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600B1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600B1
KR102552600B1 KR1020160113033A KR20160113033A KR102552600B1 KR 102552600 B1 KR102552600 B1 KR 102552600B1 KR 1020160113033 A KR1020160113033 A KR 1020160113033A KR 20160113033 A KR20160113033 A KR 20160113033A KR 102552600 B1 KR102552600 B1 KR 102552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surface
cushion member
contents
fixing par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084A (ko
Inventor
강성수
차민지
유효진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13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6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에서 상기 내용물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면 위에 쿠션부재를 마련하여 적정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고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액상 화장품은 특정한 용기 내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되는데, 일례로 액상 화장품은 펌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펌프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화장품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바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와 피스톤을 갖는 펌프를 마련하여야 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지며, 전체적인 용기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것은 결국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증대되면, 소비자 불만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다른 예로 함침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등으로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구멍들에 화장품이 흡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의 상면을 눌러서 함침재 내에 함침되어 있던 화장품이 함침재의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함침재는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의 크기로 회복될 수 있다.
그런데 함침재를 이용할 경우, 함침재의 일면에는 퍼프가 지속적으로 닿게 되어 세균의 투입이 우려되고, 함침재의 적어도 일면이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액상 화장품이 경화될 우려 또한 존재한다.
그리고 사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화장품의 함침량이 감소하면, 화장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퍼프로 함침재를 누르는 압력이 커져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함침재의 탄성력이 떨어지면 함침재의 형상이 변화해 미감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액상 화장품 용기들은, 제조 원가가 높거나 위생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미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바, 액상 화장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용기를 컴팩트화 및 고급화할 수 있는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면 위에 쿠션부재를 둠으로써, 쿠션부재가 토출면에서 토출된 내용물을 필터링하여 배출시켜 내용물의 토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퍼프가 토출면 대신 쿠션부재에 접촉하게 되므로, 퍼프로 누를 때 폭신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부여하여 사용 만족도를 확보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외부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에서 상기 내용물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사용자의 퍼프가 접근하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토출면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은,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여 이루어진 직물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오픈 셀 또는 망상형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NR 및 B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다공질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토출면과 간극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내용물이 5,000 내지 20,000cPs의 점도를 가질 때 1 내지 4mm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내용물이 3,000 내지 7,000cPs의 점도를 가질 때 2 내지 7mm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토출면 및 상기 쿠션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측 고정부; 및 상기 상측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토출면 및 상기 쿠션부재를 고정하는 하측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중간측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외부의 가압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토출면의 둘레와 상기 쿠션부재의 둘레 사이에는 간극이 유지되도록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내용물을 덮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의 외측에 마련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 및 상기 쿠션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토출면을 기준으로 내용물의 반대편에 쿠션부재를 두어, 쿠션부재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되어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이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퍼프가 쿠션부재를 누를 때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퍼프로 누르는 느낌을 좋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내측과 외측은 도 3에서 상하 방향으로 내용물을 향하거나 내용물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중앙측과 바깥측은 도 3에서 좌우 방향으로 용기 본체의 중심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다만 도 2는 편의상 고정부(4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10), 토출면(20), 쿠션부재(30), 고정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도구(2)는 편의상 퍼프(2)인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용기 본체(10)는, 내용물(P)을 수용한다. 이때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으며, 3,000 내지 7,000cPs 또는 5,000 내지 20,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고,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내용물(P)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일측이 개방되어, 일측을 통해 내용물(P)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용기 본체(1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놓일 경우 용기 본체(10)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P)이 누출될 위험이 있는바, 용기 본체(10)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에는, 내뚜껑(11)이 마련될 수 있다. 내뚜껑(11)은 용기 본체(10)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1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뚜껑(11)을 열고 용기 본체(10)의 내용물(P)을 취할 수 있다.
내뚜껑(11)은 쿠션부재(30)의 상측을 덮어 내용물(P)이 외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뚜껑(11)은 토출면(20) 및 쿠션부재(30)를 외부로부터 밀봉시킬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외용기(12)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외용기(12)는 용기 본체(10)의 외측을 두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용기(12)에 용기 본체(10)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12)는 용기 본체(10)의 하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구멍을 통해 용기 본체(10)를 밀어내면 용기 본체(10)가 외용기(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외용기(12)에는 외뚜껑(13)이 마련된다. 외뚜껑(13)은 외용기(12)를 개폐할 수 있게 외용기(1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뚜껑(13)의 내면에는 거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화장을 보조할 수 있다.
토출면(20)은, 용기 본체(10)의 일측에서 내용물(P)을 덮도록 마련되며, 퍼프(2)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한다. 토출면(20)은 용기 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용기 본체(10)가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P)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토출면(2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P)은 토출면(20)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용기 본체(10)와 토출면(20)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 내에 갇혀 있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쿠션부재(30)를 퍼프(2) 등의 화장도구(2)로 누르게 되면, 쿠션부재(30)의 처짐에 의해 토출면(20) 역시 도면 기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며, 토출면(20)에 의해 눌리는 내용물(P)은 토출면(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정도의 압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P)은 토출면(20) 및 쿠션부재(30)를 거쳐 외부로 토출되며, 사용자는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P)을 퍼프(2)로 찍어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이때 토출면(2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토출면(20)은 퍼프(2)에 의하여 눌리면서 늘어나게 되지만, 퍼프(2)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토출면(20)은 원래의 팽팽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물론 토출면(20)은 탄성력이 없거나 매우 적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퍼프(2)의 지속적인 가압 및 내용물(P)의 잔량 감소 등에 따라 처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토출면(20)이 처진 상태로 유지되더라도, 토출면(20)은 쿠션부재(30)에 의해 가려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토출면(20)의 처짐이 화장품(1)의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토출면(20)은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여 이루어진 직물 구조일 수 있으며, 이때 씨실과 날실은 서로 같은 소재 또는 다른 소재일 수 있고, 토출면(20)은 스판소재가 포함된 폴리에스터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토출면(20)의 재질을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토출면(20)은, 직물로 이루어질 경우 교차된 원사 사이의 틈새 등에 내용물(P)이 채워지면서 표면장력을 갖게 될 수 있고, 따라서 내용물(P)의 불필요한 누액을 방지하는 막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1회 사용 후 토출면(20)은 내용물(P)에 젖어있게 될 수 있는데, 이때 토출면(20)은 내용물(P)에 의해 표면장력을 갖는 실링막이 되면서, 용기 본체(10)가 흔들려 내용물(P)이 유동하더라도 내용물(P)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 전에 토출면(20)이 미리 내용물(P)에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실링 효과를 확보할 수도 있다.
토출면(20)이 젖는다는 것은 토출면(20)이 직물로 이루어질 때 토출면(20)을 구성하는 원사에 내용물(P)이 흡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원사 자체에 흡수된 내용물(P)과 달리 교차되는 원사들 사이의 틈새에 유입된 내용물(P)은, 토출면(20)이 퍼프(2)에 의해 눌리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토출면(20)은, 내용물(P)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용물(P)과 이격되더라도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사용에 따라 잔량이 줄어들 수 있는데, 토출면(2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토출면(20)과 내용물(P)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내용물(P)이 용기 본체(10)에서 배출됨에 따라 토출면(20)과 내용물(P) 사이의 간격은 점차 커질 수 있다. 그러나 토출면(2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에 내뚜껑(11)이 덮이거나 외용기(12)에 외뚜껑(13)이 덮여 토출면(20)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면, 토출면(2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토출면(20)을 적신 내용물(P)은, 내뚜껑(11) 등의 덮임에 의하여 외부와 격리되므로 경화가 방지될 수 있다.
물론 내뚜껑(11) 등이 열린 상태에서도 토출면(20)의 외측에는 쿠션부재(30)가 마련되므로, 토출면(20)을 적신 내용물(P)은 쿠션부재(30)에 의해 1차적으로 경화가 방지될 수 있다.
다만 토출면(2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토출면(20)에서 내용물(P)과 반대되는 외측면에는, 발수 또는 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토출면(20)의 외측면에는 내용물(P)의 투과를 차단하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oil-in-water)일 경우, 토출면(20)의 외측면은 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water-in-oil)일 경우, 토출면(20)의 외측면은 발유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20)의 외측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에 의해, 토출면(20)을 적신 내용물(P)은, 효과적으로 토출면(20)을 젖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토출면(20)은, 외측면에 내용물(P)과 반대의 성질을 갖도록 발수 또는 발유 코팅하여 토출면(20)을 적신 내용물(P)의 방출을 억제하여, 토출면(20)에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토출면(20)의 외측면 코팅과 함께 또는 별도로, 토출면(20)의 내측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되는 코팅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토출면(20)의 내측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은, 내용물(P)의 동일/유사한 성질을 가져 내용물(P)의 흡수를 허용하는 친수 또는 친유 코팅일 수 있다.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일 경우 토출면(20)의 내측면은 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일 경우 토출면(20)의 내측면은 친유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20)은 내측면에 친수 또는 친유 코팅하여 내용물(P)을 보다 쉽게 흡수하여, 토출면(20)이 내용물(P)에 의해 충분히 젖도록 할 수 있다.
토출면(20)의 외측에 마련되는 쿠션부재(30)의 내측면은, 토출면(20)의 내측면과 동일/유사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및/또는 쿠션부재(30)의 외측면은 토출면(20)의 외측면과 동일/유사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한 토출면(20)의 외측면과 쿠션부재(30)의 내측면은, 서로 반대되는 코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가 서로 달라붙지 않고 간극(31)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쿠션부재(30)는, 토출면(20)에서 내용물(P)의 반대편에 마련될 수 있으며, 토출면(20)의 외측에 마련된다. 쿠션부재(30)는 사용자의 퍼프(2)가 접근하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쿠션부재(30)는, 토출면(20)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쿠션부재(30)는 1 내지 7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토출면(20)은 0.4 내지 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쿠션부재(30)는 토출면(20) 대비 2 내지 5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쿠션부재(30)는 사용자가 퍼프(2)로 누를 때 내용물(P)을 향해 처지게 마련되며,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퍼프(2)로 누르는 힘을 더 이상 가하지 않게 되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쿠션부재(30)가 외부의 가압에 의해 처지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면(20) 역시 쿠션부재(30) 및 퍼프(2)에 의해 눌려서 처지게 되고, 따라서 내용물(P)은 토출면(20)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내용물(P)은 토출면(20)을 빠져나오면서 쿠션부재(30)를 거쳐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데, 다만 토출면(20)을 빠져나오는 내용물(P) 중 적어도 일부는 쿠션부재(30)에 흡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쿠션부재(30)는, 오픈 셀 또는 망상형 구조를 갖는 다공질 스펀지 형태일 수 있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BR 및 B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30)의 포어 사이즈는 40 내지 90PPI일 수 있다. 물론 쿠션부재(30)의 재질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쿠션부재(30)는 내용물(P)을 함침해 보관하는 것보다는 외부로 배출되는 내용물(P)을 필터링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어서, 필터 역할을 하는 모든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쿠션부재(30)는, 토출면(20)과 간극(31)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간극(31)의 높이는 토출면(20)의 두께보다 작거나, 쿠션부재(30)의 두께와 토출면(20)의 두께 사이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의 가압이 쿠션부재(30)에 작용하게 되면, 쿠션부재(30)가 처지면서 토출면(20)과 맞닿게 된다. 따라서 가압이 작용한 부분에서 간극(31)이 사라질 수 있고,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서로 맞닿은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외부의 가압이 해제되면 처져 있던 쿠션부재(30)와 토출면(20)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간극(31)은 다시 벌어질 수 있다. 토출면(20)의 외측면에 코팅이 이루어질 경우, 간극(31)에 남은 내용물(P)은 토출면(20)을 통과하여 용기 본체(10)로 유입되는 대신, 간극(31) 내에 잔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퍼프(2)로 쿠션부재(30)를 살짝 누르면 간극(31)에 있던 내용물(P)이 쿠션부재(30)로 유입될 수 있다.
쿠션부재(30)는, 내용물(P)이 5,000 내지 20,000cPs의 점도를 가질 때 1 내지 4mm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내용물(P)이 3,000 내지 7,000cPs의 점도를 가질 때 2 내지 6mm(혹은 2 내지 7mm)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쿠션부재(30)는 내용물(P)의 점도에 따라 두께가 달라질 수 있는데, 내용물(P)의 점도가 높아질 경우 내용물(P)의 유동성이 작아지므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선택할 수 있고, 반대로 내용물(P)의 점도가 낮아질 경우 내용물(P)의 유동성이 커지므로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토출면(20) 외측에서 쿠션부재(30)가 토출면(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내용물(P) 중 외부로 배출되는 내용물(P)의 양을 적정하게 맞추기 위함이다.
쿠션부재(30)의 두께에 대해서는 아래의 실험 결과를 참고하여 추가로 설명하도록 한다.
쿠션부재
두께
내용물 점도
2000 3000 5000 7000 10000 13000 15000 20000
없음 X X X X
1T
3T
5T
7T X X X
9T X X X X X X X
위 표 1을 참고하면, 표 1은 퍼프(2)(루비셀 퍼프(2))로 본 실시예의 쿠션부재(30)를 눌렀을 때, 퍼프(2)에 내용물(P)이 묻는 면적을 비교한 퍼짐성 평가 결과이다. 이때 X는 매우 부족함, △는 부족함, ○는 충분함, ◎는 매우 충분함을 의미한다.
표 1을 살펴보면, 내용물(P)의 점도가 3,000cPs에 근접하는 저점도로 유동성이 좋을 경우에는, 3 내지 5mm의 두께에서 최적의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 내용물(P)의 점도가 10,000cPs 내외에 해당하는 고점도로 유동성이 낮을 경우에는, 1 내지 3mm의 두께에서 최적의 결과가 나타난다. 이와 같이 쿠션부재(30)의 두께는, 내용물(P)의 점도에 따라 최적화된 수치로 선택될 수 있다.
쿠션부재
두께
내용물 점도
2000 3000 5000 7000 10000 13000 15000 20000
없음 X X X X
1T X X
3T X
5T
7T
9T
위 표 2를 살펴보면, 표 2의 경우 본 실시예를 약 50도 상황에서 세운 상태에서 2주간 보관한 뒤, 쿠션부재(30) 밖으로 내용물(P)이 흐르는지 여부를 확인한 평가 결과이다. 이때 X는 쿠션부재(30) 밖으로 내용물(P)이 흐른 것이고, △는 쿠션부재(30) 하단에 내용물(P)이 고인 것이며, ○는 이상이 없는 것이다.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내용물(P)의 점도가 약 3,000cPs에 근접한 저점도일 경우 유동성이 좋으므로 쿠션부재(30)에서 새어 나올 위험성이 커진다. 그러나 쿠션부재(30)를 3mm 이상의 두께로 마련하면, 쿠션부재(30)에서 내용물(P)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물론 내용물(P)의 점도가 10,000cPs를 넘는 고점도일 경우 유동성이 좋지 않으므로 쿠션부재(3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토출면(20)에 의해 내용물(P)의 유출이 어느 정도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쿠션부재
두께
내용물 점도
2000 3000 5000 7000 10000 13000 15000 20000
없음 0.35 0.3 0.3 0.3 0.3 0.25 0.20 0.20
1T 0.28 0.25 0.25 0.2 0.2 0.2 0.15 0.15
3T 0.28 0.25 0.25 0.2 0.2 0.2 0.15 0.15
5T 0.22 0.2 0.2 0.15 0.15 0.15 0.10 0.10
7T 0.2 0.2 0.18 0.12 0.12 0.12 0.05 0.05
9T 0.14 0.14 0.12 0.10 0.10 0.10 0.04 0.04
위 표 3의 경우 내용물(P)을 10회 토출한 뒤 11회부터 20회까지의 토출량의 평균값을 구한 것이다. 1회부터 10회까지는 토출량이 불규칙하여 해석이 어려운바 분석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토출량이 너무 많을 경우 내용물(P)이 단시간 내에 소진될 우려가 있고, 토출량이 너무 적을 경우 1회 사용을 위해 퍼프(2)로 쿠션부재(30)를 수 회 눌러야 하므로 불편함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량은 0.15 내지 0.25가 적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 1 내지 표 3을 종합해볼 때, 본 실시예는 내용물(P)이 퍼프(2)에 고르게 묻도록 하는 동시에 내용물(P)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내용물(P)이 3,000 내지 7,000cPs의 저점도에서 쿠션부재(30)는 2mm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고, 반면 내용물(P)이 5,000 내지 20,000cPs의 고점도에서 쿠션부재(30)는 5mm(또는 4mm)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쿠션부재
두께
내용물 점도
5000 10000
없음 3 3
2T 5 5
4T 5 5
표 4의 경우 본 실시예의 화장품(1)을 20~30대 여성 20명 대상으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기재한 것이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쿠션부재(30)의 두께 차이나 내용물(P)의 점도는 외관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쿠션부재(30)가 없는 경우에는, 토출면(20)이 처져 있거나 토출면(20)에 의해 내용물(P)이 유출될 것처럼 보이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쿠션부재(30)가 있는 경우 대비 외관 만족도가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쿠션부재(30)를 마련함에 따라 미감 향상 효과도 확보할 수 있다.
쿠션부재
두께
내용물 점도
5000 10000
없음 3 3
2T 5 4
4T 4.5 5
위 표 5는 본 실시예에 대한 전체 만족도로,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로 평가하여 평균값을 기재한 것이다.
외관 만족도와는 달리 전체 만족도의 경우, 내용물(P)의 점도가 5,000cPs이고 쿠션부재(30)의 두께가 2mm일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점도 10,000cPs의 경우 두께 4mm일 때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즉 본 실시예는, 내용물(P)의 점도에 따라 쿠션부재(30)의 두께를 효과적으로 결정함에 따라, 내용물(P)이 배출되는 양과 퍼프(2)에 전달되는 면적(퍼짐성)이 사용자에게 최적이 되도록 하여 편의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고정부(40)는, 토출면(20) 및 쿠션부재(30)를 용기 본체(10)에 고정한다. 고정부(40)는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를 용기 본체(10)의 일측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측 고정부(41), 하측 고정부(42), 중간측 고정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고정부(41)는, 용기 본체(10)의 일측에서 둘레에 마련되며,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측 고정부(41)는 일정한 폭을 갖는 링 형태일 수 있으며, 상측 고정부(41)의 상면은 쿠션부재(30)의 상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측 고정부(41)는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쿠션부재(30)의 둘레, 토출면(20)의 둘레 및 하측 고정부(42)가 'ㄱ' 형태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측 고정부(41)의 하단은 하측 고정부(42)보다 아래로 돌출되어 용기 본체(10)의 일측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측 고정부(42)는 용기 본체(10)의 일측 둘레에 고정된다. 하측 고정부(42)는 용기 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돌기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고정부(42)는 상측 고정부(41)와 같이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 고정부(42)의 상면에 토출면(20)이 놓일 수 있다. 이때 토출면(20)은 하측 고정부(42)와 상측 고정부(41)(중간측 고정부(43)) 사이에 놓여 용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측 고정부(42)의 내주면은 상측 고정부(41)의 내주면보다 중앙측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하측 고정부(42)의 내주면은 상측 고정부(41)의 내주면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고정부(42)의 내주면은,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의 둘레를 보다 잘 지지할 수 있으므로 토출면(20)의 처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하측 고정부(42)와 상측 고정부(41)는 억지끼움, 돌기결합, 접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하측 고정부(42)는 상측 고정부(41)와의 사이에서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를 고정할 수 있다.
토출면(20)의 둘레 하면은 하측 고정부(42)에 접착이나 융착, 기타 다양한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쿠션부재(30)의 둘레 상면은 상측 고정부(41)에 접합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접합 없이 하측 고정부(42)와 상측 고정부(41) 사이에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가 압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다만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는, 상측 고정부(41)와 하측 고정부(42) 사이에서 간극(31)을 갖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중간측 고정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측 고정부(43)는,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의 사이에 마련되어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 사이에 간극(31)을 형성한다. 중간측 고정부(43)는 하측 고정부(42)와 상측 고정부(41) 사이에서 위치하면서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 사이에 놓이는 링 형태 등일 수 있다.
중간측 고정부(43)는 토출면(20)의 둘레와 쿠션부재(30)의 둘레 사이에 놓여서, 토출면(20)의 둘레와 쿠션부재(30)의 둘레 사이에 간극(31)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퍼프(2) 등에 의해 외부의 가압이 쿠션부재(30)에 작용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압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쿠션부재(30)가 처지면서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토출면(20)의 둘레와 쿠션부재(30)의 둘레 사이에는 중간측 고정부(43)에 의해 간극(31)이 유지되며, 간극(31)은 바깥측에서 중앙측(가압이 작용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질 수 있다.
간극(31)이 유지되면 내용물(P)의 토출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둘레에서 간극(31)을 유지함에 따라, 내용물(P)이 퍼프(2)에 의해 가압된 부분으로 충분히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P)이 퍼프(2)로 전달되는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간극(31)은 쿠션부재(30)의 두께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간극(31)은 중간측 고정부(43)의 높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중간측 고정부(43)는 쿠션부재(30)의 두께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40)는 외부의 가압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면서(간극(31)이 없어지도록 하면서) 토출면(20)의 둘레와 쿠션부재(30)의 둘레 사이에는 간극(31)이 유지되도록,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40)는, 간극(31)을 이용하여 내용물(P)이 토출되는 범위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쿠션부재(30)의 두께가 내용물(P)의 점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간극(31) 역시 내용물(P)의 점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측 고정부(43)를 생략할 수 있으며, 간극(31)이 생략될 수 있고, 또는 간극(31)을 형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간극(31)은, 토출면(20)이 하측 고정부(42)에 접합되고, 쿠션부재(30)가 접합된 상측 고정부(41)가 용기 본체(10)에 고정될 때, 쿠션부재(30)가 토출면(20)에 닿지 않는 높이에서 상측 고정부(41)가 용기 본체(10)에 결합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 본체(10)에 수용된 저점도 액상의 내용물(P) 위에 토출면(20)을 두고, 토출면(20)의 외측에 스펀지 등과 같은 쿠션부재(30)를 마련함에 따라, 내용물(P)의 토출이 과도하지 않게 하면서 미관을 향상시켜 소비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P)과 토출면(20) 사이에 실링면(도시하지 않음)을 마련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면은, 토출면(20)과 내용물(P) 사이에서 마련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토출면(20)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면은 토출면(20)에 퍼프(2)가 주로 눌리는 중앙 부분에서 토출면(20)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토출면(20)과 실링면은 고정부(40)에 의하여 용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실링면은 토출면(20)보다 상대적으로 덜 인장된 상태 또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부(40)에 의해 용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고,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토출면(20)은, 처지지 않은 상태(강제로 인장된 상태일 수 있음)로 고정부(40)에 의하여 용기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는바, 실링면과 토출면(20)은, 적어도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토출면(20)과 실링면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내용물(P)이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또는 해당 공간에는 내용물(P)을 임시로 함침하는 함침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함침재는 다공성 스펀지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함침재는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 사이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토출면(20)과 실링면 사이에는 이격유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격유지부재는 토출면(20)과 실링면 사이의 간격을 벌리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실링면이 토출면(2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되어 내용물(P)의 누액 방지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함침재 역시 이격유지부재의 예시로 볼 수 있으며, 이격유지부재는 스펀지, 플라스틱, 메시,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면은, 토출면(20) 대비 투과성이 상이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실링면은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면(20)보다 투과성이 낮을 수 있다. 토출면(20)과 실링면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실링면은 토출면(20) 대비 짜여진 정도가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면은 토출면(20)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하게, 내용물(P)에 젖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및/또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면은 액상 내용물(P)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면은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10)에 고정되므로, 실링면은 내용물(P)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실링면이 내용물(P)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실링면은 내용물(P)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가, 토출면(20)에 의해 눌리면 눌린 부분이 움푹 들어가면서 내용물(P)과 접촉할 수 있다.
토출면(20)과 실링면 중 적어도 토출면(2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면(20)과 실링면은 두께, 탄력감, 투과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면은 토출면(20)의 처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퍼프(2)로 토출면(20)을 누르면, 퍼프(2)의 가압에 의해서 실링면과 토출면(20)의 이격된 부분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후 퍼프(2)의 가압이 해제되면, 실링면에서 토출면(20)과 이격되는 부분은 다시 이격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실링면은, 사용자에 의해 내용물(P)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을 때 토출면(2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20) 대비 투과성이 상이한 실링면을 토출면(20)에서 내용물(P)에 인접한 부분에 마련하고, 실링면을 토출면(20)과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내용물(P)의 표면장력을 이용하는 실링면을 통해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용물(P)은, 내용물(P) 자체로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함침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용기 본체(1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함침재 위에 토출면(20)과 쿠션부재(30)를 마련하는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2: 화장도구, 퍼프
P: 내용물 10: 용기 본체
11: 내뚜껑 12: 외용기
13: 외뚜껑 20: 토출면
30: 쿠션부재 31: 간극
40: 고정부 41: 상측 고정부
42: 하측 고정부 43: 중간측 고정부

Claims (15)

  1. 외부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직물 구조의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에서 상기 내용물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토출면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으며,
    상기 내용물의 3,000 내지 7,000cPs 점도에서 2 내지 7mm의 두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사용자의 퍼프가 접근하도록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오픈 셀 또는 망상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NR 및 B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다공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토출면과 간극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내용물이 5,000 내지 20,000cPs의 점도를 가질 때 1 내지 4mm의 두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 및
    상기 토출면 및 상기 쿠션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측 고정부; 및
    상기 상측 고정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토출면 및 상기 쿠션부재를 고정하는 하측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중간측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외부의 가압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토출면의 둘레와 상기 쿠션부재의 둘레 사이에는 간극이 유지되도록 상기 토출면과 상기 쿠션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13033A 2016-09-02 2016-09-02 화장품 KR102552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33A KR102552600B1 (ko) 2016-09-02 2016-09-02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33A KR102552600B1 (ko) 2016-09-02 2016-09-02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84A KR20180026084A (ko) 2018-03-12
KR102552600B1 true KR102552600B1 (ko) 2023-07-07

Family

ID=6172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33A KR102552600B1 (ko) 2016-09-02 2016-09-02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6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221A (ko) 2021-06-28 2023-01-04 박소연 강아지 쿠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110Y1 (ko) * 2014-01-03 2015-08-31 박윤성 화장품 용기
KR101556904B1 (ko) 2015-06-19 2015-10-02 뉴프론텍(주)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KR101581847B1 (ko) *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6194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110Y1 (ko) * 2014-01-03 2015-08-31 박윤성 화장품 용기
KR101556904B1 (ko) 2015-06-19 2015-10-02 뉴프론텍(주) 리필용기를 갖는 화장품용 컴팩트
KR101581847B1 (ko) *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084A (ko)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821B1 (ko) 화장품
KR20180028213A (ko) 화장품
KR20200014401A (ko) 화장품
KR102552600B1 (ko) 화장품
KR20200033182A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누액방지장치
CN207721397U (zh) 化妆品容器
KR20170125598A (ko) 화장품
KR102409177B1 (ko) 화장품
KR20160031701A (ko) 스크린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170050871A (ko) 화장품 리필용기용 배출커버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60130637A (ko) 우레탄폼 함침재 대신 신축원단을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100701626B1 (ko) 화장용 도구
KR20170047680A (ko) 흡착용 벨벳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N111713840A (zh) 具有化妆料储存空间的化妆料载体
KR20180045872A (ko) 화장품 용기
MXPA00010165A (en) Device for storing and applying a liqui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