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205A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Google Patents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7205A KR20180087205A KR1020180080622A KR20180080622A KR20180087205A KR 20180087205 A KR20180087205 A KR 20180087205A KR 1020180080622 A KR1020180080622 A KR 1020180080622A KR 20180080622 A KR20180080622 A KR 20180080622A KR 20180087205 A KR20180087205 A KR 201800872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tton
- cosmetic
- container
- cosmetics
- absorb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솜을 충전한 후 에멀젼, 액, 고형, 파우더 타입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솜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때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변형이 가능하여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솜에 화장료가 흡수된 화장품은 솜의 지지 효과에 의해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안정하게 보호되어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으며, 용기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제형에 관계없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화장품 제조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솜을 충전한 후 에멀젼, 액, 고형, 파우더 타입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는 용기에 담아 판매하고 배송하고 보관하고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화장품 용기는 제품에 따라 특성에 맞게 다양한 것이 이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제형이나 점도에 적합한 용기가 정해져 있어 다른 용기를 사용할 경우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사용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스킨, 로션 등은 화장수 병에 충전하며, 에센스,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은 펌핑이나 에어리스 용기에 충전하며, 크림, 비비크림, 썬크림, 립글로스 등은 튜브나 자(jar) 용기에 충전하며, 컨실러는 다이알 용기에, 아이섀도, 블러셔, 팩트, 트웨이케익 등은 접시나 팩트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일반화된 사실이다.
최근, 화장품의 제형과 사용감이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또는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또는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용기에 대한 고정관념을 깰 필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00643, 10-2012-0108509, 10-2012-0065982, 10-2013-0001688, 10-2013-0116182, 10-2013-0116043, 10-2013-0116044, 10-2013-0116205, 10-2014-0038880, 10-2014-0094485, 10-2014-0097078에서는 팩트 용기에 스펀지 형태의 발포시킨 폼을 넣고 저점도 화장료를 충전하여, 전통적으로 저점도 에멀젼은 화장수 병을 사용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저점도 제품은 안정성이 나빠서 상이 분리되기 때문에 흔들어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을 개선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펀지 형태의 발포시킨 폼은 재단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고, 원하는 형태로 한번 재단하면 정해진 용기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수없이 많은 용기가 존재함에도 용기마다 장착 가능한 스펀지 형태의 발포시킨 폼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은 용기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떠한 용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9987에서는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특허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공개특허에서 스크린망은 설치 목적이 오로지 화장료 배합량을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화장품에는 수없이 많은 용기가 존재함에도 반드시 용기의 화장료 상부에 스크린망을 설치하여야 사용할 수 있는 팩트 용기에 스크린망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크린망을 장착할 때에만 발명이 유효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에 비하여 본 발명은 스크린망이 없어도 유효하고, 스크린 망과 관계없이 용기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떠한 용기에든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들은 화장료를 오로지 다공성 발포 폼의 포어에 함침시키기 때문에 발포 폼의 포어 크기나 비율에 매우 의존적이어서 함침되는 화장료의 양에 한계가 있으며, 포어 내부로 들어가지 못한 화장료는 상기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전혀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개특허들에서 말하는 "다공성"이란 통상적으로 고체가 내부 또는 표면에 작은 포어를 많이 가진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해면과 같이 하나로 연결된 고체상 몸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작은 포어를 많이 갖고 있는 것을 "다공성 물질"이라고 하며, 상기 발명들과 같이 고체상태로 연결된 하나의 덩어리에 많은 포어가 있는 우레탄 폼이 다공성 물질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김병희, 이화학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발행, 214쪽, 1996).
한편, 에멀젼 타입뿐만 아니라 액, 젤, 유분산, 수분산, 고형 타입 화장료는 여러 가지 원료를 브랜딩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장료 특성상 언제든지, 극단적으로는 언젠가는,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은 화장품 개발의 영원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당업계의 일반적인 시도는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만일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개선 이외의 방법으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떤 용기에든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화장품 용기 비용이 낮아져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를 비롯한 환경과 공공의 이익에 기여할 수 있고 화장품 용기의 전통적인 고정관념이 무너져 다양한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솜을 충전한 후 에멀젼, 액, 고형, 파우더 타입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여 솜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을 높여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고,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화장품 용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을 개발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솜을 충전할 수 있고, 솜을 충전하기 전 또는 후에 화장료를 솜에 흡수시킨 형태의 화장품을 제공하여 솜에 의해 제형의 안정성을 높여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고,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용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결과적으로 화장품 용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란 인체를 청결ㆍ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ㆍ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에 대하여 화장 효과를 발휘하는, 일반적으로 조성물로 표현되는, 내용물을 말하며, "화장품"이란 화장료가 용기에 수용되었거나 또는 화장료 자체로 소비자가 사용 가능한 상태의 물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솜”이란 식물, 동물 또는 이들의 부산물에서 채취한 것 자체이거나, 또는 채취 후 가공 또는 개질한 것이거나, 또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섬유상 가닥으로 되어 있는 털 모양 또는 실 모양이거나 깃털 모양을 갖는 것의 뭉치를 총칭하며, 하기 표현에서 "솜"은 "솜 뭉치"를 의미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다공성"이란 고체가 내부 또는 표면에 작은 포어를 많이 가진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다공성 물질"은 해면과 같이 하나의 연결된 고체상태의 몸체 표면 또는 내부에 작은 포어를 많이 갖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여기서 다공성 물질의 포어는 셀, 기공, 구멍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다공성 물질로는 포어가 많이 있는 연결된 한 덩어리의 우레탄 폼이 좋은 예라 할 수 있다(김병희, 이화학사전, 한국사전연구사 발행, 214쪽, 1996).
그러나 포어는 서로 완전히 분리된 고체와 고체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몸체로 구성된 다공성 물질의 몸체와 몸체 사이에 비어있는 공간은 다공성 물질에 속하는 포어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다공성 솜 가닥의 몸체에 있는 포어가 아닌, 또는 솜 가닥의 표면 또는 내부에 있는 포어도 아닌, 솜의 분리된 가닥과 가닥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 또는 한 개 이상의 가닥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지는 비어있는 공간에 화장료를 위치시키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별도의 특별한 기재가 없어도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다"는 것은 화장료와 솜을 접촉시켜서 솜의 분리된 가닥과 가닥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 또는 한 개 이상의 가닥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지는 비어있는 공간에 화장료를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도 1에 솜 가닥 사진과, 솜의 분리된 가닥과 가닥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 또는 한 개 이상의 가닥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지는 비어있는 공간에 화장료가 위치한 사진을 나타내지만, 화장료가 흡수된 모양과 화장료가 흡수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불필요한 반복적인 설명으로 복잡해지는 명세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깃털 솜에 한하여 깃털 한 개를 한 개의 솜 가닥으로 간주하여, 깃털 솜을 표현할 때마다 별도로 표기해야 하는 불필요한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병에서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키는 방법에는 용기에 솜을 충전한 후 충전된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키거나, 용기에 화장료를 충전한 후 솜을 채워 화장료를 흡수시키거나,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후 화장료가 흡수된 솜을 용기에 충전하는 방법 중 한 가지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화장품 용기로는 튜브, 진공, 펌핑, 딥밸브, 스틱, 자(jar), 접시, 팩트, 다이알 용기 중 한 가지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튜브 용기는 필름 재질의 관 모양의 한쪽 끝에 토출구가 있는 용기로 화장료를 내부에 채운 후 반대쪽 끝을 마감하는 형태의 용기로 썬크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진공 용기는 하부에 피스톤이 달려서 내용물을 토출할 경우 피스톤이 스스로 상승하여 빈 공간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공기가 차지 않는 형태의 용기로 에센스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펌핑 용기는 토출구에 압력으로 동작하는 수동 펌프가 달린 용기로 비비 크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딥밸브 용기는 밸브 용기의 토출구로부터 긴 대롱이 용기 바닥 쪽을 향하여 달려 있는 용기로 로션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스틱 용기는 스크류를 회전시키면 봉상의 화장료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되는 용기로 립스틱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자(jar) 용기는 움푹 들어간 항아리 모양의 용기로 크림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접시 용기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화장료를 담을 수 있는 납작한 형태의 용기로 섀도우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팩트 용기는 내부에 접시를 넣을 수 있는 뚜껑이 달린 용기로 투웨이 케익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하며, 다이알 용기는 용기에 달린 다이알을 돌리면 스크류가 이동하면서 화장료를 토출구로 밀어내는 형태의 용기로 립글로스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용기를 말한다. 당업계에서 상기의 용기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로 당업자들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에 용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을 나타내지만, 용기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도면에 있는 용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는 솜으로는, 면화(cotton) 솜, 탈지면(absorbent cotton), 아마 솜, 대마 솜, 저마 솜, 양모(wool) 솜, 깃털(down) 솜, 명주(silk) 솜, 비스코스레이온(viscos rayon) 솜, 폴리노직레이온(polynosic rayon) 솜, 리오셀(lyocell) 솜, 폴리락틱(polylactic acid) 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솜, 폴리카프로락탐(polycaprolactam, Nylon 6) 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포아미드(polyhexamethylene adipamide, Nylon 6,6) 솜,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솜,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솜,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폴리염화비닐리덴,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솜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솜은 일정한 모양을 갖추고 있지 아니하고 어떠한 화장품 용기에도 용기에 맞게 변형이 가능하여 손쉽게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솜은 솜 가닥 길이와 굵기에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므로,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제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에멀젼, 액, 고형, 파우더 타입 화장료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에멀젼은 수중유, 유중수, 수중유중수, 유중수중유 타입 중 한 가지 이상일 수 있으며, 액은 수분산, 젤, 유분산 타입 중 한 가지 이상일 수 있으며, 고형은 납상스틱, 납상케익 타입 중 한가지 이상일 수 있으며, 파우더는 분말, 압축분말 타입 중 한가지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중유 에멀젼은 외상이 물이고 내상이 오일인 에멀젼이고, 유중수 에멀젼은 외상이 오일이고 내상이 물인 에멀젼이며, 수중유중수 에멀젼은 최외상과 최내상이 물이고 중간상이 오일인 에멀젼이고, 유중수중유 에멀젼은 최외상과 최내상이 오일이고 중간상이 물인 에멀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썬크림, 오일,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씨씨크림, 컨실러,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틴트, 립글로스, 립스틱, 스킨커버, 밤,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블러셔, 팩트, 트웨이케익 중 한 가지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솜 중량에 대하여 10 ∼ 100,000 중량%까지 흡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액 타입 화장료의 경우 본 발명을 실시한 화장품에 대하여 사람의 힘으로 화장료를 용기 밖으로 전량 토출시켰을 때 잔존하는 화장료의 최소량이 솜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고형과 파우더 타입 화장료의 경우 솜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하를 흡수시킬 경우 화장품으로 성형하기가 어려웠다. 여기서 "토출"이란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에서 화장료를 일정량 짜내는 것을 말한다.
다공성 물질의 포어 내부용량을 초과하여 화장료를 충전할 경우 초과하는 화장료가 하나의 몸체로 연결된 다공성 물질 외부에 존재하게 되어 다공성 물질에 의한 유용한 효과를 얻기 어려운 것과 달리, 솜 중량에 대하여 화장료를 100,000 중량% 이하로 흡수시킬 경우 솜은 하나의 몸체로 연결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부풀어 올라 솜의 분리된 가닥과 가닥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 또는 한 개 이상의 솜 가닥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지는 비어있는 공간에 화장료가 흡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없었다. 솜 중량에 대하여 100,000 중량%를 초과하여 화장료를 흡수시킬 경우 솜을 사용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솜에 의한 유용한 효과를 얻기 어려웠다.
이때 흡수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흡수율(중량%) = (화장료 중량 ÷ 솜 중량) × 100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한 솜이 충전된 화장품은 토출구를 통해 솜 가닥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토출구와 솜 사이에 망 구조물, 또는 솜 내부에 격자 망 구조물, 또는 솜 외부에 망 구조물 중 한가지 이상을 더 위치시킬 수 있다.
토출구와 솜 사이에 더 위치할 수 있는 망 구조물, 또는 솜 내부에 더 위치할 수 있는 격자 망 구조물, 또는 솜 외부에 더 위치할 수 있는 망 구조물은 화장료 토출 시 밀려나올 수도 있는 솜이 토출구를 막아 내용물의 토출을 방해할 수도 있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한 솜이 충전된 화장품은 화장료를 흡수하지 않은 솜 자체 또는 화장료를 흡수한 솜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공정을 단순하고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솜 내부에 격자 망 구조물 또는 솜 외부에 망 구조물 중 한가지 이상을 더 위치시킬 수 있다.
솜 내부에 격자 망 구조물, 또는 솜 외부에 망 구조물을 더 위치시키면 화장료를 흡수하기 이전의 솜 자체 또는 화장료를 흡수한 솜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공정이 더 단순해지고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은 손이나 별도의 도포구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솜에 화장료가 흡수된 화장품은 솜의 지지 효과에 의해 화장료의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안정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솜의 지지 효과에 의해 화장료의 안정성이 향상되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용기의 제한이 사라져 제형에 관계없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화장품 용기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솜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때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변형이 가능하여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솜에 화장료가 흡수된 화장품은 솜의 지지 효과에 의해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안정하게 보호되어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으며, 용기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제형에 관계없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화장품 제조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솜에 대한 화장료 흡수 전과 흡수 후의 현미경 사진
도 2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 사진
도 3은 비교예 46과 실시예 46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4는 비교예 10과 실시예 10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2는 다양한 화장품 용기 사진
도 3은 비교예 46과 실시예 46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4는 비교예 10과 실시예 10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 실시예는 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 화장품이고, 별도의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실시예와 동일한 번호를 갖는 비교예는 실시예와 동일한 화장료를 사용하여 솜 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 시험을 진행한 일반적인 화장품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기재범위 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하기 원료에서 슬래시( / )는 슬래시 좌우에 있는 원료가 함께 혼합되어 하나의 원료로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혼합되었다는 것은 단순 혼합물과 물리적으로 결합된 복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배합비율은 좌우 어느 한가지 원료의 함량이 0% 또는 100%를 제외한 모든 배합비율이 될 수 있으며, 당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표기방법임은 당업자에게는 주지의 사실이다.
에멀젼은 유화기(T. K. Robo Mics, SN 957015B, Tokushu Kika Kogyo Co., 일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교반은 교반기(Heidon mixer, Model BL 1200, 新東科學 Co., 일본)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립스틱의 경도는 레오메터(Sun Rheo meter CR-200D, adapter: No.10, 60 mm/min, 2 kg,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파우더 타입의 압축성형은 유압타정기(Interpack Korea, 한국)로 수행하였고, 경도는 경도계(Zwick Materials Tasting 3100,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외관 사진은 디지털 카메라(Model DSC T-30, Sony Co., 일본)를 이용하였고, 현미경 사진은 위상차 현미경(Model BXF4, Olympus Co., 일본) 및 디지털 영상분석기(Model TK-C1380U, Olympus Co., 일본)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안정성이 비교적 좋지 않은 처방으로 화장료를 만들어 비교예로 사용하였고, 동일한 화장료를 솜에 흡수시켜 안정성 향상 여부를 비교하였다.
1. 화장료의 제조
1) 화장료 1 : 스킨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부틸렌글라이콜 | 10 |
2 | 에탄올 | 10 |
3 | 글리세린 | 5 |
4 | 향료 | 5 |
5 |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 1 |
6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제조방법: 원료 1 ∼ 6을 모두 함께 칭량한 후 상온에서 교반기로 10분간 400 rpm으로 균일혼합하여 밀폐 보관한다.
2) 화장료 2 : 로션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2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3 | 카보머 | 0.01 |
4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20.00 |
5 | 폴리소르베이트60 | 0.50 |
6 | 트리에탄올아민 | 0.05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원료 3을 투입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수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4 ∼ 5(유상)를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하고, 여기에 원료 6을 투입하여 증점한 후 밀폐보관한다.
3) 화장료 3 : 크림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글리세린 | 10.00 |
2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3 | 카보머 | 0.10 |
4 | 디메치콘 | 20.00 |
5 | 쉐어버터 | 2.00 |
6 | 폴리소르베이트20 | 0.50 |
7 | 트리에탄올아민 | 0.10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60℃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원료 3을 투입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수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하고 60℃로 가온한 원료 4 ∼ 6(유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하고, 여기에 원료 7을 투입하여 증점한 후 냉각하여 밀폐보관한다.
4) 화장료 4 : 에센스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글리세린 | 15.00 |
2 |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 10.00 |
3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4 | 카보머 | 0.07 |
5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15.00 |
6 | 폴리소르베이트60 | 0.30 |
7 | 트리에탄올아민 | 0.07 |
제조방법: 원료 1 ∼ 3을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원료 4를 투입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수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5 ∼ 6(유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하고, 여기에 원료 7을 투입하여 증점한 후 밀폐보관한다.
5) 화장료 5 : 썬크림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2 | 카보머 | 0.15 |
3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10.00 |
4 |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 5.00 |
5 |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 2.00 |
6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 1.00 |
7 | 폴리소르베이트20 | 0.30 |
8 | 트리에탄올아민 | 0.15 |
제조방법: 원료 1을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2를 투입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수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3 ∼ 7(유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하고, 여기에 원료 8을 투입하여 증점한 후 밀폐보관한다.
6) 화장료 6 : 오일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디메치콘 | 30.00 |
2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30.00 |
3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4 | 에탄올 | 10.00 |
5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여 유상을 제조하고, 유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3 ∼ 5(수상)를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밀폐보관한다.
7) 화장료 7 : 메이크업 베이스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디메치콘 | 40.00 |
2 | 피이지-10디메치콘 | 1.00 |
3 | 티타늄디옥사이드 | 3.00 |
4 | 크로뮴옥사이드그린 | 0.10 |
5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6 | 소듐클로라이드 | 0.50 |
7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3 ∼ 4를 투입하여 유상을 제조하고, 유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5 ∼ 7(수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밀폐보관한다.
8) 화장료 8 : 프라이머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100으로 한다. |
2 | 디메치콘 | 30.00 |
3 |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10.00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원료 3을 투입하고 10분간 2,000 rpm으로 균일교반한 후 밀폐보관한다.
9) 화장료 9 : 파운데이션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디메치콘 | 40.00 |
2 | 피이지-10디메치콘 | 1.00 |
3 | 티타늄디옥사이드 | 10.00 |
4 | 황색산화철 | 0.80 |
5 | 적색산화철 | 0.50 |
6 | 흑색산화철 | 0.20 |
7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8 | 소듐클로라이드 | 0.50 |
9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3 ∼ 6을 투입하여 유상을 제조하고, 유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7 ∼ 9(수상)를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밀폐보관한다.
10) 화장료 10 : 비비크림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디메치콘 | 20.00 |
2 | 쉐어버터 | 5.00 |
3 | 피이지-10디메치콘 | 1.00 |
4 | 티타늄디옥사이드 | 5.00 |
5 | 황색산화철 | 0.50 |
6 | 적색산화철 | 0.20 |
7 | 흑색산화철 | 0.10 |
8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9 | 소듐클로라이드 | 0.50 |
10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제조방법: 원료 1 ∼ 3을 함께 칭량하고 60℃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4 ∼ 7을 투입하여 유상을 제조하고, 유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고 60℃로 가온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8 ∼ 10(수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11) 화장료 11 : 씨씨크림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2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3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0.30 |
4 | 디메치콘 | 10.00 |
5 | 폴리소르베이트20 | 1.00 |
6 | 티타늄디옥사이드 | 5.00 |
7 | 황색산화철 | 0.50 |
8 | 적색산화철 | 0.20 |
9 | 흑색산화철 | 0.10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3을 투입하여 수상을 준비하고, 별도로 함께 칭량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4 ∼ 5를 상온에서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면서 원료 6 ∼ 9를 투입하여 유상을 제조하고, 유화기로 수상을 교반하면서 유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밀폐보관한다.
12) 화장료 12 : 컨실러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디메치콘 | 40.00 |
2 |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2.00 |
3 | 피이지-10디메치콘 | 1.00 |
4 | 티타늄디옥사이드 | 10.00 |
5 | 황색산화철 | 0.80 |
6 | 적색산화철 | 0.50 |
7 | 흑색산화철 | 0.20 |
8 | 부틸렌글라이콜 | 10.00 |
9 | 소듐클로라이드 | 0.50 |
10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제조방법: 원료 1 ∼ 3을 함께 칭량하고 80℃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4 ∼ 7을 투입하여 유상을 제조하고, 유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고 80℃로 가온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8 ∼ 10(수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13) 화장료 13 : 마스카라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2 |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20.00 |
3 | 폴리비닐알코올 | 2.00 |
4 | 흑색산화철 | 10.00 |
5 | 비즈왁스 | 10.00 |
6 | 카르나우바왁스 | 10.00 |
7 | 폴리소르베이트60 | 1.00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80℃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3 ∼ 4를 투입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수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고 80℃로 가온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5 ∼ 7(유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14) 화장료 14 : 아이라이너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2 |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40.00 |
3 | 폴리비닐알코올 | 1.00 |
4 | 벤토나이트 | 1.00 |
5 | 흑색산화철 | 20.00 |
6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1.00 |
7 | 세테아릴올리베이트 | 1.00 |
8 | 폴리소르베이트60 | 0.50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60℃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며 원료 3 ∼ 5를 투입하여 수상을 제조하고, 수상을 유화기로 교반하면서 별도로 함께 칭량하고 60℃로 가온하여 균일혼합한 원료 6 ∼ 8(유상)을 투입하여 10분간 2,000 rpm으로 유화한 후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15) 화장료 15 : 틴트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정제수 | 100으로 한다. |
2 | 글리세린 | 30.00 |
3 | 적색2호 | 0.10 |
4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0.50 |
제조방법: 원료 1 ∼ 2를 함께 칭량하고 상온에서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원료 3을 투입하여 균일분산시킨 후, 원료 4를 투입하여 상온에서 교반기로 10분간 400 rpm으로 균일혼합하여 밀폐보관한다.
16) 화장료 16 : 립글로스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100으로 한다. |
2 |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 30.00 |
3 | 폴리부텐 | 30.00 |
4 |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5.00 |
5 | 티타늄디옥사이드 | 0.50 |
6 | 적색202호 | 0.20 |
제조방법: 원료 1 ∼ 6을 함께 칭량하고 80℃에서 교반기로 10분간 400 rpm으로 균일혼합하여 밀폐보관한다.
17) 화장료 17 : 립스틱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옥틸도데칸올 | 100으로 한다. |
2 | 세레신왁스 | 10.00 |
3 | 카나우바왁스 | 5.00 |
4 |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5.00 |
5 | 티타늄디옥사이드 | 5.00 |
6 | 적색202호 | 3.00 |
제조방법: 원료 1 ∼ 6을 함께 칭량하고 80℃에서 교반기로 10분간 400 rpm으로 균일혼합한 후 봉상으로 몰딩하여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18) 화장료 18 : 스킨커버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스쿠알란 | 100으로 한다. |
2 |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 20.00 |
3 |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 10.00 |
4 | 비즈왁스 | 4.00 |
5 | 칸데릴라왁스 | 3.00 |
6 | 카나우바왁스 | 3.00 |
7 | 파라핀 | 2.00 |
8 | 디타늄 디옥사이드 | 5.00 |
9 | 황색산화철 | 1.50 |
10 | 적색산화철 | 1.00 |
11 | 흑색산화철 | 0.50 |
제조방법: 원료 1 ∼ 7을 함께 칭량하고 80℃에서 교반기로 균일혼합하고 400 rpm으로 계속 교반하면서 원료 8 ∼ 11을 투입하여 균일혼합한 후 케익상으로 몰딩하여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19) 화장료 19 : 밤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100으로 한다. |
2 | 디메치콘 | 10.00 |
3 | 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 5.00 |
4 | 쉐어버터 | 5.00 |
5 |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 5.00 |
6 |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 1.00 |
7 | 티타늄디옥사이드 | 5.00 |
8 | 적색산화철 | 0.10 |
제조방법: 원료 1 ∼ 8을 함께 칭량하고 80℃에서 교반기로 10분간 400 rpm으로 균일혼합한 후 케익상으로 몰딩하여 냉각하고 밀폐보관한다.
20) 화장료 20 : 루스파우더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탈크 | 100으로 한다. |
2 | 마이카 | 40.00 |
3 | 나일론-12 | 5.00 |
4 |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 5.00 |
5 | 황색산화철 | 1.00 |
6 | 적색산화철 | 0.50 |
7 | 흑색산화철 | 0.20 |
8 |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 2.00 |
제조방법: 원료 1 ∼ 7을 함께 칭량한 후 상온에서 믹서기로 1분간 균일교반하고, 원료 8을 투입하고 믹서기로 10초 추가 균일교반하여 밀폐보관한다.
21) 화장료 21 : 아이섀도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탈크 | 100으로 한다. |
2 | 마이카 | 15.00 |
3 |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5.00 |
4 |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 5.00 |
5 | 펄안료 | 50.00 |
6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10.00 |
제조방법: 원료 1 ∼ 5를 함께 칭량한 후 상온에서 믹서기로 1분간 균일교반하고, 원료 6을 투입하여 믹서기로 10초 추가 균일교반한 후, 50 bar/4.5 sec로 접시에 압축성형하여 밀폐보관한다.
22) 화장료 22 : 블러셔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탈크 | 100으로 한다. |
2 | 마이카 | 10.00 |
3 |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5.00 |
4 | 나일론-12 | 5.00 |
5 | 황색산화철 | 2.00 |
6 | 적색산화철 | 1.50 |
7 | 흑색산화철 | 1.00 |
8 | 펄안료 | 30.00 |
9 |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 7.00 |
제조방법: 원료 1 ∼ 8을 함께 칭량한 후 상온에서 믹서기로 1분간 균일교반하고, 원료 9를 투입하여 믹서기로 10초 추가 균일교반한 후, 50 bar/4.5 sec로 접시에 압축성형하여 밀폐보관한다.
23) 화장료 23 : 팩트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탈크 | 100으로 한다. |
2 | 마이카 | 20.00 |
3 | 티타늄디옥사이드 | 20.00 |
4 |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 5.00 |
5 |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3.00 |
6 | 황색산화철 | 1.00 |
7 | 적색산화철 | 0.50 |
8 | 흑색산화철 | 0.20 |
9 | 디메치콘 | 50.00 |
제조방법: 원료 1 ∼ 8을 함께 칭량한 후 상온에서 믹서기로 1분간 균일교반하고, 원료 6을 투입하여 믹서기로 10초 추가 균일교반한 후, 50 bar/4.5 sec로 접시에 압축성형하여 밀폐보관한다.
24) 화장료 24 : 트웨이케익
구분 | 원료명 | 함량(wt%) |
1 | 탈크 | 100으로 한다. |
2 | 신테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 30.00 |
3 | 마이카 | 10.00 |
4 | 나일론-12 | 5.00 |
5 |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3.00 |
6 | 황색산화철 | 1.00 |
7 | 적색산화철 | 0.50 |
8 | 흑색산화철 | 0.20 |
9 | 스쿠알란 | 7.00 |
제조방법: 원료 1 ∼ 8을 함께 칭량한 후 상온에서 믹서기로 1분간 균일교반하고, 원료 9을 투입하여 믹서기로 10초 추가 균일교반한 후, 50 bar/4.5 sec로 접시에 압축성형하여 밀폐보관한다.
2. 실시예 및 비교예 : 안정성 향상 비교 시험
1) 실시예의 현미경 관찰 시험
실시방법: 현미경을 이용하여 화장료가 흡수된 상태를 관찰하였다.
2) 충전 방법에 따른 차이점 시험
실시방법: 충전 방법에 따라 안정성이나 기타 발생할 수 있는 사용감 차이를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10을 가지고 안정성 점검용 뚜껑 있는 투명 용기에, 1) 용기에 면화 솜을 충전하고 충전된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것, 2) 용기에 화장료를 충전하고 면화 솜을 채워 화장료를 흡수시킨 것, 3) 면화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후 용기에 충전한 것에 대하여 45℃ 항온조에 보관하며 분리 안정성과 사용감을 비교하였다.
3) 제형에 따른 안정성 향상 시험(실시예 1 ∼ 24)
3-1) 에멀젼 및 액 타입 시험(실시예 1 ∼ 16)
실시방법: 면화 솜 1 g을 충전한 안정성 점검용 뚜껑 있는 투명 용기에 화장료 1 ∼ 16의 벌크 50 g을 흡수시켜 실시예 1 ∼ 16을 제조하고, 동일한 용기에 화장료 1 ∼ 16의 벌크 50 g을 솜 없이 충전하고 비교예 1 ∼ 16을 제조하여, 45℃ 항온조에 보관하며 분리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3-2) 립스틱 시험(실시예 17)
실시방법: 면화 솜 0.1 g을 몰드에 먼저 넣고, 여기에 화장료 17의 벌크를 봉상으로 몰딩하여 실시예 17을 제조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솜 없이 몰딩한 비교예 17과 경도를 비교하였다.
3-3) 납상케익 타입 시험(실시예 18, 19)
실시방법: 면화 솜 0.1 g을 알루미늄 접시에 먼저 넣고, 여기에 화장료 18, 19의 벌크를 케익상으로 몰딩하여 실시예 18, 19를 제조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솜 없이 몰딩한 비교예 18, 19와 함께, -10℃ 항온조에 보관하며 1개월간 크랙(저온에서 깨지는 현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3-4) 루스파우더 시험(실시예 20)
실시방법: 면화 솜 0.1 g을 알루미늄 접시에 먼저 넣고, 여기에 화장료 20의 벌크를 10 g 충전하여 실시예 20을 제조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솜 없이 10 g 충전한 비교예 20에 대하여 동시에 동일한 조건의 선풍기 바람에 의해 날려 사라진 루스파우더의 양을 실험 전과 실험 후의 무게차를 측정하여 날림 정도를 비교하였다.
3-5) 파우더 타입 시험(실시예 21 ∼ 24)
실시방법: 면화 솜 0.1 g을 알루미늄 접시에 먼저 넣고, 여기에 화장료 21 ∼ 24의 벌크 10 g을 흡수시켜 50 bar/4.5 sec로 압축성형하여 실시예 21 ∼ 24를 제조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솜 없이 압축성형한 비교예 21 ∼ 24에 대하여 경도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화장료 | 스킨 | 로션 | 크림 | 에센스 |
제형 | 액(수분산) | 에멀젼(수중유) | 에멀젼(수중유) | 에멀젼(수중유) |
실시예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화장료 | 썬크림 | 오일 | 메이크업 베이스 | 프라이머 |
제형 | 에멀젼(유중수) | 액(유분산) | 에멀젼(유중수) | 에멀젼(유중수) |
실시예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화장료 | 파운데이션 | 비비크림 | 씨씨크림 | 컨실러 |
제형 | 에멀젼(유중수) | 에멀젼(유중수) | 에멀젼(유중수) | 에멀젼(유중수) |
실시예 | 실시예 13 | 실시예 14 | 실시예 15 | 실시예 16 |
화장료 | 마스카라 | 아이라이너 | 틴트 | 립글로스 |
제형 | 에멀젼(수중유) | 에멀젼(수중유) | 액(젤) | 액(유분산) |
실시예 | 실시예 17 | 실시예 18 | 실시예 19 | 실시예 20 |
화장료 | 립스틱 | 스킨커버 | 밤 | 루스파우더 |
제형 | 고형(납상스틱) | 고형(납상케익) | 고형(납상케익) | 파우더(분말) |
실시예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23 | 실시예 24 |
화장료 | 아이섀도 | 블러셔 | 팩트 | 트웨이케익 |
제형 | 파우더(압축분말) | 파우더(압축분말) | 파우더(압축분말) | 파우더(압축분말) |
4) 솜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 향상 시험(실시예 25 ∼ 45)실시방법: 다양한 솜 1 g을 충전한 안정성 점검용 뚜껑 있는 투명 용기에 화장료 10의 벌크 50 g을 흡수시켜 실시예 25 ∼ 45를 제조하고, 동일한 용기에 화장료 10의 벌크 50 g을 솜 없이 충전한 비교예 10과 함께, 45℃ 항온조에 보관하며 분리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25 | 실시예 26 | 실시예 27 |
솜 | 탈지면 | 아마 | 대마 |
실시예 | 실시예 28 | 실시예 29 | 실시예 30 |
솜 | 저마 | 양모 | 깃털 |
실시예 | 실시예 31 | 실시예 32 | 실시예 33 |
솜 | 명주 | 비스코스레이온 | 폴리노직레이온 |
실시예 | 실시예 34 | 실시예 35 | 실시예 36 |
솜 | 리오셀 | 폴리락틱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실시예 | 실시예 37 | 실시예 38 | 실시예 39 |
솜 | 폴리우레탄 | 폴리에틸렌 | 폴리프로필렌 |
실시예 | 실시예 40 | 실시예 41 | 실시예 42 |
솜 | 폴리카프로락탐 | 폴리헥사메틸렌아디포아미드 |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
실시예 | 실시예 43 | 실시예 44 | 실시예 45 |
솜 | 폴리비닐클로라이드 |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 폴리비닐알코올 |
5) 용기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 향상 시험(실시예 46 ∼ 54)실시방법: 면화 솜 1 g을 충전한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화장료 10의 벌크 50 g을 흡수시켜 실시예 46 ∼ 54를 제조하고, 동일한 용기에 화장료 10의 벌크 50 g을 솜 없이 충전한 비교예 46 ∼ 54와 함께, 45℃ 항온조에 보관하며 분리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46 | 실시예 47 | 실시예 48 | 실시예 49 | 실시예 50 |
용기 | 튜브 | 진공 | 펌핑 | 딥밸브 | 스틱 |
실시예 | 실시예 51 | 실시예 52 | 실시예 53 | 실시예 54 | - |
용기 | 자(jar) | 팩트 | 접시 | 다이알 | - |
6) 최소 벌크 흡수 가능량 점검 시험(실시예 55 ∼ 84)
6-1) 에멀젼 및 액 타입 시험(실시예 55 ∼ 76)
실시방법: 무게를 알고 있는 튜브 용기에 다양한 솜 5 g을 충전하고 화장료 10의 벌크 50 g을 흡수시키고 마감하여 실시예 55 ∼ 76을 제조한 후,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용기 밖으로 화장료를 전량 토출시키도록 하여 잔존하는 화장료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때, 잔존율은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잔존율(중량%) = (잔존 화장료 중량 ÷ 솜 중량) × 100
실시예 | 실시예 55 | 실시예 56 | 실시예 57 |
솜 | 면화 | 탈지면 | 아마 |
실시예 | 실시예 58 | 실시예 59 | 실시예 60 |
솜 | 대마 | 저마 | 양모 |
실시예 | 실시예 61 | 실시예 62 | 실시예 63 |
솜 | 깃털 | 명주 | 비스코스레이온 |
실시예 | 실시예 64 | 실시예 65 | 실시예 66 |
솜 | 폴리노직레이온 | 리오셀 | 폴리락틱 |
실시예 | 실시예 67 | 실시예 68 | 실시예 69 |
솜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폴리우레탄 | 폴리에틸렌 |
실시예 | 실시예 70 | 실시예 71 | 실시예 72 |
솜 | 폴리프로필렌 | 폴리카프로락탐 | 폴리헥사메틸렌아디포아미드 |
실시예 | 실시예 73 | 실시예 74 | 실시예 75 |
솜 |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 폴리비닐클로라이드 |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
실시예 | 실시예 76 | - | - |
솜 | 폴리비닐알코올 | - | - |
6-2) 고형 및 파우더 타입 시험(실시예 77 ∼ 84)
실시방법: 화장료 17 ∼ 24의 고형 및 파우더 타입 벌크를 면화 솜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로 흡수시켜 성형한 뒤 성형가능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77 | 실시예 78 | 실시예 79 | 실시예 80 |
화장료 | 립스틱 | 스킨커버 | 밤 | 루스파우더 |
실시예 | 실시예 81 | 실시예 82 | 실시예 83 | 실시예 84 |
화장료 | 아이섀도 | 블러셔 | 팩트 | 트웨이케익 |
7) 최대 벌크 흡수 가능량 점검 시험(실시예 85 ∼ 114)
7-1) 에멀젼 및 액 타입 시험(실시예 85 ∼ 106)
실시방법: 다양한 솜 0.05 g을 충전한 안정성 점검용 뚜껑 있는 투명 용기에 화장료 10의 벌크 50 g(솜 중량의 100,000 중량%에 해당하는 양)을 흡수시켜 실시예 85 ∼ 106을 제조하고, 솜 없이 충전한 비교예 10과 함께, 45℃ 항온조에 보관하며 분리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85 | 실시예 86 | 실시예 87 |
솜 | 면화 | 탈지면 | 아마 |
실시예 | 실시예 88 | 실시예 89 | 실시예 90 |
솜 | 대마 | 저마 | 양모 |
실시예 | 실시예 91 | 실시예 92 | 실시예 93 |
솜 | 깃털 | 명주 | 비스코스레이온 |
실시예 | 실시예 94 | 실시예 95 | 실시예 96 |
솜 | 폴리노직레이온 | 리오셀 | 폴리락틱 |
실시예 | 실시예 97 | 실시예 98 | 실시예 99 |
솜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폴리우레탄 | 폴리에틸렌 |
실시예 | 실시예 100 | 실시예 101 | 실시예 102 |
솜 | 폴리프로필렌 | 폴리카프로락탐 | 폴리헥사메틸렌아디포아미드 |
실시예 | 실시예 103 | 실시예 104 | 실시예 105 |
솜 |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 폴리비닐클로라이드 |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 |
실시예 | 실시예 106 | - | - |
솜 | 폴리비닐알코올 | - | - |
7-2) 고형 및 파우더 타입 시험(실시예 107 ∼ 114)
실시방법: 화장료 17 ∼ 24의 고형 및 파우더 타입 벌크를 면화 솜 중량에 대하여 100,000 중량%로 흡수시켜 실시예 107 ∼ 114를 만들고, 솜 없이 성형한 고형 및 파우더 타입의 비교예 17 ∼ 24와 비교하여, 경도, 크랙 안정성, 날림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107 | 실시예 108 | 실시예 109 | 실시예 110 |
화장료 | 립스틱 | 스킨커버 | 밤 | 루스파우더 |
실시예 | 실시예 111 | 실시예 112 | 실시예 113 | 실시예 114 |
화장료 | 아이섀도 | 블러셔 | 팩트 | 트웨이케익 |
8) 패널 테스트(실시예 115 ∼ 138)실시방법: 면화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켜 다양한 실시예 115 ∼ 138을 제조하고, 동일한 용기에 솜 없이 동일한 벌크를 충전하여 비교예 115 ∼ 138을 제조한 후,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사용감, 사용성 등에 대한 비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 실시예 115 | 실시예 116 | 실시예 117 | 실시예 118 |
화장료 | 스킨 | 로션 | 크림 | 에센스 |
실시예 | 실시예 119 | 실시예 120 | 실시예 121 | 실시예 122 |
화장료 | 썬크림 | 오일 | 메이크업 베이스 | 프라이머 |
실시예 | 실시예 123 | 실시예 124 | 실시예 125 | 실시예 126 |
화장료 | 파운데이션 | 비비크림 | 씨씨크림 | 컨실러 |
실시예 | 실시예 127 | 실시예 128 | 실시예 129 | 실시예 130 |
화장료 | 마스카라 | 아이라이너 | 틴트 | 립글로스 |
실시예 | 실시예 131 | 실시예 132 | 실시예 133 | 실시예 134 |
화장료 | 립스틱 | 스킨커버 | 밤 | 루스파우더 |
실시예 | 실시예 135 | 실시예 136 | 실시예 137 | 실시예 138 |
화장료 | 아이섀도 | 블러셔 | 팩트 | 트웨이케익 |
3. 시험 결과
1) 현미경 관찰 시험 결과
실시예 36에 대하여 현미경을 이용하여 흡수상태를 관찰한 결과, 도 1의 나)와 같이 솜의 분리된 가닥과 가닥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 또는 한 개 이상의 가닥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지는 비어있는 공간에 안정하게 화장료가 위치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충전 방법에 따른 차이점 시험 결과
충전 방법에 따라 안정성이나 사용감의 차이점이 있는가를 시험한 결과, 충전 방법에 따른 안정성를 비롯한 사용감 등에서 특별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솜과 내용물의 충전 순서 또는 충전 후 흡수시키는 것과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키고 충전하는 것은 안정도나 사용감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 제형에 따른 안정성 향상 시험 결과(실시예 1 ∼ 24)
3-1) 에멀젼 및 액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1 ∼ 16)
솜에 에멀젼 및 액 타입 화장료를 흡수시킨 실시예들과 솜에 흡수시키지 않은 비교예들에 대하여 45℃ 항온조에서 분리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비교예들은 안정한 기간이 평균 3.4일에 불과하였고, 반면 실시예들은 3개월 이상 안정하였으나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교예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비교예 8 |
안정기간 | 1일 | 1일 | 7일 | 1일 | 2일 | 3일 | 1일 | 2일 |
비교예 | 비교예 9 | 비교예 10 | 비교예 11 | 비교예 12 | 비교예 13 | 비교예 14 | 비교예 15 | 비교예 16 |
안정기간 | 1일 | 2일 | 7일 | 15일 | 7일 | 2일 | 1일 | 2일 |
실시예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실시예 7 | 실시예 8 |
안정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실시예 | 실시예 9 | 실시예 10 | 실시예 11 | 실시예 12 | 실시예 13 | 실시예 14 | 실시예 15 | 실시예 16 |
안정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2) 립스틱 시험 결과(실시예 17)
솜에 립스틱 화장료를 흡수시킨 실시예와 솜에 흡수시키지 않은 비교예에 대하여 경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예 17은 경도 값이 150 g/cm2이었지만, 실시예 17은 180 g/cm2으로 경도값이 향상되었으나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3-3) 납상케익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18, 19)
솜에 스킨커버 및 밤 화장료를 흡수시킨 실시예들과 솜에 흡수시키지 않은 비교예들에 대하여 -10℃ 항온조에서 크랙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비교예 18과 19는 1일만에 크랙이 발생하였고, 반면 실시예 18과 19는 1개월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3-4) 루스파우더 시험 결과(실시예 20)
솜에 루스파우더 화장료를 흡수시킨 실시예와 솜에 흡수시키지 않은 비교예에 대하여 동시에 동일한 조건의 선풍기 바람에 의해 날려 사라진 루스파우더의 양을 실험 전과 실험 후의 무게로 측정한 결과, 비교예 20은 질량이 16% 감소한 반면, 실시예 20은 9% 감소하여 날림 정도가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3-5) 파우더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21 ∼ 24)
솜에 파우더 타입 화장료를 흡수시킨 실시예들과 솜에 흡수시키지 않은 비교예들에 대하여 경도를 측정한 결과, 비교예들 대비 실시예들의 경도가 평균 25%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교예 | 비교예 21 | 비교예 22 | 비교예 23 | 비교예 24 |
경도 | 20 | 35 | 30 | 32 |
실시예 | 실시예 21 | 실시예 22 | 실시예 23 | 실시예 24 |
경도 | 25 | 45 | 38 | 39 |
4) 솜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 향상 시험 결과(실시예 25 ∼ 45)다양한 솜에 비교예 10의 화장료를 흡수시킨 실시예들에 대하여 45℃ 항온조에서 분리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상기 비교예 10에서 안정한 기간이 2일에 불과하였으나, 실시예들은 3개월 이상 안정하였고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실시예 | 실시예 25 | 실시예 26 | 실시예 27 | 실시예 28 | 실시예 29 | 실시예 30 | 실시예 31 |
안정한 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실시예 | 실시예 32 | 실시예 33 | 실시예 34 | 실시예 35 | 실시예 36 | 실시예 37 | 실시예 38 |
안정한 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실시예 | 실시예 39 | 실시예 40 | 실시예 41 | 실시예 42 | 실시예 43 | 실시예 44 | 실시예 45 |
안정한 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5) 용기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 향상 시험 결과(실시예 46 ∼ 54)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면화 솜과 화장료 10의 벌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용기에 솜 없이 동일한 화장료를 충전한 비교예들에 대하여 45℃ 항온조에서 분리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비교예들은 안정한 기간이 2일에 불과하였고, 반면 실시예들은 모두 3개월 이상 안정하였으나 사용감에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용기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특별한 불편함 없이 솜을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비교예 | 비교예 46 | 비교예 47 | 비교예 48 | 비교예 49 | 비교예 50 |
안정한 기간 | 2일 | 2일 | 2일 | 2일 | 2일 |
비교예 | 비교예 51 | 비교예 52 | 비교예 53 | 비교예 54 | - |
안정한 기간 | 2일 | 2일 | 2일 | 2일 | - |
실시예 | 실시예 46 | 실시예 47 | 실시예 48 | 실시예 49 | 실시예 50 |
안정한 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실시예 | 실시예 51 | 실시예 52 | 실시예 53 | 실시예 54 | - |
안정한 기간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3개월이상 | - |
6) 최소 벌크 흡수 가능량 점검 시험 결과(실시예 55 ∼ 84)
6-1) 에멀젼 및 액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55 ∼ 76)
튜브 용기에 화장료 10의 벌크와 다양한 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고 마감한 후,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용기 밖으로 화장료를 전량 토출시키도록 하여 잔존하는 화장료의 양을 측정한 결과, 충전된 솜의 중량에 대하여 잔존율이 10 중량%(평균 8.7 중량%)를 넘지 않았다. 따라서 솜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을 충전할 경우 일반인들이 토출시킬 수 없는 양이므로 화장품으로서 가치가 없다.
실시예 | 실시예 55 | 실시예 56 | 실시예 57 | 실시예 58 | 실시예 59 | 실시예 60 |
잔존율(%) | 8.3 | 9.2 | 7.3 | 7.8 | 7.2 | 8.3 |
실시예 | 실시예 61 | 실시예 62 | 실시예 63 | 실시예 64 | 실시예 65 | 실시예 66 |
잔존율(%) | 9.8 | 9.2 | 8.3 | 8.7 | 9.2 | 9.5 |
실시예 | 실시예 67 | 실시예 68 | 실시예 69 | 실시예 70 | 실시예 71 | 실시예 72 |
잔존율(%) | 9.5 | 9.8 | 7.8 | 8.2 | 8.8 | 8.8 |
실시예 | 실시예 73 | 실시예 74 | 실시예 75 | 실시예 76 | - | - |
잔존율(%) | 8.3 | 9.5 | 9.7 | 8.3 | - | - |
(2) 고형 및 파우더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77 ∼ 84)
고형 및 파우더 타입 벌크를 면화 솜 중량에 대하여 1 ∼ 10 중량%로 흡수시켜 성형해 본 결과 10 중량% 미만에서는 성형하기가 매우 어려워 화장품으로서 가치가 없었다.
7) 최대 벌크 흡수 가능량 점검 시험 결과(실시예 85 ∼ 114)
7-1) 에멀젼 및 액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85 ∼ 106)
다양한 솜 중량에 대하여 흡수율 100,000 중량%로 흡수시켜 비교예 10과 함께, 45℃ 항온조에 보관하며 분리 안정성을 비교해 본 결과, 상기와 같이 비교예 10에서 안정한 기간이 2일에 불과한 반면, 실시예들는 1개월 이상 안정하였다. 한편, 100,000 중량%로 충전할 때 솜은 스스로 부풀어 올라 솜에 흡수되지 않고 외부에 존재하는 벌크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100,000 중량%를 초과하여 흡수시켰을 때는 솜을 사용하지 않은 것과 비슷한 경우도 발견되어,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었다.
7-2) 고형 및 파우더 타입 시험 결과(실시예 107 ∼ 114)
면화 솜에 고형 및 파우더 타입 벌크를 면화 솜 중량에 대하여 100,000 중량%로 흡수시키고 솜 없이 성형한 고형 및 파우더 타입 화장품과 경도, 크랙 안정성, 날림 정도를 비교한 결과 약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100,000 중량%를 초과하여 흡수시켰을 때는 솜을 사용하지 않은 것과 비슷한 경우도 발견되어,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켰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었다.
실시예 | 실시예 107 | 실시예 108 | 실시예 109 | 실시예 110 |
물성 | 경도: 152 g/cm2 | 크랙: 3일 | 크랙: 3일 | 남림 : 14% |
실시예 | 실시예 111 | 실시예 112 | 실시예 113 | 실시예 114 |
물성 | 경도: 21 | 경도: 37 | 경도: 31 | 경도: 33 |
8) 패널 테스트 결과(실시예 85 ∼ 106, 실시예 107 ∼ 114)본 발명을 실시한 실시예와 솜 없이 동일한 벌크를 충전한 비교예에 대하여 20 ∼ 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사용감, 사용성 등에 대한 비교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사용감은 비교예와 실시예가 유사하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사용성에 있어서 실시예들이 매우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에멀젼 및 액 타입의 경우 종합의견란에 "비교예의 경우 흐름성이 심해 용기에서 토출되는 느낌이 나쁘지만 실시예는 안정적으로 적당량이 토출되어 좋았다"라는 취지의 내용이 8건 있었다.
결론적으로, 위의 비교예와 실시예를 이용한 실험예를 통해 알아본 결과, 본 발명에 의해 솜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할 때 용기 모양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변형이 가능하여 어떤 용기에든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솜에 화장료가 흡수된 화장품은 솜의 지지 효과에 의해 안정성이 향상되고, 제형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안정하게 보호되어 다양한 제형과 다양한 사용감의 화장료를 개발할 수 있으며, 용기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제형에 관계없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화장품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의 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솜 가닥 현미경 사진(100배)
도 1의 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화장료를 흡수한 실시예 36의 현미경 사진(100배)
도 2는 가)는 튜브 용기 사진
도 2는 나)는 진공 용기 사진
도 2는 다)는 펌핑 용기 사진
도 2는 라)는 딥밸브 용기 사진
도 2는 마)는 스틱 용기 사진
도 2는 바)는 자(jar) 용기 사진
도 2는 사)는 접시 용기 사진
도 2는 아)는 팩트 용기 사진
도 2는 자)는 다이알 용기 사진
도 3의 가)는 비교예 46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3의 나)는 실시예 46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4의 가)는 비교예 10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4의 나)는 실시예 10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1의 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화장료를 흡수한 실시예 36의 현미경 사진(100배)
도 2는 가)는 튜브 용기 사진
도 2는 나)는 진공 용기 사진
도 2는 다)는 펌핑 용기 사진
도 2는 라)는 딥밸브 용기 사진
도 2는 마)는 스틱 용기 사진
도 2는 바)는 자(jar) 용기 사진
도 2는 사)는 접시 용기 사진
도 2는 아)는 팩트 용기 사진
도 2는 자)는 다이알 용기 사진
도 3의 가)는 비교예 46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3의 나)는 실시예 46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4의 가)는 비교예 10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도 4의 나)는 실시예 10을 45℃ 항온조에 3개월 보관한 사진
Claims (13)
- 화장품 용기;
상기 화장품 용기 내에 충전된 솜; 및
상기 솜에 흡수된 화장료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는 솜의 분리된 가닥과 가닥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 또는 한 개 이상의 솜 가닥이 구부러지면서 만들어지는 비어있는 공간에 위치되고,
사용을 위해 화장료를 토출시 화장료는 솜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장품 용기 외부로 토출되고, 상기 솜은 화장품 용기 내에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한 솜이 충전된 화장품은 토출구를 통해 솜 가닥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목적으로, 토출구와 솜 사이에 망 구조물, 또는 솜 내부에 격자 망 구조물, 또는 솜 외부에 망 구조물 중 한가지 이상을 더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를 화장품 용기로부터 복수 회 토출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솜은 무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에멀젼 및 액상 화장료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5항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썬크림, 오일, 메이크업 베이스, 프라이머, 파운데이션, 비비크림, 씨씨크림, 컨실러,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및 틴트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고형 및 파우더 타입 화장료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7항에 있어서,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립글로스, 립스틱, 밤,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블러셔, 팩트 및 트웨이케익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솜은 면화 솜, 아마 솜, 대마 솜, 저마 솜, 양모 솜, 비스코스레이온 솜, 폴리에틸렌 솜, 폴리프로필렌 솜,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솜 및 폴리비닐알코올 솜 중에서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솜에 흡수되는 화장료는 솜 중량에 대하여 10 ∼ 100,000 중량%까지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는 튜브 용기, 진공 용기, 펌핑 용기, 딥밸브 용기, 스틱 용기, 자(jar) 용기, 팩트 용기, 접시 용기, 및 다이알 용기 중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한 솜이 충전된 화장품은 화장료를 흡수하지 않은 솜 자체 또는 화장료를 흡수한 솜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는 공정을 단순하고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솜 내부에 격자 망 구조물 또는 솜 외부에 망 구조물 중 한가지 이상을 더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시키는 방법으로는 화장품 용기에 솜을 충전하고 충전된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키거나, 용기에 화장료를 충전하고 솜을 채워 화장료를 흡수시키거나, 솜에 화장료를 흡수시킨 후 용기에 충전하는 방법 중 한 가지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622A KR20180087205A (ko) | 2018-07-11 | 2018-07-11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622A KR20180087205A (ko) | 2018-07-11 | 2018-07-11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8407A Division KR20160089553A (ko) | 2015-01-18 | 2015-01-18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7205A true KR20180087205A (ko) | 2018-08-01 |
Family
ID=6322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0622A KR20180087205A (ko) | 2018-07-11 | 2018-07-11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87205A (ko)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0643A (ko) | 2008-03-20 | 2009-09-24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
KR20120065982A (ko) | 2012-05-09 | 2012-06-21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KR20120108509A (ko) | 2011-03-24 | 2012-10-05 | (주)아모레퍼시픽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
KR20130001688A (ko) | 2011-06-27 | 2013-01-04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30039987A (ko) | 2011-10-13 | 2013-04-2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반응증진제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
KR20130116043A (ko) | 2012-04-13 | 2013-10-22 | (주)아모레퍼시픽 |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
KR20130116044A (ko) | 2012-04-13 | 2013-10-22 | (주)아모레퍼시픽 |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
KR20130116205A (ko) | 2012-04-13 | 2013-10-23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
KR20130116182A (ko) | 2012-04-12 | 2013-10-23 | (주)아모레퍼시픽 |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발포 폼 |
KR20140038880A (ko) | 2012-09-21 | 2014-03-31 | (주)아모레퍼시픽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
KR20140097078A (ko) | 2012-04-13 | 2014-08-06 | (주)아모레퍼시픽 | 액상 내용물의 흡수방법 |
-
2018
- 2018-07-11 KR KR1020180080622A patent/KR2018008720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00643A (ko) | 2008-03-20 | 2009-09-24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
KR20120108509A (ko) | 2011-03-24 | 2012-10-05 | (주)아모레퍼시픽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품 |
KR20130001688A (ko) | 2011-06-27 | 2013-01-04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30039987A (ko) | 2011-10-13 | 2013-04-2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반응증진제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
KR20130116182A (ko) | 2012-04-12 | 2013-10-23 | (주)아모레퍼시픽 | 개선된 사용감을 가지는 발포 폼 |
KR20130116043A (ko) | 2012-04-13 | 2013-10-22 | (주)아모레퍼시픽 |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용기 |
KR20130116044A (ko) | 2012-04-13 | 2013-10-22 | (주)아모레퍼시픽 |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
KR20130116205A (ko) | 2012-04-13 | 2013-10-23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
KR20140094485A (ko) | 2012-04-13 | 2014-07-30 | (주)아모레퍼시픽 | 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
KR20140097078A (ko) | 2012-04-13 | 2014-08-06 | (주)아모레퍼시픽 | 액상 내용물의 흡수방법 |
KR20120065982A (ko) | 2012-05-09 | 2012-06-21 | (주)아모레퍼시픽 |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KR20140038880A (ko) | 2012-09-21 | 2014-03-31 | (주)아모레퍼시픽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890107B (zh) | 包括化妆品组合物浸渍的聚氨酯泡沫的化妆品 | |
KR101945203B1 (ko) |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발포 우레탄 폼이 담긴 에어리스 타입의 용기 | |
TWI717362B (zh) | 包含紫外線隔離化妝品組成物及載體的化妝品產品 | |
KR101562221B1 (ko) | 발포폼을 담체로 포함하는 화장품 | |
TW201841616A (zh) | 化粧品 | |
CN1147372A (zh) | 挤出得到的柔软膏状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2552775B1 (ko) |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 |
KR20170038442A (ko) |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 |
KR102371153B1 (ko) |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89554A (ko)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의 제조방법 | |
KR20180087205A (ko)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
KR20160089553A (ko)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화장품 | |
KR101060929B1 (ko) |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60035537A (ko) | 화장료가 솜에 흡수된 형태의 화장품 | |
KR20170109712A (ko) | 섬유의 공극에 화장료를 위치시켜 안정화된 화장품 | |
KR101679320B1 (ko) | 화장료 조성물을 담지하는 폼 | |
KR100983217B1 (ko) |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140500A (ko) | 망상 구조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 |
KR102141379B1 (ko) | 맞춤 쿠션 제조용 화장품 키트 | |
CN110290836A (zh) | 睫毛膏组合物和包装 | |
JP2023182661A (ja) | 多色固形化粧料 | |
CN113015518A (zh) | 固体粉末化妆料 | |
KR20110057816A (ko) | 입술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