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249B1 -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 Google Patents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249B1
KR102508249B1 KR1020160078273A KR20160078273A KR102508249B1 KR 102508249 B1 KR102508249 B1 KR 102508249B1 KR 1020160078273 A KR1020160078273 A KR 1020160078273A KR 20160078273 A KR20160078273 A KR 20160078273A KR 102508249 B1 KR102508249 B1 KR 10250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pplicator
moving
uni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258A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78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24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18Impregnating foam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8Cosmetic equipment, e.g. hair dressing, shaving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에 관한 것으로, 도포면을 가지는 도포구가 안착되는 안착부; 이동 시트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 상에 위치하는 화장료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시트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이 상기 도포구의 도포면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도포구 내에 위치하는 화장료를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Cosmetic instrument improved in hygiene property of cosmetic applicator}
본 발명은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점도 화장료와 도포구가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는 화장용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용구에서 저점도 화장료는 발포폼과 같은 담지체에 담지되어 있거나, 별도의 용기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포구는 발포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손잡이가 있거나 손잡이가 없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도포구를 이용하여 담지체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를 피부에 전달하거나 별도의 용기 내에 위치하는 화장료를 펌핑한 후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포구에는 화장료의 흡수와 배출이 반복되는데, 화장을 마치고 다시 화장용구에 보관할 때 도포구에는 화장료가 잔존하게 된다.
도포구 내에 잔존하는 화장료는 도포구 표면의 색상을 변화시키며 사용자에게 비위생적인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87,915호(2003년 10월 31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용구에 있어서, 도포면을 가지는 도포구가 안착되는 안착부; 이동 시트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 상에 위치하는 화장료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시트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이 상기 도포구의 도포면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도포구 내에 위치하는 화장료를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이동 시트는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 방향으로만 투습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면의 하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는 상기 도포구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화장료 이동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착부와 상기 이동 시트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이동부는, 상기 이동 시트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도포구는 상기 화장료 이동부와 밀착될 수 있다.
저점도 화장료를 수용하고 있는 화장료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안착부 및 화장료 이동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 내의 화장료 이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 내의 다른 화장료 이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 내의 또 다른 화장료 이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포구로서 퍼프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모든 도포구에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화장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안착부 및 화장료 이동부를 나타낸 것이다.
화장용구(1)는 하부케이스(10), 상부케이스(20), 화장료 유닛(30), 도포구(40), 안착부(50) 및 화장료 이동부(60)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30)은 담지체와 담지체 내에 담지되어 있는 화장료를 포함한다. 담지체는 폴리우레탄, 천연고무 및 합성고무 등의 발포체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저점도일 수 있으며 액상일 수 있으며 자외선 차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유닛(30)은 또한, 담지체를 감싸는 담지체 케이스를 포함한다. 화장료 유닛(30)은 하부 케이스(10)에 탈부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상 화장료는 담지체 없이 수용될 수 있으며, 화장료 유닛(30)은 화장료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와 화장료 배출을 위한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구(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발포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납작한 원판 형상이다.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40)는 손잡이띠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띠는 생략될 수 있다. 도포구(40)는 도포면을 통해 화장료 유닛(30)의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한다.
안착부(50)는 케이스(10, 20)가 닫힌 상태에서 도포구(40)를 안착시키며 화장료와 공기의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화장료 유닛(30)을 밀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안착부(5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저면부(51)와 측면부(52)를 포함한다.
화장료 이동부(60)는 이동 시트(61)와 지지부(62)를 포함한다. 지지부(62)는 안착부(50)에 대응하는 원형의 띠 형상이며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62a)를 가진다. 지지부(62)에는 이동 시트(61)가 탄성을 가지도록 지지되어 있다. 화장료 이동부(60)의 연장부(62a)는 안착부(50)의 측면(52)의 내부면과 밀착되며, 이에 의해 화장료 이동부(60)와 안착부(50)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62)는 접착제 등을 통해 안착부(5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의 화장용구(1)에서 각 구성요소의 개폐 및 연결을 위한 구성은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화장용구(1)에서 사용자는 케이스(10, 20)를 열고, 도포구(40)를 손에 잡고, 안착부(50)를 열어 화장료 유닛(30)을 노출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도포구(40)를 화장료 유닛(30)과 접촉시켜 화장료를 도포구(40)에 흡수한 후, 피부에 화장료를 접촉시키면서 화장을 수행한다. 화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다시 도포구(40)를 안착부(50)에 안착시킨 후 케이스(10, 20)를 닫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포구(40) 내에는 화장료가 잔존하게 되는데, 잔존하는 화장료의 이동을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 내의 화장료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보관상태에서 도포구(40)의 도포면은 이동 시트(61)의 제1면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 시트(61)는 제1면에서 제2면 방향으로만 화장료를 이동시키며, 제2면에서 제1면 방향으로는 화장료를 이동시키지 않는 일방향 이동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일방향으로만 화장료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일방향으로의 이동량이 타방향으로 이동량보다 5배 이상, 10배 이상, 100배 이상 또는 1000배 이상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동량은 상온 상압에서 시트의 일면에 일정량의 화장료를 도포하고, 일정시간 후, 예를 들어 2시간 후에 타면으로 이동한 양으로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방향 이동 특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이동 시트(61)를 다층으로 구성하고 각 층의 섬유직경을 달리하여 얻거나, 시트 내지 섬유에 특수한 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방향 이동 특성은 이동 시트(61)에 물리적인 밸브 구조(예를 들어, 시트를 관통하되 제1면에서 제2면으로 갈수록 개구면적이 작아지는 홀 등)를 형성하여 얻을 수도 있다.
한편, 이동 시트(61)는 액체성분과 접촉하면 일방향으로만 액체성분을 이동하도록 활성화되는 성분을 포함하여 일방향 이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는 이동시트(61)는 전체적으로는 화장료 친화 특성을 가지고 수용공간과 마주하는 면은 화장료 반발 특성을 가지도록 하여 일방향 이동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동시트(61)는 전체적으로 화장료 반발 특성을 가지고 화장료 친화성 관로를 포함하거나, 전체적으로 화장료 친화 특성을 가지고 화장료 반발성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로는 섬유로 마려될 수 있으며, 친화 특성은 친수성 또는 친유성일 수 있다. 친화 특성은 화장료의 성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동시트(61)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시판명 sympatex인 시트를 포함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동 시트(61)는 항균 처리나 항균 성분 포함 등을 통해 항균력을 가질 수 있다.
도포구(40)에 잔존하는 화장료는 대부분 도포면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 화장료 중 이동 시트(61)와 접촉하는 화장료는 이동 시트(61)의 작용에 의해 이동 시트(61)를 통과하여 수용공간으로 이동한다.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화장료는 이동 시트(61)의 일방향 특성에 의해 다시 도포구(40)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포구(40)의 도포면에 위치하는 화장료가 수용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액체가 서로 뭉치려는 성질 등에 의해, 도포구(40) 내부에 있던 화장료는 도포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수용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포구(40)에 잔존하는 화장료는 수용공간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포구(40)를 화장료가 상당량 배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포구(40)의 위생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구(1)는 휴대할 수 있는 제품으로, 휴대 형태에 따라 도포구(40)와 이동 시트(61)의 상하(중력방향에 대한) 배치관계는 다양하게 변화하며, 도포구(40)보다 이동 시트(61)가 상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배치관계가 다양하게 변화하여도 이동 시트(61)의 일방향 이동 특성에 의해 화장료는 항상 수용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 내의 다른 화장료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는 보관상태에서 도포구(40)의 상부면이 가압되고 있다. 이러한 가압은 케이스(10, 20)의 설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20)가 도포구(4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에 의해 화장료 배출이 촉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도포구 내의 또 다른 화장료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도포구(40)가 화장료를 많이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화장료에 의해 도포구(40)의 두께(d1)가 증가한다. 증가된 두께(d1)에서는 도포구(40)가 상부 케이스(20) 등에 의해 가압되고, 화장료가 배출되면 도포구(40)의 두께(d2)가 감소하면서 가압이 해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시적인 가압에 의해 도포구(40)가 변형되는 문제가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나타낸 것이다. 수용공간에 별도의 화장료 흡수부재(70)가 마련되어 있다. 화장료 흡수부재(70)는 발포폼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흡수한다. 화장료를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화장료 흡수부재(70)는 수용공간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화장료 흡수부재(70)는 화장료를 잘 흡수하도록 화장료 친화 특성(화장료성분에 따라, 예를 들어, 친수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항균력을 가질 수 있다. 항균력은 별도의 항균성분을 포함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화장료 흡수부재(70)는 빠른 흡수를 위해 미세다공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미세다공구조로 인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화장료를 더 빠르게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공간의 밀폐가 다소 불완전하여도 수용공간으로 이동한 화장료는 도포구(40)로 다시 흡수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나타낸 것이다. 안착부(50)에 이동 시트(61)가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시트(61)가 안착부(50)에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화장료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장용구를 나타낸 것이다. 지지부(62)는 연장부(62a)와 바닥부(62b)로 이루어진다. 바닥부(62b)는 안착부(50)의 저면부(51)와 마주한다. 수용공간은 이동 시트(61)와 지지부(6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즉 수용공간이 화장료 이동부(60) 내에 마련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화장용구에 있어서,
    도포면을 가지는 도포구가 안착되는 안착부;
    이동 시트를 가지며 상기 안착부 상에 위치하는 화장료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시트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상기 제1면이 상기 도포구의 도포면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도포구 내에 위치하는 화장료를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 시트는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 방향으로만 투습 특성을 가지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도포구보다 상기 이동 시트가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 시트는 상기 화장료를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화장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하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료는 상기 도포구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화장료 이동부와 상기 안착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이동 시트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이동부는,
    상기 이동 시트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시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의 측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도포구는 상기 화장료 이동부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8. 제1항에 있어서,
    저점도 화장료를 수용하고 있는 화장료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유닛은 상기 안착부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구.
KR1020160078273A 2016-06-22 2016-06-22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KR10250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73A KR102508249B1 (ko) 2016-06-22 2016-06-22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273A KR102508249B1 (ko) 2016-06-22 2016-06-22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58A KR20180000258A (ko) 2018-01-02
KR102508249B1 true KR102508249B1 (ko) 2023-03-09

Family

ID=6100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273A KR102508249B1 (ko) 2016-06-22 2016-06-22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2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7111U (ko) * 1987-03-19 1988-09-28
JP3487915B2 (ja) 1994-07-19 2004-01-19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連通気泡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258A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2172B2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JP3826067B2 (ja) 化粧品、手入れ製品等の製品を包装および適用するための装置
US7461992B2 (en) Applicator and a kit including such an applicator
KR101715549B1 (ko) 화장품
KR101964533B1 (ko) 셀룰러 재료를 포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JP3338685B2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JP6277561B2 (ja)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KR20060049099A (ko) 물질, 특히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장치
US20070189841A1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WO2009123380A1 (en) Cap for cosmetic container and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N108175172B (zh) 化妆品容器
JP2007093198A (ja) 冷却デバイスならびにこの冷却デバイスを備えたアセンブリ
KR200484726Y1 (ko) 가압용기를 갖는 겔상 화장품 용기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2508249B1 (ko)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KR102169055B1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20180094322A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JP4510580B2 (ja) 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KR101942665B1 (ko) 토출구가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102409177B1 (ko) 화장품
CN110419846B (zh) 化妆品容器
KR20150039434A (ko) 크림타입 진공 화장품용기
KR101895716B1 (ko) 화장품 리필용기
KR20210085729A (ko) 스프레이 분사효과가 뛰어난 화장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