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043A -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 Google Patents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043A
KR20130116043A KR1020130040343A KR20130040343A KR20130116043A KR 20130116043 A KR20130116043 A KR 20130116043A KR 1020130040343 A KR1020130040343 A KR 1020130040343A KR 20130040343 A KR20130040343 A KR 20130040343A KR 20130116043 A KR20130116043 A KR 2013011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cosmetic composition
container
discharge control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973B1 (ko
Inventor
최정선
최경호
김경남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13011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7/00Sachet pad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 및 상기 폼에 인접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Container f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oam}
본 발명은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산뜻한 사용감 및 우수한 퍼짐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그 점도를 낮게 조절한다. 하지만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은 유통 중 혹은 장기 보관 중에 용기 내에서 분리가 일어나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튜브 또는 펌프 용기에 제공하고 분리가 일어나면 사용자가 직접 흔들어서 혼합하여 사용토록 하였다.
그러나 흔들어 사용하는 것은 번거롭고, 용기 내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해결책이라 할 수 없다. 또한 기존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량 조절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배출 방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정용 폼의 사용 예를 보면, 저장용 폼의 경우, 내용물을 흡습, 담지, 배출 시키는 목적으로 잉크 카트리지에 사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저장용 폼으로 사용된다. 배출 조절용 폼은 포어 사이즈가 크며, 공기 혹은 물의 투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자동차, 에어컨, 물 파이프 내부의 물 정화 시스템, 아웃도어 용품의 쿠션 제품 등에 활용되고 있다. 종래 배출 조절용 폼의 화장품 적용 사례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함침재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 취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포구(예를 들어, 퍼프)가 반드시 필요했다. 즉 함침재와 도포구가 각각 필요했으며, 일체화되어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함침재와 도포구(퍼프)의 일체화를 통한 사용감 증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폼의 용도를 배출조절용 폼과 저장용 폼으로 구분하고, 이런 용도를 갖는 재질 및 물성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09-0100643호(2009.09.24. 공개)
본 발명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도 안정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의 기술을 화장품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저장용 폼은 내용물을 흡습, 담지,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며, 배출 조절용 폼은 저점도의 액상 화장료의 배출을 컨트롤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 및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0 내지 60의 경도 및 30 내지 1000㎛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고 폼의 1인치당 포어 수가 65 내지 130 (ppi)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65 내지 110의 경도 및 1100 내지 2500㎛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고 폼의 1인치당 포어 수가 10 내지 60 (ppi)인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도 안정하게 담지 및 충진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배출 방향도 쉽게 예측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따른 화장품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산뜻한 사용감과 우수한 퍼짐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폼(foam)"은 고무, 비닐, 폴리우레탄 등을 발포시킨 후 고화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펀지 모양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담체"는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매개체" 또는 "운반체"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담지능"은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담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충진력"은 우레탄 폼이 화장료 조성물을 충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레탄 폼에 일정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충진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출력"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우레탄 폼으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며, 많지도 적지도 않은 적절한 양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 및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0 내지 60의 경도 및 30 내지 1000㎛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고 폼의 1인치당 포어 수가 65 내지 130 (ppi)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65 내지 110의 경도 및 1100 내지 2500㎛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고 폼의 1인치당 포어 수가 10 내지 60 (ppi)인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과도한 양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도 안정하게 담지 및 충진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배출 방향도 쉽게 예측할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저장용 폼은 액상 내용물을 장기간 담지하고 있다가 적절한 힘에 의해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며, 배출 조절용 폼은 내용물이 원활하게 투과,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 조절용 폼을 적용함에 따라, 압력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적당량 및 적당한 속도로 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그 자체가 피부에 직접 닿아 화장료 조성물 도포 도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내후성, 내유성, 내광성, 내열성, 자외선 흡수제 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팽창이 잘되지 않는 스웰링(swelling) 방지의 성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후성은 빛, 풍우, 습기, 공기 중의 기체 등 자연환경의 작용에 견딜 수 있는 정도, 내광성은 빛에 견디는 정도, 내열성은 고온에 견디는 정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 조절용 폼은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한 우레탄 폼으로부터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양이 적절히 조절되도록 배출력을 컨트롤한다.
본 발명에서 저장용 폼은 내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성"은 우레탄 폼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키고 일정 온도 하에서 일정 시간 방치하였을 때 우레탄 폼이 녹거나 찢어지거나 팽창하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 조절용 폼 및 저장용 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마름모기둥, 별기둥, 반원기둥, 반삼각기둥, 반사각기둥일 수 있고, 배출 조절용 폼 및 저장용 폼의 형태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펌프, 튜브, 스틱(막대형) 또는 스탬프형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펌프형 용기는 내부가 진공 상태인 에어리스 펌프형 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배출 조절용 폼 및 저장용 폼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적은 배출 조절용 폼과 저장용 폼이 동일할 수도 있고, 배출 조절용 폼이 더 작거나 클 수 있다. 가로길이 또는 세로 길이 역시 배출 조절용 폼과 저장용 폼이 동일할 수도 있고, 배출 조절용 폼이 더 작거나 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출 조절용 폼 및 저장용 폼은 수용되는 용기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출 조절용 폼 및 저장용 폼은 전부 또는 일부가 맞닿아 있는 것이면 양 폼의 위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저장용 폼의 한쪽 또는 양쪽 면에 배출 조절용 폼이 얹어지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고, 또는 저장용 폼의 경계면에서부터 저장용 폼 내부 방향으로 5cm 이하인, 저장용 폼 내부 쪽에, 배출 조절용 폼이 함입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반대로 배출 조절용 폼의 경계면에서부터 배출 조절용 폼 내부 방향으로 5cm 이하인, 배출 조절용 폼 내부 쪽에, 저장용 폼이 함입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폼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 고무(NR),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부틸 고무(EVA), 라텍스, 실리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비닐알코올(PVA),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실리콘 폼은 실리콘계 엘라스토머로 제조한 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폼은 피막 가공 또는 플록(flock) 가공한 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피막 가공 폼은 고무, 폴리비닐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폼에 막을 입힌 것으로, 피막 가공 전 폼에 비해 일반적으로 셀의 크기가 작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플록 가공 폼은 고분자 폼에 섬유를 붙인 것이다. 상기 섬유는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및 레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코튼과 아크릴, 코튼과 레이온,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및 코튼, 아크릴과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저장용 폼은 에어리스, 튜브, 스틱, 스템프 용기 구조에 적용되므로, 저장용 폼의 부피가 커진다. 따라서 기존의 경도 보다는 낮은 경도이어야 하며, 일정한 압력 혹은 쉐어에 의해서 스퀴즈가 용이하고 배출이 잘 되는 물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함침 전 10 내지 60, 구체적으로 25 내지 60, 더 구체적으로 50 내지 60의 경도를 가지는 폼을 포함한다. 이때 경도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 전의 경도이다. 폼의 경도가 10 미만으로 너무 무르면 화장료 조성물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60을 넘어 너무 딱딱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원활하게 투과, 순환되지 않아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함침 전 65 내지 110, 구체적으로 65 내지 90, 더 구체적으로 65 내지 75의 경도를 가지는 폼을 포함한다. 이때 경도는 화장료 조성물 함침 전의 경도이다. 폼의 경도가 65 미만으로 너무 무르면 화장료 조성물이 과도하게 배출되고, 110을 넘어 너무 딱딱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쉽게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은 1인치당 포어 수가 65 내지 130, 구체적으로 65 내지 100, 더 구체적으로 70 내지 80 (ppi(pore per inch))인 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어 수는 WI-QA-14(ASTM 기준)를 이용하여 가로, 세로 1인치선상에 있는 포어의 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평균을 낸 수치일 수 있다. 1인치당 포어 수가 65 미만인 폼은 포어 수가 적어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어하기가 어렵고, 적정량의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시키기 곤란할 수 있으며, 1인치당 포어 수가 130을 넘는 폼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담지할 수 없어 화장료 조성물을 침전 또는 분리시킬 수 있고, 조성물의 배출을 제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그 1인치당 포어 수가 10 내지 60,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ppi(pore per inch))인 폼을 포함한다. 배출 조절용 폼은 60ppi 초과시 투과 및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내용물이 폼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다. 60ppi 이하의 배출 조절용 폼을 적용함에 따라, 압력으로 배출시키는 내용물이 적당량, 적정 속도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은 30 내지 1000㎛, 구체적으로 80 ㎛ 내지 1,000 ㎛, 더 구체적으로 80 ㎛ 내지 500 ㎛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는 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셀 크기"는 광학 현미경(NIKON ECLIPSE 80i)으로 측정한 수치일 수 있다. 폼이 상기 범위의 셀 크기를 가지는 경우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유지시킴에 있어 효과적이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1100 내지 2500㎛, 구체적으로 1600 ㎛ 내지 2,500 ㎛, 더 구체적으로 2000 ㎛ 내지 2500 ㎛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는 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폼은 오픈 셀(open c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폼이 클로즈드 셀(closed cell) 구조를 가지는 경우 기포가 폼 내에 갇혀 화장료 조성물이 용이하게 함침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오픈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오픈 셀은 그물망 구조를 말하고, 클로즈드 셀은 기포상으로 풍선과 같은 폼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내부의 압축되지 않은 저장용 폼이 화장료 조성물을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저장용 폼이 압축되면서 화장료 조성물을 배출하는 원리로 작동할 수 있다. 이 때,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이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보다 용기의 입구 쪽에 위치하여 저장용 폼으로부터 배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배출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 배출 정도 및 배출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폼, 구체적으로 2개 내지 5개의 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 10,000 cps 이하, 더 구체적으로 5,000 내지 10,000 cps, 또는 1 내지 5,000 cps, 보다 더 구체적으로 6,000 내지 9,000 cps 또는 1 내지 3,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용으로 사용될 때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 용기에 비해 높은 안정성 및 뛰어난 사용 편리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점도 측정 기기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점도는 LVDV Ⅱ+PRO 또는 RVDV III ULTRA, 스핀들 NO. 63 또는 스핀들 NO. 64, 속도 5 RPM 또는 12RPM으로 측정한 수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유액(fluid)형과 같이 유동성 있는 화장료 조성물도 안정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서, 유액형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으로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모두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로션, 에센스, 액체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파운데이션, 액체 블레미쉬 밤(Blemish Balm, BB) 또는 액체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화장료 조성물; 및 상기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품은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안정하게 담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히 배출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산뜻한 사용감과 우수한 퍼짐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의 조성과 같이, 5,000 내지 1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상 성분들을 녹이고, 이에 피그먼트를 투입하여 분산시켰다. 별도로 수상 성분들을 혼합한 다음 이를 준비한 유상 성분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5,000 내지 1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제조예로 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



유성 성분 오조케라이트 1.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0.00
자외선차단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00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50
유성 성분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6.00
유화제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000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1.500
피그먼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0
이산화티탄/산화철 7.00



To 100
유화안정제 소금 1.00
보습제 글리세린 8.00
0.2
합계 100
[실험예 1] 유형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의 효과 평가
폼을 포함하는 여러 용기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담고 각각에 대해 사용 편이성과 조성물 안정성, 충진능, 담지능 및 배출능을 평가하였다.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포함하는 펌프, 튜브, 스틱 및 스탬프형 용기이며, 비교예 1은 폼을 포함하지 않는 펌프형 용기이고, 비교예 2는 저장용 폼만을 포함하는 펌프형 용기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2는 저장용 폼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시켰다. 각 용기에 포함된 저장용 폼의 물성은 하기 표 2와 같고, 배출 조절용 폼의 물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저장용 폼의 물성 애스커 F형 경도 1인치당 포어 수(ppi) 셀 크기
45 80 800 ㎛
배출 조절용 폼의 물성 애스커 F형 경도 1인치당 포어 수(ppi) 셀 크기
80 45 1,500㎛
평가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다. 1인치당 포어 수는 WI-QA-14(ASTM 기준)를 이용하여 가로, 세로 1인치선상에 있는 포어의 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평균을 내는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셀 크기는 광학 현미경(NIKON ECLIPSE 80i)으로 측정하였다. 사용 편이성은 화장품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사용하도록 한 후 설문으로 평가하였다. 안정성은 온도 40℃에서 한달 보관시 분리 여부로 판단하였다. 충진능은 화장료 조성물 30g을 흡습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담지능은 온도 40℃에서 보관시 저장용 폼으로부터의 분리 여부를 관찰하였다. 배출능은 각각의 용기에 대한 일반 사용법 사용시 문제 여부를 관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폼 구성 - 저장용 폼 저장용 폼 + 배출 조절용 폼 저장용 폼 + 배출 조절용 폼 저장용 폼 + 배출 조절용 폼 저장용 폼 + 배출 조절용 폼
용기 유형 펌프 펌프 펌프 튜브 스틱 스탬프
사용 편이성 X
안정성 X
충진능 -
담지능 -
배출능 -
* 표 4에서 ◎는 매우 좋음, ○는 좋음, △는 보통 그리고 X는 나쁨을 의미한다.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예들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4의 사용 편이성과 조성물 안정성, 충진능, 담지능 및 배출능이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내지 4의 용기는 배출 조절용 폼을 포함함으로써, 비교예들에 비해 배출능이 현저히 뛰어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 용기와 달리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도 안정하게 담지 및 충진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도 쉽게 예측할 수 있으며,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점도 5,000 내지 10,000 cps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일반 튜브 용기와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적용한 용기에 충진 후 15일 후 배출 정도를 확인하였다. 지름 3파이, 50ml 튜브인 용기를 사용하였고, 저장용 폼은 애스커 F형 경도 45, 포어수 80ppi으로, 배출 조절용 폼은 애스커 F형 경도 80, 포어수 45ppi 을 사용하여 하기 비교예 3-5 및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준비하였다. 상기 저장용 폼 및 배출 조절용 폼 단독 각각에 압력 30파스칼을 튜브에 가할 때의 배출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 및 표 6에 나타냈다. 압력 30파스칼로 누를 때 1회 배출량은 0.15 내지 0.25가 적당하고, 그 미만은 사용가능한 배출량이 너무 적어지고, 그 초과는 지나치게 많아 사용이 불편하다. 비교예 3-5 및 실시예 5의 결과는 표 7에 나타냈다.
저장용 폼
경도 10 30 70 90
압력30파스칼 일 때 1회 배출량(g) 0.35 0.25 0.15 0.05
배출 조절용 폼
ppi 30 60 90
압력30 파스칼일 때 1회 배출량(g) 0.40 0.20 0.08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5
저장용 폼 미적용 경도 45, 80ppi 미적용 경도 45, 80ppi
배출 조절용 폼 미적용 미적용 경도80, 45 ppi 경도 80, 45 ppi
압력30 파스칼일 때1회 배출량(g) 점도가 낮아 배출량 조절이 어려움-0.6g 0.4g 내용물 분리 관찰됨 0.2g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미적용한 경우(비교예 3), 낮은 점도의 내용물이 분리됨을 관찰, 배출시 일정량 배출 조절이 어려워 계속적으로 내용물 배출되었다. 저장용 폼만을 적용한 경우(비교예 4), 압력 30 파스칼로 압력을 가하더라도 배출이 되지 않았다. 배출 조절용폼만을 적용한 경우(비교예 5), 저점도의 내용물이 분리되어 배출됨이 관찰되었으며, 저장용 폼과 배출 조절용 폼을 적용한 실시예 5에서는 적정량이 배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 및
    상기 폼에 인접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10 내지 60의 경도 및 30 내지 1000㎛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고 폼의 1인치당 포어 수가 65 내지 130 (ppi)이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은 애스커(ASKER) 경도기 F형(Type F) 기준으로 65 내지 110의 경도 및 1100 내지 2500㎛의 셀 크기(cell size)를 가지고 폼의 1인치당 포어 수가 10 내지 60 (ppi)인 화장료 조성물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 및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 중 하나 이상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 고무(NR),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부틸 고무(EVA), 라텍스, 실리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비닐알코올(PVA),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및 클로로프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폼은 피막 가공 폼 또는 플록(flock) 가공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플록 가공 폼은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및 레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으로 플록 가공한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배출 조절용 폼이 화장료 조성물 저장용 폼보다 용기의 입구 쪽에 위치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10,000 cps 이하의 점도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fluid)인 화장료 조성물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용기는 펌프, 튜브, 스틱 또는 스탬프형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10. 화장료 조성물; 및 제 1 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용기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30040343A 2012-04-13 2013-04-12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KR102023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615 2012-04-13
KR20120038615 2012-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043A true KR20130116043A (ko) 2013-10-22
KR102023973B1 KR102023973B1 (ko) 2019-09-23

Family

ID=49327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343A KR102023973B1 (ko) 2012-04-13 2013-04-12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85456B2 (ko)
EP (1) EP2837305B1 (ko)
JP (1) JP6203248B2 (ko)
KR (1) KR102023973B1 (ko)
CN (1) CN104363789B (ko)
TW (1) TWI632880B (ko)
WO (1) WO2013154399A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6650A1 (ko) * 2014-04-10 2015-10-15 (주)아모레퍼시픽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WO2016018118A1 (ko) * 2014-07-31 2016-02-04 한국콜마 주식회사 다공성 폼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60017594A (ko) 2014-07-31 2016-02-16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폼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6064234A1 (ko) * 2014-10-22 2016-04-28 (주)아모레퍼시픽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20160089553A (ko) 2015-01-18 2016-07-2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KR20160089554A (ko) 2015-01-18 2016-07-2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의 제조방법
WO2016105042A3 (ko) * 2014-12-22 2016-08-18 (주)에스엔피월드 발포 nbr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WO2016159473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포 고무 폼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002616A (ko) * 2014-06-13 2017-0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각질 표면 상의 처리 조성물의 침착을 위한 카트리지
WO2017078204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20170094998A (ko) * 2016-02-12 2017-08-22 (주)아모레퍼시픽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170136488A (ko) * 2017-12-04 2017-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20180087205A (ko) 2018-07-11 2018-08-01 주식회사 잇츠한불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WO2019108042A1 (ko) * 2017-12-01 2019-06-06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쉬 및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 세트
KR20190065174A (ko) * 2017-12-01 2019-06-11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쉬 및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 세트
US10603254B2 (en) 2011-03-24 2020-03-31 Amorepacific Corporatio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USRE48906E1 (en) 2012-04-12 2022-02-01 Amorepacific Corporatio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248B2 (ja) 2012-04-13 2017-09-27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化粧料組成物と化粧料組成物用容器とを有する化粧品
KR101525532B1 (ko) * 2015-01-15 2015-06-11 (주)씨아이티 화장품용 함침폼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23103B1 (ko) 2015-04-3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전달력이 개선된 도포구
KR101775947B1 (ko) * 2015-12-10 2017-09-07 (주)아모레퍼시픽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스틱타입 아이리무버
EP3638072A4 (en) 2017-06-15 2021-04-07 Porex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ED POROUS FIBROUS MEDIUM SHOWING DISTINGUISHING FIBER DIAMETERS OR DENS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086A (ja) * 2003-10-17 2007-04-05 ロレアル 化粧品用製品アプリケータ
KR20090100643A (ko)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423A (ja) * 1982-12-22 1984-07-05 Toray Ind Inc 耐炎化繊維もしくは炭素繊維の製造法
FR2754985B1 (fr) * 1996-10-31 1999-01-08 Oreal Applicateur de produit delitable et ensemble d'application comportant un tel applicateur
JP4014022B2 (ja) * 1999-04-05 2007-11-28 株式会社資生堂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FR2800041B1 (fr) 1999-10-22 2001-12-07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liquide
FR2810859B1 (fr) * 2000-06-28 2002-09-06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ayant une surface d'application alimentee de maniere privilegiee en produit
FR2820622B1 (fr) * 2001-02-13 2003-10-31 Oreal Ensemble applicateur, notamment d'un produit de maquillage, et kit d'application
FR2823726B1 (fr) * 2001-04-20 2003-06-27 Oreal Ensemble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pplication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ou de soin
JP2003231197A (ja) * 2002-02-07 2003-08-19 Inoac Corp 多層通気性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4062423A1 (en) * 2003-01-14 2004-07-29 Unilever Plc Applicator for liquid cosmetic compositions
CN101909478B (zh) * 2008-01-11 2013-01-02 吉列公司 流体递送系统
JP6203248B2 (ja) 2012-04-13 2017-09-27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化粧料組成物と化粧料組成物用容器とを有する化粧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8086A (ja) * 2003-10-17 2007-04-05 ロレアル 化粧品用製品アプリケータ
KR20090100643A (ko) 2008-03-20 2009-09-24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3254B2 (en) 2011-03-24 2020-03-31 Amorepacific Corporatio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US10925812B2 (en) 2011-03-24 2021-02-23 Amorepacific Corporation Urethane foam for use in impregnating cosmetic composition
USRE48906E1 (en) 2012-04-12 2022-02-01 Amorepacific Corporatio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USRE49062E1 (en) 2012-04-12 2022-05-10 Amorepacific Corporation Foam having improved feeling during use
US20180360730A1 (en) * 2014-04-10 2018-12-20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ntaining foam as carrier
US10675237B2 (en) 2014-04-10 2020-06-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ntaining foam as carrier
US10092498B2 (en) * 2014-04-10 2018-10-09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ntaining foam as carrier
KR20150119832A (ko) 2014-04-10 2015-10-26 (주)아모레퍼시픽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US20170112752A1 (en) * 2014-04-10 2017-04-27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ntaining foam as carrier
WO2015156650A1 (ko) * 2014-04-10 2015-10-15 (주)아모레퍼시픽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002616A (ko) * 2014-06-13 2017-01-06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각질 표면 상의 처리 조성물의 침착을 위한 카트리지
KR20160017594A (ko) 2014-07-31 2016-02-16 한국콜마주식회사 다공성 폼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6018118A1 (ko) * 2014-07-31 2016-02-04 한국콜마 주식회사 다공성 폼 및 이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6064234A1 (ko) * 2014-10-22 2016-04-28 (주)아모레퍼시픽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20160047416A (ko) * 2014-10-22 2016-05-02 (주)아모레퍼시픽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WO2016105042A3 (ko) * 2014-12-22 2016-08-18 (주)에스엔피월드 발포 nbr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9554A (ko) 2015-01-18 2016-07-2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의 제조방법
KR20160089553A (ko) 2015-01-18 2016-07-28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WO2016159473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포 고무 폼에 함침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WO2017078204A1 (ko) * 2015-11-06 2017-05-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20170094998A (ko) * 2016-02-12 2017-08-22 (주)아모레퍼시픽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190065174A (ko) * 2017-12-01 2019-06-11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쉬 및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 세트
WO2019108042A1 (ko) * 2017-12-01 2019-06-06 (주)아모레퍼시픽 브러쉬 및 담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도포 세트
KR20170136488A (ko) * 2017-12-04 2017-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선된 함침재를 구비한 메이크업 화장품
KR20180087205A (ko) 2018-07-11 2018-08-01 주식회사 잇츠한불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85456B2 (en) 2017-03-07
KR102023973B1 (ko) 2019-09-23
EP2837305B1 (en) 2018-10-31
WO2013154399A1 (ko) 2013-10-17
TW201402041A (zh) 2014-01-16
CN104363789A (zh) 2015-02-18
CN104363789B (zh) 2018-01-30
JP2015512742A (ja) 2015-04-30
JP6203248B2 (ja) 2017-09-27
TWI632880B (zh) 2018-08-21
US20150078802A1 (en) 2015-03-19
EP2837305A4 (en) 2015-12-09
EP2837305A1 (en)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973B1 (ko)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KR102073275B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033451B1 (ko) 도포용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KR102587332B1 (ko)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KR101562221B1 (ko)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KR20130116044A (ko)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CN107708656A (zh) 紫外线隔离用化妆品组合物
US10869533B2 (en) Applicator having improved contents transfer ability
KR102552775B1 (ko)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20210030530A (ko) 가변적인 점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00044276A (ko)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