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01686A1 -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01686A1
WO2018101686A1 PCT/KR2017/013603 KR2017013603W WO2018101686A1 WO 2018101686 A1 WO2018101686 A1 WO 2018101686A1 KR 2017013603 W KR2017013603 W KR 2017013603W WO 2018101686 A1 WO2018101686 A1 WO 20181016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value
artificial leather
cosmetic composition
film 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6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현월
강유진
김경남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CN201780082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167524A/zh
Priority to US16/464,120 priority patent/US20190290558A1/en
Publication of WO20181016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016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an emulsio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siste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oil-in-water type emulsion foundation has excellent water resistance compared to oil-in-water type products, but the makeup film is lifted and agglomerated by swea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ke-up should be frequently repaired, and since the make-up easily comes out by external contact such as clothes, there are problems such as leaving makeup marks on contacted items such as clothes.
  • the makeup film is thick, the skin is less breathable, and thus tends to make the skin stuffy by preventing skin breathing.
  • film forming agents, oil absorption powders, and the like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the emulsified foundation and to impart high sustained properties.
  • the practical effects are insignificant, and the use of nonvolatile oils causes stickiness and staining.
  •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that is composed of a film-forming agent and a volatile oil in a continuous phase in which a film is obtained as the oil evaporates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atile component leaves the film unstable and uncomfortable after evaporation. .
  • compositions including a styrene-ethylene-propylene copolymer, or a copolymer including a monoolefin-based unsaturated carboxylic acid monomer and a copolymer of an aliphatic chain acrylic ester monomer,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It was difficult to feel dry and uncomfortable after drying, and often a dry, non-moisturizing film was produced.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a volatile oil to form a film former having a hard surface property that the oil is evaporated when applied to the skin and imparts high sustainabili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hich prevents bleeding after skin application, increases persistence, and improves usability even after drying.
  •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sistence of a cosmetic composition capable of objectively evaluating the anti-fogg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include a film former comprising a carrier oil and a film former, wherein the film former comprises a silicone polymer or a silicone acrylate copolymer, wherein the emulsio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s excellent durability.
  • the composition may be one that does not include a nonvolatile oil and an organic sunscreen.
  • the composition may be one having a mixed weight of dispersant and emulsifier of 6%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buried prevention rate of the composition is at least 70%, the buried prevention rate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leather and dried for 3 hours at 55 °C and the contact member having a load of 2kg It may be deriv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measuring the L value (brightness value) by the color difference meter through the buried test of the composition by applying a vertical friction and a horizontal friction at 720 ° at the same time.
  • Burial Prevention Rate (%) dL b / dL a ⁇ 100
  • the carrier oil may be volatile.
  • the carrier oi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pentasiloxane, isododecane and dimethicone.
  • the silicone polymer is trimethylsiloxysilicate, polypropylsilsesquioxane, polymethylsilsesquioxane, dimethicone / 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icone / 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trimethylsiloxysilicate / dimethiconol crosspolymer, and 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
  • the silicone acrylate copolym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yl acrylate / hydroxypropyl 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and acrylate / 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have.
  • the carrier oil and the film former may be mixed at 40 to 90 wt% and 10 to 60 w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m former.
  • the film forming agent may be included in 4 to 2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film former may be included in 1 to 8%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film former may b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ilm formers.
  • the trimethylsiloxy silicate and polypropylsilsesquioxane in iii) may be mixed in a mixing weight ratio of 6 to 7: 3 to 4.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include the steps of applying a material to be evaluated to an artificial leather; Performing a burying test by applying friction to the contact member after drying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And measuring the L b value (brightness value) by the color difference meter of the artificial leather after the burying test.
  •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may include a film former.
  • the method comprises a L a value by a colorimeter of an artificial leather to which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has been applied prior to the buried test. Measuring (brightness value) and comparing it with the L b value.
  • the method may be to evaluate the persistence of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by measuring the buried prevention rate by the following equation.
  • Burial Prevention Rate (%) dL b / dL a ⁇ 100
  • the drying may be to dry for 3 hours at 55 °C.
  • the burying test may be to apply a vertical friction and a horizontal friction at the same time by turning the contact member having a load of 2kg 720 °.
  •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a volatile oil to form a film former having a hard surface property that the oil is evaporated when applied to the skin and imparts high sustainability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emulsification after skin application, increasing the persistence, and providing an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improved feeling even after drying.
  • the present disclosur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sistenc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the anti-fogging effec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FIG. 1 illustrates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ersistence of a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valu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osition through the buried tes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tent of the film forming agent in one test exampl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include a film former comprising a carrier oil and a film former, wherein the film former comprises a silicone polymer or a silicone acrylate copolymer, wherein the emulsio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has excellent durability.
  • the composition may be one that does not include a nonvolatile oil and an organic sunscreen.
  • the composition may be without a dispersant.
  • the composition may comprise up to 4 weight percent, such as 0.01 to 4 weight percent or 0.01 to 3 weight percent or 0.01 to 2 weight percent or 0.01 to 1 weight percent dispersan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Conventional emulsified makeup cosmetics comprising up to 6% by weight, such as 0.01 to 6% or 0.01 to 5% or 0.01 to 4% or 0.01 to 3% or 0.01 to 2% or 0.01 to 1% by weight emulsifier The dispersant and emulsifier content may be lower than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has a mixed weight of dispersant and emulsifier of 6 wt% or less, such as 0.01 to 6 wt% or 0.01 to 5 wt% or 0.01 to 4 wt% or 0.01 to 3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Or 0.01 to 2% by weight or 0.01 to 1% by weight.
  • the buried prevention rate of the composition is at least 70%, the buried prevention rate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leather and dried for 3 hours at 55 °C and the contact member having a load of 2kg It may be derived by the following formula by measuring the L value (brightness value) by the color difference meter through the buried test of the composition by applying a vertical friction and a horizontal friction at 720 ° at the same time.
  • Burial Prevention Rate (%) dL b / dL a ⁇ 100
  • dL a L a -L 0
  • dL b L b -L 0
  • L 0 L value of the artificial leather before the composition is applied
  • L a buried test L value of artificial leather
  • L b L value of artificial leather to which the composition is applied after the buried test.
  • the anti-burying rate of the composition is at least 70%, at least 75%, at least 80%, at least 85%, at least 90%, or at least 95% and at most 100%, at most 99%, at 98%. Or less, 97% or less, 96% or less, or 95% or less.
  • the composition may comprise 5 to 80% by weight of volatile oi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volatile oil may be to include the content of the carrier oil, the volatile oi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the carrier oil used in the film forming agent.
  • the content of the volatile oil is 5% by weight, 10% by weight, 15% by weight, 20% by weight, 25% by weight, 30% by weight, 35%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the volatile oil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e oil and hydrocarbon oil.
  • the volatile silicone oil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cyclomethicone, phenyltrimethicone, methyltrimethicone, dimethicone and trisiloxane. It may be.
  • the dimethicone may have a viscosity of 2 cSt (centistokes) or less.
  • the volatile hydrocarbon oi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sododecane and dodecane.
  • the carrier oil is volatile is good for increasing the sustaining and improving the feel of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 the carrier oil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yclopentasiloxane, isododecane and dimethicone.
  • the dimethicone may have a viscosity of 2 cSt (centistokes) or less.
  • the silicone polymer is trimethylsiloxysilicate, polypropylsilsesquioxane, polymethylsilsesquioxane, dimethicone / 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methicone / 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trimethylsiloxysilicate / dimethiconol crosspolymer, and 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
  • the silicone acrylate copolyme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yl acrylate / hydroxypropyl 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and acrylate / 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have. Silicone acrylate copolymers provide the durability and soft feel of silicone by acrylate polymers.
  • the carrier oil and the film former may be mixed at 40 to 90 wt% and 10 to 60 w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lm former.
  • the carrier oil and the film former are 40 to 80 wt% and 20 to 60 wt%, or 40 to 70 wt% and 30 to 60 wt%, or 40 to 60 wt% and 40 to 60% by weight can be mix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film former may be 4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amount of the film former is 4% by weight, 6% by weight, 8% by weight, 10% by weight, 12% by weight, 14%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t least 16 wt%, at least 18 wt%, or at least 20 wt% and up to 20 wt%, up to 18 wt%, up to 16 wt%, up to 14 wt%, up to 12 wt%, up to 10 wt%, up to 8 wt% 6 wt% or less, or 4 wt% or less.
  • the film former may be included in 1 to 8%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film form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by weight or more to increase the moisturizing and makeup sustainability, and the film form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8% by weight or less to prevent stickiness, skin irritation, or skin pulling phenomenon. Can be achieved.
  • the film former is at least 1% by weight, at least 3% by weight, at least 5% by weight, or at least 7% by weight, and at least 8% by weight, 6% by weight, 4%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Up to, or up to 2% by weight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osition.
  • weight of the film former is meant herein a solid reference content.
  • the film former may b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film formers.
  • the film-forming agent is a flexible film that has a feeling of unusability on the skin, rather than a film that has a poor feeling of use and a conventional feeling, and provides a makeup cosmetic composition that has spreadability, adhesion, water resistance, lubricity, and does not easily adhere to external contact. It works.
  • the carrier oil i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film forming agent set forth above may be cyclopentasiloxane or isododecane.
  • Burial Prevention Rate (%) dL b / dL a ⁇ 100
  • dL a L a -L 0
  • dL b L b -L 0
  • L 0 L value of the artificial leather before the composition is applied
  • L a buried test L value of artificial leather
  • L b L value of artificial leather to which the composition is applied after the buried test.
  • the anti-fogging rate of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film-forming agent set forth abov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osition wherein cyclopentasiloxane as the carrier oil and polymethylsilsesquioxane as the film-forming agent are used. It may be high.
  • the drying in the buried test may be to dry for 3 hours at 55 °C.
  • the burying test may be to apply a vertical friction and a horizontal friction at the same time by turning the contact member having a load of 2kg 720 °.
  •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may be a muscle tape.
  • R 1 may independently be an alkyl group or an aryl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wherein a and b represent an integer greater than 0.
  • examples of the alkyl group are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and hexyl and the like, and examples of the aryl group are phenyl, naphthyl, benzyl, tolyl, xylyl and xenyl and the like.
  • the MQ ratio in i) may be 0.5 to 0.7, specifically 0.7.
  • the trimethylsiloxysilicate and the polypropylsilsesquioxane in iii) may be mixed at a mixing weight ratio of 6 to 7: 3 to 4 to provide a better effect on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osition. .
  • the composition comprising 0 to 40% by weight of the pigmen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ay be effective in preventing smearing and improving the feel of the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is at least 1 wt%, at least 5 wt%, at least 10 wt%, at least 15 wt% or at least 20 wt% and at most 40 wt%, at most 35 wt%, 3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r less, 25 wt% or less, 20 wt% or less, 15 wt% or less, or 10 wt% or less of pigment.
  • the pigment is titanium oxide (titanium dioxide, TiO 2 ), micro titanium oxide (Micro TiO 2 ), zinc oxide (zinc oxide, ZnO), micro zinc oxide (Micro ZnO), iron oxide (iron) Oxides FeO (II), Fe 2 O 3 (III), Fe 3 O 4 (IV)), aluminum oxide (alumina, Al 2 O 3 ), barium sulfate (barium sulfate, BaSO 3 ), silicon dioxide (silica, SiO 2 ), may be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 kaolin, sericite and mica, and may include those surface-treated with organic, inorganic or silicon.
  • the composition comprises ingredients contained in conventional makeup compositions such as thickeners, pigments, nutrients, volatile solubilizers, antioxidants, preservatives and fragranc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ffects disclosed herein.
  • auxiliary ingredients may be included in amounts of 0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may be a W / O or W / S formulation.
  •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liqui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and may be, for example, formulated with a sunscreen, liquid foundation, makeup base, skin cover, concealer, and the like.
  •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disclosed herein when applied to the skin, not only prevents stickiness or smear after volatilization of volatile oil and carrier oil, but also after drying due to the use of the film former as described above. It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durable film film performance that is hard to erase and providing excellent usability such as softness, moisture retention, and comfort.
  • the techniques disclosed herein provide a method of quantitative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a cosmetic composition.
  •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pplying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on artificial leather; Performing a burying test by applying friction to the contact member after drying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And measuring the L b value (brightness value) by a color difference meter of the artificial leather after the burying test.
  •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may include a film former.
  •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may be an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 the method comprises a L a value by a colorimeter of an artificial leather to which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has been applied prior to the buried test. Measuring (brightness value) and comparing it with the L b value.
  • the L a value may be measured after the evaluation material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leather or after the evaluation material is applied to the artificial leather and then dried.
  • the method may be to evaluate the persistence of the material to be evaluated by measuring the buried prevention rate by the following equation.
  • Burial Prevention Rate (%) dL b / dL a ⁇ 100
  • the method may be evaluated as a higher persistence as the buried prevention rate is higher.
  • the method may be to evaluate the high persistence when the burying prevention rate is 80% to 100%.
  • the drying may be to dry for 3 hours at 55 °C.
  • the burying test may be to apply a vertical friction and a horizontal friction at the same time by turning the contact member having a load of 2kg 720 °.
  •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member may be a muscle tape.
  • Table 1 shows the film-forming agent composition that gives th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lasting power, and shows the specific types and contents of each based on 100% of the total weight of the carrier oil and the film-forming agent.
  • a foundation formulation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able 2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film forming agents of Examples 1 to 16 consisting of the carrier oil of Table 1 and the film former.
  • the foundation formulation used the same raw materials for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the film forming agent.
  • the film former contents of Examples 1 to 16 contained in the foundation formulation were prepared as 4%, 8%, 12%, 16% and 20%, respectively.
  • a method of applying a foundation formulation to the artificial leather more than the actual skin application amount and dried at 55 °C for 3 hours and then applying vertical friction and horizontal friction at the same time by rotating the contact member with a load of 2 kg 360 ° 2 Buried evaluation was performed (see FIG. 1).
  • muscle tape Keratin tape, ongo
  • the color difference measurement before and after burying was measured by measuring the L value of the artificial leather through the color difference meter (KONICA MINOLTA spectrophotometer, CM-5). Quantification. The measured L values were expressed as their average values through three identical replicates.
  • the buried prevention rate (%) that is, the remaining amount (%) of the composition through the buried evaluation is shown in Table 3 below.
  • Burial Prevention Rate (%) dL b / dL a ⁇ 100
  • L a L value of the artificial leather to which the composition was applied prior to the buried test
  • L b L value of the artificial leather to which the composition was applied after the immersion test.
  • the foundation formulations including the film forming agents of Examples 1 to 16 exhibited 60% or more anti-fog (residual amount) unlike the conventional foundation formulations, and showed spreadability, adhesion, softness, moisture retention, comfort, and the like. Provided excellent usability.
  • Example 9 showed a high anti-fog effect of more than 90% to more than 90% content and very high anti-fog effect of more than 99% from more than 12% (containing 4.8% film former based on solids).
  • Example 12 (16%) was found to have a lower effect of reducing the burying compared to the same solids content than Example 9 (12%), even if the same component of the same solids content according to the carrier oil I could see the difference.
  • Example 12 showed a high anti-burying effect from more than 16% to more than 90% content.
  • Example 5 exhibited a high anti-fogging effect of more than 20% to 80% of the content, compared to Example 3, the effec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atio of trimethylsiloxysilicate and polypropylsilsesquioxane It was found out.
  • Example 7 shows a high anti-burying effect of more than 12% to more than 80%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a specific MQ ratio affects the anti-burying effect.
  • Example 9 has a high anti-burying effect of more than 80% at 4% content, Example 14 and Example 15 showed a high anti-burying effect from more than 12% to 80% of the content (see Fig. 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휘발성 오일을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이 증발되고 고지속력을 부여하는 필름 형성제를 남겨 묻어남 현상을 방지하고 지속력을 증가시키며 건조 후에도 사용감이 개선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본 명세서에는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은 외상이 오일이라 수중유형 제품에 비해 내수성은 우수하나 땀 등에 의해 화장막이 들뜨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화장을 자주 고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의복 등의 외부 접촉에 의해서도 화장이 쉽게 묻어나기 때문에 의복 등의 접촉된 물건에 화장 자국을 남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겁고 뻑뻑한 사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화장막이 두터워 피부 통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피부 호흡을 막아 피부를 답답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종래 이러한 유화 파운데이션의 단점을 개선하고 고지속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필름 형성제, 흡유 파우더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미미하고, 비휘발성 오일의 사용은 끈적임, 묻어남 현상을 유발하였다. 또한, 연속상에 필름 형성제와 휘발성 오일로 구성되어 오일이 증발하면서 필름이 얻어지는 형태의 묻어나지 않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이 휘발 성분이 증발한 후에 사용감이 답답하고 편안하지 않은 필름을 남기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거나, 모노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지방사슬 아크릴 에스테르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이 제시되었지만, 만족할 만한 지속력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고 건조 후에 사용감이 답답하고 편안하지 않으며, 종종 건조한 비보습 필름이 생성되기도 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46375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휘발성 오일을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이 증발되고 고지속력을 부여하는 단단한 표면 특성을 갖는 필름 형성제를 남겨 피부 도포 후의 묻어남 현상을 방지하고 지속력을 증가시키며 건조 후에도 사용감이 개선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화장료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막 형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폴리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과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6 중량% 이하의 분산제 및 유화제의 혼합 중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은 70% 이상이고, 상기 묻어남 방지률은 인조 피혁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방법으로 조성물의 묻어남 시험을 통해 색차계에 의한 L값 (명도값)을 측정하여 하기 식과 같이 도출된 것일 수 있다.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은 휘발성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도데칸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trimethylsiloxysilicat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polypropylsilsesquioxane),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ol crosspolymer) 및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는 막 형성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 내지 90 중량% 및 10 내지 60 중량%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막 형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4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하기의 필름 형성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i) 0.7 이하의 MQ 비를 갖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ii)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iii)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및
iv)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iii)에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은 6 내지 7 : 3 내지 4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인조 피혁에 평가 대상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평가 대상 물질을 건조시킨 후 접촉부재로 마찰을 가하여 묻어남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및 묻어남 시험 후 인조 피혁의 색차계에 의한 Lb값 (명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평가 대상 물질은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묻어남 시험 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색차계에 의한 La (명도값)을 측정하여 Lb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 식에 의해 묻어남 방지률을 측정하여 평가 대상 물질의 지속력을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건조는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묻어남 시험은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휘발성 오일을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 시 오일이 증발되고 고지속력을 부여하는 단단한 표면 특성을 갖는 필름 형성제를 남겨 피부 도포 후의 묻어남 현상을 방지하고 지속력을 증가시키며 건조 후에도 사용감이 개선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화장료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시험예에서 필름 형성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조성물의 묻어남 시험을 통해 조성물의 지속력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막 형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폴리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과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대비 비휘발성 오일이나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octylmethoxycinnamate, OMC), 아보벤존 (avobenzone) 등과 같은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아 끈적이거나 외부 접촉에 의해 묻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4 중량% 이하, 예컨대 0.01 내지 4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또는 0.01 내지 2 중량% 또는 0.01 내지 1 중량%의 분산제 및 6 중량% 이하, 예컨대 0.01 내지 6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4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또는 0.01 내지 2 중량% 또는 0.01 내지 1 중량%의 유화제를 포함하여 종래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대비 분산제 및 유화제 함량이 낮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 및 유화제의 혼합 중량이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6 중량% 이하, 예컨대 0.01 내지 6 중량% 또는 0.01 내지 5 중량% 또는 0.01 내지 4 중량% 또는 0.01 내지 3 중량% 또는 0.01 내지 2 중량% 또는 0.01 내지 1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은 70% 이상이고, 상기 묻어남 방지률은 인조 피혁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방법으로 조성물의 묻어남 시험을 통해 색차계에 의한 L값 (명도값)을 측정하여 하기 식과 같이 도출된 것일 수 있다.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은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이면서 100% 이하, 99% 이하, 98% 이하, 97% 이하, 96% 이하, 또는 95% 이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80 중량%의 휘발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휘발성 오일의 함량은 캐리어 오일의 함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오일은 막 형성제에서 사용된 캐리어 오일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휘발성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25 중량% 이상, 30 중량% 이상, 35 중량% 이상, 40 중량% 이상, 45 중량% 이상,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또는 80 중량% 이상이면서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휘발성 오일은 실리콘계 오일 및 탄화수소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휘발성 실리콘계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메틸트리메치콘, 디메치콘 및 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디메치콘은 점도가 2 cSt (centistoke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휘발성 탄화수소계 오일은 이소도데칸 및 도데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은 휘발성인 것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증가 및 사용감 개선에 좋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도데칸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디메치콘은 점도가 2 cSt (centistoke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trimethylsiloxysilicat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polypropylsilsesquioxane),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ol crosspolymer) 및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아크릴레이트 폴리머에 의한 지속성과 실리콘의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해 준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는 막 형성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 내지 90 중량% 및 10 내지 6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는 40 내지 80 중량% 및 20 내지 60 중량%이거나, 또는 40 내지 70 중량% 및 30 내지 60 중량%이거나, 또는 40 내지 60 중량% 및 40 내지 60 중량%로 혼합되어 조성물의 지속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막 형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막 형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4 중량% 이상, 16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면서 2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또는 4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형성제를 1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여 보습력 및 화장 지속력을 증가시키고 필름 형성제를 8 중량% 이하로 포함하여 끈적임이나 피부 자극 또는 피부 당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여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또는 7 중량% 이상이면서 8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또는 2 중량% 이하로 혼합되어 조성물의 지속력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필름 형성제의 중량은 고형물 (solid) 기준 함량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하기의 필름 형성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i) 0.7 이하의 MQ 비를 갖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ii)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iii)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및
iv)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상기 제시된 필름형성제를 통해 종래 사용감이 답답하고 지속력이 낮은 필름이 아닌 피부에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는 유연한 필름으로 퍼짐성, 밀착감, 내수성, 윤활성이 좋고 외부 접촉에도 쉽게 묻어나지 않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시된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캐리어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또는 이소도데칸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시된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은, 캐리어 오일로 이소도데칸, 필름 형성제로 0.8의 MQ 비를 갖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가 사용된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보다 높고, 상기 묻어남 방지률은 인조 피혁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접촉부재로 마찰을 가하는 방법으로 조성물의 묻어남 시험을 통해 색차계에 의한 L값 (명도값)을 측정하여 하기 식과 같이 도출된 것일 수 있다.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시된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은, 캐리어 오일로 사이클로펜타실록산, 필름 형성제로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 사용된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묻어남 시험에서 건조는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묻어남 시험은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접촉부재의 접촉면은 근육테이프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MQ 비(ratio)는 (R1 3SiO1 / 2)a로 표시되는 M 단위와 (SiO4 / 2)b로 표시되는 Q 단위에서 a/b의 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R1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 그룹 또는 아릴 그룹일 수 있고, 상기 a 및 b는 0을 초과하는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알킬 그룹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및 헥실 등이며, 상기 아릴 그룹의 예는 페닐, 나프틸, 벤질, 톨릴, 크실릴 및 크세닐 등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i)에서 MQ 비는 0.5 내지 0.7, 구체적으로 0.7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iii)에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은 6 내지 7 : 3 내지 4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조성물의 지속력 향상에 더욱 우수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 내지 40 중량%의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이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 및 사용감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면서 40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피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그먼트는 산화티탄(티타늄다이옥사이드, TiO2), 마이크로 산화티탄(Micro TiO2), 산화아연(징크옥사이드, ZnO), 마이크로 산화아연(Micro ZnO), 산화철(아이런옥사이드 FeO(Ⅱ), Fe2O3(Ⅲ), Fe3O4(Ⅳ)),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 Al2O3), 황산바륨(바륨설페이트, BaSO3), 이산화규소(실리카, SiO2), 탈크, 카올린, 세리사이트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일 수 있으며, 이들을 유기물, 무기물 또는 실리콘류로 표면 처리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증제, 색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통상의 메이크업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보조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W/O 또는 W/S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으로 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 리퀴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컨실러 등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하면 휘발성 오일 및 캐리어 오일이 휘발되어 메이크업 후의 끈적임이나 묻어남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필름 형성제의 사용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되어 건조된 이후에도 잘 지워지지 않는 지속력 있는 막 필름 성능을 유지하고 부드러움, 보습성, 편안함 등의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화장료 조성물의 정량적인 지속력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인조 피혁에 평가 대상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평가 대상 물질을 건조시킨 후 접촉부재로 마찰을 가하여 묻어남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및 묻어남 시험 후 인조 피혁의 색차계에 의한 Lb값 (명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평가 대상 물질은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평가 대상 물질은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묻어남 시험 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색차계에 의한 La (명도값)을 측정하여 Lb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a값은 평가 대상 물질을 인조 피혁에 도포한 후에 또는 평가 대상 물질을 인조 피혁에 도포한 다음 건조시킨 후에 측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하기 식에 의해 묻어남 방지률을 측정하여 평가 대상 물질의 지속력을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묻어남 방지률이 높을수록 지속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묻어남 방지률이 80% 내지 100%인 경우 지속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건조는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묻어남 시험은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접촉부재의 접촉면은 근육테이프인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1. 파운데이션 제형 제조
하기 표 1은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을 부여해 주는 막 형성제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의 전체 혼합 중량 100%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구체적인 종류와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1의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로 구성된 실시예 1 내지 16의 막 형성제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파운데이션 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 파운데이션 제형은 막 형성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성분은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였다. 파운데이션 제형 내 함유된 실시예 1 내지 16의 막 형성제 함량은 4%, 8%, 12%, 16% 및 20%로 하여 각각 제조하였다.
캐리어 오일 (중량%) 필름 형성제 (중량%)
실시예 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 ratio 0.8, 50%)
실시예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50%)
실시예 3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 ratio 0.8, 25%)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25%)
실시예 4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50%)
실시예 5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 ratio 0.8, 31.5%) 및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17.5%)
실시예 6 이소도데칸 (4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 ratio 0.8, 60%)
실시예 7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MQ ratio 0.7, 50%)
실시예 8 이소도데칸 (60%) 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40%)
실시예 9 (Tg 70~80 ℃) 이소도데칸 (60%)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40%)
실시예 1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80%)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 (20%)
실시예 11 사이클로펜타실록산 (85%)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 (15%)
실시예 12 (Tg 70~80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70%)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30%)
실시예 13 (Tg 45~60 ℃) 디메치콘 (2 cSt, 60%)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40%)
실시예 14 사이클로펜타실록산 (6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40%)
실시예 15 이소도데칸 (60%)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40%)
실시예 16 이소도데칸 (70%)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30%)
함량 (중량%)
실시예 1 내지 16의 막 형성제 4 내지 20
휘발성 오일 To 100
유화제 및 분산제 2 내지 6
점증제 0 내지 1
10 내지 40
0 내지 1
폴리올 및 방부제 0.5 내지 6
피그먼트 13
미립자 티타늄디옥사이드 4 내지 5
Total 100
시험예 2. 묻어남 평가
상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제조된 파운데이션 제형을 대상으로 하기와 같이 묻어남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조 피혁에 실제 피부 도포량보다 많은 양의 파운데이션 제형을 도포하고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360 ° 2바퀴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방법으로 묻어남 평가를 실시하였다 (도 1 참조). 접촉부재의 접촉면은 근육테이프 (Kinesiology tape, ongo)를 사용하였으며, 묻어남 전과 후의 색차 측정은 색차계 (KONICA MINOLTA 사의 spectrophotometer, CM-5)를 통해 인조 피혁의 L값을 측정하여 묻어남 정도를 정량화하였다. 측정된 L값은 3번의 동일한 반복실험을 통해 이들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묻어남 평가를 통해 묻어남 방지률 (%), 즉 조성물의 잔량 (%)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dLa = La - L0,
dLb = Lb - L0,
L0 =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
La = 묻어남 시험 이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
Lb = 묻어남 시험 이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
전 (std. L = 30.31) 후 (std. L = 30.31)
  L dL L dL 잔량 %
A사 파운데이션 65.8 35.49 46.31 16 45.08312
B사 파운데이션 66.62 36.31 49.51 19.2 52.878
C사 파운데이션 71.14 40.82 48.4 18.09 44.31651
실시예 1 4% 65.9 35.59 50.7 20.39 57.29137
8% 67.3 36.99 51.99 21.68 58.61044
12% 69.07 38.75 57.23 26.92 69.47097
16% 70.4 40.09 60.45 30.14 75.18084
20% 70.63 40.32 62.44 32.13 79.6875
실시예 2 4% 64.58 34.26 52.26 21.95 64.06888
8% 65.76 35.45 50.72 20.41 57.57405
12% 68.46 38.15 52.95 22.64 59.34469
16% 69.96 39.65 59.87 29.56 74.55233
20% 70.61 40.3 59.93 29.61 73.47395
실시예 3 4% 63.98 33.66 52.36 22.05 65.50802
8% 65.95 35.63 53.53 23.22 65.1698
12% 68.55 38.24 57.81 27.49 71.88808
16% 69.22 38.91 55.98 25.67 65.97276
실시예 4 4% 65.58 35.27 54.1 23.79 67.45109
8% 68.02 37.7 52.32 22 58.35544
실시예 5 4% 65.63 35.32 49.91 19.59 55.46433
8% 68.11 37.79 54.89 24.58 65.04366
12% 69.18 38.86 56.92 26.61 68.47658
16% 69.75 39.44 61.83 31.52 79.91886
20% 70.37 40.05 65.53 35.22 87.94007
실시예 6 12% 69.88 39.57 56.26 25.95 65.57998
실시예 7 12% 68.44 38.12 63.54 33.23 87.17209
실시예 8 4% 65.58 35.26 53.1 22.79 64.63415
8% 67.53 37.22 56.3 25.98 69.80118
12% 68.49 38.17 57.88 27.57 72.2295
16% 67.82 37.5 56.02 25.71 68.56
20% 66.72 36.4 57.82 27.5 75.54945
실시예 9 4% 65.96 35.64 60.97 30.66 86.02694
8% 67.54 37.23 65.57 35.26 94.70857
12% 69.11 38.8 68.98 38.66 99.63918
16% 68.98 38.67 68.87 38.56 99.71554
20% 68.81 38.49 69.11 38.8 100.8054
실시예 10 8% 64.37 34.06 54.26 23.95 70.31709
16% 64.64 34.32 56.58 26.27 76.54429
실시예 11 8% 65.32 35.01 55.1 24.79 70.80834
16% 65.38 35.06 57.14 26.82 76.49743
실시예 12 16% 68.02 37.71 67.51 37.19 98.62106
실시예 13 12% 67.33 37.01 59.65 29.34 79.27587
실시예 14 12% 68.59 38.28 62.32 32.01 83.62069
실시예 15 12% 68.83 38.52 61.69 31.38 81.46417
실시예 16 4% 66.16 36 57.53 27.36 76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16의 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파운데이션 제형의 경우 종래 파운데이션 제형과 달리 60% 이상의 묻어남 방지률(잔량)을 나타내었고, 퍼짐성, 밀착감, 부드러움, 보습성, 편안함 등의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하였다.
실시예 9는 함량 8% 이상부터 90% 이상의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를 나타냈고 함량 12% (고형물 기준 4.8%의 필름 형성제 함유) 이상부터 99% 이상의 매우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12 (16%)가 실시예 9 (12%)에 비해 동일 고형물 (solid) 함량 대비 묻어남 저감화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동일한 고형물 함량의 동일 성분이라도 캐리어 오일에 따라 화장막 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는 함량 16% 이상부터 90% 이상의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5는 함량 20% 이상부터 80% 이상의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고, 실시예 3과 비교하여 볼 때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의 비율에 따라 그 효과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은 함량 12% 이상부터 80% 이상의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를 나타내어 특정 MQ ratio가 묻어남 방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는 함량 4%에서 80% 이상의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 실시예 14 및 실시예 15는 함량 12% 이상부터 80% 이상의 높은 묻어남 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2 참조).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막 형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형성제는 실리콘 폴리머 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휘발성 오일과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6 중량% 이하의 분산제 및 유화제의 혼합 중량을 갖는 것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묻어남 방지률은 70% 이상이고,
    상기 묻어남 방지률은 인조 피혁에 조성물을 도포하고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방법으로 조성물의 묻어남 시험을 통해 색차계에 의한 L값 (명도값)을 측정하여 하기 식과 같이 도출된 것인, 조성물.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조성물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조성물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오일은 휘발성인 것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오일은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이소도데칸 및 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폴리머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trimethylsiloxysilicat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 (polypropylsilsesquioxane),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디메치콘/비닐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trimethylsiloxysilicate crosspolymer),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trimethylsiloxysilicate/dimethiconol crosspolymer) 및 트리메틸실록시실릴카바모일 풀루란 (trimethylsiloxysilylcarbamoyl pullula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는 부틸 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 디메치콘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인,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오일과 필름 형성제는 막 형성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40 내지 90 중량% 및 10 내지 60 중량%로 혼합된 것인,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4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8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제는 하기의 필름 형성제 중 하나 이상인 것인, 조성물.
    i) 0.7 이하의 MQ 비를 갖는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ii)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디메치콘올 크로스폴리머;
    iii)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필름 형성제; 및
    iv)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iii)에서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와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산은 6 내지 7 : 3 내지 4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조성물.
  14. 인조 피혁에 평가 대상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평가 대상 물질을 건조시킨 후 접촉부재로 마찰을 가하여 묻어남 시험을 실시하는 단계; 및
    묻어남 시험 후 인조 피혁의 색차계에 의한 Lb값 (명도값)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물질은 필름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묻어남 시험 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색차계에 의한 La값 (명도값)을 측정하여 Lb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기 식에 의해 묻어남 방지률을 측정하여 평가 대상 물질의 지속력을 평가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묻어남 방지률 (%) = dLb / dLa × 100
    (상기 식에서, dLa = La - L0이고, dLb = Lb - L0이고, L0 =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되기 전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a = 묻어남 시험 이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고, Lb = 묻어남 시험 이후 평가 대상 물질이 도포된 인조 피혁의 L값이다.)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55 ℃에서 3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묻어남 시험은 2kg의 하중을 갖는 접촉부재를 720 ° 돌려 수직적 마찰과 수평적 마찰을 동시에 가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PCT/KR2017/013603 2016-11-30 2017-11-27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WO20181016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82421.5A CN110167524A (zh) 2016-11-30 2017-11-27 具有优异持久性的乳化化妆品美容组合物及评估美容组合物的持久性的方法
US16/464,120 US20190290558A1 (en) 2016-11-30 2017-11-27 Emulsified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sustainability and method for evaluating sustaining force for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095 2016-11-30
KR1020160162095A KR20180062144A (ko) 2016-11-30 2016-11-30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686A1 true WO2018101686A1 (ko) 2018-06-07

Family

ID=6224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603 WO2018101686A1 (ko) 2016-11-30 2017-11-27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290558A1 (ko)
KR (1) KR20180062144A (ko)
CN (1) CN110167524A (ko)
TW (1) TW201822753A (ko)
WO (1) WO2018101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398A1 (ja) * 2019-02-27 2020-09-03 株式会社コーセー 多層型メイクアップ保護化粧料
KR102299762B1 (ko) 2019-12-30 2021-09-10 주식회사 브이티피엘 지속성이 개선된 색조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383A (ko) * 1995-11-07 1999-08-16 데이비드 엠 모이어 묻어나지 않는 화장용 조성물
KR20030030429A (ko) * 2001-10-11 2003-04-1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지속성 립스틱 조성물
US20060110346A1 (en) * 2004-11-04 2006-05-25 L'oreal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KR20150024001A (ko) * 2013-08-26 2015-03-06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271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540A (ko) * 2007-11-27 2009-06-01 (주)아모레퍼시픽 지속성이 우수하고 묻어나지 않는 유중수형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FR2932985B1 (fr) * 2008-06-25 2011-03-18 Chanel Parfums Beaute Composition cosmetique renfermant un silicone acrylate et une cire polyester.
EP2498612A1 (en) * 2009-11-09 2012-09-19 Avon Products, Inc. A low flashpoint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lvents of varying evaporation rates
KR20130060207A (ko) * 2010-04-30 2013-06-07 다우 코닝 도레이 캄파니 리미티드 당 알코올 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분말 처리제, 그 분말 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분말, 및 이들을 포함하는 화장품 원료 및 화장품
KR101630825B1 (ko) 2013-06-17 2016-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383A (ko) * 1995-11-07 1999-08-16 데이비드 엠 모이어 묻어나지 않는 화장용 조성물
KR20030030429A (ko) * 2001-10-11 2003-04-18 한국화장품주식회사 지속성 립스틱 조성물
US20060110346A1 (en) * 2004-11-04 2006-05-25 L'oreal Transfer-resistant cosmetic compositions
KR20150024001A (ko) * 2013-08-26 2015-03-06 (주)아모레퍼시픽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271A (ko) * 2015-09-30 2017-04-07 (주)아모레퍼시픽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90558A1 (en) 2019-09-26
CN110167524A (zh) 2019-08-23
KR20180062144A (ko) 2018-06-08
TW201822753A (zh) 201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57862A1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062725A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7057888A1 (ko) 액상 유분산 제형의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JP2001192320A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脂肪相を含む色移りしないメークアップもしくはケア用組成物
WO2018030706A1 (ko) 입체 성형 타입의 파우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4157960A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7135629A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39A1 (ko) 무수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WO2014035213A1 (ko) 폴리아미드계 겔화제를 함유하는 투명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01686A1 (ko)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의 지속력 평가 방법
WO2019182198A1 (ko) 수분방출 스틱형 화장료
WO2017057885A1 (ko)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스펀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WO2021261824A1 (ko) 메이크업 밀착력 강화 및 묻어남 방지를 위한 양이온성 화장료 조성물
WO2019004562A1 (ko) 수분산 제형의 액상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WO2018048214A1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9059580A1 (ko) 고내상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8056590A1 (ko)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WO2022092768A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217702A1 (ko) 무취 및 고안정 화장료 조성물
WO2024090831A1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3159420B2 (ja) 油性化粧料
WO2020235752A1 (ko) 화장 지속력이 개선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WO2021162408A1 (ko) 수분산 오일 프리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6653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WO2017043774A1 (ko) 소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자가 탄성 복원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76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765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