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72B1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6372B1 KR101736372B1 KR1020150146218A KR20150146218A KR101736372B1 KR 101736372 B1 KR101736372 B1 KR 101736372B1 KR 1020150146218 A KR1020150146218 A KR 1020150146218A KR 20150146218 A KR20150146218 A KR 20150146218A KR 101736372 B1 KR101736372 B1 KR 1017363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regnated
- cosmetic
- cut
- impregnation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은 함침재의 표면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일정한 토출량을 제공하며,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량을 향상시키고 화장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유동성이 있는 제형의 화장료 등은 일반적으로 튜브나 펌프 제형에 담아 사용하고 있으나 휴대 및 사용성이 상대적으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문헌 JP 2003-12457, KR 10-1159877 및 EP 0 528 705에는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함침재에 화장료를 함침시키고, 퍼프와 같은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는, 휴대가 간편한 제품이 제안되어 왔다.
다공성 함침재에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여 사용하는 경우, 포어(pore) 사이로 화장료 조성물이 빠져나가 용기 바닥에 고이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로 인하여 일정 기간 사용 후 화장료 토출량이 줄어들어 퍼프 등과 같은 화장도구로 많은 횟수의 압박을 가하거나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화장료 조성물을 머금을 수 있는 다공성 함침재의 특성상 처음 충진한 화장료 조성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발견되었다. 즉, 다공성 함침재의 포어 사이에 화장료 조성물이 자리잡고 있어 외부에서 가하는 압력에도 불구하고 포어 바깥으로 배출되지 않아 화장료 조성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함침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장품들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토출량이 줄어들어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인식하였고, 이러한 불편하고 위생적이지 못한 과정 없이도 토출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함침재 내부의 잔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함침재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절개된 형태를 구비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을 원활히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함침재 하부에 쏠려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적은 압력으로도 도포구로 전달시킬 수 있으며, 토출능이 향상되고 보액능이 개선된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장품의 토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절단면(13)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13)이 함침재의 표면까지 연장된 형태의 함침재(10)를 제공한다.
상기 함침재는 함침재의 표면까지 절단면이 연장되어 함침재의 토출부(14)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선(11)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재의 "토출부 또는 내용물 토출부(14)"의 의미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의 본래 목적에 맞도록 내용물이 토출되는 부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손이나 도포구가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접하게 되는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이 함침재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는 부위라고 하더라도 손이나 도포구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함침재의 본래 목적에 맞게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토출부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토출부(14)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의 표면에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재의 표면'은 상기 토출부(14) 및 상기 토출부의 반대쪽 면(배면)(15)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의 반대쪽 면(15)은 예를 들어 함침재가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될 경우에는, 수용되는 용기의 바닥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함침재의 토출부(14)를 기준으로 측정한 절단면(13)의 높이는 함침재의 표면에 형성된 절개선(11)부터 측정한 절단깊이와 같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함침재의 내용물 토출부(14)에서 토출부의 배면(15)에 이르는 길이와 동일하거나, 함침재의 내용물 토출부(14)에서 토출부의 배면(15)에 이르는 길이보다 더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재의 토출부(14)를 기준으로 함침재(10)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면의 높이(12)가 함침재의 내용물 토출부(14)에서 상기 토출부의 배면(15)까지의 길이와 동일할 경우 상기 함침재(10)는 완전 절단되어 2개의 조각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완전 절단되는 경우, 상기 함침재(10)는 함침재의 표면에 절단면이 시작하는 지점 또는 끝나는 지점이 있고, 상기 지점은 상기 함침재의 반대편 표면까지 연장되어 함침재 조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함침재의 토출부(14)를 기준으로 함침재(10)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경우, 절단면의 높이(12)가 함침재(10)의 내용물 토출부(14)에서 상기 토출부의 반대편에 이르는 면(15)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진집 형태이며, 완전 절단되지 않는다.
상기 '절단면의 높이(12)'는 본 명세서에서 절단깊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10)에 함침재의 표면에서부터 이어지는 절단면(13)을 갖는 경우 기존의 함침재에 비해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능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내용물을 토출시키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면서, 내용물의 토출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공성을 갖는 함침재의 특성상 충진된 화장료 조성물의 양과 토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달라, 화장료 조성물의 낭비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오랜 기간 연구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함침'은 액체 같은 유동성이 있는 성분에 담궈서 공간을 메꾼다는 의미이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은 화장료 조성물이 다공성의 함침재에 적셔진 상태를 의미하며, 화장료 조성물이 흡수된 상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된 화장료'는 포어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머금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이 일정부분 스며들어가 있는 상태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담지된 화장료' 또는 '화장료 조성물이 담지된' 이라는 용어도 유사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침재(10)'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할 수 있는 물질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오픈 셀 구조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포 과정에서 생기는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발포 폼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함침재(10)의 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될 수 있고, 외부 압력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는 재료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재(10)는 라텍스(Latex), 실리콘(Silico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네오프렌(Neoprene),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PVC(Polyvinyl chloride), PE(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등의 화학물질에 의한 재료도 포함할 수 있고, 수세미, 곤약, 해면,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자연적으로 소재의 내부에 포어(pore)를 가지고 있는 천연 소재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재(10)의 재료는 예시적으로 나열된 것이며 이들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침재(10)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절단면(1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단면(13)은 함침재(10)의 내부에서 표면으로 연장되어 함침재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함침재의 내용물 토출부(14)에 하나 이상의 절개선(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선(11) 또는 절단면(13)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필요한 만큼 다양한 개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선(11)은 서로 평행하게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절개선(11)이 서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절개선(11)의 형태는 특별한 형태나 모양에 구애받지 않고, 함침재(10)의 토출면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절단깊이 또는 절단면의 높이(12)를 제공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개선(11)으로부터 형성되는 절단깊이(12)는 절단면의 높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함침재(10)의 수직방향 높이와 같거나 함침재 높이 미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침재의 수직방향 높이와 절단깊이(12)가 동일한 경우 함침재는 완전히 절단되어 2 이상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함침재 높이 미만으로 절단깊이(12)가 형성되는 경우, 분리되지 않고 진집(가느다랗게 벌어진 작은 틈을 의미함)만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면은 토출부와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침재(10)의 절개선(11)은 함침재(10)의 토출부(14)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함침재(10)의 토출부의 반대면(15)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함침재(10)의 토출부(14) 및 토출부의 반대면(15)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미하는 절개선(11)은 함침재(10)의 표면에 일정한 틈을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절개선(11)으로부터 형성된 절단깊이(12)는 제한없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절개선(11)의 절단깊이(12)는 절단면의 시작 지점부터 끝나는 지점까지 이어진 길이와 동일할 수 있으며, 함침재의 표면에 절단면이 시작하는 지점이 있고, 상기 함침재의 반대편 표면까지 절단면이 연장되어 조각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함침재(10)는 완전 절단되어 2 이상의 함침재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품(1)은 화장품이 함침된 함침재로, 하나의 함침재(10)를 완전 절단하여 2 이상의 조각 형태가 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함침재를 2 이상 포함하여 집합체 형태를 이루는 형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함침재 집합체는 각 함침재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직방향'은 길이방향과 같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방향 절단은 함침재의 토출부에서 토출부의 반대편까지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직방향 절단이 반드시 토출부와 직각방향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토출부를 기준으로 비스듬히 절단되는 경우도 넓은 범위에서 본 발명의 수직방향 절단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3의 절단형태도 본 발명의 수직방향 절단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재 조각', '함침재', 및 '함침재 집합체'의 관계는, 각각의 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함침재를 기준으로 수직방향(또는 종방향) 절단을 가하여 분리되는 경우 함침재 조각으로 이해될 수 있고, 같은 높이를 갖는 함침재를 2 이상 정렬하여 모아두는 경우는 함침재 집합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함침재를 수직방향 절단하여 얻은 함침재 조각들이 다수 모이는 경우도 넓은 의미에서 함침재 집합체로 이해될 수 있다.
함침재 조각 또는 함침재 집합체에 포함되는 함침재 각각의 색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나 물성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각 함침재 조각 또는 함침재 집합체에 포함되는 함침재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피부 표현 또는 화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효과는 광택감, 수분감, 커버력, 밀착감, 매끈함, 실키함, 지속성, 마무리감, 피부결 보정효과, 톤업, 균일한 발림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택감은 화장료를 도포한 피부가 조명 또는 일광에 반사되어 빛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수분감은 피부가 수분을 머금어 건조하지 않고 촉촉해 보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력은 미세 주름, 모공, 여드름 자국과 같은 피부 요철을 가려주는 정도와 피부 자체 붉은 트러블 및 외부요인으로 인한 피부 색소 침착을 가려주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밀착감은 화장료가 도포시 피부와 밀착력이 좋아 들뜸 없이 자연스럽게 화장이 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매끈함이란 화장료가 뭉침이 없고 잘 빚어진 도자기와 같이 매끄럽게 화장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키함은 끈적임이 없고 실크와 같이 부드럽고 은은한 광택, 촉감 및 질감의 화장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지속성은 화장료를 바른 직후와 화장료를 바른 뒤 단시간, 장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화장효과가 동일한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지속성이 좋을수록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고, 화장료의 다크닝이 적으며 수정화장의 빈도가 줄어든다. 마무리감은 화장 직후 느껴지는 피부 전체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피부결 보정효과는 울퉁불퉁하거나 울긋불긋한 피부를 수정해주는 화장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톤업은 어두운 피부톤을 조금 더 밝은 톤으로 올려주는 것을 의미하며 균일한 발림성은 화장도구를 이용할 시 화장도구 한쪽으로 내용물이 치우침이 없어 균일한 양의 내용물이 묻어 나와 자연스런 피부로 연출해주는 것, 손으로 화장료를 도포시 뭉침 없이 도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효과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기재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도 상기 화장효과의 정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함침재 제1조각에 펄 베이스 화장 조성물을 함침하고 제2조각에 일반 W/O 화장 조성물을 넣어 사용할 경우 광택감 향상 및 톤업 화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각에 미스트, 수분 크림 제형을 넣고 제2조각에 일반 W/O 화장 조성물을 넣어 사용할 경우 얼굴이 수분을 가득 머금은 듯한 물광 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조각에 톤업 베이스를 함침하고 제2조각에 일반 W/O 화장 조성물을 함침해 사용할 경우 피부가 환하게 밝아지는 톤업 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제1조각에 휘발성 오일이 들어간 W/0 화장 조성료가 함침되어 있고 제2조각에 피부 요철을 가려주는 분체를 많이 넣은 W/O 화장 조성물을 넣어 사용할 경우 실크처럼 부드러운 결메이크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함침재 제1조각에는 파운데이션 21호를 함침하고 제2조각에는 파운데이션 23호를 함침하여 얼굴 부위별로 다른 화장 효과를 주거나 섞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조각에 쉐이딩 화장료를 함침하여 컨투어링 화장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다만, 피부 표현 또는 화장 효과는 업계에서 원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품(1)은 손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전달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도포구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도포구는 함침재(10)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덜어내서 얼굴에 펴바르는 도구를 의미하며, 상기 도포구는 유동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묻어나서 피부에 도포될 수 있는 것이라면, 재료나 형태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품(1)에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유동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1기압 25℃에서 유동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동성이 있는 제형이면 모두 이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킨, 토너, 로션, 크림, 겔(젤), 오일, 액상 파운데이션, 젤타입 파운데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함침재 조각 또는 함침재 집합체는 각 함침재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사용과정에서 내용물 토출부 배면이 도포구 또는 손과 접촉되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는 함침재 2 이상을 포함하는 함침재 집합체, 또는 함침재 조각들을 용기에 병렬로 수용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함침재를 뒤집어, 함침재의 최초 토출부가 용기의 바닥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사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함으로써 용기의 하부에 쏠려 있는 내용물을 끝까지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재로부터 흘러내려 용기의 하부로 몰리고, 사용과정에서 토출량의 감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 사용 후 화장료 조성물 토출을 위해 화장도구로 여러 번 압박을 가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에 하부에 몰려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을 위해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해야했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내용물을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함침재에 잔류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적어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함침재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1a는 종단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도 1b는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함침재의 단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그림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단면이 형성된 함침재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절단면(13)을 따라 함침재의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함침재는 함침재의 표면이 진집을 이룬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단면이 내용물 토출부에서 비스듬히 형성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함침재 조각에 수직방향으로 다양한 깊이의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함침재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수직방향 절단이 가능함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에 따라 제조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사진을 보여준다.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함침재에 2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색이 다른 2종류의 서로 다른 화장료를 바둑판 모양으로 함침한, 함침재 집합체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단면이 형성된 함침재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절단면(13)을 따라 함침재의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함침재는 함침재의 표면이 진집을 이룬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절단면이 내용물 토출부에서 비스듬히 형성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함침재 조각에 수직방향으로 다양한 깊이의 절단면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다. 함침재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수직방향 절단이 가능함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형태에 따라 제조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사진을 보여준다.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함침재에 2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은 색이 다른 2종류의 서로 다른 화장료를 바둑판 모양으로 함침한, 함침재 집합체의 모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1. 수직 절단깊이에 따른 데이터 분석
샘플 | 절단깊이 (mm) |
초기 토출량(g) |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g) | 잔량(g) | 함침속도 | 누액정도 |
비교예1 | 0 | 0.15 | 0.02 | 5.07(33.8%) | 4위 | Ⅹ |
실시예1 | 3 | 0.13 | 0.03 | 4.34(28.9%) | 1위 | △ |
실시예2 | 6 | 0.09 | 0.06 | 4.35(29.0%) | 2위 | ○ |
실시예3 | 10 | 0.08 | 0.07 | 4.33(28.9%) | 3위 | ○ |
실시예3은 함침재 높이만큼 완전히 절단한 상태임(함침재 높이: 10mm)
(1) 토출량 실험 방법
동일한 깊이, 동일한 면적, 동일한 힘으로 샘플을 누를 수 있는 프레스기에 도포용 퍼프(구입처: S&P WORLD, 2 cm x 2 cm 로 재단)를 장착하여,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이 함침된 다공성 우레탄 폼(함침 후 직경 50mm, 높이 10mm 크기)을 동일한 힘(0.4kgf/cm2)으로 가압하였을 때, 다공성 폼으로부터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1-3의 경우, 도 1b의 (a-c)와 같이 사각형 모양의 조각으로 제작하였고 토출면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바라본 폼의 단면에 사각형이 9개가 되도록(즉,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이 9개가 되도록) 다공성 폼을 수직 절단하였다. 테스트 마다 각각의 도포용 퍼프를 교체하여 측정하였다.
(2) 토출량 확인 결과
1) 초기 토출량
비교예1, 실시예1-3의 경우 초기 1~10회 토출량의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발포 함침재에 내용물이 함침되어 있을 경우 초기 사용시 적은 힘으로 함침재를 가압해도 내용물 초기 토출량이 과하거나 토출량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수직으로 절단한 함침재의 경우 절단깊이가 깊어질수록 초기 토출량이 줄어들어 화장료 낭비를 개선할 수 있었다.
2)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
비교예1, 실시예1-3의 경우 초기 토출량을 측정한 샘플을 30회 토출한 후, 40~50회 토출량의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비교예 1과 같이 수직 절단하지 않은 함침재의 경우 장기간 사용시 화장료가 용기 바닥으로 모여 내용물 토출량이 점점 줄어들었지만 실시예1-3와 같이 수직 절단한 함침재의 경우 절단깊이가 깊어질수록 토출량이 늘어나 큰 힘으로 함침재를 가압하지 않아도 화장료 토출이 쉬웠고 장기간 동안 샘플을 사용할 수 있었다.
(3) 잔량 테스트:
함침재로부터 화장할 수 있는 양의 내용물이 토출될 때까지 사용한 후 남은 양을 측점함으로써 잔량 비교값을 계산하였다.
비교예1과 같이 수직 절단하지 않은 함침재의 경우 잔량이 실험 전 충진량의 약 34% 정도 남았고, 실시예 1-3과 같이 수직 절단한 함침재의 경우 절단 잔량이 약 29% 정도로 수직 절단한 샘플의 내용물 잔량이 비교예 1보다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교예 1의 함침재를 한 번 뒤집어서 사용했을 때와 동일한 수준의 잔량으로 수직 절단한 샘플의 경우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하지 않아도 뒤집어 사용했을 때와 동일한 잔량을 보임을 알 수 있다.
(4) 함침 속도:
10mm 두께의 원형 발포 함침재를 반으로 수직 절단한 뒤 반원의 중심에 화장료 조성물 3g을 올린 후 3분 경과시 발포 함침재 안쪽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침투한 깊이를 측정한 결과, 비교예 1과 비교시 수직 절단한 샘플 실시예 1-3의 화장료 함침 속도가 빨랐다.
(5) 누액 정도:
샘플을 퍼프로 가압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재를 용기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링 밖으로 빠져 나오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3과 같이 수직 절단깊이가 깊은 샘플은 용기 내에서 함침재의 전체적인 움직임이 적어 화장료 누액이 적었으나 비교예1과 같이 절단되지 않은 샘플의 경우 퍼프로 가압시 함침재가 용기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화장료가 고정링 밖으로 빠져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X: 사용 시 화장료 조성물의 누액 빈도 높음
△: 사용 시 화장료 조성물의 누액 빈도 낮음
○: 문제 없음
2. 수직 절단깊이에 따른 품평 결과 (스펀지 높이 10mm)
샘플 | 절단깊이(mm) | 평균 토출량 | 커버력 | 수분감 | 쿠션감 |
실시예1 | 3 | 3.80 | 3.70 | 3.60 | 3.20 |
실시예2 | 6 | 4.10 | 4.00 | 3.90 | 3.80 |
- 품평 항목 당 1-5점 부여: 높은 점수일수록 만족도 높음
- 모든 샘플은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을 함침하였음
30명의 패널을 통해 품평을 진행한 바, 절단깊이가 깊은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 평균 토출량이 실시예 1보다 높았고 커버력, 수분감과 같은 화장효과의 품평 점수도 높았다. 절단깊이가 깊을수록 함침재 조각의 상하 이동에 적은 힘이 걸리기 때문에 쿠션감에 있어서도 실시예 2이 좋은 점수를 얻었다.
3. 수직 절단 개수에 따른 품평 결과
샘플 |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단면 개수) (총 조각 개수) | 평균 토출량 |
커버력 | 수분감 | 쿠션감 | 외관 만족도 |
전반적 만족도 |
실시예4 | 2X2 개(12개) | 3.7 | 3.7 | 3.6 | 2.9 | 3.2 | 3.3 |
실시예5 | 3X3 개(21개) | 3.8 | 3.8 | 3.8 | 3.5 | 3.7 | 3.8 |
실시예6 | 4X4 개(32개) | 4.0 | 4.1 | 3.6 | 4.2 | 3.7 | 3.9 |
- 품평 항목 당 1-5점 부여: 높은 점수일수록 만족도 높음
- 모든 샘플은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을 함침하였음
- 실시예 4는 도 1b의 (a), 실시예 6은 도 1b의 (b)과 동일한 모양으로 절단하였다.
30명의 패널을 통해 품평을 진행한 바 실시예 5, 6과 같이 조각의 개수가 많은 샘플이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 토출량 및 화장효과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조각 개수에 따른 함침재 외관 만족도 및 전반적인 샘플에 대한 만족도도 조각 개수가 많은 실시예 5, 6이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도 1b 참고)
4. 장기 사용 품평 결과
샘플 |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단면 개수 (총 조각 개수) | 품평일 | 평균 토출량 | 커버력 | 수분감 | 전반적인 만족도 |
비교예1 | 0개 | 1일차 | 3.6 | 4.0 | 3.9 | 3.7 |
10일차 | 3.1 | 3.8 | 3.6 | 3.4 | ||
20일차 | 2.3 | 2.8 | 2.7 | 2.8 | ||
실시예5 | 3X3개 (21개) |
1일차 | 4.1 | 4.1 | 4.1 | 4.1 |
10일차 | 3.6 | 3.8 | 3.8 | 3.8 | ||
20일차 | 3.2 | 3.3 | 3.4 | 3.3 |
- 품평 항목 당 1-5점 부여: 높은 점수일수록 만족도 높음
- 모든 샘플은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을 함침하였음
비교예 1은 수직 절단하지 않은 발포 폼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5는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단면의 개수가 9개가 되도록 6mm 깊이로 절단한 발포 폼을 사용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5에 대해 장기 사용에 따른 선호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비교예 1과 실시예 5 두개의 샘플을 10일간 10명의 패널이 사용하도록 하였고, 1일차, 10일차와 20일차 사용 시 샘플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요청하였다. 품평 결과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두 샘플의 평균 토출량 만족도, 커버력 및 수분감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감소하였으나, 1일차와 20일차 품평 결과 비교시 실시예 5가 비교예 1보다 평균 토출량은 57%, 커버력은 18%, 수분감은 26%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고 수직 절단한 샘플 실시예 5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항목에서 비교에 1보다 우수하게 나왔음을 확인하였다.
5. 절단 깊이와 방향의 다양화에 따른 데이터 분석
샘플 | 절단깊이(mm) | 초기 토출량(g) |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g) |
잔량(g) |
실시예7 | 3, 6, 3, 6 | 0.14 | 0.04 | 4.35(29.0%) |
실시예8 | 상부 3, 하부 3 | 0.12 | 0.05 | 4.32(28.8%) |
- 실시예7-8의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단면 개수는 3X3 이다.
- 함침재 높이: 10mm
- 모든 샘플은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을 함침하였음
3mm, 6mm, 3mm, 6mm 의 다양한 절단깊이를 가지는 함침재를 포함하는 실시예7, 함침재의 상하부에 모두 절개선을 부여한 실시예8 의 초기 및 장기 토출량을 조사하였다.
(1) 토출량 실험 방법
동일한 깊이, 동일한 면적, 동일한 힘으로 샘플을 누를 수 있는 프레스기에 도포용 퍼프(구입처: S&P WORLD, 2 cm x 2 cm 로 재단)를 장착하여,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이 함침된 다공성 우레탄폼, 함침 후 직경 50mm, 높이 10mm 크기)을 동일한 힘(0.4kgf/cm2)으로 가압하였을 때, 다공성 폼으로부터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7-8의 경우, 단면에 형성된 사각형 개수가 9개가 되도록 다공성 폼을 8번 수직 절단하였다. 실시예 7-8의 수직 절단 깊이 및 절단 방향은 도 4-5와 동일하다. 실시예7은 함침재 상부에 가로로 위쪽부터 3mm, 6mm, 3mm, 6mm를 절단하고 세로로 왼쪽부터 3mm, 6mm, 3mm, 6mm 를 절단하여 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하였고, 실시예8은 상부에 가로로 위쪽부터 3mm씩 네번, 세로로 왼쪽부터 3mm 씩 네번 절단한 뒤 하부도 동일한 방향 및 깊이로 절단하였다. 테스트 마다 각각의 도포용 퍼프를 교체하여 측정하였다.
(2) 토출량 확인 결과
1) 초기 토출량
실시예 7-8의 경우 초기 1~10회 토출량의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함침재 상하부를 동시에 수직 절단한 실시예 8의 초기 토출량이 상부만 절단하고 수직 절단 깊이를 달리한 실시예 7보다 적었다. 상하부 양쪽에 절개선이 있을 때 W/0 유화 화장료의 초기 토출량이 줄어들어 화장료 낭비를 개선할 수 있었다.
2) 장기간 사용 후 토출량
초기 토출량을 측정한 샘플을 30회 토출한 후, 40~50회 토출량의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7-8의 장기 토출량을 비교시 실시예 8의 토출량이 실시예 7보다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하부 양쪽에 절개선이 있을 때, 함침재의 절단 정도가 높아지며 절개면을 따라 W/O 유화 화장료의 수직 이동이 자유로움을 의미한다.
(3) 잔량 테스트:
함침재로부터 화장할 수 있는 양의 내용물이 토출될 때까지 사용한 후 남은 양을 측점함으로써 잔량 비교값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8과 같이 상하부 동시 수직 절단한 함침재의 경우 절단 잔량이 약 28.8% 정도로 한방향 수직 절단한 샘플의 내용물 잔량이 비교예 1보다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8은 비교예 1의 함침재를 한 번 뒤집어서 사용했을 때와 동일한 수준의 잔량으로 수직 절단한 샘플의 경우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하지 않아도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와 같이, 함침재의 토출면에 다양한 절단깊이를 형성하는 경우나, 토출면 및 이의 반대면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경우도, 화장료 조성물의 토출이 원활하였으며, 함침재에 남아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선 실험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통로를 함침재에 형성하였기에 얻을 수 있었던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6. 각 조각에 다른 종류의 화장료를 함침했을 때의 품평 결과
샘플 | 화장료 조성물 | 커버력 | 수분감 | 전반적인 만족도 |
비교예2 | W/S 파운데이션 | 3.5 | 4.3 | 4.1 |
비교예3 | O/W 파운데이션 | 3.9 | 3.6 | 3.9 |
실시예9 | 제1조각 : W/S 파운데이션 제2조각 : O/W 파운데이션 |
4.5 | 4.3 | 4.4 |
- 품평 항목 당 1-5점 부여: 높은 점수일수록 만족도 높음
- 비교예 2-3은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g을 함침하였음
- 실시예 9는 각 조각에 화장료 조성물을 7.5g 씩 총 15g을 함침하였음
- 실시예 9는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 개수가 2개임
상기 실시예의 결과와 같이, 하나의 함침재에 조각을 내어 두 종류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한 경우, 단일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때보다 더 뛰어나거나 유사한 화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7. 각 조각에 다른 색상의 화장료를 함침했을 때의 품평 결과
샘플 | 함침 화장료 | 절단깊이(mm) | 함침재 절단방향 | 사용감 선호도(명) |
외관 선호도(명) |
실시예10 | W/O 파운데이션 + W/O 핑크 펄 베이스 |
9 | 수직 | 1 | 1 |
실시예11 | 사선 | 9 | 9 |
- 20대(5명)와 30대(5명) 여성 총 10명의 패널 품평 결과
- 실시예10-11의 내용물 토출부에 절개선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형 단면 개수는 3X3 이다.
- 실시예 10-11은 각 조각에 화장료 조성물 두 종류를 바둑판 모양이 만들어 지도록 교차하여 총 15g 함침하였음
10명의 패널에게 품평을 진행한 결과 사선 체크 무늬로 화장료를 함침한 실시예 11의 사용감 및 외관 선호도가 더 높았다. 일반 파운데이션과 핑크 펄 베이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 밝은 톤의 화사한 화장이 가능하며 두 제품을 한번에 휴대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의견이 많았다.(도 7 참고)
1: 화장품
10: 함침재
11: 절개선
12: 절단깊이, 절단면의 높이
13: 절단면
14: 내용물 토출부
15: 내용물 토출부의 배면
10: 함침재
11: 절개선
12: 절단깊이, 절단면의 높이
13: 절단면
14: 내용물 토출부
15: 내용물 토출부의 배면
Claims (14)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은 함침재의 표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함침재의 토출부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선이 구비되되,
상기 토출부의 표면에 구비된 상기 절개선은 상기 절단면의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이 서로 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이 연장된 함침재의 표면은 내용물의 토출부 및/또는 상기 토출부의 배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의 표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절단면의 높이는 함침재의 표면에 형성된 절개선부터 측정한 절단 깊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함침재의 표면에 절단면이 시작하는 지점이 있고, 상기 함침재의 반대편 표면까지 절단면이 연장되어 함침재 조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 조각은 각 조각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 조각은 각 조각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 조각은 각 조각마다 동일하거나 상이한 피부 표현 또는 화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 조각은 각 조각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사용과정에서 내용물 토출부 배면이 도포구 또는 손과 접촉되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같은 높이를 갖는 2 이상의 함침재가 함침재 집합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 집합체는 동일한 재질을 갖는 함침재가 2 이상이거나,
서로 상이한 재질을 갖는 함침재가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218A KR101736372B1 (ko) | 2015-10-20 | 2015-10-20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6218A KR101736372B1 (ko) | 2015-10-20 | 2015-10-20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8149A Division KR20170055943A (ko) | 2017-05-10 | 2017-05-10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989A KR20170045989A (ko) | 2017-04-28 |
KR101736372B1 true KR101736372B1 (ko) | 2017-05-16 |
Family
ID=58702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6218A KR101736372B1 (ko) | 2015-10-20 | 2015-10-20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637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17577A1 (ko) * | 2017-07-21 | 2019-01-24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품 |
KR101987362B1 (ko) * | 2017-09-29 | 2019-06-1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품 |
KR200491412Y1 (ko) * | 2017-08-04 | 2020-04-03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품 |
KR200487907Y1 (ko) * | 2017-08-04 | 2018-11-20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화장품 |
-
2015
- 2015-10-20 KR KR1020150146218A patent/KR10173637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5989A (ko) | 2017-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6372B1 (ko)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
US10537500B2 (en) | Cosmetic including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 |
KR102023973B1 (ko) |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 |
EP2837652B1 (en) |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 |
US20210205183A1 (en) | Makeup Cosmetic Having Improved Impregnated Material | |
KR200464761Y1 (ko) | 화장료 주입공간을 구비한 화장료 수용체 | |
CN1306403A (zh) | 防汗/除臭涂布器 | |
KR101562221B1 (ko) |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 |
KR101825681B1 (ko) | 화장용 퍼프 | |
KR20140004575A (ko) | 도포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 |
CN108912386A (zh) | 用于浸渍化妆品组合物的聚氨酯泡材 | |
KR20180019384A (ko) | 화장용 퍼프 | |
JP7071826B2 (ja) |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を含む化粧品 | |
KR20150017963A (ko) | 에어 쿠션 화장품의 화장료 함침 방법 | |
CN1308499A (zh) | 用于将物质涂布并分配到目标表面上的涂布器 | |
EP3281618B1 (en) |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integrated sponge having layered structure | |
EP2953504B1 (en) | Applicator | |
KR20170055943A (ko) |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
KR20170045984A (ko) | 횡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
KR101221178B1 (ko) |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714336B1 (ko) | 화장료 조성물 담체 | |
KR20200048994A (ko) | 복합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227356B1 (ko) | 토출 균일성 및 휘발 억제성이 확보된 화장료 수용체 | |
KR20160119598A (ko) |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
KR20190024317A (ko) | 비수계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