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217B1 -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217B1
KR100983217B1 KR1020040087981A KR20040087981A KR100983217B1 KR 100983217 B1 KR100983217 B1 KR 100983217B1 KR 1020040087981 A KR1020040087981 A KR 1020040087981A KR 20040087981 A KR20040087981 A KR 20040087981A KR 100983217 B1 KR100983217 B1 KR 100983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ilicone
cosmetic composition
semi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822A (ko
Inventor
이찬기
박명삼
고승용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40087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를 이용하여 제조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겔과,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베이스; 점탄성을 가진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및 화장료용 파우더를 함유하는 오일분산 제형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고점도 고탄성의 젤리나 쉬폰처럼 탄성을 가지며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퍼짐성 및 단순한 제조공정이 특징이다.
실리콘 오일, 실리콘 엘라스토머, 화장료용 파우더, 반고형 화장료

Description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Semi-solid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를 이용하여 제조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겔과,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베이스; 점탄성을 가진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및 화장료용 파우더를 함유하는 오일분산 제형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고점도 고탄성의 젤리나 쉬폰처럼 탄성을 가지며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퍼짐성 및 단순한 제조공정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분산타입 제품의 경우 가루날림과 깨짐 등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성 또한 취약하다. 반면에 오일분산 타입 제품의 경우 색상 발현에 어려움이 있으며 오일의 사용으로 인해 내수성 및 화장의 지속성은 우수하나 무거운 사용감 및 두꺼운 화장막으로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파우더 제품 선호경향을 살펴보면 사용시 가벼운 사용감과 사용 후 화장, 색상 지속이 우수하며 자극이 적은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 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퍼짐성 및 지속성 뿐만 아니라 색상 발현이 잘되는 화장품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용감, 퍼짐성, 내수성, 내유성 및 색상발현도가 우수하면서,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탄성이 있으면서 흘러내리지 않는 반고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고 함량의 화장료용 파우더를 오일 베이스 및 점탄성을 가진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를 이용하여 실리콘 겔과,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베이스; 점탄성을 가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를 함유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은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를 이용하여 실리콘 겔과,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는 오일 베이스; 점탄성을 가진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를 혼합함으로써 고함량의 화장료용 파우더를 사용하면서도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퍼짐성, 보습성, 소수성기에 의한 내수성, 피지에 의한 색상의 지속성 및 제조공정이 단순하며 탄성이 있고 흘러내리지 않는 반고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고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오일 베이스 60∼80 중량%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 20∼4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일 베이스는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실리콘 겔 20∼50 중량% 및 오일 50∼80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의 중량에 대한 혼합비는 1∼3:7∼9이며, 바람직하게는 2:8이다.
상기 오일 베이스의 함량이 6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 후 제조물을 취할 때 제대로 취해지지 않는 특성을 가지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일 함량이 많아 제품 도포시 번들거리게 되며 용기 주변에 오일막을 형성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오일함량이 많아 제품 도포시 번들거리게 되고 용기 주변에 오일막을 형성하며,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 후 제조물을 취할 때 제대로 취해지지 않는 특성을 나타나게 된다.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의 함량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점탄성을 나타내지 않거나 과다하게 나타내 내용물 충전시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 지속성 및 색상발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콘겔과 함께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한 오일 베이스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겔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디메치콘 가교중합체(Dimethicone crosspolymer) 및 페트로락텀(Petrolatum)을 60∼70:15∼25:10∼2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며, 바람직하게는 65:20:15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며, 이 혼합 비율내에서 피부 안전성, 사용성 및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베이스의 제조에 사용되는 오일은 실리콘 겔과의 상용성이 나쁘면 오일 베이스 자체가 분리되고, 최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도가 저하되므로, 실리콘 겔과의 상용성이 좋은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일을 예로 들면,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octanoate), 미리스틸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및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또는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당한 점도와 사용성을 얻기 위해서 이들 중 2종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실리콘오일의 경우 실리콘 겔과의 상용성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어진다. 본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오일의 경우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메치콘(Methico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tremethicone) 및 메치코놀(Methiconol) 등으로 사용성과 점도를 위해 2종 이상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베이스는 20∼50 중량%의 실리콘 겔 및 50∼80 중량%의 오일을 혼합한 후, 페달믹서 또는 아지믹서로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일 베이스를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와 함께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에 투여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혼합교반기는 일본의 Shinagawa Machinery Works co. LTD 제품으로서 Model 명은 110DM-rr로서 고점도 내용물을 혼합하는데 적당한 기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를 이용하여 고함량의 화장료용 파우더를 함유하고 가교형 실록산 결합을 주쇄로 하는 실리콘겔을 사용하여 가벼운 사용성과 겔 특유의 부드러움 촉감, 퍼짐성, 내유성 및 내수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이러한 사용성에 색상발현 및 가벼운 사용감을 표현하기 위해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이용하여 젤리나 쉬폰처럼 탄성을 가지며 부드럽고 가벼운 사용감, 우수한 퍼짐성을 가지는 탄성이 있고 흘러내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조성물은 젤리나 쉬폰 형태이며, 압력을 가하고 0.01∼1초 이내로 원상태를 회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이 섀도우, 메이크업 하이라이터, 블러셔 및 메이크업베이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1
성분 함량(중량%)
1. 사이클로메치콘 20.0
2. 사이클로메치콘 및 디메치코놀 20.0
3. 실리콘겔 30.0
4.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 30.0
<제조방법>
1) 실온에서 원료 1∼3을 아지믹서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2) 실온에서 상기 1)의 혼합 용액에 원료 4를 첨가하여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실시예 2]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성분 함량(중량%)
1. 사이클로메치콘 20.0
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0
3. 실리콘겔 30.0
4.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 40.0
<제조방법>
1) 실온에서 원료 1∼3을 아지믹서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2) 실온에서 상기 1)의 혼합 용액에 원료 4를 첨가하여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실시예 3]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성분 함량(중량%)
1. 사이클로메치콘 30.0
2. 글리세린(Glycerine) 20.0
3. 실리콘겔 30.0
4.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 20.0
<제조방법>
1) 실온에서 원료 1∼3을 아지믹서로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2) 실온에서 상기 1)의 혼합 용액에 원료 4를 첨가하여 혼합교반기(Shinnagawa, model no:110DM-rr)로 충분히 혼합하였다.
[비교예 1] 화장료용 파우더 조성물 1
성분 함량(중량%)
1. 바인더(BINDER) 10.0
2. 펄(PEARL) 및 화장료용 파우더 90.0
1) 상기 바인더는 화장료용 파우더를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점성이 높은 합성왁스(Synthetic wax)나 스쿠알란(Squalane) 등을 주로 사용한다.
2) 펄의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색상에 따라 머크사(Merk co.)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화장료용 파우더의 경우 사용감을 조절하기 위하여 탈크, 이산화티탄, 세리사이트 및 실리카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화장료용 파우더 조성물 2
성분 함량(중량%)
1. 바인더(BINDER) 50.0
2. 펄(PEARL) 및 화장료용 파우더 50.0
[시험예 1] 분산력, 색상발현도, 내수성, 퍼짐성 및 색상변색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분산력, 색상발현도, 내수성, 퍼짐성 및 색상변색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분산력 색상발현도 내수성 퍼짐성 색상변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 ×
비교예 2 ×
※ 평가
◎ : 매우 우수 ○ : 우수 △ : 보통 × : 나쁨 ×× : 매우 나쁨
※ 평가방법
1) 분산력 : 헤그만 게이지에 의한 분산도 측정
2) 안정도 : 37℃ 항온에서 보관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오일의 분리를 관찰
3) 내수성 : 10㎠ 유리판에 시료 2g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2시간동안 저수조에 넣었다 꺼낸 후, 남은 시료양을 상대평가
4) 퍼짐성 : 프릭션 아날라이져(Friction analyzer)를 사용하여 마찰계수를 측정한 후, 3이상은 나쁨, 2∼3은 보통, 1.5∼2는 우수, 1.5미만은 매우 우수로 판정하였다.
5) 색상변색 : 제조 직후, 크로마메타(Chromameter)로 ΔE 값을 측정하고, 37℃ 항온조에서 2주간 보관한 후, 다시 ΔE 값을 측정하여 두 값의 차이가 4이상은 매우 나쁨, 3∼4은 나쁨, 2∼3는 보통, 1.2∼2는 우수, 1.2 미만은 매우 우수로 판정하였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겔과 극성의 실리콘계 오일 및 페트롤라툼 오일로 이루어진 오일 베이스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이 분산력, 유화안정도, 내수성, 퍼짐성, 색상변화 등의 모든 물성이 비교예들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사용감 평가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의 조성물을 20대 여성 3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10일간 사용하게 한 후 품질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퍼 짐 성 5 4 3 3 4
밀 착 감 5 4 4 3 2
사 용 감 5 5 3 3 3
색상지속성 5 4 4 2 3
색감표현력 5 4 4 4 3
화장 마무리감 5 5 4 4 4
※ 평가
1 : 매우 나쁨 2 : 나쁨 3 : 보통 4 : 좋음 5 : 매우 좋음
상기 소비자 테스트에서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직접 피부 도포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이 기존방법에 의한 비교예들보다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사용성, 마무리감 및 지속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화장료용 파우더를 사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사용감, 퍼짐성, 내수성, 내유성 및 색상발현도가 우수하였고, 점탄성이 있어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았으며,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였다.

Claims (4)

  1. 오일 베이스 총 중량에 대하여 실리콘 겔 20∼50 중량% 및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 50∼80 중량%로 구성된 오일 베이스와,
    실리콘 엘라스토머 및 화장료용 파우더가 혼합된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실리콘 겔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디메치콘 가교중합체(Dimethicone crosspolymer) 및 페트로락텀(Petrolatum)을 60∼70:15∼25:10∼2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메치콘(Cyclomethicone), 메치콘(Methico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tremethicone) 및 메치코놀(Methicon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octanoate), 미리스틸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및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은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베이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80 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및 화장료용 파우더의 함유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40 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압력을 가하고 0.01∼1초 이내에 원상태로 회복되는 특성을 가지는 젤리 또는 쉬폰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0087981A 2004-11-01 2004-11-01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0983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81A KR100983217B1 (ko) 2004-11-01 2004-11-01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81A KR100983217B1 (ko) 2004-11-01 2004-11-01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22A KR20060038822A (ko) 2006-05-04
KR100983217B1 true KR100983217B1 (ko) 2010-09-20

Family

ID=3714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981A KR100983217B1 (ko) 2004-11-01 2004-11-01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2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863A1 (ko) * 2012-08-23 2014-02-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겔 및 비휘발성 분산매를 함유하는 습식성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7677A (ko) * 2014-07-31 2016-02-17 (주)아모레퍼시픽 에몰리언트 오일과 수용성 보습제 및 실리콘 젤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30163846A (ko) 2022-05-24 2023-12-01 코스맥스네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153B1 (ko) * 2006-11-27 2013-01-11 (주)아모레퍼시픽 고탄성 유분산 케익 제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2598490B1 (ko) * 2016-09-12 2023-11-06 (주)아모레퍼시픽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645435B1 (ko) 2018-08-31 2024-03-11 (주)아모레퍼시픽 오일겔을 형성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0863A1 (ko) * 2012-08-23 2014-02-27 코스맥스 주식회사 실리콘 엘라스토머, 실리콘 겔 및 비휘발성 분산매를 함유하는 습식성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7677A (ko) * 2014-07-31 2016-02-17 (주)아모레퍼시픽 에몰리언트 오일과 수용성 보습제 및 실리콘 젤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46642B1 (ko) 2014-07-31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에몰리언트 오일과 수용성 보습제 및 실리콘 젤을 함유하는 반고형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30163846A (ko) 2022-05-24 2023-12-01 코스맥스네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22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8187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CN101208073B (zh) 彩妆类化妆品
EP1152730B1 (en) Wear 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US8258243B2 (en) Grafted silicone polymer and products made therewith
KR102429950B1 (ko) 입술용 고형 화장료
BRPI0718940A2 (pt) Batom de base gel possuindo aprimorada reologia
CN1454586B (zh) 包括至少一种二甲聚硅氧烷、至少一种直链烃蜡和至少一种相容剂的化妆品组合物
KR102235054B1 (ko) 끈적임이 개선된, 지속력 있고, 묻어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3452B1 (ko) 고함량 올리고머형 피토스테롤 에스터를 고형 안정화한 립글로스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WO2018144460A1 (en) Topcoat for permanent lip make up
KR100983217B1 (ko)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60929B1 (ko) 고점도의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56496A (ko) 스틱형 립밤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되는 편의성과 기능성이 개선된 스틱형 립밤
KR100814035B1 (ko) 아데노신 베이스를 함유한 유분산 타입의 입술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391769B1 (ko) 실리콘 겔 및 에스터 폴리머를 포함하는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6289A (ko) 발림성이 우수한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102163190B1 (ko) 밀착력과 보습감이 향상된 립틴트 화장료 조성물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019613A (ja) ペンシル状又はスティック状固形化粧料
JPH01230511A (ja) 油性メークアップ化粧料
KR10252910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H09188604A (ja) ゲル組成物、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固形状化粧料
KR102334717B1 (ko)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3259A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