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271A -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8271A
KR20170038271A KR1020150137394A KR20150137394A KR20170038271A KR 20170038271 A KR20170038271 A KR 20170038271A KR 1020150137394 A KR1020150137394 A KR 1020150137394A KR 20150137394 A KR20150137394 A KR 20150137394A KR 20170038271 A KR20170038271 A KR 20170038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forming agent
oil
type film
vola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232B1 (ko
Inventor
장순희
한은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13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232B1/ko
Priority to US15/764,756 priority patent/US10653591B2/en
Priority to JP2018516178A priority patent/JP2018534262A/ja
Priority to EP16852034.4A priority patent/EP3357487B1/en
Priority to CN201680056722.6A priority patent/CN108135829A/zh
Priority to PCT/KR2016/010795 priority patent/WO2017057888A1/ko
Priority to TW105131436A priority patent/TW201717895A/zh
Publication of KR2017003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8271A/ko
Priority to HK18114993.8A priority patent/HK1255927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휘발성 오일;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필름막을 형성하므로 가볍게 발리고, 지속성이 우수하며, 또한 빠르게 건조되고, 가루 떨어짐이 적어 종래 대비 현저히 향상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Oil-dispersed fluid type cosmetic composition for eye make-up}
본 발명은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등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의 제조 및 기타 유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고온 다습한 기후의 변화 및 실용성을 추구하는 메이크업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있어서도 점차 가벼운 사용감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와 같은 제형에서는 가벼운 사용감에 더하여 번짐이나 부스러짐 없이 처음 화장한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지속성에 대한 니즈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부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액상 유분산 형태의 제형으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조하여 왔다. 일반적으로 유중수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각종 기능 부여 효과는 우수하지만 끈적임과 피지에 대한 지속성이 약한 단점이 있고, 수중유형 조성물의 경우에는 유중 수형에 비해 가볍지만 워터프루프력은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일들과 색소 및 필름 형성제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액상 유분산 제형으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었고, 이때 휘발도가 높은 오일을 사용하여 가벼운 사용감을 구현하고 필름 형성제를 통하여 지속성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유분산 제형에서 사용되는 필름 형성제들은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로서 아이 메이크업에서 요구되는 가벼운 사용감 및 지속성의 두 가지 니즈를 동시에 충족시키기는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이는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구성하는 MQ 레진의 비율에 따라 직접적으로 필름막의 특성이 변화하기 때문인데, 구체적으로 M/Q 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지나치게 단단한 필름막이 형성되어 쉽게 부스러지고 이에 따라 가루 날림이 생겨 지속성이 떨어지며, M/Q 비율이 낮은 경우에는 너무 부드러운 필름막을 형성하여 눅진하고 무겁게 발려 사용감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당한 노력과 연구를 거듭한 끝에, 휘발성 오일 및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와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혼용함으로써 전반적인 사용감이 현저히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각 구성 성분의 최적 조성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와 함께 혼용될 때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최적 M/Q 비율 범위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지속성이 우수한 방수 아이 메이크업조성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80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운 사용감과 우수한 지속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휘발성 오일;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구성하는 MQ 수지의 M/Q 비율을 0.8 이하로 할 수 있다. (단, M=R3SiO1 /2, Q=SiO2, R=탄소수 1~8의 알킬 그룹 또는 아릴 그룹)
또한, 상기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그래프트 아크릴 폴리머계 필름 형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휘발성 오일은 물 및 수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은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필름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발림성, 지속성, 건조 속도, 가루 떨어짐 등의 사용감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혼합비에 따라 생성된 필름막의 형태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휘발성 오일;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휘발도가 높은 오일의 조합 및 유연하면서도 지속성이 우수한 필름막을 형성하는 필름 형성제의 조합을 통하여 액상 유분산 아이 메이크업 제형에서 요구되는 가벼운 사용성 및 우수한 지속성을 동시에 충족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대표적인 실시 형태만을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하기 내용과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
본 발명의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구성하는 실리콘계 수지(resin)는 4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O결합이 1개 존재하는 M 수지, 2개 존재하는 D 수지, 3개 존재하는 T 수지 및 4개 존재하는 Q 수지로 구분되며, 각 수지의 M,D,T,Q 실록시 단위의 구조는 하기와 같다:
M 수지: R3SiO1 /2
D 수지: R2SiO
T 수지: RSiO3 /2
Q : SiO2
(이때 R은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15의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필름형성제는 특히 상기 실록시 단위 중 M 수지와 Q 수지가 일정 비율로 결합되어 있는 MQ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통상적으로 상기 수지를 구성하는 MQ 비율(ratio)에 따라 필름형성제가 형성하는 필름막의 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를테면 M/Q>1이면 필름막은 연하고 무르게 되고, 반대로 M/Q<1이면 필름막은 강하고 뻣뻣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구성하는 수지의 MQ 비율은 0.8 이하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필름막이 지나치게 단단하여 쉽게 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와의 최적의 조합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M 수지의 실록시 단위의 Si와 결합하는 물질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데, 일례로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M 수지 중 Si에 CH3가 붙어 있는 오가노 폴리실록산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리콘계 필름형성제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를 구성하는 M 수지에 CH3(메틸기)가 결합된 구조로서, 구체적으로는 고체 형태인 상기 M 수지를 Q 수지와 함께 휘발성 실리콘 용매에 분산시켜 제조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계 폴리머일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의 구조를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상기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는 특히 우수한 밀착성 및 발수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 >
상기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그래프트 아크릴 폴리머(Silicone graft acrylic polymer)계 필름 형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 그래프트 아크릴 폴리머는 아크릴 수지에 실리콘이 그래프트 결합된 형태의 고분자 물질로서, 메이크업 지속력과 밀착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에 대한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형태 또는 베헤닐 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로 사용되는 실리콘 그래프트 아크릴 폴리머계 필름형성제로 바람직하게는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베헤닐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프로필트리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함께 혼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 각각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 25 중량%로 함유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 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만약 각 필름 형성제의 함량이 모두 상기 범위 미만이면 필름막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모두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액상 제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쉽게 굳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어느 한 필름 형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일 경우에는 지나치게 단단하거나 지나치게 눅진한 필름막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형성제의 함량은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대비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60:40 ~ 30:70의 중량비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더 많이 함유하는 경우에는 필름막의 강도가 너무 단단하게 형성되어 잘 깨지게 되고 표면 점착성 또한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더 많이 함유하는 경우에는 필름막이 지나치게 부드럽고 눅진하게 형성되어 바람직한 사용감을 제공하지 못한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MQ 수지 폴리머로 구성된 하드 타입의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주로 단독 사용 하였고, 상기 구성 수지의 M/Q 비율에 따라 직접적으로 필름막의 특성이 좌우됨에 따라 필름막에 유연함과 단단함을 동시에 부여하는 것이 어려웠던 반면, 본 발명에서는 하드 타입 필름 형성제와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적정 혼합비로 병용하면서도,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M/Q 비율은 0.8 이하로 한정함으로써 유연하면서도 강도 있는 필름막을 형성할 수 있다.
<휘발성 오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휘발성 오일은 저비중 휘발성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물질로서 4℃의 순수한 물의 비중을 1로 할 때, 상기 저비중 휘발성 오일의 비중은 1 미만이며, 구체적으로는 0.001 이상 1 미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이상, 1 미만이다.
상기 저비중 휘발성 오일은 피부 또는 케라틴 섬유와 접촉 시 상온 및 대기압에서 1시간 이내에 증발하는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 및 수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휘발성 오일로 바람직하게는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로 바람직하게는 탄소 수 8 ~ 16인 분지 형태의 알칸,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소 수 8 ~ 16인 분지 형태의 알칸으로는 이를테면 이소알칸으로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로는 선형 또는 환형의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오일은 점도가 25℃에서 6cST 이하이고 2 ~ 5 개의 규소(Si) 원자를 갖는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오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 80 중량% 함유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0 ~ 5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휘발성 오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고형물들을 분산시킬 수 있는 용매의 양이 너무 적어 눈썹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림상의 제형이 만들어지기 어렵고 저비중의 조성물이 되기 어려우며, 80 중량%를 초과하면 휘발 속도가 너무 빨라져 조성물의 제조 및 보관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왁스, 오일, 파우더, 점증제, 색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통상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마스카라, 아이셰도우, 아이브로우 펜슬 및 아이라이너 등의 제형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 또는 아이라이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이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타 메이크업 또는 모든 유사 제형에 대하여도 활용 가능하며 이를테면 모발 스타일링 용도의 헤어 제품 제형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일 시험예들에 해당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및 효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제시된 성분 물질의 처방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명(단위: 중량% )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왁스 폴리에틸렌 5 5 5 5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5 5 5 5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5 5 5 5
분산제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 2 2 2 2
점증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3 3 3 3
휘발성 오일 이소도데칸 50 30 50 -
트리실록산 - 20 - -
비휘발성 오일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 - 50

필름형성제
(하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0.7) 10 6 10 1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1.3) - - 10 -
필름형성제
(소프트)
아크릴레이트 / 디메치콘 코폴리머 10 14 - 10
색소 흑색산화철 10 10 10 10
비교예 1은 휘발성 오일 및 M/Q 비율이 서로 다른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M/Q=0.7 및 1.3)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제형이고, 비교예 2는 비휘발성 오일 및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M/Q=0.7)와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혼용하여 제조한 제형이다. 실시예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라 휘발성 오일 및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M/Q=0.7)와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제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서로 휘발성 오일의 종류 및 함량,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혼합 비율에 차이가 있다.
< 시험예 1> - 가벼움 평가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2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하여 상온에서의 가벼움 정도를 평가하였다. 가벼움 평가 기준은 비중 1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비중 측정 방법
1) 50ml의 비중컵을 준비하고 비중컵의 무게를 측정한다.
2) 비중컵에 물을 가득 채워서 무게를 측정한다.
3) 상기 2)의 비중컵+물 무게에서 상기 1)의 비중컵 무게를 빼서 물의 무게를 구한다.
4) 상기 1)의 비중컵에 각 조성물을 가득 채워서 무게를 측정한다.
5) 상기 4)의 비중컵+조성물 무게에서 상기 1)의 비중컵 무게를 빼서 조성물의 무게를 구한다.
6) 조성물의 무게를 물의 무게로 나누어 조성물의 비중을 구한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상기1) ~ 6)의 과정을 3번 반복 시행하여 각 결과 값의 평균을 구한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1 비교예 2
비중 0.91 0.88 0.91 1.08
상기 표 2에서 비휘발성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 비하여 휘발성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들의 경우 비중이 약 0.1 ~ 0.2 정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휘발성 오일을 포함하여 기타 조성물의 조성은 동일하지만, 각각 M/Q 비율이 다른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만을 사용한 것, 하드 타입과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혼용한 것에 차이가 있는 비교예 1및 실시예 1을 비교한 경우 비중은 동일하게 측정되었다.
한편 실시예 1과 대비하여 휘발성 오일 및 하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종류와 함량에 차이가 있는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에 비하여 0.02 더 낮은 비중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비중에는 휘발성 오일의 종류 및 조합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하여 가벼움, 가루 떨어짐, 지속성, 건조 속도에 관한 사용감 관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으로 제시한다.
평가기준
◎ : 우수, ○ : 대체적으로 우수, △ : 보통, Ⅹ : 나쁨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2
가벼움
가루 떨어짐
지속성
건조속도
상기 표 3에서 비교예들에 비하여 실시예들의 사용감이 전반적으로 우수하게 평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에 비하여 특히 실시예 1은 가루 떨어짐, 지속성 및 건조 속도의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실시예 2는 특히 가벼움, 가루 떨어짐, 지속성의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와 실시예들을 비교한 경우에도 실시예들의 사용감이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휘발성 오일의 사용 유무 및 하드 타입과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조합 여부는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의 사용감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3> - 필름 형성제의 혼합비별 필름막 특성 비교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혼합비를 달리하여(각 100:0. 70:30, 60:40, 50:50, 30:70, 0:100 중량비) 제조한 각 필름막의 형태를 도 1의 사진으로 비교 제시한다.
또한, 상기 생성된 필름막이 가지는 특성은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로 나타낸다.
[평가기준]
필름막 강도
-완전 건조된 필름막을 휘어 보았을 때의 상태로 비교
-hard : 필름이 쉽게 조각남
-soft : 필름막이 완전히 휘어지면서 힘없이 쳐짐
-위아래로 휘었을 때 유연성과 탄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휘어졌다가도 복원이 쉽게 되는지로 평가함
-◎ : 쉬움, O : 대체로 쉬움, △ : 보통, X : 불능
표면 점착성
-필름 형성제를 일정한 두께(100um)로 도포하고 10분 후, 필름 형성제 표면에 종이 조각(1*1 사이즈) 10개를 얹어서 5회 동안 좌우로 흔들어준 후 떨어뜨렸을 때 표면에 남아있는 종이 조각의 수를 측정
-◎ : 7개 이상, ○ : 5개~6개, △ : 3개~4개, X : 2개 이하
끈적임 없음
-완전 건조된 필름 형성제 표면을 손가락으로 만져보았을 때 매끈 매끈한지, 매끈하지 않은지로 평가
-◎ : 매끈매끈함, ○ 대체로 매끈매끈함, △ 보통, X : 매끈하지 않음
100:0 80:20 70:30 60:40 50:50 40:60 30:70 20:80 0:100
필름막 강도 Hard Hard Hard Soft Soft Soft
표면 점착성 X X X
끈적임 없음
* 혼합비(중량비) = [하드 : 소프트]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대비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의 조합비가 60:40 ~ 30:70의 범위일 때 형성되는 필름막이 최적의 강도를 가지고 표면 점착성이 우수하며 끈적임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범위 내에서는 임의의 어떤 혼합비를 택하여도 거의 동일한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성물의 제공 목적 및 기타 효과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혼합비를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5)

  1. 휘발성 오일;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 및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60:40 ~ 30:70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 2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 2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 8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를 구성하는 수지의 M/Q (단, M=R3SiO1 /2, Q=SiO2, R=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15의 아릴기) 비율은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필름 형성제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계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타입의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그래프트 아크릴 폴리머계 필름 형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그래프트 아크릴 폴리머계 필름형성제는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베헤닐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비스-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 크로스 폴리머,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프로필트리메치콘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물 및 수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피부 또는 케라틴 섬유와 접촉 시 상온 및 대기압에서 1시간 이내에 증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은 탄소 수 8 ~ 16인 분지 형태의 알칸,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트리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20150137394A 2015-09-30 2015-09-30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KR102463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94A KR102463232B1 (ko) 2015-09-30 2015-09-30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US15/764,756 US10653591B2 (en) 2015-09-30 2016-09-27 Liquid oil-dispersible type eye makeup composition
JP2018516178A JP2018534262A (ja) 2015-09-30 2016-09-27 液状油分散剤形のアイメイクアップ組成物
EP16852034.4A EP3357487B1 (en) 2015-09-30 2016-09-27 Liquid oil-dispersible type eye makeup composition
CN201680056722.6A CN108135829A (zh) 2015-09-30 2016-09-27 一种液状油分散剂型眼妆组合物
PCT/KR2016/010795 WO2017057888A1 (ko) 2015-09-30 2016-09-27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TW105131436A TW201717895A (zh) 2015-09-30 2016-09-30 用於眼妝的油-分散型液狀化妝品
HK18114993.8A HK1255927A1 (zh) 2015-09-30 2018-11-23 一種液狀油分散劑型眼妝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394A KR102463232B1 (ko) 2015-09-30 2015-09-30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8271A true KR20170038271A (ko) 2017-04-07
KR102463232B1 KR102463232B1 (ko) 2022-11-04

Family

ID=584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394A KR102463232B1 (ko) 2015-09-30 2015-09-30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53591B2 (ko)
EP (1) EP3357487B1 (ko)
JP (1) JP2018534262A (ko)
KR (1) KR102463232B1 (ko)
CN (1) CN108135829A (ko)
HK (1) HK1255927A1 (ko)
TW (1) TW201717895A (ko)
WO (1) WO201705788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86A1 (ko) * 2016-11-30 2018-06-07 (주)아모레퍼시픽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KR2020004888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2296492B1 (ko) * 2021-04-07 2021-09-01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제조방법
KR20220003825A (ko) *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겔상 점증제 프리 유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99546A (ja) * 2020-12-23 2022-07-05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12675054A (zh) * 2020-12-26 2021-04-20 广州集妍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成膜控油组合物和化妆品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481A (en) * 1989-03-20 1991-10-29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WO1995003776A1 (en) * 1993-08-03 1995-0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JPH07196449A (ja) * 1993-12-28 1995-08-01 Kose Corp 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KR20010014003A (ko) * 1998-05-07 2001-02-26 카렌 에이. 로우니 이중상 화장품 조성물
KR20030050531A (ko) * 2001-12-19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0404641B1 (ko) * 1999-07-01 2003-11-07 로레알 섬유 및 친수성 폴리유기실록산을 함유하는 캐어 또는메이크업 조성물
KR20040071810A (ko) * 2003-02-07 2004-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US20050031561A1 (en) * 2003-08-08 2005-02-10 Patil Anjali Abhimanyu Long 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US20060078578A1 (en) * 2004-10-07 2006-04-13 Sandewicz Robert W Cosmetic compositions with montmorillonite stabilizing agent
JP2009227592A (ja) * 2008-03-21 2009-10-08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KR101060805B1 (ko) 2009-05-29 2011-08-30 (주)아모레퍼시픽 지속성이 우수한 방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2011213645A (ja) * 2010-03-31 2011-10-27 Kose Corp 睫用化粧料
KR20130031037A (ko) * 2011-09-20 2013-03-28 코웨이 주식회사 광 안정성이 향상된 주름 개선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13063919A (ja) * 2011-09-15 2013-04-11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JP2013209340A (ja) * 2012-03-30 2013-10-10 Kose Corp 化粧料
US20150004116A1 (en) * 2013-06-28 2015-01-01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8512A (ja) * 1986-06-19 1987-12-25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704730B2 (ja) 1988-07-12 1998-01-26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JPH08143426A (ja) 1994-11-16 1996-06-04 Shiseido Co Ltd メーキャップ化粧料
FR2827167B1 (fr) 2001-07-16 2004-06-11 Oreal Mascara comprenant des particules solides
US7189388B2 (en) 2001-07-16 2007-03-13 L'oreal S.A. Mascara comprising solid particles
US20050244351A1 (en) * 2004-05-03 2005-11-03 Reinhart Gale M Cosmetic compositions with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KR101164777B1 (ko) 2005-06-10 2012-07-11 (주)아모레퍼시픽 중공(中空) 분체를 함유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JP5101994B2 (ja) * 2007-11-02 2012-12-19 株式会社コーセー 油性睫用化粧料
CN102973436A (zh) * 2012-12-19 2013-03-20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弹性触感的化妆用彩妆组合物
JP6210032B2 (ja) 2013-08-26 2017-10-11 日信化学工業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及び該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化粧料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481A (en) * 1989-03-20 1991-10-29 Kobayashi Kose Co., Lt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cryl-silicone graft copolymer
WO1995003776A1 (en) * 1993-08-03 1995-02-0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mer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JPH07196449A (ja) * 1993-12-28 1995-08-01 Kose Corp アイメークアップ化粧料
KR20010014003A (ko) * 1998-05-07 2001-02-26 카렌 에이. 로우니 이중상 화장품 조성물
KR100404641B1 (ko) * 1999-07-01 2003-11-07 로레알 섬유 및 친수성 폴리유기실록산을 함유하는 캐어 또는메이크업 조성물
KR20030050531A (ko) * 2001-12-19 2003-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오일-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20040071810A (ko) * 2003-02-07 2004-08-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US20050031561A1 (en) * 2003-08-08 2005-02-10 Patil Anjali Abhimanyu Long 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US20060078578A1 (en) * 2004-10-07 2006-04-13 Sandewicz Robert W Cosmetic compositions with montmorillonite stabilizing agent
JP2009227592A (ja) * 2008-03-21 2009-10-08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KR101060805B1 (ko) 2009-05-29 2011-08-30 (주)아모레퍼시픽 지속성이 우수한 방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2011213645A (ja) * 2010-03-31 2011-10-27 Kose Corp 睫用化粧料
JP2013063919A (ja) * 2011-09-15 2013-04-11 Kose Corp 油性睫用化粧料
KR20130031037A (ko) * 2011-09-20 2013-03-28 코웨이 주식회사 광 안정성이 향상된 주름 개선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무기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JP2013209340A (ja) * 2012-03-30 2013-10-10 Kose Corp 化粧料
US20150004116A1 (en) * 2013-06-28 2015-01-01 L'ore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86A1 (ko) * 2016-11-30 2018-06-07 (주)아모레퍼시픽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KR20200048881A (ko) *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필름형성제 및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3825A (ko) * 2020-07-02 2022-01-1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겔상 점증제 프리 유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2296492B1 (ko) * 2021-04-07 2021-09-01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천연 방수 아이펜슬 화장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7895A (zh) 2017-06-01
EP3357487A4 (en) 2018-08-08
WO2017057888A1 (ko) 2017-04-06
EP3357487A1 (en) 2018-08-08
US10653591B2 (en) 2020-05-19
EP3357487B1 (en) 2020-01-08
KR102463232B1 (ko) 2022-11-04
CN108135829A (zh) 2018-06-08
JP2018534262A (ja) 2018-11-22
HK1255927A1 (zh) 2019-09-06
US20180318182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7487B1 (en) Liquid oil-dispersible type eye makeup composition
CN106999369B (zh) 唇用固体化妆品
EP0388582B1 (en) Cosmetic composition
JP5719315B2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及びそのメーキャップ化粧料とトップコート剤とを含むメーキャップキット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464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10456350B2 (en) 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curling holding force
JP2008169209A (ja) ケラチン繊維メイクアップキット
KR102033510B1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854086B1 (ko) 실리콘 기가 부가된 왁스를 함유하는 눈화장용 조성물
KR102463230B1 (ko) 투명한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20200030849A (ko) 커버력 및 발림성이 우수한 스틱형 메이크업 조성물
WO2019162333A1 (en) Glossy and well-adhering lipstick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7956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5024A (ko) 컬링 유지력 및 롱래시 유지력이 우수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0570A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54213B1 (ko) 글리세릴기가 부가된 왁스와 유연한 필름 폴리머를 함유하는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2302622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5864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30063631A (ko) 고형상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04047B1 (ko)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