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598A -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598A
KR20160119598A KR1020150048488A KR20150048488A KR20160119598A KR 20160119598 A KR20160119598 A KR 20160119598A KR 1020150048488 A KR1020150048488 A KR 1020150048488A KR 20150048488 A KR20150048488 A KR 20150048488A KR 20160119598 A KR20160119598 A KR 2016011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present
cosmetic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487B1 (ko
Inventor
강성수
차민지
김하영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4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4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함침재 및 상기 다공성 함침재를 둘러싸며, 상기 다공성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토출량 및 잔량 조절이 용이하며, 우수한 담지력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Cosmetics comprising impregnating material surrounded fabrics}
본 발명은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원단으로 전체 표면이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보관 방법과 관련하여, 최근 들어 액상 또는 에멀젼 타입의 유동성이 있는 화장료를 스펀지 형태의 함침재에 함침시켜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외부에서 사용하기 편리할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여 이용하는 수요자가 급증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20153는 함침된 화장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다공성 화장료 함침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 함침재는 함침재가 다공성이므로, 사용에 따라 화장료가 함침재 하단으로 빠져나가 용기의 바닥에 고이는 경우가 생기거나, 사용함에 따라 표면 토출량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담지력이 약해 내용물이 함침재 밖으로 흘러나오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43730에는 여러 소재로 플로킹되어 있는 발포 폼이 기재되어 있는데, 플로킹 가공된 발포 폼은 화장료 조성물의 함침이 불량하고, 내용물의 토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플로킹 가공의 경우, 파일을 심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액상의 내용물이 장기간 닿아 있을 경우 파일의 용출, 분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포용 퍼프와 함침재의 마찰로 인해서 파일 탈락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함침재 전체가 별도의 피복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토출량 및 잔량 조절이 용이한, 함침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액능력이 향상된 함침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 과토출에 의한 도포구 주변 오염 문제가 개선된, 위생적이고 청결한 함침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포어가 형성된, 다공성 함침재 및 상기 다공성 함침재를 둘러싸며, 상기 다공성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피복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고 있는 함침재가 다수의 포어를 형성하고 있어, 포어로부터 용기의 바닥으로 흘러나가는 화장료 조성물이 많아지면서 사용과정에서 토출량 조절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 발포 크기가 작으면 토출이 어렵고 반대로 크기가 크면 내용물을 담지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포어가 표면에 존재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해 내용물을 담지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확인하고,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낭비를 막으면서 토출량을 조절하고, 함침재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유지시킬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랜기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피복층이라는 의미는 어떤 물건의 표면을 덮어 싼 물질의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함침재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화장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둘러싸여 있다는 의미는, 본 발명의 함침재 주변을 에워싸는 것으로, 함침재 전체가 피복층으로 감싸여지는 형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피복층이 원단 주머니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원단 주머니 내부에 함침재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함침재는 유동성이 있는 물질들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물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함침재는 화장료 조성물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함침이라는 용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스펀지와 같이 내부에 포어(pore)가 형성되어 있는 재질에 내용물을 담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담지의 의미는 임의의 물질(예를 들어, 액상 형태의 화장료)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동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내부에 저장하여 별도의 도구 등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형태의 화장품에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동성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토너, 로션, 크림, 겔(젤), 액상 파운데이션, 젤타입 파운데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파운데이션 외에도 블러셔, 립 메이크업 제품, 쉐이딩 제품, 하이라이터,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CC나 BB크림, 향 및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품의 용도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공성 함침재의 내부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과정에서 하단으로 흘러나와 용기 바닥에 고이게 되고, 다공성 함침재의 저장성이 다소 약해진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함침재의 상단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부족하고, 함침재의 하부에 화장료 조성물이 몰려있거나 함침재에서 흘러나오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도포용 퍼프와 접촉되는, 함침재 표면은 토출량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다공성 함침재를 둘러싸는 피복층을 구비함으로써,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의 낭비를 막으면서 토출량을 조절하고, 함침재 내부에 화장료 조성물을 유지시킬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복층은 원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직물 또는 편물 원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피복층의 원단은 소재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기모 가공이 가능한 원단이면 종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면, 실크, 양모,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라덴, 폴리우레탄,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함침재 및 상기 다공성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다공성 함침재를 둘러싸는 원단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복층은 바람직하게는 기모 가공을 통하여 기모가 형성된 원단일 수 있다. 직물 가공법의 하나로, 천(원단) 표면에 마찰을 가하여 천을 이루는 섬유의 가닥을 세우는 가공법을 일컫는 것으로 흔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기모의 의미는 직물에만 한정되어 사용되지 않으며, 원단의 표면에 솜털과 같은 짧은 가닥의 섬유들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즉, 기모가 형성되어 있다는 의미는 미세하고 짧은 가닥의 섬유가 원단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기모 가공에는 넓게도 벨벳 가공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벨벳은 짧은 솜털이 형성된 원단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벨벳이 이용될 수 있으나, 그 외의 합성 섬유, 면, 견사 등 소재가 제한되지 않으며, 표면에 짧은 솜털과 같은 섬유가 부착되어 있는 형태라면 어느 소재든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기모 가공을 통해 형성된 피복층의 솜털과 같은 짧은 가닥을 각각 기모로 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기모는 솜털과 같은 짧은 가닥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피복층에 형성된 기모는 0.05 mm 내지 5 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mm 내지 4.5mm, 더 바람직하게는 0.3mm 내지 4mm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는 합성 또는 천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함성 소재 및 천연 소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함침재는 다수의 포어를 가지고 있는 다공성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함침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을 이용한 함침재일 수 있으며, NR(natural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실리콘, 곤약 및 해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도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화장료 조성물을 저장한 후 다수의 포어를 통해 화장료 조성물을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비닐 또는 실리콘 재질의 함침재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상기 함침재에 0.4 kgf/cm2의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반복 테스트를 수행 한 후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용 퍼프에 0.01 g 이하로 토출되는 시점에서, 초기 충진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의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함침재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함침재 전체가 별도의 피복층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토출량 및 잔량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능력이 향상된, 함침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 과토출에 의한 도포구 주변 오염 문제가 개선된, 위생적이고 청결한 함침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성이 용이하고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 함침 화장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재 외부에 피복층이 형성된 함침 화장품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모 길이에 따른 데이터 분석
하기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상이한 모길이를 갖는 함침 화장품을 제조하여 하기 각각의 실험예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화장료 조성물로 점도 3000 cps의 유중수형 유화제형의 파운데이션을 15g 충진 하였으며,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 폼을 사용하였다. 상기 함침재의 표면은 하기 실시예 1 내지 5의 모길이를 갖는 기모가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원단으로 둘러싸고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모 길이 토출량(g) 잔량(g) 담지력 외관 만족도
1 0 0.23 4.5 3.2
2 0.5mm 0.29 3.0 3.8
3 1mm 0.32 3.3 4.4
4 3mm 0.31 3.5 3.3
5 5mm 0.33 4.2 2.3
실험예 1. 토출량 실험
동일한 깊이, 동일한 면적, 동일한 힘으로 샘플을 누를 수 있는 프레스기에 도포용 퍼프(구입처: S&P WORLD, 2 cm x 2 cm 로 재단)를 장착하여,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다공성 폼(함침 후 직경 5cm, 높이 1cm 크기)을 동일한 힘(0.4kgf/cm2)으로 가압하였을 때, 다공성 폼으로부터 묻어나오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계산하였다. 테스트 마다 각각의 도포용 퍼프를 교체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1-5의 경우 초기 수 회 펌핑을 한 후 화장료 조성물이 0.2g 이상 나오는 시점을 처음으로 하여 10 회 피킹 테스트에 대한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실시예 1과 같이 모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대적으로 토출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예 2. 잔량 테스트
함침재에 0.4 kgf/cm2의 힘을 가하는 방식으로 반복 테스트를 수행 한 후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용 퍼프에 0.01 g 이하로 토출되는 양을 측정함으로써 잔량 비교값을 계산하였다. 가압 후 함침재에 남아 있는 잔량 평가를 수행한 경우 잔량이 3.0g ~ 4.5g 으로 초기 충진량 대비 20%~30% 수준을 보였다. 이를 통해 비교예 1에서의 33% 보다 잔량이 적게 남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담지력 테스트
진동 테스트를 통해 실시예의 함침재의 화장료 조성물 담지 능력을 확인하였다. 15g의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 된 함침부재를 직립 및 역립으로 포장하여 Shaking Incubator (JEIO TECH, SI-900R)를 통해 진동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의 포장 조건에서 각각200rpm, 3.5시간, 상온 (25℃)조건으로 진동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배송 중 혹은 개봉 이전의 조건(사용 전)과 소비자가 사용 중인 조건에 대해 각각 누액 및 튐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조건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사용 전 조건에서는 실시예 1-5 모두 이상 없었다. 그러나 사용 중 조건에서는, 실시예1에서 누액 및 튐 현상이 관찰되었다. 사용 중 표면에 올라온 화장료 조성물이 원단 주머니에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용기 상층부 혹은 용기 외곽에 묻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X: 사용 전/후 모두 문제 발생
△: 사용 전/후 중 일부 문제 발생
○: 문제 없음
실험예 4. 외관 만족도 평가
30명의 패널을 통해 외관 만족도에 대한 품평을 진행한 바, 1mm의 모 길이를 포함하는 샘플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실험예 5. 기존 우레탄 소재의 함침재와 비교 데이터 분석
샘플 균일한 토출 외관 만족도 최종 선택
비교예1 2.6 4.0 23%
실시예3 4.1 4.2 76%
균일한 토출 및 외관 만족도: 1점-5점까지 부여
실시예 중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온 실시예 3과 기존 우레탄 소재의 함침재를 사용한 비교예 1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비교예 1은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우레탄 소재의 함침재에 실시예와 동일한 W/O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한 것이다. 30명의 패널에게 각각의 샘플을 1주일간 사용한 후 설문 평가하였을 때, 균일한 토출 및 외관 만족도에서 모두 실시예3이 높게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 선택에서도 30명의 패널 중 23명이 실시예3을 선택하여 전체적인 만족도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플로킹 스펀지와 비교 실험
실험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과 플로킹 스펀지를 비교 실험하였다.
샘플 균일한 토출 외관 만족도 안정성(4주사용)
실시예3 4.1 4.2 이상없음
플로킹 스펀지(우레탄 폼에 플로킹이 된 함침재) 2.8 4.0 털이 빠져나옴
균일한 토출 및 외관 만족도: 1점-5점까지 부여
플로킹 스펀지와 실시예3과 비교 평가를 한 결과, 외관 만족도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얻었지만, 플로킹 스펀지의 경우 토출량에 대한 조절이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도포용 퍼프에 털이 빠져나와 안정성 문제도 확인되었다.

Claims (6)

  1.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함침재; 및
    상기 다공성 함침재를 둘러싸며, 상기 다공성 함침재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피복층을 포함하는 화장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직물 또는 편물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기모가 형성된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에 형성된 기모는 0.1 mm 내지 5 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모는 0.1 mm 내지 3.5 m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재는 폴리우레탄, NR, NBR, SBR, 실리콘, 곤약 및 해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50048488A 2015-04-06 2015-04-06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9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488A KR102399487B1 (ko) 2015-04-06 2015-04-06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488A KR102399487B1 (ko) 2015-04-06 2015-04-06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598A true KR20160119598A (ko) 2016-10-14
KR102399487B1 KR102399487B1 (ko) 2022-05-17

Family

ID=5715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488A KR102399487B1 (ko) 2015-04-06 2015-04-06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4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738A1 (ko) * 2017-07-20 2019-01-24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24A (ja) * 1995-09-04 1997-03-11 Polytec Design:Kk 化粧用パフ
JP2003012457A (ja) * 2001-07-06 2003-01-15 Pola Chem Ind Inc 含浸化粧料
JP2003339432A (ja) * 2002-05-28 2003-12-02 Nippon Pafu Seizo Kk 絹繊維植毛パフ
KR20100024279A (ko) * 2008-08-25 2010-03-05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화장품용 퍼프 제조방법
KR20110007968U (ko) * 2010-02-05 2011-08-11 (주)아모레퍼시픽 두드림 도포구
JP2012095968A (ja) * 2010-11-05 2012-05-24 Kose Corp 化粧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24A (ja) * 1995-09-04 1997-03-11 Polytec Design:Kk 化粧用パフ
JP2003012457A (ja) * 2001-07-06 2003-01-15 Pola Chem Ind Inc 含浸化粧料
JP2003339432A (ja) * 2002-05-28 2003-12-02 Nippon Pafu Seizo Kk 絹繊維植毛パフ
KR20100024279A (ko) * 2008-08-25 2010-03-05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액상화장품용 퍼프 제조방법
KR20110007968U (ko) * 2010-02-05 2011-08-11 (주)아모레퍼시픽 두드림 도포구
JP2012095968A (ja) * 2010-11-05 2012-05-24 Kose Corp 化粧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738A1 (ko) * 2017-07-20 2019-01-24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487B1 (ko)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275B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US20230147462A1 (en) Impregnated cosmetic article with fibers and screen net
US10537500B2 (en) Cosmetic including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KR101764828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EP2837306A1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screen mes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8912386B (zh) 用于浸渍化妆品组合物的聚氨酯泡材
CN109788834A (zh) 用于化妆品的包装和分配组件
JP7071826B2 (ja) 内容物伝達力が改善された塗布具を含む化粧品
CN107580490A (zh) 包括具有层结构的一体型海绵的化妆品组合物载体
KR101609348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736372B1 (ko) 종단면 절단형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60119598A (ko)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CN110868888B (zh) 美容制品
KR20160140500A (ko) 망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37360B1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64B1 (ko) 화장용구
KR20150088039A (ko) 다공성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240052444A (ko) 천연 섬유 및 재생 섬유를 포함하는 친환경 구조체
KR20190068041A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508282B1 (ko) 복수의 화장료를 표현할 수 있는 화장용구
CN109640735A (zh)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KR20180105869A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80036583A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180036064A (ko) 압축영역을 가지는 담지유닛
WO2014046400A1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