 부재(4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펌프(300)는, 제 1 용기(100) 내의 제 1 화장료를 유입하여 제 2 용기(200)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가압에 따른 펌핑 동작을 통해 압력 변화를 야기하여 제 1 화장료가 제 1 용기(100)에서 제 2 용기(20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펌프(300)는 제 2 용기(200) 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유입부(2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300)의 하측 단부는 제 1 용기(100)에 수용되고, 펌프(300)의 상측 단부는 제 2 용기(2-00)의 함침 부재 수용부(220)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펌프(300)의 하측(특히, 하측 단부)에는 제 1 용기(100)의 제 1 화장료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구비되고, 펌프(300)의 상측(특히, 상측 단부)에는 유입된 제 1 화장료가 토출되는 토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 펌핑 동작을 통해 제 1 용기(100)에 수용된 제 1 화장료가 유입홀로 유입된 후 토출홀을 통해 제 2 용기(200)로 토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30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펌핑 동작을 야기하는 가압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부(310)를 누르면(즉, 가압을 인가하면), 가압부(31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누름을 해제하면(가압의 해제하면), 가압부(310)는 상측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에 따른 가압부(310)의 이동은 펌프(300) 내부, 나아가 제 1 용기(100)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제 1 용기(100)에 수용된 제 1 화장료를 제 2 용기(2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310)의 내측에 토출홀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지는 영역의 함침 부재(400)에 토출홀을 통해 토출된 제 1 화장료가 직접적으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토출홀은 가압부(310) 외측에 구비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으나, 실시예에 따라, 펌프(300)는 가압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레버는,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 및 누름부에서 연장하여 가압부(310)에 연결되는 구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누름부를 가압하면, 이러한 가압은 구동바를 통해 가압부(3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구동바는 가압부(310)에 결합하되 구동바의 동작이 가압부(310)의 동작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거나, 가압부(310)와는 분리 형성된 구동바가 가압부(31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부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부(310)로 전달되는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가압부(310)를 직접 가압하지 않고도, 가압 레버를 통해 펌프(300)가 제 1 화장료를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펌프(300)의 가압 레버는 가압부가 아니라, 펌프(300) 내부의 피스톤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은 펌프(300) 내부에서 승하강하면서 압력 변화를 야기하는 것으로서, 누름부의 누름 또는 누름 해제가 구동바를 거쳐 (즉, 가압부(310)를 경유하지 않고) 피스톤으로 전달되어, 펌프(3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펌프(300)에는 가압부(310)가 제거되어 가압 레버에 의해서만 펌프(300)가 동작하거나, 가압부(310)가 병존하면서 가압부(310) 및 가압 레버에 의한 가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펌프(300)는 에어리스 펌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펌프(300)에 의한 압력 변화를 완충하기 위해, 제 1 용기(100)가 튜브 등과 같이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제 1 용기(100) 내부에 승강 또는 하강하는 디스크가 구비될 수 있다. 후자에서 디스크는 펌프(300)에 의해 제 1 용기(100)에 음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제 1 용기(100) 내의 음압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용기(100)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200)의 결합에 의해 제 1 용기(10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제 1 화장료의 사용시에만 펌프(300)를 통해 제 1 화장료를 토출함으로써, 제 1 용기(100) 내에 외부 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 1 화장료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화장료의 장기간 보관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화장료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나 선호에 따라 제 1 화장료를 변경하면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미백, 톤업, 자외선차단 등의 기능을 갖는 제 1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겨울에는 보습 등의 기능을 갖는 제 1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화장료와는 상이한 색상을 갖는 다양한 제 1 화장료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함침 부재(400)는, 제 1 화장료와 상이한 제 2 화장료가 함침되는 것으로서, 제 2 용기(200)의 함침 부재 수용부(220)에 수용되되, 펌프(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화장료는 함침 부재(400)에 함침 가능한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서,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CC크림, 블러셔, 쉐딩, 브로우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함침 부재(400)는 다공성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화장료가 함침되고 외력을 인가받아 함침된 화장료가 토출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스펀지, 부직포, 직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펀지는, 예를 들어, 발포 폼, 천연 고무, 합성수지, 폴리우레탄, 라텍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부타디엔 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틸고무(IIR), 이소프렌고무(IR), 가황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다황화물 고무, 실리콘 고무, 플루오로 고무, 우레탄 고무, 아크릴 고무,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니트릴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부직포 및/또는 직물은, 예를 들어,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접착 및/또는 직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천연섬유는, 예를 들어, 면화, 케이폭면, 코이어, 마닐라삼, 사이잘삼, 아마, 저마, 대마, 케나프, 아바카, 카폭, 모시풀, 황마, 삼, 양모, 산양모, 캐시미어, 낙타털, 알파카, 모섬유, 가잠견, 야잠견, 석면, 셀룰로오스계 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조섬유는, 예를 들어, 폴리노직 레이온, 비스코스 레이온, 류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섬유, 폴리올리펜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카제인 섬유, 알긴산 섬유, 셀루로오스계 섬유, 고무 섬유, SBR, N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함침 부재(400)의 내측에는 펌프(300)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 영역(4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 부재(400)가 제 2 용기(200)의 함침 부재 수용부(220)에 안착될 때, 펌프(300)의 가압부(310)가 함몰 영역(410)의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함침 부재(40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 받은 외력을 가압부(310)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함몰 영역(410)은 펌프(300)의 형상(특히, 가압부(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침 부재(400)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함몰 영역(41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함몰 영역(410)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 1 화장료가 흡수되기 위한 제 1 영역(4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영역(420)의 상단을 가압하면 가압부(310)로 외력이 인가되어, 펌프(30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제 1 화장료가 토출되어 제 1 영역(420)으로 흡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 1 영역(420)의 가압을 통해 제 1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제 1 영역(420)의 외측의 제 2 영역(430)을 이용하여 제 2 화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포구를 이용하여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중 어느 영역을 가압하는지에 따라 제 1 화장료 및 제 2 화장료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함침 부재(400)는 제 2 영역(430)에만 제 2 화장료가 함침되거나, 제 1 영역(420) 및 제 2 영역(430) 전체에 걸쳐 제 2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제 1 영역(420)에는 펌프(300)에 의해 토출된 제 1 화장료만이 흡수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펌프(300)에 의해 토출된 제 1 화장료와 제 2 화장료 모두가 제 1 영역(420)에 함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영역(420)에 대한 가압을 통해 제 1 화장료와 제 2 화장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함침 부재(400)는 상하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함침 부재(400)의 상면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하면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함침 부재(40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 부재(400)의 상면과 하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으로 구성되고, 하면의 일 영역에 함몰 영역(410)이 형성되거나, 또는, 함침 부재(40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하나의 표면은 평면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표면은 바깥 방향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면에 함몰 영역(41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함침 부재(400)가 제 2 용기(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용기(200) 에 결합되어, 제 2 용기(200)의 함침 부재 수용부(220)에 수용되는 함침 부재(400)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가압 또는 지지함으로써, 함침 부재(400)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부재(500)는 함침 부재(400)의 적어도 일부가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중앙 부분이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내부 커버(600)는, 제 2 용기(200)를 개방 및 밀폐하는 것으로서, 커버 본체(610), 손잡이부(620), 밀폐부(640) 및 수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커버(600)는 제 2 용기(200)의 일 측에 힌지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에 의해 제 2 용기(200)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제 2 용기(200)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외부 용기(700)는, 화장품 용기(1000) 내의 각종 구성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200)를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700)는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200)가 수용되도록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200)의 외형에 대응하여 용기 수용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수용부(710)는 제 2 용기(200)의 외측벽(특히, 외측 지지벽(240))에 대응하는 내측벽 및 내측벽의 적어도 일 영역이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하여 제 1 용기(100)가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용기(700)의 하면에는 개방부(7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720)는 외부 용기(700)의 하면 중 적어도 일 영역, 특히 용기 수용부(710)의 내측 영역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부(720)를 통해 용기 수용부(710)에 수용된 제 1 용기(1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 용기(70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측으로 노출된 제 1 용기(100)의 영역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제 1 용기(100)를 외부 용기(70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외부 커버(800)는, 외부 용기(700)를 개방 및 밀폐하는 것으로서, 외부 용기(700)의 일측에 외부 힌지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외부 커버(800)는 이러한 외부 힌지에 의해 회동하면서 외부 용기(700)를 밀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용기(700)와 외부 커버(800)의 대응하는 위치(예를 들어, 외부 힌지의 반대측)에는 외부 용기(70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부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 2 용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용기(200)는 유입부(210), 함침 부재 수용부(220), 내측 지지벽(230), 외측 지지벽(240), 결합부(250), 밀폐벽(260) 및 안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10)는 제 1 용기(100)와 연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2 용기(200)의 일 영역(특히,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내측 일 영역)이 관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210)의 내측으로 펌프(300)가 배치되고, 펌프(300)의 일 단부(즉, 유입홀)는 제 1 용기(100)와 연통됨으로써, 펌프(30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제 1 용기(100) 내의 제 1 화장료가 제 2 용기(2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함침 부재 수용부(220)는 함침 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함침 부재(4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 부재 수용부(220)는 하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함침 부재(400)를 수용하기 위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함침 부재(40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함침 부재 수용부(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용기(20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내측 지지벽(230) 및 외측 지지벽(240)이 하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 지지벽(230)은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외측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지지벽(240)은 이러한 내측 지지벽(230)의 외측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지지벽(230) 및 외측 지지벽(240)에 의해 제 2 용기(200)의 하부에 제 1 용기(100)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용기(100)와 제 2 용기(200)의 결합 시에, 제 2 용기(200)의 내측 지지벽(230)의 외면은 제 1 용기(100)의 측벽의 내면과 밀착되고, 및/또는 제 2 용기(200) 외측 지지벽(240)의 내면은 제 1 용기(100)의 측벽의 외면과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제 1 용기(100) 및 제 2 용기(200) 간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제 1 용기(100) 및/또는 제 2 용기(200)의 둘레를 따라 결합 돌기 및 이에 대응하는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제 1 용기(100)와 제 2 용기(2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용기(20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결합부(250) 및 밀폐벽(260)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50)가 내측 지지벽(230)의 상측으로 제 2 용기(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부(250)의 외측으로 둘레를 따라 밀폐벽(26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50)에는 함침 부재(400)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5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밀폐벽(260)은 내부 커버(600)의 밀폐 회동 시에, 내부 커버(600)와 밀착하면서 제 2 용기(200)를 밀폐할 수 있다. 결합부(250)와 밀폐벽(260)은 고정 부재(500)의 결합 및 내부 커버(600)의 밀폐 회동 시 밀폐부(640)의 밀폐가 가능할 정도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밀폐벽(26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밀폐벽(260)의 내측면의 일 영역으로부터 결합부(25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됨으로써, 수직면과 수평면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의 수직면과 결합부(250)의 외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은 고정 부재(500)의 테두리부(53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500)가 결합부(250)에 결합 시에, 테두리부(530)의 외측면은 돌출부의 수직면에 밀착하고, 내측면은 결합부(250)의 외측면에 밀착함으로써, 고정 부재(500)가 결합부(25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내부 커버(600)의 밀폐 돌기(644)의 길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커버(600)가 제 2 용기(200)를 밀폐하는 경우에, 밀폐 돌기(644)가 돌출부의 수평면에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용기(200)의 밀폐 시에, 내부 커버(600)의 커버 본체(610)는 밀폐벽(260)의 상면을 가압하고, 밀폐 돌기(644)는 돌출부의 수평면을 가압함으로써, 제 2 용기(200)가 이중 밀폐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더불어, 밀폐 돌기(644)가 밀폐벽(260)의 내측면과 돌출부의 수평면에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제 2 용기(200)를 보다 강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210)의 둘레를 따라 안착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270)는 유입부(210)를 향하여 돌출되는 안착턱(272) 및 함침 부재(400)를 향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차폐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턱(272)은 펌프(300)의 수용 및 거치를 위한 것으로서, 안착턱(272)에 대응하여, 펌프(300)의 외측면에는 안착돌기(도면 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펌프(300)가 유입부(210)를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274)는 제 2 용기(200) 및 펌프(300)에 의한 제 1 용기(100)의 기밀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다. 함침 부재(400)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여, 함침 부재 수용부(220)가 하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함침 부재(400)에 함침된 제 2 화장료는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표면을 따라 유입부(21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 2 화장료가 안착턱(272)과 펌프(300) 사이로 이동하여 제 1 용기(100) 내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제 1 용기(100) 내의 제 1 화장료가 안착턱(272)과 펌프(300) 사이를 거쳐 함침 부재(40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함침 부재(400)의 함몰 영역(410)은 내경이 차폐부(274)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차폐부(274)에 끼움되도록 하여 함침 부재(400)가 보다 견고히 제 2 용기(2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내부 커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 커버(600)는 커버 본체(610), 손잡이부(620), 밀폐부(640) 및 수용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610)는 힌지에 연결되어 내부 커버(600)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 2 용기(200)의 밀폐 및 개방하고, 손잡이부(620), 밀폐부(640) 및 수용부(630)가 형성 및 결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부(620)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것으로서, 커버 본체(61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620)를 통해 사용자가 내부 커버(600)를 회동시켜 제 2 용기(200)를 개방 및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620)는 힌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본체(610)의 상측에는 수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630)는 커버 본체(610)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630)에는 화장료 및/또는 도포 부재, 예를 들어, 퍼프, 브러쉬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630)에 수용되는 화장료는 제 1 화장료 및/또는 제 2 화장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장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부(6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부(630)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서로 상이한 종류의 도포구 및/또는 상이한 종류의 화장료가 수용될 수 있다.
커버 본체(610)의 하측에는 밀폐부(640)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640)는 제 2 용기(200)의 밀폐를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연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견고한 밀폐력을 제공하면서,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640)는 커버 본체(6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밀폐부(640)에는 둘레를 따라 커버 본체(610)를 향하여 돌출된 밀착 돌기(642)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돌기(642)에 대응하여 커버 본체(610)의 저면에는 둘레를 따라 밀착 홈(612)이 형성될 수 있다. 밀착 홈(612)과 밀착 돌기(642)를 통해 커버 본체(610)와 밀폐부(640) 간의 결합을 위한 접촉 면적(즉, 접착 물질의 도포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밀폐부(640)는 보다 견고하게 커버 본체(6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640)는 중앙이 개방될 수 있다. 즉, 밀폐부(640)는 커버 본체(610)의 저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 및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밀폐가 요구되는 영역(즉, 제 2 용기(200)의 밀폐벽(260)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640)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밀폐 돌기(644)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의 회동에 의해 밀폐부(640)가 제 2 용기(200)와 결합 시, 밀폐 돌기(644)는 제 2 용기(200)의 밀폐벽(260)에 밀착됨으로써, 제 2 용기(200)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견고한 밀폐를 위해 밀폐 돌기(644)의 외경은 밀폐벽(26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밀폐부(640)는 밀폐 돌기(644)의 외측으로 복수의 결합 돌기(646)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646)는 밀폐 돌기(644)의 외측면 중 복수의 영역이 외측으로 돌출한 것으로서, 이들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제 2 용기(200)의 밀폐벽(260) 내면에는 결합 돌기(646)에 대응하는 결합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밀폐부(640)가 제 2 용기(200)에 결합 시, 결합 돌기(646)는 결합 홈에 삽입되어, 밀폐부(640)를 제 2 용기(20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 2 용기(200)의 밀폐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결합 돌기(646)가 복수 개로 이격 형성되는 것과 달리, 밀폐벽(260)의 결합 홈은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커버(600)와 제 2 용기(200)의 결합에 의해 결합 돌기(646)가 결합 홈에 삽입될 때, 내부 커버(600)와 제 2 용기(200) 사이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밀폐 돌기(644)의 외측면 중 결합 돌기(646)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및 이에 대응하는 결합 홈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밀폐 돌기(644)는 결합 홈을 덮을 정도의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커버(600)의 밀폐 회동이 완료되면, 밀폐 돌기(644)가 결합 홈을 포함하는 밀폐벽(26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밀폐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폐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내부 커버(600)와 제 2 용기(200) 사이에 공기 압축(즉, 내압)을 효과적으로 해소함으로써, 내부 커버(600)가 제 2 용기(200)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고정 부재를 도시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500)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가지며, 제 1 고정부(510), 제 2 고정부(520) 및 테두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510) 및 제 2 고정부(520)는 함침 부재 수용부(220)에 수용된 함침 부재(400)를 가압 또는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제 1 고정부(510)는 고정 부재(500)의 상부면의 일 측(예를 들어, 고리 형상의 내측)으로부터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내측으로 하향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선단이 함침 부재(400)의 일 영역에 밀착되어 해당 영역을 가압 및 지지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520)는 제 1 고정부(510)의 선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 형성되며, 함침 부재(400)의 상면에 대하여 제 1 고정부(510)와 상이한 영역을 가압 및/또는 지지함으로써 함침 부재(400)를 고정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520)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은 제 1 고정부(510)에 의해 가압되는 영역보다 함침 부재(400)의 가장자리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제 2 고정부(520)는 제 1 고정부(510)보다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내측으로 하향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침 부재(400) 상면의 경사진 둘레 부분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함침 부재(400)를 안정적으로 함침 부재 수용부(220) 내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고정부(510)는 적어도 일부가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함침 부재(400)의 상면의 둘레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제 1 고정부(510)는 함침 부재(4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 2 고정부(520)의 형성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고정 부재(500) 상부면의 다른 일 측(예를 들어, 고리 형상의 외측)에는 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테두리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530)는 결합부(250)의 외측벽에 밀착하여 제 2 용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250)의 외측벽 및 테두리부(530)의 내측벽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 돌기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고정부(520)와 테두리부(53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제 2 용기(200)의 결합부(250)가 삽입되어 끼워 맞춤 됨으로써, 고정 부재(500)가 제 2 용기(2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500')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 돌기(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돌기(540)는 제 2 고정부(520)의 선단면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되, 함침 부재 수용부(220)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돌기(540)가 함침 부재(400) 상면을 가압 및/또는 관통함으로써 함침 부재(400)를 이동 또는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함침 부재를 도시한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함침 부재(400', 400'')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레이어가 적층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 부재(400', 400'')는 제 1 레이어(440', 440'')의 상측에 제 2 레이어(450', 450'')가 배치됨으로써, 적층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이어(440', 440'')는 내측에 함몰 영역(410', 4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레이어(450', 450'')는 제 1 레이어(440', 44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 1 레이어(440', 440'')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 1 레이어(440', 440'') 및/또는 제 2 레이어(450', 450'')는 스펀지, 부직포, 직물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 1 레이어(440', 440'')는 스펀지로 이루어지고, 제 2 레이어(450', 450'')는 부직포, 직물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 1 레이어(440', 440'')는 부직포, 직물 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지고, 제 2 레이어(450', 450'')는 스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레이어(440', 440'') 및/또는 제 2 레이어(450', 450'')의 재질에 관한 상기 기재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레이어(440', 440'') 및/또는 제 2 레이어(450', 450'')를 구성하는 직물은 단일 층 및/또는 복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수 층은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직물층 및 하부 직물층은 함침된 화장료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하여 각각 소정의 메쉬(mesh) 구조를 갖도록 섬유사가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쉬 구조는, 직물 상에 다수의 토출공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토출공의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지지층은 복수의 섬유사로 구성되며, 각 섬유가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을 연결하도록 직조될 수 있다. 지지층은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을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부 직물층과 하부 직물층의 사이에서 섬유사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화장료가 함침되도록 할 수 있다.
함침 부재(400')는 복수의 레이어(440', 450')의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가장자리 접합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440', 450')가 결합되어 함침 부재(400')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접합면에 의해 화장료의 이동 방향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 2 레이어(450')가 상부 직물층, 하부 직물층 및 지지층을 포함하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장자리 접합에 의해 지지층의 측방 노출을 방지하여 함침 부재(400')에 함침된 제 2 화장료가 측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함침 부재(400')의 가장자리 접합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물질, (가열/가압 부재를 통해) 외부에서 열이 인가되는 외열 접합, (초음파, 저주파 등을 통해)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내열 접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함침 부재(400'')는 상하 방향의 형상 변형 없이 복수의 레이어(440'', 450'')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하로 볼록하지 않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통상적인 다공성 함침 부재를 활용하여 함침 부재(400'')를 제조할 수 있다. 함침 부재(400'')에서도 복수의 레이어(440'', 450'')는 가장자리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레이어(440', 440'')의 함몰 영역(410', 410'')은 함몰 깊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 및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440', 440'')의 일 영역까지 함몰되어 함몰 영역(410', 410'')이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제 1 레이어(440', 440'')와 동일한 깊이로 함몰 영역(410', 4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함몰 영역(410', 410'')은 제 1 레이어(440', 44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영역(410', 410'')은, 펌프 형상에 따라 폭과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함몰 영역(410', 410'')의 함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펌프(300)에서 토출되는 제 1 화장료가 제 1 레이어(440', 440'')를 경유하는 길이를 조절하거나, 제 1 레이어(440', 440'')를 경유하지 않고 제 2 레이어(450', 450'')로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함침 부재(400, 400', 400'')는 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층은 함침 부재(400, 400', 400'')의 외측에 부가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물, 부직포 등의 섬유층, 연신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은 함침 부재(400, 400', 400'')의 표면을 커버하되, 함침 부재(400', 400'')가 복수의 레이어(440', 440'', 450', 450'')로 구성되는 경우 이들 레이어(440', 440'', 450', 450'')가 서로 접합되는 가장자리에서 함께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장자리 접합을 통해 보조층이 레이어(440', 440'', 450', 450'')에 결합하면서, 보조층이 레이어(440', 440'', 450', 450'')의 전면을 밀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은 함침 부재(400, 400', 400'')의 표면 형상 및 토출 레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층은 함침 부재(400, 400', 400'')의 하측 표면에 결합하되, 방수 성능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함침 부재(400, 400', 400'')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조층은 함침 부재(400, 400', 400'')의 상측 표면에 결합하되, 오간디, 트리코트 등의 신율이 낮은 섬유층으로 구성하여, 특정한 로고나 문양 등을 형성하거나, 화장료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보조층에는 기능성 물질이 함침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은, 예를 들어, 향균 기능을 위한 키토산, 님나무 추출물, 바질 추출물, 정향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등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함침 부재(400, 400', 400'')의 표면에는 코팅층이 결합할 수 있다. 코팅층은 함침 부재(400, 400', 400'')의 표면이나 보조층 등에 방수 등의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진 보조층의 일 면에 폴리우레탄 필름, 실리콘, 큐프라, 텐셀 등과 같은 기능성 물질(예를 들어, 방수 물질 등)을 접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층의 일 면에 결합한 코팅층은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보조층의 다른 면은 함침 부재(400, 400', 400'')에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함침 부재(400, 400', 400'')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측으로 유출되어 화장품 용기에 잔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보조층은 코팅층이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이를 함침 부재(400', 400'')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보조층의 형상은, 커버하고자 하는 함침 부재(400, 400', 40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거나, 적어도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함침 부재(400, 400', 400'')를 구성하는 레이어의 개수, 재질, 형상 등에 대한 상기 기재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 부재는 서로 상이한 재질을 갖는 3개의 레이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 1 용기 200: 제 2 용기
210: 유입부 220: 함침 부재 수용부
230: 내측 지지벽 240: 외측 지지벽
250: 결합부 260: 밀폐벽
270: 안착부 272: 안착턱
274: 차폐부 300: 펌프
310: 가압부 400, 400', 400'': 함침 부재
410, 410', 410'': 함몰 영역 420: 제 1 영역
430: 제 2 영역 440', 440'': 제 1 레이어
450', 450'': 제 2 레이어 500, 500': 고정 부재
510: 제 1 고정부 520: 제 2 고정부
530: 테두리부 540: 가압 돌기
600: 내부 커버 610: 커버 본체
612: 밀착 홈 620: 손잡이부
630: 수용부 640: 밀폐부
642: 밀착 돌기 644: 밀폐 돌기
646: 결합 돌기 700: 외부 용기
710: 용기 수용부 720: 개방부
800: 외부 커버 1000: 화장품 용기

Claims (17)

  1. 화장품 용기로서,
    제 1 화장료가 수용되는 제 1 용기;
    상기 제 1 용기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용기와 연통하는 유입부가 구비되는 제 2 용기;
    상기 제 2 용기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제 1 화장료를 유입하여 상기 제 2 용기 내로 토출하는 펌프; 및
    상기 제 1 화장료와 상이한 제 2 화장료가 함침되고, 상기 제 2 용기에 수용되되, 상기 펌프 상에 배치되는 함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제 1 용기 내의 상기 제 1 화장료를 유입하여 상기 제 2 용기 내의 상기 함침 부재로 토출하고,
    상기 함침 부재에는, 상기 제 2 화장료가 함침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된 상기 제 1 화장료가 추가적으로 흡수되어,
    상기 함침 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화장료 및 상기 제 2 화장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장료는,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톤업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액상의 기능성 화장료이고, 상기 제 2 화장료는, 액상의 파운데이션 화장료 또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인, 화장품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는,
    상기 함침 부재가 안착되되, 일 영역에 상기 유입부가 형성되는 함침 부재 수용부;
    상기 함침 부재 수용부의 외측으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 지지벽;
    상기 내측 지지벽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외측 지지벽;
    상기 내측 지지벽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밀폐벽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의 상기 결합부에 결합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제 2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내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는 가장자리가 상호 접합됨으로써 형성되며, 접합 부위를 중심으로 상면과 하면이 서로 대향하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의 상기 함침 부재 수용부는, 상기 함침 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볼록하게 하향 돌출되는, 화장품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기 및 상기 제 2 용기가 수용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외부 용기를 개방 및 밀폐하는 외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외부에서 가압이 인가될 때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가압의 해제 시에 상측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제 1 용기 내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을 야기하는 가압부를 상측에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는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함침 부재가 상기 제 2 용기에 안착될 때, 상기 펌프의 상기 가압부가 상기 함몰 영역으로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는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함침 부재가 상기 제 2 용기에 안착될 때, 상기 펌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몰 영역으로 수용되는, 화장품 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는 상기 함몰 영역의 상측으로 상기 가압을 인가받아 상기 가압부로 전달하고, 상기 펌프에 의해 토출되는 상기 제 1 화장료는 상기 함몰 영역의 상측으로 흡수되는, 화장품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레이어가 적층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 중 제 1 레이어는 스펀지로 이루어지고, 제 2 레이어는 직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의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레이어는 상기 제 1 레이어의 상측에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이어의 저면에 함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레이어는 상기 제 2 레이어의 상측에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부재의 일면에는 보조층이 추가적으로 결합하고, 상기 보조층은 상기 함침 부재의 표면 형상 및 토출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화장품 용기.
  17. 제 8 항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구동바를 포함하는 가압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 레버가 가압되면, 상기 펌프 내의 압력 변화가 야기되는, 화장품 용기.
KR1020190043188A 2019-04-12 2019-04-12 화장품 용기 KR10207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88A KR102073545B1 (ko) 2019-04-12 2019-04-1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188A KR102073545B1 (ko) 2019-04-12 2019-04-1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545B1 true KR102073545B1 (ko) 2020-02-05

Family

ID=6951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188A KR102073545B1 (ko) 2019-04-12 2019-04-1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6775A (zh) * 2022-07-05 2022-11-11 浙江雅颜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材料浸渍化妆产品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744U (ko) * 2014-01-03 2015-07-13 박윤성 화장품 용기
KR20160093352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알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170119039A (ko) * 2016-04-18 2017-10-26 (주)토니모리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혼합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KR101857013B1 (ko) * 2017-03-06 2018-05-21 주식회사 클린그린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조성물이 분리수용된 간편 화장품
KR20180103244A (ko) * 2017-03-09 2018-09-19 여수빈 이종 화장료가 함께 내장된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744U (ko) * 2014-01-03 2015-07-13 박윤성 화장품 용기
KR20160093352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알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170119039A (ko) * 2016-04-18 2017-10-26 (주)토니모리 액상화장품과 고형화장품이 혼합 사용되는 화장품 용기
KR101857013B1 (ko) * 2017-03-06 2018-05-21 주식회사 클린그린 서로 다른 종류의 화장조성물이 분리수용된 간편 화장품
KR20180103244A (ko) * 2017-03-09 2018-09-19 여수빈 이종 화장료가 함께 내장된 콤팩트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6775A (zh) * 2022-07-05 2022-11-11 浙江雅颜生物科技有限公司 化妆品材料浸渍化妆产品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075B1 (ko) 화장품
CN111246771B (zh) 化妆品容器
KR200474794Y1 (ko) 내용물 리필이 용이한 콤팩트 용기
US20230240428A1 (en) Cosmetic material impregnation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102736A (ko) 배출망과 탄성망으로 이루어진 이중망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94911Y1 (ko) 화장품 용기
KR102073545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32807A (ko) 이종 내용물 용기
KR102133167B1 (ko) 내용물 용기
KR102164710B1 (ko) 내용물 용기
KR102115732B1 (ko) 이종 내용물 용기
KR101791832B1 (ko) 다공성 패브릭과 방수필름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210032743A (ko) 이종 내용물 용기
KR102248578B1 (ko) 토출망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409177B1 (ko) 화장품
KR102290710B1 (ko) 내용물 용기
KR102123467B1 (ko) 고무덮개가 구비된 액상용 콤팩트용기
JP3232236U (ja) 化粧品容器
KR20200010001A (ko)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