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17577A1 -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17577A1
WO2019017577A1 PCT/KR2018/005392 KR2018005392W WO2019017577A1 WO 2019017577 A1 WO2019017577 A1 WO 2019017577A1 KR 2018005392 W KR2018005392 W KR 2018005392W WO 2019017577 A1 WO2019017577 A1 WO 201901757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pregnation
pattern
contents
impregnate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3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미
강성수
김경원
한종섭
김하영
김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928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1028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281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736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2810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3684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WO201901757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175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product containing an impregnation agent that facilitates adjustment of a discharge amount and minimizes the remaining amount of a cosmetic product.
  • Solid cosmetics having a powder form as a foundation, a sun block, etc.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are used for effects such as protecting skin, lustering and improving wrinkles. At this time, the user can apply the cosmetic to the puff and apply it to the skin.
  • a puff In the case of a puff, it can be sold in a state of being housed in a cosmetic container.
  • the puff and the like may be housed inside a lid of the cosmetic container.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cosmetic product, the user may open the lid to pull out the puff, and bring the puff into contact with the cosmetic while holding the elastic cord or the like provided on the puff.
  • the cosmetic may be wasted on the puff due to the pressure of the user pressing the cosmetic with the puff.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product which facilitates adjustment of a discharge amount and minimizes the remaining amount of cosmetic product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utting pattern is formed on the impregnation material so as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at the central portion while preventing the content exhaustio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to prevent leakage of contents It has its purpose.
  • the cosmetic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regnation material impregnating the contents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wherein the cover portion has a pattern in which penetration degree varies depending on processing.
  • the cover portion may have the above-mentioned pattern in which the degree of penetration is increased by processing.
  • the cover portion may have the above-described pattern in which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fiber structure is reduced due to processing.
  • th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mesh net or a fiber.
  • the cover portion may be laminated to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 the impregnation member may have the same degree of penetration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cove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ther than the pattern.
  • the impregnation material may be a porous foam.
  • the impregnation member has an open cell structure
  • the cover un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open cell is not formed.
  • the cosme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regnation material impregnating the contents and discharging the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the impregnation material having an incline downward on the upper surface,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ion member is pressed or the impregnation member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nd the impregnated member is shaped to be opened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upper end.
  • the incisional reduction may be a form extending downward along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 the incisional reduc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in the form of a pattern or pattern.
  • the incisional reduction may be formed to a portion of 40% or more of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 the incisional reduction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impregnation material.
  • the impregnation material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periphery is pressed upward and downward, and the upper surface is convex upward, and the incision is opened.
  • the impregnation material can be thermally pressed up and down around the periphery.
  • the impregnation material can be Thompson press heat-bonded around the periphery.
  • the impregnation material may be a porous foam.
  • the cosme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commodating portion that is open at one side of the cosmetic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ng member, and the impregnating member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 the impregnation member may have an outer diameter of 1.1 to 1.3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 the impregna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perimeter thereof is cover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by covering
  • the upper surface may be convex upward and the incision may be formed.
  • the cosmet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control of the amount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ed from the impregnated material and minimiz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smetic material in the impregnated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ischarge efficiency by suppressing the exhaustion of contents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pregnated material when the cosmetic is used, while facilitating the discharge at the central portion.
  • the same appearance as the existing impregnated material can be maintained and the contents can be safely stored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cutting line is formed only in the area inside the edg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Further, when the cosmetic is used, the cut portion is enlarged by pressing with the puff, and the surface area is widened, so that the discharge flow of the contents can be smoothly performed. In this way, the sponge condition at the time of use and at the time of non-use can be adjusted to give the best possible holding power and the best feeling.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cosmetics using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various viscosities and compositions, which is advantageous for impregnation with gel-like contents because leakage of the cosmetic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wardly through the cutting line when the cosmetic is not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utting process is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because the cutting line is formed by shearing.
  • FIG. 1 is a plan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n example of a pattern portion formed on a cover portion of one surf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iber enlarged view of the laser processed pattern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utou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regnating memb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 FIG. 11 is a graph (a) show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smetic relative to the existing impregnation material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hotograph (b)
  • FIG. 12 is a graph showing a change amount of the 5-time average discharge amount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ersus the existing impregnation material.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ut-type impregnation member provided in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lan view of Fig. 13. Fig.
  • Figs. 15 to 17 are plan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cutting line pattern in Fig.
  • Fig. 18 is a sectional view of Fig. 13. Fig.
  • Fig. 19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ferable distribution region of the cutting line located at the farthest point from the center in Fig. 13; Fig.
  •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 FIG. 1 is a plan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5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ample of a pattern portion formed on a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fiber of a laser processed pattern portion.
  • a cosmetic product 11 includes an impregnation material 110, a cover part 120, and a container part 130.
  • the impregnating member (110) impregnates the contents, and discharges the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 the contents may be liquid, but the formulations are not limited provided that impregnation is possible, and the viscosity, components, uses and functions may not be limited.
  •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may be a porous foam such as a sponge or the like, for example, a foamed urethane foam.
  • any material can be used as long as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can impregnate the contents, so that the material and the lik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mpregnated with the contents When a user presses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mpregnated with the contents with a makeup tool such as a finger, a puff, or a brush, the plurality of cells constituting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are compressed, And can be delivered to the makeup tool. Accordingly, the user can perform makeup using the makeup tool with the contents.
  • a makeup tool such as a finger, a puff, or a brush
  •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may include a cover part 120 covering the surface.
  • the cover 120 may have an upper cover 1201 covering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and a lower cover 1202 covering the backsid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 the upper cover 1201 or the lower cover 1202 See Fig. 2 (a)).
  • the cover portion 120 may be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see FIG. 2 (b)).
  • the laminating can be performed through adhesion using a bonding agent or the like, heat fusion, high frequency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ver 120 may be formed of a mesh net or a fabric, and the mesh net or the fiber may be a fabric made of a natural material, a synthetic material, or a mixture of natural and synthetic material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ver part 120 may include a pattern part 121 formed on the front, back, or both sides thereof.
  • the pattern part 121 may be formed by a processing method such as laser, perforation, or thermal proces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y laser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ophisticated pattern processing.
  • the pattern portion 121 may be formed without limitation to a shape such as a zigzag, a lattice, a ribbon, a rose, or the like (see FIG. 3).
  • the degree of penetration of substances such as cosmetics may be varied in the pattern unit 121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method.
  •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pattern portion 121 can be increased when the cover 120 is punched using laser or perforation (see FIG. 4).
  • the fabric of the cover part 120 is entangled with the laser or thermal processing, the degree of penetration may be lowered.
  • the pattern part 121 can give various appearance depending on the material and / or shape of the cloth of the cover part.
  • the impregnation member 1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portion 121 on the cover portion 120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other than the pattern on the cover portion 120. This means that even if the cover 120 is processed to have a pattern, the surface or back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may not be affected by the processing.
  • the impregnation member 110 has an open cell structure, and the cover member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open cell is not formed. Accordingly,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smetic material impregnated into the impregnation member 110 can be adjusted.
  • the perimeter of the cover portion 120 surrounding the impregnation member 110 or the perime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and the cover portion 120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ensity of the peripheral por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 the above adhesion can be performed by, for example, thermocompression bonding (for example, Thompson press thermal bonding), high frequency bonding, adhesion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sewing, punching,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is convex upward by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impregnation member 110 so that the impregnation member 110 having a convex central portion on both sides can be formed,
  • the densit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may be different. Specifically, as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is closely adhered to the periphery, the impregnation material of the part is compressed and the density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uncompressed portion. That is, the density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 the cover 120 may be closely attach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to surround the impregnation member 110 and more specifically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cover 1201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cover 120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rround the impregnated material.
  • the close contact may be made only around the periphery of the upper cover 1201 a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cover 1202 o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upper cover 1201 and the periphery of the lower cover 1202 and a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See FIG. 5).
  • the cover 120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without adhering to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when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is closely adhered.
  •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may be a convex impregnation material 110.
  • FIG. 5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s 1201 and 1202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the impregnation material.
  • FIG. 5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vers 1201 and 1202 ar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 the container portion 130 is opened at one side and accommodates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 the container portion 130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31, a lid portion 132, a housing portion 133, and a lid portion 134.
  • the receiving portion 131 receives the impregnating member 110 such that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is exposed.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to be exposed by a makeup tool or the like, and the contents impregnated into the impregnating member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 the receiving portion 131 may be formed to cover the periphery and the bottom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 dish shap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131 has a covering 1311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 the covering 1311 has a cross-sectional shape and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to prevent the impregnating member 110 from shaking and to prevent the impregnating member 11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ceiving unit 131 .
  •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1 and the cover ring 1311. The inner wall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1 is engaged with the cover 1313 of the lid 132, And can be efficiently sealed by the sealing member 132.
  • the lid part 132 covers the open top of the receiving part 131 to isolate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from the outside.
  • the lid part 13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131 by a hinge 1221. As the lid part 132 rotates by the hinge 1221, The top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of the containing part 131 containing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may be closed by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ing part 131 .
  • the bending part 132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id part 132 and the bending part 132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art 131 and the cover ring 1311 Lt; / RTI > Therefore, when the lid part 132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31, the phantom 1322 can close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art 131 and /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1311 to achieve sealing. At this time, at least one bending part 1322 may be provided. When the bending part 1322 is two or more pieces, the bending part 1322 is formed in a concentric shape. The outer bending part 1322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part 131, The shade 132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ing 1311. [
  • the receiving portion 131 is engaged.
  • the receiving portion 131 can be fitted into the housing portion 133.
  •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3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31 may be formed as a through hole.
  • the user may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33
  • the receiving portion 131 and the lid portion 132 can be replaced from the housing portion 133 by pushing up the receiving portion 131 with a finger or the like.
  • the housing part 133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1331 and the button 133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atch 1332. [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1331 is pressed, the latch 1332 is retra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together with the button 1331, so that the lid part 134 is released from the latching of the latch 1332, 134 may be opened. Conversely, when the button 1331 is not depressed, the button 1331 is held in the state where the latch 1332 is caught by the lid portion 13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or the button 1331 Accordingly, the lid portion 134 may be placed in a closed state.
  • the lid portion 134 can open and clos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33.
  • the lid part 134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part 133 by a hinge 1341 and the opening can be locked or allowed by the button 1331 described above.
  • a mirror 1342 for assisting makeup may be built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part 134.
  • the cover portion 120 formed with the pattern portion 121 by adhering the cover portion 120 formed with the pattern portion 121 to the impregnation member 110, the surface processing effect of the impregnated member can be more easily achieved, On the other hand, it can provide various appearance to cosmetics.
  •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is closely adhered to the periphery of the cover unit 120 formed with the pattern unit 121, the surface processing effect of the impregnation member can be more easily achieved, While providing a variety of cosmetic appearance.
  • the impregnation member 110 and the cover unit 120 are integrally formed to prevent deformation such as lifting and slackening of the fabric during use, prevent the position of the pattern unit 121 from changing during use, The cover 110 and the cover 120 can be easily reversed simultaneously.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smetic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and the cover 120 may be omitted, And may include the same / similar container portion 130 as described.
  •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may be pressed up and down so that the density of peripheral portions is high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 the pressing may be, for example, thermocompression bonding, more specifically, Thomson press thermal bonding.
  •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may be 0.7 to 1.4 times, for example, 1.1 to 1.2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1.
  •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s pressed up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s convex upward and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having a convex central portion on both sides can be formed
  • the densit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may be different. Specifically, as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is thermally compressed, the impregnation material of the portion is compressed and the densit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increases as compared with the uncompressed portion. That is, the density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is high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As the density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ncreases, the volume of the open cell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the impregnated content relative to the lower density central portion.
  •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131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and the impregnating member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1 having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 the upper surface is convex upwardly (see Fig. 7).
  •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for this effect may be, for example, 1.1 to 1.3 times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portion 131.
  • the height formed with the covering 1311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so that the convex shap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is formed to be more visible by compressing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downward .
  • the impregnation member 110 i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1 which is compressed by the circumferen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and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Since the upper surface is convex upward, not only the feeling of cushioning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is improved but also the centralized discharge can be performed to minimize the amount of the cosmetic material remaining in the impregnation material.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ample of a cutout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 the cosmetic 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impregnation member 110 has the cut-out portion 122.
  •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may have an incision 122.
  • the cutout 122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for example, vertically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ide, and may have at least one cutout 1221.
  • the plurality of cut-outs 1221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need, such as patterns or patter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for example, lattices, curves, waves, honeycombs, diamonds,
  • the impregnation member 11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periphery is pressed up and down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convex upward and the incision is opened (see FIG. 9).
  • the plurality of incisions 1221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at is 40% or more of the radius from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 the plurality of cut-outs 1221 may be formed to have a depth of 0.5 times or more the height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or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epth as the height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so as to penetrate the impregnating member 110 .
  • the cutout portion 122 may have a shape that is opened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as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s squeezed or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1 (see FIG.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at the lower end of the impregnated material 110 by the cut-out portion 122 and directly touch the puff to the inside of the cut-out portion 122, It can be easily carried out.
  • the cosmetic 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 a cut-out 12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ember 110 by means of a knife, a laser or a hot wire, Or (ii) thermally com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and thermocompression around the impregnation material by Thompson press thermal bonding. According to the above (ii),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 the incision part 122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the periphery thereof is compressed,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110
  •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left on the bottom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1 are easily discharged and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impregnating member is improved.
  •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ng member 110 is convex, Centralized ejection is enabled to minimize the amount of cosmetic material remaining in the impregnated material.
  • a polyurethane sponge was prepared as a material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a lattice pattern re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rmed on one sponge, and 15.0 g of a liquid found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 / RTI > Using the same kind of puff,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was pressed with the same forc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ents discharge was confirmed.
  • &quot a liquid foundation
  • the impregnation material (Example 3) including the inc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sidual amount of the discharged medium was reduced by about 30%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the final residual amount was 1.97 g, which was about 23% (See FIG. 11).
  • the impregnated material is sometimes taken out to use the remaining contents at the bottom of the impregnated material, but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remaining in the impregnated material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without reversing the impregnated material Respectively.
  • a polyurethane sponge was prepared as a material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a lattice pattern re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rmed on one sponge, and 15.0 g of a liquid found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 / RTI > Using the same kind of puff, the top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was pressed with the same force, and the average amount of the discharge amou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ents discharge was confirmed.
  • &quot a liquid foundation
  • the average of the initial (1-5) discharging amount was 0.88g, which was about 63%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0.54g) (95 to 100 times), and the amount of discharge was also 300% (0.02 g of the third example, 0.005 g of the control group).
  • the discharge amount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including the incis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tter.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itution of an impregnation material provided in a cosmetic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lan view of FIG.
  • the cosmetic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regnation materi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impregnation material ") including at least one cut line 2102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2101 by a predetermined depth, , And a cut-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 &quot impregnation material
  • the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is contained in a case of a predetermined shape to constitute a cosmetic product such as a cushion foundation.
  • the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2101 to which the cosmetic composition is discharged and a cut line 2102 extending to a depth determi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ut type impregnated material 2100, Is formed.
  • the discharging portion 2101 is a portion to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impregnated with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is a portion where a coating device such as a hand or puff is applie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cutting line 2102 is a cutting region formed by a shearing process using a press apparatus on which a tool in the form of a blade is mounted.
  • the cutting line 2102 has a linear cutting pattern with a relatively long cutting length compared to the cutting width with respect to the cross-sectional plane.
  • a cut surface 2103 in which the area is defined by the length and depth of the cut line 2102 is formed inside the cut type impregnated member 2100 by the cut line 2102. As shown in FIG.
  • the cut surfaces 2103 formed by the cutting line 2102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cutting line 2102 is formed in the inner area by a distance determined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cut-type impregnated member 2100. [ That is, the cutting line 2102 is formed so as not to exten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t type impregnation member 2100.
  • a plurality of cutting lines 2102 are formed in the cutting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cutting processing, and the cutting lines 2102 are arranged so as not to cross each other.
  • the cutting line 2102 when the cosmetic is not used, the same appearance as the existing impregnated material can be maintained, the contents can be safely stored, and even when the cosmetic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problem does not occur.
  • the cut portion is spread by pressing using a hand, a puff, or the like, so that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at is, the cutting lines 2102 form independent pockets by pressing with hands, puffs or the like when the cosmetics are used, and the contents enter into the pockets to increase the discharge efficiency.
  • the cutting lines 210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different cutting lines 2102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so as not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 the distance a between the cutting lines 2102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distance a between the cutting lines 2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tting line 2102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 between the adjacent cutting lines 2102 and the interval c and d between the cutting lines 2102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atisfy a range of 1 to 20 mm Do.
  • the intervals a to d between the cutting lines 2102 are less than 1 mm, it is difficult to form a sheath, and when the cutting lines 2102 adjacent to each other are pressed together during use, May occur.
  • the intervals a to d between the cutting lines 2102 exceed 20 mm, the discharge efficiency is remarkably low. More preferably, the intervals a to d between the cutting lines 2102 a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7 mm.
  • the cutting lines 2102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 shapes, and as shown in FIG. 16, (&Apos; + ') shape in which an intersec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 2100.
  •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2102 may be formed in an arcuate shape or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a concentric circular pattern as a whole.
  • the cutting line 2102 may extend from the surface of the discharging portion 2101 to the other surface and penet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cutting line 2102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thickness of the cut-type impregnation member 2100.
  • the cutting line 2102 located at the farthest point from the center of the cut-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among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2102, that is, the farthest cutting line 2102 )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is 10 to 80%.
  • 19 shows the case where the distances from the center of the cut-type impregnated material 2100 to the cutting line 2102 farthest from the center are d1 (10%) and d2 (80%) are collectively shown in one drawing .
  • the ejection effect is maximized So that problems such as leakage do not occur.
  • the cutting line 2102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is located in an area of less than 10% from the center of the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the discharge amount through the cutting line 2102 is small, And if it exceeds 80%, there is a problem that leakage occurs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t-type impregnation member 2100.
  • a poup for application (S & P WORLD, cut to 2 cm x 2 cm) was attached to a press capable of pressing the sample with the same depth, same area, and same force, and a porous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15 g of a W /
  • the impregnated material having a diameter of 5 cm and a height of 1 cm) was pressed with the same force (0.4 kgf / cm 2), the amoun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stuck out from the porous foam was calculated.
  • Each puff for application was replaced for each test.
  • the discharge amount was averaged 20 tim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n 21 times to 30 times.
  • Comparative Example 1 is a case in which a conventional impregnated material having no cut line is used as the porous urethane foam
  • Experimental Examples 1 to 5 in the following table are examples of the cut type Type impregnated member 2100 having been cut so that the distance ratios of the cutting lines 2102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ember 2100 were 10%, 20%, 30%, 50%, and 80%
  • Comparative Example 2 is a case of using a cut-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subjected to shearing so that the distance ratio of the cutting line 2102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is 100%.
  •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cutting lines 2102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in order to obtain the discharge amount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5 satisfies the range of 2 to 25 cm.
  • Comparative Example 3 is a case in which a conventional impregnation material having no cut line is used as the porous urethane foam
  • Experimental Examples 6 to 10 show a case in which a cut 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That i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ut-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ut-type impregnation material 2100) to the cut- 20%, 30%, 50% and 80% with respect to the total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ut-type impregnation member) is used as the cutting depth of the cutting line 2102 extending to the cut-
  • the remaining amount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remaining amount after use until the amount that can be cremated was no longer discharged.
  • the leakag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flow to the lower end and flow out to the lid of the container or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 the gel-like cosmetic composition was impregnated into porous urethane foam (impregnated material having a diameter of 5 cm and a height of 1 cm after impregnation) at different viscosities to confirm the filling effect.
  • the low-viscosity cosmetic having fluidity was measured at 30 RPM for 1 minute using a Brookfield Synchro-Lectric Viscometer (USA) using a spindle # 4.
  • Comparative Example 4 used the conventional impregnation material having no cut line 2102 as the porous urethane foam, and Experimental Examples 11 to 12 were the farthest from the center of the cut-type impregnated material 2100 Shaped impregnated member 2100 having been cut so that the distance ratios of the cutting lines 2102 were 50% and 80%, respectively.
  • the composi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was evaluated by a method of spraying the impregnated material with the impregnant under pressure.
  • the filling speed was normal, and when the injection time was 5 seconds or more, the filling speed was slow (O: : Filling speed is slowed to completion, X: Sponge surface is filled with contents, and product quality is poor).
  • the contents are exhaus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pregnated member 2100 by sheathing, the contents are exhaus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pregnated member It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discharge efficiency can be enhanced by smoothly discharging at the central portion while suppressing the develop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 known technology may be included as a new embodiment.
  • cover part 1201 upper cover
  • housing part 1331 button
  • Cutting-type impregnation member 2101 Cutting-type impregnation member 2101: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관통 정도가 달라지는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선 블록(sun block) 등으로서 파우더 형태를 갖는 고형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로 화장품을 문질러서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퍼프로 화장품을 가압하는 압력에 따라 필요 이상의 화장품이 퍼프에 묻어서 화장품이 낭비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형으로 제공되었던 화장품을 액상으로 변경하고, 스펀지 등에 화장품을 함침시켜서, 사용자가 퍼프로 스펀지를 누르게 되면 스펀지에 스며들어 있던 액체 화장품이 배출됨에 따라 퍼프에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 경우 고형의 화장품을 퍼프로 문지르는 것 대비 편의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퍼프를 통해 화장료를 흡인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양의 화장료가 퍼프를 통해 흡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재의 상부에 복층 구조의 메쉬망을 구성하는 방법 등을 발명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메쉬망을 고정하기 위하여 토출구에 별도의 링을 사용하여 결합시켜야 하고, 토출구의 테두리에 메쉬망이 고정됨으로써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를 끝까지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량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침재의 중앙 부위에서의 내용물 소진 현상을 억제하면서도 중앙 부위의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내용물의 누액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함침재에 절단 패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 화장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관통 정도가 달라지는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천공되어 관통 정도가 높아지는 상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섬유 조직이 엉켜 관통 정도가 낮아지는 상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메쉬망 또는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함침재의 표면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커버부의 패턴과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커버부에서 패턴 외의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의 관통 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다공질 발포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오픈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오픈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를 포함하며, 상기 함침재는, 상면에 하방으로 절개선을 갖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둘레가 압착되거나 또는 상기 함침재가 용기에 수용됨에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상면에 패턴 또는 문양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상면 중심에서 반경 대비 40% 이상의 부분까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둘레가 상하로 압착되어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면서 상기 절개선이 벌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둘레가 상하로 열압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둘레가 톰슨 프레스 열 접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다공질 발포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상기 화장품에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함침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경 대비 1.1 내지 1.3배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둘레가 상기 수용부의 내벽과 커버링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면서 상기 절개선이 벌어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함침재로부터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량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함침재에서의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의 사용 시 함침재의 중앙 부위에서의 내용물 소진 현상을 억제하면서도 중앙 부위에서의 토출을 원활히 하여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함침재의 테두리단 안쪽 영역에만 절단선이 형성된 구조에 의해 화장품의 미사용 시에는 기존의 함침재와 동일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의 사용 시에는 퍼프를 이용한 가압에 의해 절단된 부위가 벌어지면서 표면적이 넓어져서 내용물의 토출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 시와 미사용 시의 스펀지 상태가 조절되어 최상의 담지력과 최상의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의 미사용 시 절단선을 통한 함침재 바깥 방향으로의 누액이 방지되므로 겔상의 내용물 함침에 유리하고, 다양한 점도와 조성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화장품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절단선이 칼집 가공에 의해 형성되므로 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면의 커버부에 형성된 패턴부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된 패턴부의 섬유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또 다른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가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기존 함침재 대비 화장료 잔량의 감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a) 및 실험 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사진(b)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기존 함침재 대비 5회 평균 토출량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 구비되는 절단형 함침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3에서 절단선 패턴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에서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한 절단선의 바람직한 분포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평면도이며, 도 2 및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 상에 형성된 패턴부의 예이고, 도 4는 레이저 가공된 패턴부의 섬유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1)은, 함침재(110), 커버부(120), 용기부(130)를 포함한다.
함침재(110)는,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한다. 이때 내용물은 액상일 수 있지만 함침이 가능하다면 제형을 한정하지 않으며, 점도나 성분, 용도나 기능 또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함침재(110)는 스펀지 등과 같은 다공질 발포체일 수 있으며, 일례로 발포 우레탄 폼일 수 있다. 물론 함침재(110)는 내용물의 함침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재질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함침재(110)의 재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내용물을 함침한 함침재(110)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퍼프, 브러시 등의 화장도구로 누르게 되면, 함침재(110)를 이루는 다수의 셀이 압축되면서 셀 내부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은 함침재(110)의 상면을 통해 배출되어 화장도구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용물이 묻은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함침재(110)는 표면을 덮는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함침재(110)의 표면을 덮는 상부커버(1201) 및 함침재(110)의 이면을 덮는 하부커버(1202)를 가질 수 있으나, 상부커버(1201) 또는 하부커버(1202)만을 가질 수도 있다(도 2의 (a) 참조).
커버부(120)는 함침재(110)의 표면에 라미네이팅될 수 있다(도 2의 (b) 참조). 상기 라미네이팅은 접착료 등을 이용한 접착, 열융착, 고주파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20)는 메쉬망 또는 섬유의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메쉬망 또는 섬유는 천연소재 원단, 합성소재 원단 또는 천연소재 및 합성소재가 혼합된 원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120)는 표면, 이면 또는 이들 양면에 형성된 패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121)는 레이저, 타공, 열가공 등의 가공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레이저 가공에 의하는 경우 정교한 문양 가공을 할 수 있다. 패턴부(121)는 지그재그, 격자, 리본, 장미 형상 등 그 형상에 제한 없이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패턴부(121)는 상기 가공 방법에 의하여 화장료 등의 물질의 관통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패턴부(121)는 커버부(120)의 원단이 레이저 또는 타공을 이용하여 천공되는 경우, 관통 정도가 높아질 수 있다(도 4 참조). 반면에, 커버부(120)의 원단이 레이저 또는 열가공을 이용하여 섬유 조직이 엉키는 경우, 관통 정도가 낮아질 수 있다. 패턴부(121)는 커버부의 원단의 재질 및/또는 형태에 따라 다양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함침재(110)는 커버부(120) 상의 패턴부(121)에 대응되는 부분과, 커버부(120)에서 패턴 외의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의 관통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커버부(120) 상에 패턴이 마련되도록 가공되더라도, 함침재(110)의 표면 또는 이면에는 가공의 영향이 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함침재(110)는 오픈셀 구조를 가지는 한편, 커버부(120)는 오픈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함침재(110)에 함침된 화장료의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함침재(110)를 감싸는 커버부(120)의 둘레 또는 함침재(110) 및 커버부(120)의 둘레가 상하로 밀착되어 중앙부분 대비 주변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은, 예컨대, 열압착(예컨대, 톰슨 프레스 열 접합), 고주파,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재봉, 타공 등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함침재(11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됨으로써 함침재(1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면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함침재(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함침재(110)의 부분별로 밀도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재(110)의 둘레는 밀착이 일어남에 따라 당해 부분의 함침재가 압축되어 비압축된 부분에 비해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함침재(110)의 중앙부분 대비 주변(둘레) 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지게 된다.
커버부(120)는 함침재(110)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함침재(110)를 둘러쌀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커버(1201)의 둘레와 상기 하부커버(1202)의 둘레가 밀착되어 상기 함침재를 둘러싸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밀착은 상부커버(1201)의 둘레와 하부커버(1202)의 둘레 사이에서만 이뤄지거나, 상부커버(1201)의 둘레와 하부커버(1202)의 둘레 및 함침재(110)의 둘레에서 한꺼번에 이뤄질 수 있다(도 5 참조). 함침재(110)의 둘레가 밀착되는 경우, 커버부(120)는 함침재(110)와의 별도의 접착 없이 함침재(1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커버(1201) 및 하부커버(1202)의 둘레가 밀착되는 경우, 함침재의 변형 없이 상부커버(1201) 및 하부커버(1201)가 붙을 수 있으나, 밀착되면서 상기 함침재(110)의 둘레가 압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함침재(110)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함침재(110)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는 커버(1201, 1202)가 함침재와 단면적이 동일한 것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고, 도 5의 b는 커버(1201, 1202)가 함침재의 단면적보다 큰 것을 예로 도시한 것이다.
용기부(130)는, 일측이 개방되고, 함침재(110)를 수용한다. 용기부(130)는 수용부(131), 덮개부(132), 하우징부(133), 뚜껑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31)는, 함침재(110)의 상면이 노출되도록 함침재(110)를 수용한다. 노출되는 함침재(110)의 상면에는 화장도구 등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를 통해 함침재(110)에 함침된 내용물은 함침재(110)의 상면으로 토출될 수 있다.
수용부(131)는 함침재(110)의 둘레 및 하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원통 형태이거나 접시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용부(131)는, 함침재(110)의 상면 둘레를 커버하는 커버링(1311)을 갖는다.
커버링(1311)은 단면이 ㄱ자 형태를 갖고, 함침재(110)의 상면 둘레를 커버하여 함침재(1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함침재(110)가 수용부(1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31)의 내벽과 커버링(1311)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격 공간에는 후술할 덮개부(132)의 환테(1322)가 맞물리면서 수용부(131)의 내부가 덮개부(132)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덮개부(132)는, 수용부(131)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함침재(110)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킨다. 덮개부(132)는 수용부(131)에 힌지(1221)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힌지(1221)에 의해 덮개부(132)가 회전함에 따라, 덮개부(132)는 수용부(131)의 상부를 개방시켜 함침재(110)의 상면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수용부(131)의 상부를 덮어 함침재(110)가 수용된 수용부(131)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덮개부(132)의 하면에는 환테(1322)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환테(1322)는 앞서 설명한 수용부(131)의 내벽과 커버링(1311) 사이의 이격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132)가 수용부(131)의 상부를 덮으면, 환테(1322)는 수용부(131)의 내벽 및/또는 커버링(1311)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환테(13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환테(1322)가 둘 이상일 경우 환테(1322)는 동심원 형태로 마련되며, 외측 환테(1322)는 수용부(131)의 내벽에 밀착되고 내측 환테(1322)는 커버링(131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하우징부(133)는, 수용부(131)가 결합된다. 하우징부(133)의 내부에는 수용부(131)가 끼워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133)의 하면 중 수용부(131)의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은 관통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부(133)의 하면에서 관통된 부분을 통해 손가락 등으로 수용부(131)를 밀어 올려서, 수용부(131)와 덮개부(132) 등이 하우징부(133)로부터 교체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부(133)에는 버튼(1331)이 마련될 수 있으며, 버튼(1331)은 걸쇠(133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버튼(1331)을 누르면 버튼(1331)과 함께 걸쇠(1332)가 함침재(110)의 중심을 향해 후퇴하게 되며, 따라서 뚜껑부(134)가 걸쇠(1332)의 걸림으로부터 해제되어 뚜껑부(134)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버튼(1331)의 눌림이 없는 경우 버튼(1331)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 또는 버튼(1331)이 자체적으로 갖는 탄성력을 통해 걸쇠(1332)가 뚜껑부(134)에 걸린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뚜껑부(134)가 닫힌 상태로 놓여 있을 수 있다.
뚜껑부(134)는, 하우징부(133)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뚜껑부(134)는 하우징부(133)에 힌지(1341)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버튼(1331)에 의해서 개방이 잠금 또는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34)의 내면에는 화장을 보조하기 위한 거울(1342)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침재(110)에 패턴부(121)가 형성된 커버부(120)를 접착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함침재의 표면 가공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한편 화장품에 다양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함침재(110)와 패턴부(121)가 형성된 커버부(120)의 둘레가 밀착되면서 함침재의 둘레가 압축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함침재의 표면 가공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한편 화장품에 다양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함침재(110)와 커버부(120)를 일체로 형성시켜 사용 중 원단의 들뜸, 늘어짐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 중 패턴부(121)의 위치가 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함침재(110)와 커버부(120)를 동시에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1)은, 앞선 실시예 대비 함침재(110)가 달라질 수 있고, 커버부(12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한 용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재(110)는 둘레가 상하로 압착되어 중앙부분 대비 주변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착은, 예컨대, 열압착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톰슨 프레스 열 접합에 의할 수 있다. 함침재(110)의 외경은 수용부(131)의 내경의 0.7 내지 1.4배, 예컨대 1.1 내지 1.2배일 수 있다.
함침재(110)의 둘레를 따라 압착됨으로써 함침재(1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양면의 중앙 부분이 볼록한 형태의 함침재(1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함침재(110)의 부분별로 밀도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재(110)의 둘레는 열압착이 일어남에 따라 당해 부분의 함침재가 압축되어 비압축된 부분에 비해 밀도가 증가하게 된다. 즉, 함침재(110)의 중앙부분 대비 주변(둘레) 부분의 밀도가 높게 이루어지게 된다. 함침재(110) 중 밀도가 높아진 부분은 오픈셀의 부피가 줄어듦으로써, 밀도가 낮은 중앙 부분 대비 함침된 내용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수용부(131)의 내경은 함침재(110)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으며, 함침재(110)는 자신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수용부(131)에 삽입되면서, 둘레가 수용부(131)의 내벽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7 참조). 이러한 효과를 위한 함침재(110)의 외경은, 예컨대, 수용부(131)의 내경 대비 1.1 내지 1.3배일 수 있다. 또한, 커버링(1311)이 형성된 높이가 함침재(110)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함침재의 상면 둘레를 하방으로 압축해줌으로써 함침재(110) 중심부의 볼록한 형태가 보다 도드라져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침재(110)의 둘레가 압착되고 함침재(110) 외경보다 작은 수용부(131)의 내경에 함침재(110)를 삽입시켜 압축됨으로써, 함침재(1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것에 기인하여, 함침재의 쿠션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의 일면에 형성된 절개부의 예이며, 도 10은 상기 절개부를 갖는 함침재가 수용부에 수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1)은, 앞선 제2 실시예 대비 함침재(110)가 절개부(122)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함침재(110)는 절개부(122)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122)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일례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선(1221)을 가질 수 있다.
다수 개의 절개선(1221)은 함침재(110)의 상면에서 패턴 또는 문양 형태, 예컨대 격자, 곡선, 물결, 벌집, 다이아몬드, 장미 등 꽃 문양, 문자 등 필요에 의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함침재(110)가 둘레가 상하로 압착되어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면서 상기 절개선이 벌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9 참조). 다수 개의 절개선(1221)은 상면 중심에서 반경 대비 40% 이상 멀어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절개선(1221)은 함침재(110)의 높이 대비 0.5배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함침재(110)를 관통하도록 함침재(110)의 높이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22)는 함침재(110)의 둘레가 압착되거나 또는 함침재(110)가 수용부(131)에 수용됨에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도 10 참조). 따라서 벌어진 절개부(122)에 의해 함침재(110) 하단의 내용물의 토출을 용이하게 하고 절개부(122) 안쪽까지 퍼프를 직접 닿게할 수 있어, 함침재(1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내용물을 취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1)은, (i) 함침재(110)의 상면에 칼, 레이저, 열선 등을 통해 절개선(1221)을 형성한 후, 함침재의 둘레를 열압착시키거나, (ii) 톰슨 프레스 열접합에 의해 함침재(110) 상면의 절개선 및 함침재 둘레의 열압착을 일시에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ii)에 의하는 경우,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함침재(110)의 일면 이상에 절개부(122)가 형성되고, 둘레가 압착되며, 함침재(110) 외경보다 작은 수용부(131)의 내경에 함침재(110)를 삽입시켜 압축됨으로써, 함침재(110)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루는 것에 기인하여, 수용부(131)의 바닥에 남은 내용물을 토출되기 쉽게 하며, 함침재의 쿠션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중앙 집중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실험예 1. 절개부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잔량 감소 효과 확인
함침재의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준비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무늬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절개선을 내지 않은 채(대조군)로, 각각 15.0g의 액상의 파운데이션을 함침시켰다. 동종의 퍼프를 이용하여 동일한 힘으로 함침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내용물 토출 횟수에 따른 내용물 잔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를 포함한 함침재(제3 실시예)에서, 토출 중도의 잔량은 대조군에 비해 약 30% 감소하였으며, 최종 잔량은 1.97g으로, 2.58g인 대조군에 비해 약 23%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참조). 보통 사용자의 경우, 함침재의 하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함침재를 꺼내어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함침재를 뒤집는 행위가 없이도, 함침재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절개부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토출량 확인
함침재의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스펀지를 준비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무늬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하나의 스펀지에는 절개선을 내지 않은 채(대조군)로, 각각 15.0g의 액상의 파운데이션을 함침시켰다. 동종의 퍼프를 이용하여 동일한 힘으로 함침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내용물 토출 횟수에 따른 토출량의 5회 평균량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를 포함한 함침재(제3 실시예)에서, 초반(1~5회) 토출량의 평균은 0.88g으로 대조군(0.54g)보다 약 63% 증가한 토출량을 나타내었으며, 후반(95~100회) 토출량 또한 (제3 실시예 0.02g; 대조군: 0.005g) 300%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절개부를 포함하는 함침재의 토출량이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에 구비되는 함침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토출부(2101)의 일면으로부터 내부로 정해진 깊이만큼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선(2102)을 포함하는 함침재(이하, '절단형 함침재(2100)'라고 함)를 구비한다.
절단형 함침재(2100)는 소정 형상의 케이스 내에 담겨서 쿠션 파운데이션과 같은 화장품을 구성한다.
절단형 함침재(2100)는 화장료 조성물이 토출되는 부위인 토출부(2101)를 구비하고, 토출부(2101)에는 절단형 함침재(2100)의 두께 방향으로 정해진 깊이까지 연장된 절단선(2102)이 형성되어 있다.
토출부(2101)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의 본래 목적에 맞도록 내용물이 토출되는 부위로서, 손이나 퍼프 등의 도포기구가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접하게 되는 부위이다.
절단선(2102)은 칼날 형태의 공구가 탑재된 프레스 기기를 이용한 칼집 가공에 의해 형성된 절단 부위로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절단 폭에 비해 절단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선형의 절단 패턴을 가진다. 종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절단선(2102)에 의해 절단형 함침재(2100) 내부에는 절단선(2102)의 길이 및 깊이에 의해 그 면적이 정의되는 절단면(2103)이 형성된다. 절단선(2102)에 의해 형성되어 절단형 함침재(2100) 내부에서 서로 인접하며 대향하는 절단면(2103)들은 서로 면접촉을 하게 된다.
절단선(2102)은 절단형 함침재(2100)의 외주 테두리단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안쪽 영역에 형성된다. 즉, 절단선(2102)은 절단형 함침재(2100)의 외주면까지는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형 함침재(2100)에는 칼집 가공에 의해 절단선(2102)들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고, 절단선(2102)들은 서로 교차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단선(2102)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화장품의 미사용 시에는 기존의 함침재와 동일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화장품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인접한 절단선(2102)이 서로 합쳐져서 생기는 변형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화장품의 사용 시에는 손이나 퍼프 등을 이용한 가압에 의해 절단된 부위가 벌어지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절단선(2102)들은 화장품의 사용 시 손이나 퍼프 등에 의한 가압에 의해서 독립적인 포켓(Pocket)을 형성하고, 내용물이 이 포켓의 내부로 들어감으로써 토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절단선(2102)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절단선(2102)은 서로 교차하지 않게 수평 혹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절단선(2102)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수평 혹은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절단선(2102)들 사이의 간격(a)과, 절단선(2102)의 길이방향으로 이웃한 절단선(2102)들 사이의 간격(b)과,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절단선(2102)들 사이의 간격(c,d)은 모두 1~20㎜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선(2102)들 사이의 간격(a~d)이 1㎜ 이하이면 칼집 가공이 어렵고 사용 시 가압에 의해 인접한 절단선(2102)들이 서로 합쳐지는 등 절단형 함침재(2100)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절단선(2102)들 사이의 간격(a~d)이 20㎜를 초과하면 토출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절단선(2102)들 사이의 간격(a~d)은 3~7㎜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2102)들은 다수의 열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에서 교차가 이루어지는 단일한 열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단선(2102)들은 호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동심원 패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단선(2102)들의 배열 패턴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선(2102)은 토출부(2101)의 표면으로부터 타면까지 연장되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절단선(2102)의 깊이는 절단형 함침재(210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절단형 함침재(2100)의 반경(R)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개의 절단선(2102)들 중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지점에 위치한, 즉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의 최외곽부까지의 거리를 백분율로 나타냈을 때, 그 비율은 1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는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의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까지의 거리가 d1(10%)인 경우와 d2(80%)인 경우가 하나의 도면에 일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이 d1와 d2 사이의 영역(해칭 부분) 내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절단선(2102)들이 분포되면 토출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누액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이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10% 미만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절단선(2102)을 통한 토출량이 적어 효과가 미미하고,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절단형 함침재(2100)의 외주 바깥방향으로 누액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 테스트
(1) 절단선의 거리 비율에 따른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
동일한 깊이, 동일한 면적, 동일한 힘으로 샘플을 누를 수 있는 프레스기에 도포용 퍼프(구입처: S&P WORLD, 2cm x 2cm로 재단)를 장착하여,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이 함침된 다공성 우레탄 폼(함침 후 직경 5cm, 높이 1cm 크기의 함침재)을 동일한 힘(0.4kgf/cm2)으로 가압하였을 때, 다공성 폼으로부터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계산하였다. 테스트마다 각각의 도포용 퍼프를 교체하여 측정하였다. 장기간 사용 후의 토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동일 조건으로 20회 가압한 후, 21회-30회 가압하였을 때의 토출량을 평균 내었다.
아래의 표 1에서 비교예 1은 상기 다공성 우레탄 폼으로서 절단선이 없는 기존의 함침재를 사용한 경우이고, 아래 표의 실험예 1 내지 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절단선(2102)들 중에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의 거리 비율이 각각 10%, 20%, 30%, 50%, 80%가 되도록 칼집 가공이 된 절단형 함침재(2100)를 사용한 경우이며, 비교예 2는 함침재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의 거리 비율이 100%가 되도록 칼집 가공이 된 절단형 함침재(2100)를 사용한 경우이다.
Figure PCTKR2018005392-appb-T000001
표 1을 참조하면, 장기 사용 후에도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는 비교예 1에 비해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절단선(2102)의 분포 영역이 중앙에서 10% 미만인 경우에는 비교예 1과 비슷한 수준으로 토출량이 미미하게 나타난다.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의 토출량을 얻기 위해 절단형 함침재(210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단선(2102)들에 대한 길이의 총합은 2~25㎝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절단선의 깊이 비율에 따른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
아래의 표 2에서 비교예 3은 상기 다공성 우레탄 폼으로서 절단선이 없는 기존의 함침재를 사용한 경우이고, 실험예 6 내지 실험예 10은 복수개의 절단선(2102)들 중에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의 거리 비율이 50%가 되도록 칼집 가공이 된 절단형 함침재(2100) 중에서 절단면 형성 깊이, 즉 절단형 함침재(210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 절단선(2102)의 절단 깊이가 전체 깊이(절단형 함침재의 두께와 대응)에 대하여 각각 10%, 20%, 30%, 50%, 80%인 함침재를 사용한 경우이다.
Figure PCTKR2018005392-appb-T000002
표 2를 참조하면, 실험예 6 내지 실험예 10이 비교예 3에 비해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절단 깊이가 20% 이상인 범위에서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잔량 테스트
화장할 수 있는 양이 더이상 토출되지 않을 때까지 사용한 후 남은 양을 측정함으로써 잔량 비교값을 산출하였다.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가 비교예 1에 비해 잔량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의 거리 비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비교예 1과 비슷한 수준으로 잔량이 많으며, 상기 거리 비율이 100%(함침재가 조각난 형태로 칼집 가공된 상태)인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누액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누액 테스트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샘플들을 밀폐 용기에 안착시킨 후, 50도 항온기에서 수직으로 세워놓고 2주간 관찰하였다. 여기서, 누액이란, 내용물이 하단으로 흘러 용기 뚜껑 혹은 외곽 주변에 흘러나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위의 표 1을 참조하면,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5는 칼집 가공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누액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고, 비교예 2는 함침재가 외주면까지 절단되어 조각난 구조로 인해 누액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충진 효과 테스트
겔상 화장료 조성물을 서로 다른 점도별로 다공성 우레탄 폼(함침 후 직경 5cm, 높이 1cm 크기의 함침재)에 함침하는 시험을 하여 충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유동성을 갖는 저점도 화장료는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Synchro-Lectric Viscometer, USA)에서 스핀들 #4를 이용하여 30RPM으로 1분간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3에서 비교예 4는 상기 다공성 우레탄 폼으로서 절단선(2102)이 없는 기존의 함침재를 사용하였고, 실험예 11 내지 실험예 12는 절단형 함침재(210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절단선(2102)의 거리 비율이 각각 50%, 80%가 되도록 칼집 가공이 된 절단형 함침재(2100)를 사용하였다.
화장료 조성물을 가압하며 함침재에 노즐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였으며, 분사 시간이 3~5초면 충진 속도가 정상, 5초 이상이면 충진 속도가 느린 것으로 정의하였다(○: 정상적인 충진 속도로 완성, △: 충진 속도를 느리게 하여 완성, X : 스펀지 표면에 내용물이 고여 있어 제품성이 떨어짐).
Figure PCTKR2018005392-appb-T000003
표 3을 참조하면, 비교예는 겔상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충진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난 반면에 실험예 1 내지 2는 비교예에 비해 뛰어난 충진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칼집 가공에 의해 절단형 함침재(2100)의 외주 테두리단 안쪽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 절단선(2102)들에 의해, 화장품의 사용 시 함침재의 중앙 부위에서의 내용물 소진 현상을 억제하면서도 중앙 부위에서의 토출을 원활히 하여 토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부호의 설명]
11: 화장품 110: 함침재
120: 커버부 1201: 상부커버
1202: 하부커버 121: 패턴부
122: 절개부 1221: 절개선
130: 용기부 131: 수용부
1311: 커버링 132: 덮개부
1321: 힌지 1322: 환테
133: 하우징부 1331: 버튼
1332: 걸쇠 134: 뚜껑부
1341: 힌지 1342: 거울
2100: 절단형 함침재 2101: 토출부
2102: 절단선 2103: 절단면

Claims (20)

  1.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관통 정도가 달라지는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천공되어 관통 정도가 높아지는 상기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가공에 의해 섬유 조직이 엉켜 관통 정도가 낮아지는 상기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메쉬망 또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함침재의 표면에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커버부의 패턴과 대응되는 부분과, 상기 커버부에서 패턴 외의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의 관통 정도가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다공질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오픈셀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는, 오픈셀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내용물을 함침하며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함침재를 포함하며,
    상기 함침재는,
    상면에 하방으로 절개선을 갖고,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둘레가 압착되거나 또는 상기 함침재가 용기에 수용됨에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벌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상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상면에 패턴 또는 문양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의 상면 중심에서 반경 대비 40% 이상의 부분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은,
    상기 함침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둘레가 상하로 압착되어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면서 상기 절개선이 벌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둘레가 상하로 열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둘레가 톰슨 프레스 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다공질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8. 제 9 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함침재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함침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수용부의 내경 대비 1.1 내지 1.3배의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면서 둘레가 상기 수용부의 내벽과 커버링에 의해압축됨에 따라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하면서 상기 절개선이 벌어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PCT/KR2018/005392 2017-07-21 2018-05-10 화장품 WO201901757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871 2017-07-21
KR1020170092871A KR20190010285A (ko) 2017-07-21 2017-07-21 절단형 함침재를 구비한 화장품
KR10-2017-0128106 2017-09-29
KR10-2017-0128124 2017-09-29
KR1020170128124A KR101987362B1 (ko) 2017-09-29 2017-09-29 화장품
KR1020170128106A KR101936843B1 (ko) 2017-09-29 2017-09-29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7577A1 true WO2019017577A1 (ko) 2019-01-24

Family

ID=6501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392 WO2019017577A1 (ko) 2017-07-21 2018-05-10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175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349A1 (fr) * 2019-07-30 2021-02-05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FR3099348A1 (fr) * 2019-07-30 2021-02-05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8Y1 (ko) * 2005-03-21 2005-06-0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64761Y1 (ko) *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101581847B1 (ko) *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KR20160146512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20170045989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928Y1 (ko) * 2005-03-21 2005-06-03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64761Y1 (ko) * 2012-10-31 2013-01-16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KR20160146512A (ko) * 2015-06-12 2016-12-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KR101581847B1 (ko) * 2015-07-09 2015-12-31 정규열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KR20170045989A (ko) * 2015-10-20 2017-04-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349A1 (fr) * 2019-07-30 2021-02-05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FR3099348A1 (fr) * 2019-07-30 2021-02-05 L'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17577A1 (ko) 화장품
US5913318A (en) Product applicator and packaging unit comprising such applicator
WO2017007107A1 (ko) 화장품 리필용기의 배출커버
KR200227334Y1 (ko) 파우더흡착용분첩케이스
NZ295552A (en) Apertured cover sheet comprising upper and lower layers of non-woven fibrous material and an intermediate layer comprising an elastic film
WO2015005720A1 (ko) 세척용구의 제조방법
WO2016114540A1 (ko) 메쉬망을 구비한 콤팩트용 캡슐용기
USD417454S (en) Pushbutton key array for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O2016064234A1 (ko)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CN209860901U (zh) 一种便于携带的楼宇对讲机
WO2017155301A1 (ko) 화장품
WO2019066181A1 (ko) 화장품
KR20190038079A (ko) 화장품
WO2018151460A1 (ko) 접착층을 포함하는 담지체 및 담지체의 제조방법
KR101496838B1 (ko) 고깔형 화장솜, 이의 인출장치가 구비된 화장솜 케이스 및 이의 사용도구
KR101936843B1 (ko) 화장품
JPH061059Y2 (ja) 化粧用パフ
WO2019156500A1 (ko) 일부 표면에 필름이 부착된 입체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090962A1 (ko) 레이저 가공에 의해 표면에 음각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WO2018030727A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927047B1 (ko) 편리한 화장이 가능한 화장도구
KR101987362B1 (ko) 화장품
KR101987350B1 (ko) 화장품
WO2019240337A1 (ko) 아이브로우 스탬프
WO2018169225A1 (ko)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35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5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6.06.2020)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35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