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348B1 -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348B1
KR101609348B1 KR1020150146471A KR20150146471A KR101609348B1 KR 101609348 B1 KR101609348 B1 KR 101609348B1 KR 1020150146471 A KR1020150146471 A KR 1020150146471A KR 20150146471 A KR20150146471 A KR 20150146471A KR 101609348 B1 KR101609348 B1 KR 10160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smetic
film
cosmetic composition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규
강성수
차민지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14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348B1/ko
Priority to PCT/KR2016/003670 priority patent/WO2016200038A1/ko
Priority to US15/103,089 priority patent/US10632049B2/en
Priority to EP16727275.6A priority patent/EP3127530B1/en
Priority to JP2016078689A priority patent/JP6338613B2/ja
Priority to TW105113188A priority patent/TWI587874B/zh
Priority to CN201610368563.5A priority patent/CN106038325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개방부를 덮는, 막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탄력적인 막 형성 부재를 적용하여 스펀지 함침재 화장품 대비 휴대하기 편리하며, 용기의 부피를 적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내용량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Cosmetics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저점도의 유동성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형태의 탄성을 갖는 막 형성 부재에 의해 유동성이 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보존되고, 배출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저점도의 화장료가 고점도 화장료에 비해 사용시 발림성이 우수하고, 촉촉함이 뛰어나는 등 소비자들에게 전반적인 화장 만족도가 우수한 점을 발견하고, 이를 휴대 및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최근 화장료에서 유행하고 있는 쿠션류 제품들 역시 주로 저점도의 유동성 화장료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저점도의 내용물을 담지하기 위해 스펀지 형태의 함침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공개특허 10-2012-0108509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와 같이 스펀지 함침재는 내용물의 보존과 함께 사용이 편리하도록 설계되어 있어나, 스펀지가 차지하는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화장료를 많이 담으려면 용기가 커지는 문제와 함께 화장료의 잔량이 크게 발생되어 소비자들이 합리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지속사용 시 내용물 감소로 인해 스펀지 위로의 화장료 토출이 어려워 화장효과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용기를 작게 유지하려면 내용물을 많이 담을 수 없는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용기를 적게하고 내용물을 많이 담기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0587(유동성 화장료를 위한 탄성토출마개)과 같이 탄성 토출마개에 엠보싱 처리 및 칼집을 내어두는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이 역시 칼집 만으로는 저점도의 유동성 내용물이 운송 또는 휴대시 충격에 의해 누액되는 막을 수 없으며, 사용시 표면의 엠보싱에 의해 내용물이 엠보싱 사이에 잔존하게 되어 표면이 지저분해지거나 오염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고 잔량 또한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7583은 메시부가 구비된 휴대용 화장품에 대한 것으로,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를 저장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으나, 수용되는 화장품의 점도는 휴대성 및 저장성을 고려하여 적정 점도가 20,000 내지 40,000cPs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즉, 상기 범위보다 점도가 더 작은 경우는 저장하기 곤란하였다.
10-2012-0108509, 10-138058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고 저점도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보액성으로 휴대하기 편리하며, 화장료의 내용량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 외력에 의한 배출이 용이하여 화장료의 잔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탄력성이 우수하고 형태복원력이 우수한 체망 형태의 부재를 부가하여 항상 처음 사용하는 것처럼 외관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사용에도 우수한 화장 효과를 낼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저점도의 내용물을 담기위해 용기가 커지거나 화장료의 내용량이 적게되는 기존의 비표면적이 큰 스펀지 함침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재의 개방부를 덮는,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함침재 화장품에 있어서 함침재가 차지하는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화장료를 많이 담으려면 용기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용기를 작게 유지하려면 내용물을 많이 담을 수 없는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이 막 형성 부재를 거쳐 배출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장료의 표면에서 수막 또는 유막을 형성할 수 있는 부재의 적용을 통해 저점도의 화장료를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어 용기의 크기를 작게하거나 화장료의 내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잔량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지속 사용시에도 우수한 화장효과를 낼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유동성이 화장료 조성물을 의미하며, 액상(액체) 화장료로 대표될 수 있다. 현재 유동성이 큰 저점도(7000 cPs 이하) 화장료의 경우 휴대가 편리한 팩트 형태로 담지하기 위해서는 비표면적이 큰 스펀지 형태의 함침재를 이용하거나, 에어리스 형태의 팩트형 용기를 이용해야만 가능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본 발명자들은 고민을 거듭한 결과 흡수/흡유능을 지닌 막 형성 부재가 수막 또는 유막을 형성하여 저점도의 유동성이 큰 내용물들도 휴대 또는 운반 시 팩트 용기 내에서 잘 보존이 되고 사용 시에는 토출이 잘 되는 현상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의 저점도 화장료는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Synchro -Lectric Viscometer, USA)에서 스핀들 #4를 이용하여 30RPM으로 1분간 측정하여 점도가 1000 cPs 내지 7000 cPs 이하의 화장료로써, 점도가 1000 cPs 미만일 경우 내용물 보액성이 떨어져 누액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7000 cPs 초과일 경우 저점도 화장료의 장점인 발림성과 촉촉함 등 전반적인 화장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점도는 1000 cPs 내지 7000 cPs 이내로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2000 cPs 내지 6000 cPs 이내가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10,000 cPs 미만일 경우, 액상의 흐름성 때문에 용기를 밀폐하지 않는 이상, 내용물의 누액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업계에서는 상기 범위의 화장료 조성물을 휴대하기 위해서는 스펀지와 같은 함침재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을 통하여 막 형성 부재의 채용으로 상기 10,000 cPs 미만의 화장료 조성물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막 형성 부재는 탄성을 갖는 망체일 수 있다.
상기 탄성이라 함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질 때 형태의 변형이 있더라도, 외부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탄성은 막 형성 부재에 힘을 가하여 수용부재의 바닥면까지 힘을 가한 후 이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올 수 있는 힘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복원되는 경우라는 의미는 원래 형태의 70% 정도, 바람직하게는 80%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90%이상 회복되는 정도까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망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보액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토출 또는 배출이 가능한 통로가 많이 형성된 형태로, 섬유 등에 의해 형성된 격자 사이로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망, 메쉬, 등의 형태는 본 발명의 망체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막 형성 부재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른 수막 또는 유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막 형성 부재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누액을 방지하고 수용부재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사용 시 압력에 의해 내용물 토출이 용이하였다. 이는 막 형성 부재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계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유막 또는 수막 장력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결과로 생각되나, 반드시 이러한 이론에 제한하여 해석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막 형성 부재는 전체 두께가 0.4mm 내지 3mm 이내의 종이와 같은 면상태 일 수 있으며, 한겹 또는 두 겹 이상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막 형성 부재의 소재로는 섬유류, 발포된 고무류 및 발포된 폴리 우레탄류로 나뉠 수 있고, 단독으로 한겹 또는 두 겹 이상으로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섬유로 만든 복원력이 우수한 섬유원단을 이용하는 것이고, 아무리 촘촘하게 직조를 하여도 전체 두께가 0.4mm 미만일 경우에는 내용물 보액성이 떨어져 용기를 뒤집어 놓거나 세워 놓았을 때 내용물이 빠져나오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3mm 초과일 경우에는 원래의 목적인 휴대 및 편의성이 뛰어나도록 용기의 크기를 줄이거나 내용물의 용량을 높일 수 없으며 또한 잔량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0.4mm 이상 3.0mm 이하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6mm 이상 2mm 이하가 적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 형성 부재의 “막”이라 함은 화장료 조성물 표면에 생기는 계면 장력, 인력 등에 의해 형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수막 또는 유막뿐만 아니라 부재에 함침되어 생기는 표면막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막 형성 부재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의 막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형성된 막과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이 누액없이 잘 유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막 형성 부재의 경우 두께 이외에 기공의 크기, 탄력성 등도 수막 또는 유막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내용물을 잘 보존하고 사용시에는 전이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흡수능 또는 흡유능, 두께는 두꺼울수록, 기공의 크기는 작을수록 내용물의 보존 능력이 우수하였으며, 탄력성은 사용 후 시트형 막 형성 부재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섬유의 직조 방법이나 섬유의 종류 및 두께 또는 혼방 방법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특성 및 용기의 깊이에 따라 우수한 사용성과 잔량이 적을 수 있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의 경우 원사 자체를 코팅하여 표면특성을 개질시키거나 원단 자체를 코팅하여 표면특성을 개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는 화장료 조성물의 누액을 방지하는 지지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상부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기공의 크기가 넓어지면서 내용물이 토출되고, 힘을 제거하면 기공이 줄어들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인식되어온, '저점도 포어에 의해 누액이 발생하여 밀폐된 구조의 용기에만 수용될 수 있을 것' 이라는 생각에서 벗어난 획기적인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는 화장료 조성물의 누액 방지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지지체로서의 기능할 수 있고, 기공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토출과 토출중단을 반복한다는 점에서 토출 조절 기능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막 형성 부재는 섬유원단, 발포 고무 시트, 발포 우레탄 시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섬유원단은 섬유를 가공하여 천으로 제조한 것으로, 섬유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섬유는 대단히 길고 가늘며 연하게 굽힐 수 있는 천연 또는 인조의 선상(線狀) 물체로써 그 생성과정에 따라 대별하면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나누어진다. 천연섬유에는 식물섬유, 동물섬유, 광물섬유가 있으며, 식물섬유에는 면화(棉花), 케이폭면(kapok棉), 코이어(coier) 등의 종자섬유(種子纖維)와 마닐라삼, 사이잘삼 등의 엽맥섬유(葉脈纖維), 그리고 아마, 모시풀, 황마, 삼 등의 인피섬유(靭皮纖維)가 있고, 동물섬유에는 양모, 산양모, 낙타털, 캐시미어 등의 수모섬유(獸毛纖維)와 가잠견(家蠶絹), 야잠견(野蠶絹) 등의 견섬유(絹纖維)가 있다. 그리고 광물섬유에는 석면(石綿: 아스베스토스) 등이 있다. 인조섬유는 무기섬유(無機纖維)와 유기섬유(有機纖維)로 대별할 수 있는데, 무기섬유에는 금박사(金箔絲), 은박사 등의 금속섬유가 있고, 유리섬유, 암석섬유, 광재섬유(鑛滓纖維) 등의 규산염섬유가 있다. 유기섬유에는 재생섬유, 반합성섬유, 합성섬유로 나누어진다. 재생섬유로는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등의 섬유소섬유와 단백질섬유가 있고, 반합성섬유에는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등이 있으며, 합성섬유에는 폴리아마이드계로서 나일론섬유, 폴리에스터계로서 폴리에스터섬유, 폴리우레탄계, 폴리우레어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비닐리덴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폴리프로필렌계 등이 있으며 이들 섬유들 중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직조 방법에 따른 늘어나는 탄력이 부가된 것이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계 섬유와 폴리우레탄계 섬유의 일종인 스판덱스를 혼방하여 탄력을 부여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섬유를 이용해 시트 형태 원단을 제조하여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로 이용하는 것으로, 원단은 크게 조직에 의한 직물과 편물 그리고 부직포로 나눌 수 있다. 직물은 날실(경사)과 씨실(위사)이 직각으로 교차하면서 짜여 만들어지는 천으로 가장 기본적인 직물 조직이다. 교차점이 많은 조직이 튼튼한 옷감을 만들며 짜여지는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수자직이 있다. 평직은 날실과 씨실이 짜여지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촘촘하며 날실과 씨실이 한 올씩 교차한다. 교차점이 많기 때문에 강도가 강하고 실의 미끄러짐이 가장 작은 직물을 생산한다. 대표적인 직물로는 프레스코 오간디, 태프타, 머슬린 등이 있다. 능직은 날실과 씨실을 각각 두 올 이상씩 건너뛰어 사선이 나타나게 하는 직물이다. 약간 부드럽고, 쉽게 구겨지지 않는다. 조직과 밀도에 따라 매끄럽고 치밀하며 내구성이 강하다. 종류로는 데님, 드릴, 개버딘, 트윌, 트리코틴, 서지 등이 있다. 수자직은 날실이 네 올 또는 그 이상의 씨실 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매끄럽고 균일하며 광택이 있다. 종류로는 새틴, 다마스크, 애틀라스 등이 있다.
편물은 씨실과 날실이 직각으로 교차하여 천을 짜나가는 직물과 달리 젓가락형 또는 갈고리형 뜨게바늘을 써서 한가닥 실로 한개한개 코를 걸어서 짜나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실이 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최후의 마무리를 풀면 한가닥 실로 환원하는 특색이 있다. 또 2개 이상의 실이 서로 짜여 가는 그물,마크라메,레이스 등도 편물의 기법을 포함한다. 편물은 경편과 환편으로 나눌 수 있는 데 경편은 경사 방향(세로)으로 실이 급사되어 원단을 이루는 것인 반면, 환편은 위사 방향(가로)으로 실이 급사되어 원단을 이루는 것이다. 두 종류 모두 준비 공정 및 기계 등 원단이 이루어지기까지의 모든 과정이 서로 다르지만, 압박의류나 수영복에 사용되는 원단이 경편, 니트류가 환편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시트형 막 형성 부재는 직물이나 편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단은 기모의 유무와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원단 이외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는 발포된 고무 시트,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원단과 함께, 발포된 고무 시트,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된 고무류나 발포 폴리 우레탄류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으로 당업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SBR(styrene-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BR(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PE(polyethylene), PVA(polyvinyl alcohol), EVA(ethylene vinyl acet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 폴리 우레탄류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폴리부타디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단독 또는 혼합 발포 가공한 것일 수 있으며,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포 폴리 우레탄류는 본 발명의 범위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막 형성 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발포 고무류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을 발포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발포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발포제, 촉매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무는 일반적인 천연고무 또는 변성 천연고무일 수 있으며, 개질된 천연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무는 일반적으로 NR(natural rubber)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고무로서 알려진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고, 원산지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BR), 변성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변성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SB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명세서의 점도 범위를 갖는 유동성의 화장료 조성물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색소, 항산화제, 활성제, 보습제, 약제, 금속이온 봉쇄제, 다가 알코올, 방부제 및 향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막 형성 부재를 구비한 화장품은 화장료의 표면에 제형에 따른 유막 또는 수막을 형성, 유지 또는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은 탄력적인 막 형성 부재를 적용하여 스펀지 함침재 화장품 대비 휴대하기 편리하며, 용기의 부피를 적게 만들 수 있으면서도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내용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 시 외력에 의한 배출이 용이하고 화장료의 잔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깔끔하고 청결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다.
(a)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부재에 수용되기 전 사진이다.
(b)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부재에 수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c) 막 형성 부재와 화장료 조성물이 접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품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품과 스펀지 함침재를 적용한 화장품의 토출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저점도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제조
아래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유중수형 파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유상조에 유상 성분과 점증제를 넣고, 80℃로 열을 가하여 균일하게 한 후, 피그먼트를 넣고 분산시켰다. 수상조에는 수상 성분을 넣고, 80℃로 열을 가하여 원료를 완전히 용해시킨 후, 피그먼트가 분산되어 있는 유상조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유화하여 저점도 자외선 차단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40ml 안정성 용기에 내용물을 채운 후, 25℃챔버에 하루 이상 보관한 후, 브룩필드 LVII 점도계에 spindle 4번을 이용하여 30rpm에서 1분간 작동시킨 후 25℃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유상성분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7.0 16.0 15.0 27.0 12.0
헥실 라우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0 2.0 2.0 2.0 2.0
디메치콘 2.0 2.0 2.0 2.0 2.0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 7.0 7.0 7.0 7.0
피이지-10디메치콘 3.0 3.0 3.0 3.0 3.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1.5 1.5 1.5 1.5 1.5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0.5 0.5 0.5 0.5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피그먼트 착색 이산화티탄 9.0 9.0 9.0 9.0 6.0
초미립 이산화티탄 4.0 4.0 4.0 4.0 7.0
마이카 2.0 2.0 2.0 2.0 2.0
황색산화철 0.9 0.9 0.9 0.9 0.9
적색산화철 0.2 0.2 0.2 0.2 0.2
흑색산화철 0.1 0.1 0.1 0.1 0.1
수상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0 5.0 5.0 5.0 5.0
소금 1.0 1.0 1.0 1.0 1.0
트로메타민 1.6 1.6 1.6 1.6 1.6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닉 애씨드 2.7 2.7 2.7 2.7 2.7
점도(cPs) 1800 4,000 6,200 800 8,200
시트형 막 형성 부재 재질 두께(mm)
비교예 3 Nylon 0.06
비교예 4 Polyester 0.33
비교예 5 Polyester + Spandex 0.22
비교예 6 Cotton 3.28
실시예 4 Polyester 1.02
실시예 5 Polyester + Spandex 0.95
실시예 6 Polyester + Spandex 1.64
실시예 7 Cotton + Spandex 0.56
두께의 경우 버니어캘리퍼스(모델명:블루버드 디지털 캘리퍼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평가예]
상기 실시예 1, 2, 3을 통해 제조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펀지 함침재 화장료와 스펀지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형 막 형성 부재를 구비한 수용부재에 저장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다.
스펀지 함침재의 경우 시중에서 판매되는 쿠션류 형태의 용기(펌텍)와 스펀지(고려퍼프)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의 수용부재는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 함침재를 저장하는 용기와 동일한 용기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시트형 막 형성 부재는 실시예 4-7을 사용하였다.
실험예1 : 내용물 충진량 및 잔량 실험
내용물 충진량의 경우 동일 용기에 실시예 2의 내용물을 스펀지 함침재에 함침시키고, 시트형 막 형성 부재 (실시예 5 적용)를 구비한 수용부재에 저장한 후 용기를 수직으로 세웠을 때 내용물이 흐르거나 누액이 발생되지 않는 시점까지의 무게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잔량의 경우 동일 용기에 15g을 충진하여 함침시킨 후 퍼프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20대~40대의 여성소비자 20명에게 화장이 힘든 시점까지 사용하게 한 후 잔량의 비율을 측정하여 평균내었다.
내용물 충진량 (g) 잔량 (%)
스펀지 함침재 화장료 16.28 28.3
시트형 막 형성 부재를 구비한 수용부재에 저장된 화장료 조성물 20.42 13.3
그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내용물 충진량이 많아 동량 충진 시 용기의 디자인을 작게 할 수 있고, 사용 시 잔량이 낮아 소비자들이 내용물을 더욱 많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실험예2 : 내용물 토출량 실험
함침재 화장료의 경우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내용물이 함침재 표면에서 퍼프로의 전이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스펀지 함침재에 실시예 2의 내용물을 함침시키고, 실시예 5의 시트형 막 형성 부재가 구비된 화장품에 15g의 실시예 2 내용물을 저장한 후 20-40대의 여성소비자 20명에게 루비셀 퍼프를 이용하여 사용 시 마다 퍼프로 전이되는 함량을 측정하여 도 3에서와 같이, 그래프로 비교하였다. 사용 시 초기 5회의 경우 소비자에 따라 내용물 함량과 편차가 너무 커서 6회부터 사용 시부터 사용횟수에 따른 내용물 사용량을 측정하여 평균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품이 스펀지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보다 토출량이 많으며, 초기 토출량 대비 감소폭이 크지 않아 지속적인 사용에도 화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험예3 : 사용감 및 화장효과 실험
실시예 2의 내용물을 이용하여 스펀지 함침재 화장료(A)와 시트형의 막 형성 부재가(실시예 5 적용) 포함된 화장품(B)의 화장효과 및 사용감 비교 실험을 위해 20-40대의 여성소비자 20명에게 루비셀 퍼프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되 1주차, 3주차, 5주차 때의 발림성, 수분감, 커버력, 화장편의성, 화장효과 만족도를 각각 조사하였으며, 평가지수는 다음과 같다.
1 : 매우 나쁨
2 : 나쁨
3 : 일반적임
4 : 우수
5 : 매우 우수
1주차 3주차 5주차
A B A B A B
발림성 3.7 4.2 3.2 4.0 2.8 4.1
수분감 3.8 4.4 3.2 4.1 3.0 4.0
커버력 3.6 4.3 2.9 4.1 2.4 3.9
화장편의성 3.6 4.5 3.0 4.3 2.5 4.2
화장효과만족도 3.7 4.4 3.0 4.2 2.6 4.1
소비자 테스트 결과 실험예 2와 같이 우수한 토출량 때문에 B가 스펀지 함침재 화장료 보다 초기에도 만족도가 우수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월등히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실험예4 : 막 형성 부재의두께에 따른 누액 실험
상기 표 1과 같이 제조된 점도에 따른 15g의 내용물을 표 2와 같은 시트형 부재가 구비된 수용부재에 저장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누액 실험은 25도 항온조에 용기를 세워 놓았을 때 내용물이 시트형 막 형성 부재 밖으로 흘러나와 용기를 오염시키는지 아니면 흘러나오지 않고 용기가 깨끗하게 보존되는지 평가하였다.
화장료 내용물
막 형성 부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4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 발생 누액없음
실시예 5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 발생 누액없음
실시예 6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 발생 누액없음
실시예 7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없음 누액 발생 누액없음
비교예 3 누액발생 누액발생 누액발생 누액 발생 누액발생
비교예 4 누액발생 누액발생 누액발생 누액 발생 누액없음
비교예 5 누액발생 누액발생 누액발생 누액 발생 누액발생
누액 실험 결과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과 같이 점도가 1000cps 이하이거나, 비교예 3, 4, 5에서와 같이 막 형성 부재의 섬유 촘촘함에 상관없이 전체 두께가 0.4mm 이하일 경우에는 모두 누액이 발생하였다. 화장료의 점도가 높아지거나 막 형성 부재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누액에 대한 안정성은 높다. 단 비교예 6과 같이 3.0mm 이상을 이용할 경우 누액 안정성은 우수할 수 있으나 너무 두꺼워져서 같은 실험 용기에 체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강제 체결로 내용물 함침시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누액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험예5 : 내용물 점도에 따른 사용감 실험
상기 표 1과 같이 제조된 점도에 따른 내용물을 용기에 충진한 후 개방부를 막 형성 부재로 덮은 후(실시예 5) 시료를 준비하였다. 점도에 따른 사용감의 변화를 20-40대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함께 비교하였으며 평가지수는 실험예 3의 방법과 동일하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발림성 4.2 4.2 4.0 3.7 3.1
수분감 4.3 4.2 4.2 3.8 2.8
커버력 4.0 4.1 4.1 3.5 4.1
화장편의성 4.1 4.2 4.3 2.6 2.7
화장효과만족도 4.1 4.3 4.2 3.2 2.8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비교예 1과 같이 점도가 1000cps 이하로 매우 낮을 시에는 소비자들이 사용시 너무 낮은 점도 때문에 화장편의성과 화장효과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점도가 7000cps 이상의 비교예 2는 커버력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사용감 및 화장효과가 실시예 1-3에 비하여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1: 화장품
10: 수용부재
12: 개방부
20: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30: 막 형성 부재

Claims (13)

  1.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개방부를 덮는, 막 형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1,000 내지 7,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는 2,000 내지 6,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 부재는 탄성을 갖는 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 부재의 두께는 0.4 내지 3.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 부재는,
    섬유원단, 발포 고무 시트, 발포 폴리우레탄 시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원단은 천연섬유, 인조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면화, 케이폭면, 코이어, 마닐라삼, 사이잘삼, 아마, 모시풀, 황마, 삼, 양모, 산양모, 낙타털, 캐시미어, 가잠견, 야잠견, 석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섬유는 비스코스 레이온, 큐프라 레이온, 아세테이트, 트라이아세테이트, 나일론섬유, 폴리에스터섬유, 폴리우레탄계, 폴리우레어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비닐리덴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계,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섬유는 폴리에스터계 섬유와 스판덱스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고무 시트는 NR(Natural rubber),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변성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BR), 변성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 불소 고무, 실리콘 고무, 니트릴 고무, 수소화된 니트릴 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변성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염소화 폴리에틸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스티렌 고무(SBS),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폴리 우레탄 시트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폴리부타디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막 형성 부재는 한겹 또는 다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KR1020150146471A 2015-06-12 2015-10-21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60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71A KR101609348B1 (ko) 2015-10-21 2015-10-21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PCT/KR2016/003670 WO2016200038A1 (ko) 2015-06-12 2016-04-07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US15/103,089 US10632049B2 (en) 2015-06-12 2016-04-07 Cosmetic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ingredients
EP16727275.6A EP3127530B1 (en) 2015-06-12 2016-04-07 Cosmetic comprising low-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JP2016078689A JP6338613B2 (ja) 2015-06-12 2016-04-11 低粘度化粧料を含む化粧品
TW105113188A TWI587874B (zh) 2015-06-12 2016-04-27 包含低粘度化妝料的化妝品
CN201610368563.5A CN106038325B (zh) 2015-06-12 2016-05-30 包含低粘度化妆料的化妆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71A KR101609348B1 (ko) 2015-10-21 2015-10-21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09 Division 2015-06-12 2015-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348B1 true KR101609348B1 (ko) 2016-04-05

Family

ID=5580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471A KR101609348B1 (ko) 2015-06-12 2015-10-21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3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28B1 (ko) * 2015-06-12 2017-08-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8032840A1 (zh) * 2016-08-13 2018-02-22 谭华锋 一种复合植物胶的定型发胶
KR20190010496A (ko) * 2017-07-20 2019-01-30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20190093496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이노코아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US11000463B2 (en) 2017-03-03 2021-05-11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including liquid cosmetic impregnated into impregnated bod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827A (ja) * 2000-06-28 2002-01-15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KR200473939Y1 (ko) * 2013-10-21 2014-08-11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477583B1 (ko) * 2014-04-25 2014-12-3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메시부가 구비된 휴대용 화장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0827A (ja) * 2000-06-28 2002-01-15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KR200473939Y1 (ko) * 2013-10-21 2014-08-11 (주)아모레퍼시픽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477583B1 (ko) * 2014-04-25 2014-12-3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메시부가 구비된 휴대용 화장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828B1 (ko) * 2015-06-12 2017-08-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8032840A1 (zh) * 2016-08-13 2018-02-22 谭华锋 一种复合植物胶的定型发胶
US11000463B2 (en) 2017-03-03 2021-05-11 Shiseido Company, Ltd. Cosmetic including liquid cosmetic impregnated into impregnated body
KR20190010496A (ko) * 2017-07-20 2019-01-30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102085883B1 (ko) * 2017-07-20 2020-03-06 한국콜마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KR20190093496A (ko) * 2018-02-01 2019-08-09 주식회사 이노코아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KR102101505B1 (ko) 2018-02-01 2020-04-16 주식회사 이노코아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장용 폴리에스터계 우레탄 폼 함침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828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TWI587874B (zh) 包含低粘度化妝料的化妝品
KR101609348B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18183617A (ja) スクリーンネットを含む化粧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16680B2 (ja) 繊維およびスクリーン網を備えた含浸化粧用品
US20140023689A1 (en) Cosmetic including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KR101943840B1 (ko) 화장료 조성물 함침용 소재
JP2005119750A (ja) 滅菌剤を取り入れた多孔構造体を具備する収容且つ供給装置
KR20130116043A (ko)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CN113491637B (zh) 一种化妆品及其制备方法
KR20160146515A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16200040A1 (ko) 저점도 화장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99487B1 (ko) 원단으로 둘러싸인 함침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458122B1 (ko) 코스메틱 물품
KR20190068041A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209552587U (zh) 一种阳离子针织汗布
CN219614426U (zh) 含糖类同分异构体的锁水保湿型面膜基布及贴片式面膜
KR20200010001A (ko)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