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362B1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362B1
KR101987362B1 KR1020170128124A KR20170128124A KR101987362B1 KR 101987362 B1 KR101987362 B1 KR 101987362B1 KR 1020170128124 A KR1020170128124 A KR 1020170128124A KR 20170128124 A KR20170128124 A KR 20170128124A KR 101987362 B1 KR101987362 B1 KR 101987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gnation
cover
present
cosmetic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084A (ko
Inventor
김하영
김경원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12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362B1/ko
Priority to PCT/KR2018/005392 priority patent/WO2019017577A1/ko
Publication of KR20190038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관통 정도가 달라지는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선 블록(sun block) 등으로서 파우더 형태를 갖는 고형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로 화장품을 문질러서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퍼프로 화장품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퍼프에 묻어서 화장품이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형으로 제공되었던 화장품을 액상으로 변경하고, 스펀지 등에 화장품을 함침시켜서, 사용자가 퍼프로 스펀지를 누르게 되면 스펀지에 스며들어 있던 액체 화장품이 배출됨에 따라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 경우 고형의 화장품을 퍼프로 문지르는 것 대비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퍼프를 통해 화장료를 흡인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양의 화장료가 퍼프를 통해 흡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재의 상부에 복층 구조의 메쉬망을 구성하는 방법 등을 발명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메쉬망을 고정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별도의 링을 사용하여 결합시켜야 하고, 토출구의 테두리에 메쉬망이 고정됨으로써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를 끝까지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11512호 (2016.02.0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관통 정도가 달라지는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천공되어 관통 정도가 높아지는 상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섬유 조직이 엉켜 관통 정도가 낮아지는 상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메쉬망 또는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함침재의 표면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커버부의 패턴과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커버부에서 패턴 외의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의 관통 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다공질 발포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오픈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오픈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함침재로부터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량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함침재에서의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면의 커버부에 형성된 패턴부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된 패턴부의 섬유 확대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또다른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가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기존 함침재 대비 화장료 잔량의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a) 및 실험 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사진(b)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기존 함침재 대비 5회 평균 토출량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평면도이며, 도 2 및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상에 형성된 패턴부의 예이고, 도 4는 레이저 가공된 패턴부의 섬유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함침재(10), 커버부(20), 용기부(30)를 포함한다.
함침재(10)는, 내용물(P)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한다. 이때 내용물(P)은 액상일 수 있지만 함침이 가능하다면 제형을 한정하지 않으며, 점도나 성분, 용도나 기능 또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함침재(10)는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질 발포체일 수 있으며, 일례로 발포 우레탄 폼일 수 있다. 물론 함침재(10)는 내용물(P)의 함침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재질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함침재(10)의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용물(P)을 함침한 함침재(10)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퍼프, 브러시 등의 화장도구로 누르게 되면, 함침재(10)를 이루는 다수의 셀이 압축되면서 셀 내부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P)은 함침재(10)의 상면을 통해 배출되어 화장도구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용물(P)이 묻은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함침재(10)는 표면을 덮는 커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0)는 함침재(10)의 표면을 덮는 상부커버(201) 및 함침재(10)의 이면을 덮는 하부커버(202)를 가질 수 있으나, 상부커버(201) 또는 하부커버(202)만을 가질 수도 있다(도 2의 (a) 참조).
커버부(20)는 함침재(10)의 표면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도 2의 (b) 참조). 상기 라미네이팅은 접착료 등을 이용한 접착, 열융착, 고주파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20)는 메쉬망 또는 섬유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메쉬망 또는 섬유는 천연소재 원단, 합성소재 원단 또는 천연소재 및 합성소재가 혼합된 원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20)는 표면, 이면 또는 이들 양면에 형성된 패턴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21)는 레이저, 타공, 열가공 등의 가공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레이저 가공에 의하는 경우 정교한 문양 가공을 할 수 있다. 패턴부(21)는 지그재그, 격자, 리본, 장미 형상 등 그 형상에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패턴부(21)는 상기 가공 방법에 의하여 화장료 등의 물질의 관통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패턴부(21)는 커버부(20)의 원단이 레이저 또는 타공을 이용하여 천공되는 경우, 관통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도 4 참조). 반면에, 커버부(20)의 원단이 레이저 또는 열가공을 이용하여 섬유 조직이 엉키는 경우, 관통 정도가 낮아질 수 있다. 패턴부(21)는 커버부의 원단의 재질 및/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함침재(10)는 커버부(20) 상의 패턴부(21)에 대응되는 부분과, 커버부(20)에서 패턴 외의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의 관통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커버부(20) 상에 패턴이 마련되도록 가공되더라도, 함침재(10)의 표면 또는 이면에는 가공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함침재(10)는 오픈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커버부(20)는 오픈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함침재(10)에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함침재(10)를 감싸는 커버부(20)의 둘레 또는 함침재(10) 및 커버부(20)의 둘레가 상하로 밀착되어 중앙부분 대비 주변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은, 예컨대, 열압착(예컨대, 톰슨 프레스 열 접합), 고주파,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재봉, 타공 등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함침재(1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됨으로써 함침재(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면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함침재(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함침재(10)의 부분별로 밀도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재(10)의 둘레는 밀착이 일어남에 따라 당해 부분의 함침재가 압축되어 비압축된 부분에 비해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함침재(10)의 중앙부분 대비 주변(둘레) 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지게 된다.
커버부(20)는 함침재(1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함침재(10)를 둘러쌀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커버(201)의 둘레와 상기 하부커버(202)의 둘레가 밀착되어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밀착은 상부커버(201)의 둘레와 하부커버(202)의 둘레 사이에서만 이뤄지거나, 상부커버(201)의 둘레와 하부커버(202)의 둘레 및 함침재(10)의 둘레에서 한꺼번에 이뤄질 수 있다(도 5 참조). 함침재(10)의 둘레가 밀착되는 경우, 커버부(20)는 함침재(10)와의 별도의 접착 없이 함침재(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커버(201) 및 하부커버(202)의 둘레가 밀착되는 경우, 함침재의 변형 없이 상부커버(201) 및 하부커버(201)가 붙을 수 있으나, 밀착되면서 상기 함침재(10)의 둘레가 압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함침재(10)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함침재(10)가 될 수 있다.
용기부(30)는, 일측이 개방되고, 함침재(10)를 수용한다. 용기부(30)는 수용부(31), 덮개부(32), 하우징부(33), 뚜껑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31)는, 함침재(1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함침재(10)를 수용한다. 노출되는 함침재(10)의 상면에는 화장도구 등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함침재(10)에 함침된 내용물(P)은 함침재(10)의 상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수용부(31)는 함침재(10)의 둘레 및 하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원통 형태이거나 접시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용부(31)는, 함침재(10)의 상면 둘레를 커버하는 커버링(311)을 갖는다.
커버링(311)은 단면이 ㄱ자 형태를 갖고, 함침재(10)의 상면 둘레를 커버하여 함침재(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함침재(10)가 수용부(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1)의 내벽과 커버링(311)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격 공간에는 후술할 덮개부(32)의 환테(322)가 맞물리면서 수용부(31)의 내부가 덮개부(32)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덮개부(32)는, 수용부(31)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함침재(1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 덮개부(32)는 수용부(31)에 힌지(221)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힌지(221)에 의해 덮개부(32)가 회전함에 따라, 덮개부(32)는 수용부(31)의 상부를 개방시켜 함침재(10)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수용부(31)의 상부를 덮어 함침재(10)가 수용된 수용부(31)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덮개부(32)의 하면에는 환테(32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환테(322)는 앞서 설명한 수용부(31)의 내벽과 커버링(311)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32)가 수용부(31)의 상부를 덮으면, 환테(322)는 수용부(31)의 내벽 및/또는 커버링(31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환테(3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환테(322)가 둘 이상일 경우 환테(322)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며, 외측 환테(322)는 수용부(31)의 내벽에 밀착되고 내측 환테(322)는 커버링(31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하우징부(33)는, 수용부(31)가 결합된다. 하우징부(33)의 내부에는 수용부(31)가 끼워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33)의 하면 중 수용부(31)의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은 관통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부(33)의 하면에서 관통된 부분을 통해 손가락 등으로 수용부(31)를 밀어 올려서, 수용부(31)와 덮개부(32) 등이 하우징부(33)로부터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부(33)에는 버튼(331)이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331)은 걸쇠(3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버튼(331)을 누르면 버튼(331)과 함께 걸쇠(332)가 함침재(10)의 중심을 향해 후퇴하게 되며, 따라서 뚜껑부(34)가 걸쇠(332)의 걸림으로부터 해제되어 뚜껑부(34)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버튼(331)의 눌림이 없는 경우 버튼(331)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 또는 버튼(331)이 자체적으로 갖는 탄성력을 통해 걸쇠(332)가 뚜껑부(34)에 걸린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뚜껑부(34)가 닫힌 상태로 놓여 있을 수 있다.
뚜껑부(34)는, 하우징부(33)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뚜껑부(34)는 하우징부(33)에 힌지(341)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버튼(331)에 의해서 개방이 잠금 또는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34)의 내면에는 화장을 보조하기 위한 거울(342)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침재(10)에 패턴부(21)가 형성된 커버부(20)를 접착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함침재의 표면 가공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물(P)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한편 화장품에 다양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침재(10)와 패턴부(21)가 형성된 커버부(20)의 둘레가 밀착되면서 함침재의 둘레가 압축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함침재의 표면 가공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물(P)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한편 화장품에 다양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함침재(10)와 커버부(20)를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 중 원단의 들뜸, 늘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 중 패턴부(21)의 위치가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함침재(10)와 커버부(20)를 동시에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앞선 실시예 대비 함침재(10)가 달라질 수 있고, 커버부(2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한 용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재(10)는 둘레가 상하로 압착되어 중앙부분 대비 주변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착은, 예컨대, 열압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톰슨 프레스 열 접합에 의할 수 있다. 함침재(10)의 외경은 수용부(31)의 내경의 0.7 내지 1.4배, 예컨대 1.1 내지 1.2배일 수 있다.
함침재(10)의 둘레를 따라 압착됨으로써 함침재(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면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함침재(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함침재(10)의 부분별로 밀도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재(10)의 둘레는 열압착이 일어남에 따라 당해 부분의 함침재가 압축되어 비압축된 부분에 비해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함침재(10)의 중앙부분 대비 주변(둘레) 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지게 된다. 함침재(10) 중 밀도가 높아진 부분은 오픈셀의 부피가 줄어듦으로써, 밀도가 낮은 중앙 부분 대비 함침된 내용물(P)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수용부(31)의 내경은 함침재(1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함침재(10)는 자신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수용부(31)에 삽입되면서, 둘레가 수용부(31)의 내벽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7 참조). 이러한 효과를 위한 함침재(10)의 외경은, 예컨대, 수용부(31)의 내경 대비 1.1 내지 1.3배일 수 있다. 또한, 커버링(311)이 형성된 높이가 함침재(1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함침재의 상면 둘레를 하방으로 압축해줌으로써 함침재(10) 중심부의 볼록한 형태가 보다 도드라져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침재(10)의 둘레가 압착되고 함침재(10) 외경보다 작은 수용부(31)의 내경에 함침재(10)를 삽입시켜 압축됨으로써, 함침재(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것에 기인하여, 함침재의 쿠션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의 예이며, 도 10은 상기 절개부를 갖는 함침재가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앞선 제2 실시예 대비 함침재(10)가 절개부(22)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함침재(10)는 절개부(22)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22)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일례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221)을 가질 수 있다.
다수 개의 절개선(221)은 함침재(10)의 상면에서 패턴 또는 문양 형태, 예컨대 격자, 곡선, 물결, 벌집, 다이아몬드, 장미 등 꽃 문양, 문자 등 필요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함침재(10)가 둘레가 상하로 압착되어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면서 상기 절개선이 벌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9 참조). 다수 개의 절개선(221)은 상면 중심에서 반경 대비 40% 이상 멀어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절개선(221)은 함침재(10)의 높이 대비 0.5배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함침재(10)를 관통하도록 함침재(10)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2)는 함침재(10)의 둘레가 압착되거나 또는 함침재(10)가 수용부(31)에 수용됨에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도 10 참조). 따라서 벌어진 절개부(22)에 의해 함침재(10) 하단의 내용물의 토출을 용이하게 하고 절개부(22) 안쪽까지 퍼프를 직접 닿게할 수 있어, 함침재(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내용물(P)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i) 함침재(10)의 상면에 칼, 레이저, 열선 등을 통해 절개선(221)을 형성한 후, 함침재의 둘레를 열압착시키거나, (ii) 톰슨 프레스 열접합에 의해 함침재(10) 상면의 절개선 및 함침재 둘레의 열압착을 일시에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ii)에 의하는 경우,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침재(10)의 일면 이상에 절개부(22)가 형성되고, 둘레가 압착되며, 함침재(10) 외경보다 작은 수용부(31)의 내경에 함침재(10)를 삽입시켜 압축됨으로써, 함침재(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것에 기인하여, 수용부(31)의 바닥에 남은 내용물(P)을 토출되기 쉽게 하며, 함침재의 쿠션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실험예 1. 절개부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잔량 감소 효과 확인
함침재의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준비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무늬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절개선을 내지 않은 채(대조군)로, 각각 15.0g의 액상의 파운데이션을 함침시켰다. 동종의 퍼프를 이용하여 동일한 힘으로 함침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내용물 토출 횟수에 따른 내용물 잔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를 포함한 함침재(제3 실시예)에서, 토출 중도의 잔량은 대조군에 비해 약 30% 감소하였으며, 최종 잔량은 1.97g으로, 2.58g인 대조군에 비해 약 23%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참조). 보통 사용자의 경우, 함침재의 하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함침재를 꺼내어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함침재를 뒤집는 행위가 없이도, 함침재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절개부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토출량 확인
함침재의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준비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무늬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절개선을 내지 않은 채(대조군)로, 각각 15.0g의 액상의 파운데이션을 함침시켰다. 동종의 퍼프를 이용하여 동일한 힘으로 함침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내용물 토출 횟수에 따른 토출량의 5회 평균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를 포함한 함침재(제3 실시예)에서, 초반(1~5회) 토출량의 평균은 0.88g으로 대조군(0.54g)보다 약 63% 증가한 토출량을 나타내었으며, 후반(95~100회) 토출량 또한 (제3 실시예 0.02g; 대조군: 0.005g) 300%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토출량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10: 함침재
20: 커버부 201: 상부커버
202: 하부커버 21: 패턴부
22: 절개부 221: 절개선
30: 용기부 31: 수용부
311: 커버링 32: 덮개부
321: 힌지 322: 환테
33: 하우징부 331: 버튼
332: 걸쇠 34: 뚜껑부
341: 힌지 342: 거울
P: 내용물

Claims (8)

  1.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상기 내용물의 관통 정도가 달라지되, 가공에 의해 천공되어 관통 정도가 높아지는 패턴을 갖고,
    상기 커버부가 상면 전체에서 내용물을 관통시키되, 상기 상면에 가공에 의한 가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상면의 다른 부분 대비 관통 정도가 높아지며,
    상기 함침재는 표면 전체에서 관통 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메쉬망 또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함침재의 표면에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커버부의 패턴과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커버부에서 패턴 외의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의 관통 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다공질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삭제
KR1020170128124A 2017-07-21 2017-09-29 화장품 KR10198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24A KR101987362B1 (ko) 2017-09-29 2017-09-29 화장품
PCT/KR2018/005392 WO2019017577A1 (ko) 2017-07-21 2018-05-10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124A KR101987362B1 (ko) 2017-09-29 2017-09-29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084A KR20190038084A (ko) 2019-04-08
KR101987362B1 true KR101987362B1 (ko) 2019-06-10

Family

ID=6616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124A KR101987362B1 (ko) 2017-07-21 2017-09-29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3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8Y1 (ko) 2005-03-21 2005-06-0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581847B1 (ko)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1512A (ko)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782686B1 (ko) * 2015-03-19 2017-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20160143279A (ko) * 2015-06-05 2016-12-14 황상선 신축원단과 발포우레탄폼을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KR101686354B1 (ko) * 2015-06-12 2016-12-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736372B1 (ko) * 2015-10-20 2017-05-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106159A (ko) * 2016-03-10 2017-09-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8Y1 (ko) 2005-03-21 2005-06-0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64761Y1 (ko)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581847B1 (ko)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084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9109B1 (ko) 화장품
JP6883520B2 (ja) 表面を溶かして凹凸を形成した含浸部材を有する化粧品
US9095198B2 (en) Loose powder compact with compressible platform
EP3381436B1 (en) Cosmetics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recessed pattern formed on surface thereof by laser processing
US20010017141A1 (en) Product applicator and packaging unit comprising such applicator
CN204861720U (zh) 化妆品容器
KR101276325B1 (ko) 화장기구
WO2018074050A1 (en) Packaging and dispensing assembly for a cosmetic product
KR20190038079A (ko) 화장품
KR20160061079A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및 마스크 팩 포장 방법
KR101936843B1 (ko) 화장품
KR101937740B1 (ko) 화장품 용기
KR101987362B1 (ko) 화장품
KR101987350B1 (ko) 화장품
KR20170125598A (ko) 화장품
KR200491412Y1 (ko) 화장품
KR200487907Y1 (ko) 화장품
KR102605666B1 (ko) 마스크팩 세트
KR102635603B1 (ko) 화장품
CN210446040U (zh) 按钮型化妆品容器
KR20180089941A (ko) 자석이 포함된 화장용 퍼프
WO2019066181A1 (ko) 화장품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49B1 (ko)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KR20180036064A (ko)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