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950B1 - 입술용 고형 화장료 - Google Patents

입술용 고형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950B1
KR102429950B1 KR1020177003953A KR20177003953A KR102429950B1 KR 102429950 B1 KR102429950 B1 KR 102429950B1 KR 1020177003953 A KR1020177003953 A KR 1020177003953A KR 20177003953 A KR20177003953 A KR 20177003953A KR 102429950 B1 KR102429950 B1 KR 10242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lips
mass
hydrogenated polyisobutene
compati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208A (ko
Inventor
유스케 나카노
노리코 도미타
스미레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7004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1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olefines, e.g. polyethylene, polyisobut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뛰어난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갖고 사용성, 윤기의 지속력, 안정성이 뛰어난 입술용 고형 화장료를 제공한다.
다음의 (a) 내지 (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25∼50질량%
(b) 25℃에서 (a)와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20∼70질량%
(c) (a) 성분 및 (b) 성분의 상용성을 조정하는 상용성 조정제로서의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1∼20질량%
(d) 왁스 3∼12질량%

Description

입술용 고형 화장료{SOLID LIP COSMETIC}
본 발명은 입술용 고형 화장료, 특히 도포시의 층 분리에 의해 2차 부착 방지 효과(resistance to secondary adhesion)를 발휘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입술용 화장료는 립스틱을 입술에 도포한 후, 그 립스틱이 컵 등 입술에 접촉되는 부위에 전사되는 2차 부착성이 문제로 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2차 부착을 일으키기 어려운, 이른바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3에는 입술에 밀착되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이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상온에서 상용성이 낮은 유기 실리콘유 등을 이용하여, 제품 중에서는 균일계이지만, 사용시의 쉐어(share)에 의해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유기 실리콘유를 분리시키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이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갖는 입술용 화장료에서는 사용시에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피부(입술)에 밀착되어, 유기 실리콘유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 상에 피막을 형성한다. 이 유기 실리콘유는 무색 투명하기 때문에, 설령 컵 등에 전사되었다고 하더라도 오염이 눈에 띄지 않아 2차 부착 방지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그런데 입술용 고형 화장료가 메이크업 화장료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 색재 등의 배합이 요구된다. 색재는 유기 실리콘유보다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에 배향되므로, 어느 정도의 양의 색재를 배합하기 위해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비율을 크게 하라는 요구가 있다. 또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은 그 자체가 무색 투명하고 중합도에 따라 다양한 점도가 되는 오일인데, 고점도의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많이 배합함으로써, 입술 상에 립스틱의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이 남기 쉬워져 화장 지속력이 좋아진다.
그러나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비율을 크게 하면 도포시에 유기 실리콘유가 분리되기 어려워져 2차 부착 방지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스틱 형상으로 성형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배합량은 사실상 30질량% 이하로 억제되어 있었다.
일본 특허 4757950호 일본 특허 5280490호 일본 특허 공개 2012-8218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뛰어난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갖고,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배합량의 자유도를 크게 한 입술용 고형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구를 행한 결과, 제조시(고온 가열시)에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유기 실리콘유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배합되는 상용성 조정제의 선택에 의해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해치지 않고,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배합량 선택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하기 (a) 내지 (d) 성분을 포함한다.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25∼50질량%
(b) 25℃에서 (a)와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20∼70질량%
(c) (a) 성분 및 (b) 성분의 상용성을 조정하는 상용성 조정제로서의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1∼20질량%
(d) 왁스 3∼12질량%
또한, 상기 화장료는 추가로 (e) 색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e) 성분이 (a) 성분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b) 성분의 메틸페닐실리콘이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f) 상용성 조정 조제로서 올레핀 올리고머,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 디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틸,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에틸헥산산세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b) 25℃에서 (a)와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d) 왁스를 특정량 배합함으로써,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배합량 선택의 폭을 넓히면서 2차 부착 방지 효과, 화장 지속력, 성형성이 뛰어난 입술용 고형 화장료가 얻어진다.
도 1은 각종 상용성 조정제 내지 조제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내지 메틸페닐실리콘의 친화성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b) 25℃에서 (a)와 혼합되었을 때에 분리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d) 왁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a) 성분은 (b) 성분과 용해되지 않는 유분이다. (a) 성분은 (b) 성분보다 입술과의 친화성이 높아, 입술에 밀착되기 쉽다.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으로서는 평균 분자량이 1000∼2650인 것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25∼50질량%이다. 특히 후술하는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을 선택한 효과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30질량% 이상에서 현저하게 발휘된다. 즉, (a) 성분의 배합량이 30질량% 이상인 경우,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유지하면서 화장 지속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다 뛰어난 2차 부착 방지 효과 및 화장 지속력을 기대하는 경우에는 (a) 성분의 배합량은 4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화장료 전량 중 25질량% 미만이면 화장료 중의 색재가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에 충분히 배향되지 못하고, 색재의 배합량이 제한된다. 또한, 50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성형성이 나빠지는 것 외에 화장 지속력의 악화, 끈적거림의 발생 등, 사용감에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또한 상대적으로 메틸페닐실리콘의 양이 저하되어 2차 부착 방지 효과가 발휘되기 어려워진다.
(b) 메틸페닐실리콘
(b) 메틸페닐실리콘은 25℃에서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 배합되는 (b) 메틸페닐실리콘은 1종이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여기서 「분리」의 유무는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되었다.
(측정 조건)
(a)와 (b)를 (a):(b)=1:1(질량비)로 사용하여 90℃로 가온하고, 교반 혼합하며, 이어서 정치하고, 혼합물이 25℃가 된 경우에 경계가 균일하게 2층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분리된다」라고 하고, 반투명한 상태 또는 경계가 없고 투명한 상용한 상태를 「분리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또한, (b) 성분으로서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을 사용하는 경우, 분리의 유무는 이들의 배합 비율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분리의 유무는 (b) 성분의 배합 비율에 따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메틸페닐실리콘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 배합되는 메틸페닐실리콘으로서는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페닐실리콘 PH-1555(180mm2/s(25℃), 도레·다우코닝사 제조), 메틸페닐실리콘 FZ3156(165 mm2/s(25℃), 도레·다우코닝사 제조)을 들 수 있다.
또한, 디페닐디메티콘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KF54(400mm2/s(25℃), 신에츠가가쿠사 제조), 실리콘 KF50-300CS(270∼330mm2/s(25℃), 신에츠가가쿠사 제조)를 들 수 있다.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KF56(14mm2/s(25℃), 신에츠가가쿠사 제조)을 들 수 있다.
페닐트리메티콘은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SH556(22mm2/s(25℃), 도레·다우코닝사 제조)을 들 수 있다.
(b)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20∼70질량%이다. 또한,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6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배합량이 20질량% 미만에서는 도포시에 분리되기 어려워져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발현하지 않는다. 또한 70질량%를 넘으면 타성분의 배합량이 줄어 색재의 배합이 어려워진다.
(c) 상용성 조정제로서의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상용성 조정제는 90℃에서 (a) 성분 및 (b) 성분과 상용하고, 25℃에서 (a) 성분과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고, (b) 성분과 혼합했을 때에 상용 내지 분산되는 유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용성 조정제로서는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분리」의 유무는 이하의 조건으로 측정되었다.
(측정 조건)
(a)와 (b)와 (c)를 (a):(b):(c)=3:4:1(질량비)로 이용하여 90℃로 가온하고, 교반 혼합하며, 이어서 정치하고, 혼합물이 25℃가 된 경우에 경계가 균일하게 2층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분리된다」라고 하고, 반투명한 상태 또는 경계가 없고 투명한 상용한 상태를 「분리되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c)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20질량%이다. 또한,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1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 성분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90℃에서 (a)와 (b)가 상용하지 않기 때문에 립스틱으로서 성형할 수 없고, 또한 20질량%를 넘으면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발현하지 못한다.
상기 (a) 내지 (c)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를 입술에 도포하였을 때, 화장료와 입술의 공유에 의해 즉시 (a) 성분과 (b), (c) 성분은 분리되고, (a) 성분은 입술 상에 밀착되며, 점성이 낮은 (b), (c) 성분은 표층에 분리되므로 2차 부착 방지 효과가 발현된다. 이러한 화장료를 피부(입술) 상에 도포한 상태에서 컵 등의 물건에 접촉했을 때에는 화장료 중 투명한 (b), (c) 성분만이 물건에 부착된다. 또한, (b) 성분은 대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물건과 입술의 공유에 의해 다시 (b) 성분은 표층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장시간에 걸쳐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d) 왁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 배합되는 (d) 왁스로서는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왁스는 메틸페닐실리콘과 상용성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왁스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비스왁스, 세레신, 미세결정질 왁스, 고형 파라핀, 목랍 등을 들 수 있다.
(d) 성분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3∼12질량%이다. 또한, 4∼12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d) 성분의 배합량이 3질량% 미만에서는 고화되기 어렵다. 또한, 12질량%를 넘으면 발림성이 무겁고, 윤기도 없어진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인 (a) 내지 (d) 성분 외에 통상 입술용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을 임의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는 (e) 색재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재로서는 통상 입술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색재이면 좋다. 무기 안료이어도 유기 안료이어도 펄제이어도 좋다. 무기 안료이든 유기 안료이든 펄제이든, (b) 성분과 비교하여 (a) 성분 쪽에 젖기 쉽기 때문에 색재는 자발적으로 분산상 유분으로 이행한다. 이 때문에, 색재는 화장료 도포시에는 분산상 유분에 끌려 들어가 표층의 (b) 성분의 내측에 존재하게 되므로 2차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e) 성분이 실질적으로 (a) 성분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색재 전량 중 80질량% 이상의 (e) 성분이 (a) 성분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색재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15질량%가 바람직하고, 5∼1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색재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발색이 약하고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느끼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는 (f) 상용성 조정 조제로서 올레핀 올리고머,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에틸헥산산세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 성분은 고온 90℃에서 (a) 내지 (c) 성분과의 상용성이 높은 성분이고, 이러한 유분을 배합함으로써 한층 더 안정된 입술용 고형 화장료를 제조하기 쉬워진다.
(f)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 전량에 대하여 1∼20질량%가 바람직하고, 1∼1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 성분의 배합량이 1질량% 미만에서는 (a), (b) 성분의 상용성이 나빠서 분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20질량%를 넘으면 입술에의 도포시에 (b) 성분이 분리되지 않아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발현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c) 성분의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의 배합량을 넘는 조제의 첨가는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의 배합 효과를 저감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등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에는 상기 성분 외에 통상의 입술용 화장료에 이용되는 상기 이외의 유제, 분체, 고분자 화합물, 보습제, 향료, 산화 방지제, 방부제, 미용 성분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그 제조 공정의 모두에 있어서 분리되지 않고, 균일 1상(一相)의 상태이도록 성분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술용 고형 화장료는 립스틱, 립글로스, 기초용 립베이스, 립스틱 오버코트, 립크림 등에 응용할 수 있다. 특히 스틱 고형상의 립스틱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 상세하게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배합량은 특기하지 않는 한 질량%로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대량의 (b) 25℃에서 (a)와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을, 왁스에 의해 고화시킨 입술용 고형 화장료가 2차 부착 방지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아냈다.
즉, 입술 도포시에는 점성 및 입술과의 친화성이 낮은 (b) 성분이 표층에 분리되고, (a) 성분은 내층(입술 표면)에 있다. 색재는 (a) 성분과의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색재는 내층에 끌려 들어가 있다. 이 점에서 입술용 화장료가 컵에 묻었을 때에도 색재가 배합되어 있지 않은 (b) 성분만이 컵에 부착된다. 그리고 (b) 성분은 대량으로 존재하므로, 컵과 입술의 쉐어에 의해 (b) 성분이 입술용 화장료로부터 배어 나온다. 이 때문에, 상술한 계(系)에서는 장시간 뛰어난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색재가 메틸페닐실리콘층에만 국재(局在)하면 컵 등에 부착된 메틸페닐실리콘이 착색하게 되므로, 색재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에만 국재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입술 상에 색재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을 포함한 화장료를 남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고점도의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많이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각종 색재를 배합한 입술용 고형 화장료를 제조하고자 하면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많이 배합할 필요가 생긴다.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3에서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등의 상용성 조정제는 90℃에서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b) 유기 실리콘유에 상용하고, 또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유기 실리콘유의 상용에도 공헌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3의 상용성 조정제는 일반적으로 상온(25℃)에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의 친화성쪽이 메틸페닐실리콘과의 친화성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이 때문에, 실제품에 있어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상용성 조정제에 의한 희석을 받아 2차 부착 방지 효과, 성형성의 저하를 일으킨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용성 조정제로서 상온에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에 대한 친화성보다 유기 실리콘유에 대한 친화성 쪽이 높은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을 선택한 결과,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25질량% 이상 배합해도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또한 성형성에도 악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의 배합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색재의 배합량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를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각종 상용성 조정제에 대하여 상온에서의 수소 첨가 이소부텐층, 유기 실리콘층에의 이행성을 평가하였다.
(이행성 시험)
방법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과 다양한 상용성 조정제를 (a):(b):상용성 조정제=3:4:1(질량비)로 배합하고, 90℃로 가온하고, 교반 혼합하며, 이어서 1일 정치하고, 혼합물이 25℃가 된 경우의 경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비중의 관계로부터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이 하상(下相)이 되는 점으로부터, 트리메틸펜타페닐실록산을 포함한 상의 증감으로 다양한 상용성 조정제 내지 조제의 친화성을 판단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또한, 시험에 사용한 상용성 조정제는 도 1 좌측부터
1: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2: 없음(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만)
3: 말산디이소스테아릴
4: 올레핀 올리고머
5: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린
6: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7: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2
이상과 같이 상용성 조정제로서의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은 상온에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의 친화성보다 메틸페닐실리콘과의 친화성 쪽이 높아 하층(트리메틸펜타페닐실록산)이 증대된다. 즉,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의 희석은 일어나지 않고, 양호한 성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말산디이소스테아릴이나 올레핀 올리고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은 상온에서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과의 친화성이 높아 상층(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증대된다. 즉,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층의 희석을 일으켜 성형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표 1 내지 표 2 기재의 배합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시료(고형 립스틱)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를 하기 평가 기준 (2)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표 1 내지 표 2의 배합 조성에 있어서 (b) 성분의 혼합 용액은 25℃에서 (a)와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었다.
평가 (1): 성형성
스틱 형상의 립스틱으로 성형했을 때에 스틱 형상(지름 1.2cm, 길이 4cm)으로 성형할 수 있고,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에 200g의 하중을 가하여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평가 기준)
A: 부러지지 않는다
C: 부러진다
평가 (2): 2시간 후의 화장 지속력의 평가 시험
1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한 실사용성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는 시료를 입술에 도포하고, 도포 2시간 후의 화장 지속력에 대하여 하기 채점 기준에 기초하여 5단계 관능 평가(스코어)하였다. 그 스코어 평균치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스코어)
5점: 매우 뛰어나다.
4점: 뛰어나다.
3점: 보통.
2점: 떨어진다.
1점: 매우 떨어진다.
(평가 기준)
S: 스코어 평균치 4.0점 이상
A: 스코어 평균치 3.5점 이상 4.0점 미만
B: 스코어 평균치 2.5점 이상 3.5점 미만
C: 스코어 평균치 2.5점 미만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의 평가 시험
10명의 전문 패널에 의한 실사용성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는 시료를 입술에 도포했을 때의 2차 부착 방지 효과에 대하여 하기 채점 기준에 기초하여 5단계 관능 평가(스코어)하였다. 그 스코어 평균치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스코어)
5점: 매우 뛰어나다.
4점: 뛰어나다.
3점: 보통.
2점: 떨어진다.
1점: 매우 떨어진다.
(평가 기준)
S: 스코어 평균치 4.0점 이상
A: 스코어 평균치 3.5점 이상 4.0점 미만
B: 스코어 평균치 2.5점 이상 3.5점 미만
C: 스코어 평균치 2.5점 미만
시험예 1-1 1-2 1-3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20 20 20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53 53 53

(c)
올레핀 올리고머 10 - -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 10 -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 - 10
(d) 폴리에틸렌 왁스 7 7 7
(e) 색재, 펄제 10 10 10
평가 (1): 성형성 A A A
평가 (2): 화장 지속력 A A A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 A A A
시험예 2-1 2-2 2-3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40 40 40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33 33 33

(c)
올레핀 올리고머 10 - -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 10 -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 - 10
(d) 폴리에틸렌 왁스 7 7 7
(e) 색재, 펄제 10 10 10
평가 (1): 성형성 C C A
평가 (2): 화장 지속력 A A S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 B B A
상기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20질량%이면 다종의 상용성 조정제 내지 조제에 의해서도 양호한 2차 부착 방지 효과 및 충분한 성형성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40질량%이면 (c) 성분으로서 올레핀 올리고머,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을 상용성 조정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2차 부착 방지 효과 및 성형성이 저하된다.
그러나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한 경우에는 2차 부착 방지 효과 및 성형성을 유지하면서 화장 지속력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이 20질량%를 넘는 경우에는 (c) 상용성 조정제로서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c) 상용성 조정제로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을 이용한 경우의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배합량에 대하여 검토를 행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시험예 3-1 3-2 3-3 3-4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10 30 50 60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63 43 23 13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10 10 10 10
(d) 폴리에틸렌 왁스 7 7 7 7
(e) 색재, 펄제 10 10 10 10
평가 (1): 성형성 A A A C
평가 (2): 화장 지속력 A S S A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 A A A B
상기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을 상용성 조정제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을 50질량% 정도까지 배합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시험예 4-1 4-2 2-3 4-3 4-4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40 40 40 40 40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42.5 42 33 28 23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0.5 1 10 15 20
(d) 폴리에틸렌 왁스 7 7 7 7 7
(e) 색재, 펄제 10 10 10 10 10
평가 (1): 성형성 A A A A A
평가 (2): 화장 지속력 B A S A A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 C B A A B
상기 표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은 1∼20질량% 정도로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시험예 5-1 5-2 5-3 5-4 5-5 5-6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20 25 30 35 50 55
(b) 디페닐디메티콘※1 9 4 - - - -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40 40 39 34 19 14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9 9 9 9 9 9
(c)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4 4 4 4 4 4
(d) 폴리에틸렌 왁스 7 7 7 7 7 7
(e) 색재 11 11 11 11 11 11
평가 (1): 성형성 A A A C C C
평가 (2): 화장 지속력 A A A B B B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 S S B C C C
표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용성 조정제로서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을 사용하면 (a) 성분의 배합량이 25질량%를 넘으면 2차 부착 방지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a) 성분의 배합량이 증가하면 성형성 및 화장 지속력이 더욱 나빠진다.
시험예 6-1 6-2 6-3 6-4 6-5 6-6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20 25 30 35 50 55
(b) 디페닐디메티콘※1 9 4 - - - -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40 40 39 34 19 14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9 9 9 9 9 9
(c)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 - - - - -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4 4 4 4 4 4
(d) 폴리에틸렌 왁스 7 7 7 7 7 7
(e) 색재 11 11 11 11 11 11
평가 (1): 성형성 A A A A A C
평가 (2): 화장 지속력 A A S S A B
평가 (3): 2차 부착 방지 효과 A S S A B C
표 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C) 성분으로서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면 (a) 성분의 배합량이 25질량% 이상이어도 2차 부착 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a) 성분의 배합량이 30질량% 이상이 되면 화장 지속력도 개선할 수 있다.
처방예 1 립스틱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35질량%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36.4
(b) 디페닐디메티콘 1.8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7
(d) 왁스 7
(e) 색재 4.6
(e) 펄제 4.6
(f) 올레핀 올리고머 3
(f)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2
처방예 2 립스틱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45질량%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29.9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10
(d) 왁스 5
(e) 색재 4.1
(e) 펄제 1.1
(f) 올레핀 올리고머 2.9
(f)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2
처방예 3 립스틱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40질량%
(b)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35.9
(c)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7
(d) 왁스 6
(e) 색재 5.1
(e) 펄제 3.1
(f)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2.9

Claims (5)

  1. 다음의 (a) 내지 (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
    (a) 수소 첨가 폴리이소부텐 30∼50질량%
    (b) 25℃에서 (a)와 혼합했을 때에 분리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틸페닐실리콘 20∼60질량%
    (c) (a) 성분 및 (b) 성분의 상용성을 조정하는 상용성 조정제로서의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1∼20질량%
    (d) 왁스 3∼12질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e) 색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
  3. 제 2 항에 있어서,
    (e) 성분이 (a) 성분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 성분의 메틸페닐실리콘이 트리메틸펜타페닐트리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f) 상용성 조정 조제로서 올레핀 올리고머,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프로필렌글리콜,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테트라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틸, 스쿠알란, 유동 파라핀,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말산디이소스테아릴, 에틸헥산산세틸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고형 화장료.
KR1020177003953A 2014-09-09 2015-09-09 입술용 고형 화장료 KR102429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3612 2014-09-09
JP2014183612 2014-09-09
PCT/JP2015/075575 WO2016039369A1 (ja) 2014-09-09 2015-09-09 唇用固形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208A KR20170045208A (ko) 2017-04-26
KR102429950B1 true KR102429950B1 (ko) 2022-08-04

Family

ID=5545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953A KR102429950B1 (ko) 2014-09-09 2015-09-09 입술용 고형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290760A1 (ko)
EP (1) EP3192492B1 (ko)
JP (2) JP6184454B2 (ko)
KR (1) KR102429950B1 (ko)
CN (1) CN106999369B (ko)
ES (1) ES2762699T3 (ko)
TW (1) TWI685353B (ko)
WO (1) WO2016039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4581A (ja) * 2016-04-21 2017-10-26 加藤 陽弘 粘着性蛍光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JP7320914B2 (ja) * 2017-04-26 2023-08-04 株式会社 資生堂 透明組成物および透明化粧料
JP6964326B2 (ja) * 2017-07-07 2021-11-10 紀伊産業株式会社 口唇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7089386B2 (ja) * 2018-03-26 2022-06-2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皮膚外用組成物
JP7412336B2 (ja) * 2018-07-31 2024-01-12 株式会社 資生堂 疑似皮膚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並びに該疑似皮膚フィルムを有する化粧キット
SG11202110359TA (en) * 2019-03-28 2021-10-28 Kose Corp Oily cosmetic
EP4023302A4 (en) * 2019-08-26 2023-09-20 Shin-Etsu Chemical Co., Ltd. SOLID COSMETIC PRODUCT
KR102321533B1 (ko) * 2019-10-29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6925086B1 (ja) * 2021-02-25 2021-08-25 株式会社伊勢半 油性口唇化粧料
WO2023058469A1 (ja) * 2021-10-08 2023-04-13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組成物
CN115670978A (zh) * 2022-09-05 2023-02-03 广州卡迪莲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抗转移、持久光泽和舒适的化妆品、唇膏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0481A (ja) 2009-11-30 2011-07-21 Shiseido Co Ltd 唇用化粧料
WO2012165130A1 (ja) * 2011-06-01 2012-12-06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固形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223A (ja) * 1996-07-19 1998-02-10 Shiseido Co Ltd 口紅用組成物
US20070134181A1 (en) * 2005-12-08 2007-06-14 L'ore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ester of dimerdilinoleic acid and of polyol(s) and a silicone surfactant
FR2894471B1 (fr) * 2005-12-08 2008-02-1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ester d'acide dimerdilinoleique et de polyol(s), une huile volatile et un agent filmogene
US8580284B2 (en) * 2008-09-25 2013-11-12 Kao Corporation Oil-based cosmetic preparation
EP2415448B1 (en) * 2009-03-31 2019-02-13 Shiseido Company, Ltd. Lip cosmetic
JP5926896B2 (ja) 2010-09-17 2016-05-25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固形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0481A (ja) 2009-11-30 2011-07-21 Shiseido Co Ltd 唇用化粧料
WO2012165130A1 (ja) * 2011-06-01 2012-12-06 株式会社 資生堂 唇用固形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2492B1 (en) 2019-11-13
EP3192492A1 (en) 2017-07-19
KR20170045208A (ko) 2017-04-26
TW201613552A (en) 2016-04-16
JP2016056173A (ja) 2016-04-21
JP6184454B2 (ja) 2017-08-23
JP2016185992A (ja) 2016-10-27
US20170290760A1 (en) 2017-10-12
EP3192492A4 (en) 2018-03-07
WO2016039369A1 (ja) 2016-03-17
CN106999369A (zh) 2017-08-01
CN106999369B (zh) 2021-04-13
ES2762699T3 (es) 2020-05-25
TWI685353B (zh) 2020-02-21
JP6242958B2 (ja)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950B1 (ko) 입술용 고형 화장료
KR102078886B1 (ko) 입술용 고형 화장료
JP4757950B2 (ja) 唇用化粧料
CN106456520B (zh) 具有改善的硬度的固体唇膏组合物
KR102453363B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46939B2 (en) Water-free preparation
JP5926896B2 (ja) 唇用固形化粧料
JP5548679B2 (ja) 唇用化粧料
KR20170038271A (ko)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JP4887459B2 (ja) 唇用化粧料
JP5416371B2 (ja) 油性リップコート
KR102321533B1 (ko) 유분산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62333A1 (en) Glossy and well-adhering lipstick
JP6334184B2 (ja) 油性固形化粧料
KR102334717B1 (ko) 가용화된 수상을 함유하는 반 고형상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22163691A1 (ja) 唇用固形化粧料
CN115087422A (zh) 油包油型乳化化妆品
WO2022163692A1 (ja) 唇用固形化粧料
CN117500481A (zh) 油中水型乳化化妆品
JP2017178901A (ja) 口唇用メーキャッ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